KR20200051563A -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563A
KR20200051563A KR1020200054522A KR20200054522A KR20200051563A KR 20200051563 A KR20200051563 A KR 20200051563A KR 1020200054522 A KR1020200054522 A KR 1020200054522A KR 20200054522 A KR20200054522 A KR 20200054522A KR 20200051563 A KR20200051563 A KR 20200051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vex portions
concave
convex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호
이재달
Original Assignee
강경호
이재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호, 이재달 filed Critical 강경호
Priority to KR102020005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1563A/ko
Publication of KR2020005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는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마개 및 상기 마개의 볼록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최하단면에 형성된 벤팅 홀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LID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뚜껑 부재는 내용물의 보관과 운반상의 문제와 더불어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증기(수증기, 유증기 그 외 다른 응축 가능한 증기)의 배출 및 용기본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뚜껑 부재는 위생적인 관점에서 용기를 밀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용기 내에 뜨거운 음식물을 수용할 경우, 뚜껑 부재는 용기 몸체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있다.
용기 본체 내에 뜨거운 음식을 수용한 후 뚜껑 부재를 바로 장착하게 되면, 뜨거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증기들과 외기가 열교환 하여 뚜껑 부재의 내면에 응축 물질들이 발생되며 이후 음식물이 눅눅해질 수 있다. 또한, 응축 물질들이 용기 벽에 존재함으로써, 외관상 보기에 좋지 못하며 뚜껑 부재를 열 경우 응축 물질들이 밖으로 나올 수 있다.
한편, 뚜껑 부재를 분리하여 음식물의 열을 식히는 경우, 시간 및 외부 환경에 따라 용기 본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 부재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되, 뜨거운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들을 외부로 방출시켜 용기 내 발생할 수 있는 응축 물질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2594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9330호
용기 본체 내에 뜨거운 음식을 수용한 상태에서 뚜껑 부재를 장착한 경우 용기 내 응축 물질들의 발생으로 음식물이 눅눅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증기들을(수증기, 유증기 그 외 다른 응축 가능한 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며,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제안하는 여러 해결 수단 중 하나는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마개 및 상기 마개의 볼록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최하단면에 형성된 벤팅 홀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뜨거운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들을(수증기, 유증기 그 외 다른 응축 가능한 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운반에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를 이용한 용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를 이용한 용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I-I'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를 이용한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에 포함된 마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뚜껑 부재에 포함된 뚜껑 본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를 이용한 용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에 포함된 마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뚜껑 부재에 포함된 뚜껑 본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요소 등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T방향은 높이 방향, W방향은 폭 방향, L방향은 길이 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를 이용한 용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를 이용한 용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I-I'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를 이용한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뚜껑 부재(100, 150)를 이용한 용기(10)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120) 및 상기 개구부를 덮는 뚜껑 부재(100, 150)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부재(100, 150)는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볼록부(155)를 포함하는 마개(150) 및 상기 마개의 볼록부(155)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오목부(110) 및 상기 오목부의 최하단면에 형성된 벤팅 홀(venting hole;115))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는 음식물을 담는 도시락 용기로서,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20)와 상기 용기 본체(12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는 뚜껑 부재(100, 15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는 생산성, 밀봉성 및 음식물을 수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플라스틱(plastic) 또는 종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e), 에스테르 수지(polyester),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폴리스티렌계 수지(polystyrene系),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polyacrylonitrile)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종이 재질로는 친환경 종이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기(10)는 지나치게 얇으면 강성을 확보할 수 없고, 용기에 담는 내용물의 무게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용기가 크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용기의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적절한 두께를 선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종래의 도시락 용기의 경우, 용기 본체 내에 뜨거운 음식을 수용한 후 뚜껑 부재를 바로 장착하게 되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증기 물질이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뚜껑 부재의 내면에 응축 물질들이 발생되어, 이후 음식물이 눅눅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 물질이 용기 벽면에 달라붙어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 부재를 분리하여 음식물의 열을 식히는 경우, 시간 및 외부 환경에 따라 용기 본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뚜껑 부재(100, 150)는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볼록부(155)를 포함하는 마개(150) 및 상기 마개의 볼록부(155)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오목부(110) 및 상기 오목부의 최하단면에 형성된 벤팅 홀(115)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10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뜨거운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들을 외부로 방출시켜 용기 내 발생할 수 있는 응축 물질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 부재의 상면이 편평하므로, 용기의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운반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마개(150)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볼록부(1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볼록부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일정 폭,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뚜껑 본체(100)는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오목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110)는 벤팅 홀(115)을 배치하기 위하여 최하단면을 가진다. 상기 최하단면은 상기 벤팅 홀을 형상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볼록부(155)는 원기둥, 원뿔대, 다각 기둥 및 다각뿔대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일 수 있으며, 밑면을 가지는 형상이면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오목부를 견고하게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볼록부가 외부 충격에 쉽게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각 기둥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나 삼각 기둥, 사각 기둥 및 오각 기둥 등 일 수 있으며, 상기 다각뿔대는 삼각뿔대, 사각뿔대 및 오각뿔대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볼록부가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일 경우, 상기 볼록부(155)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 본체의 오목부(110)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볼록부(155)는 상기 오목부(110)보다 높이가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오목부의 벤팅 홀을 커버하되 상기 뚜껑 본체에서 돌출되지 않는 범위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벤팅 홀(venting hole;115)은 상기 오목부(110)의 최하단면에 형성된다.
상기 뚜껑 본체에 벤팅 홀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뜨거운 음식을 수용한 후 바로 뚜껑 부재를 장착하더라도 용기 내 발생된 증기들이 음식물에 스며들지 않고, 응축 물질들이 발생되지 않아 내용물(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뚜껑 부재를 제거하지 않아도,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없이 용기 내에 발생하는 증기들(수증기, 유증기 그 외 다른 응축 가능한 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뜨거운 음식을 수용한 용기 내에 증기들을 외부로 배출할 경우, 벤팅 홀이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된 볼록부를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내에 음식물을 보관할 경우, 오목부 내에 볼록부를 수용함으로써 음식물을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에 포함된 마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뚜껑 부재에 포함된 뚜껑 본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마개(150)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볼록부(151)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제2 볼록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100)는 상기 제1 볼록부(151)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벤팅 홀(115)을 포함하는 제1 오목부(111) 및 상기 제2 볼록부(15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제2 오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록부(151)는 필요 시 제거하여 벤팅 홀이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볼록부(152)는 상기 제1 볼록부가 제거되더라도 상기 마개를 상기 뚜껑 본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151, 152)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볼록부(151)와 제2 볼록부(152)는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151, 152)는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의 높이보다 큰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의 이격거리가 볼록부의 높이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볼록부를 제거할 수 없어 벤팅 홀의 개방이 불가할 수 있다.
도 4 (a)는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151, 152)의 폭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마개(150)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b)는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251, 252)의 폭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인 마개(25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151, 152)는 원기둥, 원뿔대, 다각 기둥 및 다각뿔대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일 수 있으며, 밑면을 가지는 형상이면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 오목부를 견고하게 커버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볼록부가 외부 충격에 쉽게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각 기둥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나 삼각 기둥, 사각 기둥 및 오각 기둥 등 일 수 있으며, 상기 다각뿔대는 삼각뿔대, 사각뿔대 및 오각뿔대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가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일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151, 152)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4 (a)는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151, 152)의 폭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마개(150)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b)는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251, 252)의 폭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인 마개(250)를 나타 낸 것이며, 도 5 (a)는 도 4 (a)의 상기 볼록부(155)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10)를 포함하는 뚜껑 본체(100)를 나타낸 것이며, 도 5 (b)는 도 4 (b)의 상기 볼록부(255)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10)를 포함하는 뚜껑 본체(20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오목부(111, 211)는 벤팅 홀(115, 215)을 포함하여 용기 내 증기들(수증기, 유증기 그 외 다른 응축 가능한 증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오목부(112, 212)는 상기 제2 볼록부(152, 25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오목부(111, 112, 211, 212)는 상기 뚜껑 본체(100, 200)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띄며,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151, 152, 251, 252)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오목부(111, 112, 211, 212)는 원기둥, 원뿔대, 다각 기둥 및 다각뿔대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인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151, 152)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오목부(111, 112, 211, 212)는 최하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오목부(111, 211)의 경우 벤팅 홀이 배치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이 필요하므로 최하단면을 가지며, 상기 최하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300)를 이용한 용기(3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부재에 포함된 마개(35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뚜껑 부재에 포함된 뚜껑 본체(3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 (a)는 볼록부(355)의 폭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마개(350)를 나타낸 것이며, 도 7 (b)는 볼록부(455)의 폭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인 마개(450)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a)는 도 7 (a)의 상기 볼록부(355)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310)를 포함하는 뚜껑 본체(300)를 나타낸 것이며, 도 8 (b)는 도 7 (b)의 상기 볼록부(455)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410)를 포함하는 뚜껑 본체(40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마개(350, 450)는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 위치된 볼록부(355, 4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본체(300, 400)는 상기 볼록부(355, 455)를 수용하며 벤팅 홀(315, 415)이 형성된 오목부(310, 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350, 450)는 상기 볼록부(355, 455)의 가장자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고정 돌출부(353, 453)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300, 400)는 상기 고정 돌출부(353, 453)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고정 오목부(313, 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출부(353, 453) 및 고정 오목부(313, 413)는 4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돌출부(353, 453)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 오목부(313, 4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출부(353, 453)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오목부(313, 413)는 상기 뚜껑 본체(300, 400)에서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반구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 돌출부(353, 453) 및 상기 고정 오목부(313, 413)는 상기 볼록부(355, 455)가 상기 오목부(310, 410)와 견고하게 커버할 수 있으며 벤팅 홀(315, 415)을 강력하게 막을 수 있어,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과 외부 충격에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10, 30: 용기
100, 200, 300, 400: 뚜껑 본체
110, 210, 310, 410: 오목부
115, 215, 315, 415: 벤팅 홀
150, 250, 350, 450: 마개
155, 255, 355, 455: 볼록부
313, 413: 고정 오목부
353, 453: 고정 돌출부

Claims (2)

  1. 베이스 부재 양단의 하부에 배치되며 원기둥, 원뿔대, 다각 기둥 및 다각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밑면을 가지는 제 1,2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2 볼록부는 그 형상이 동일하며, 제 1,2 볼록부가 이격된 거리는 제 1,2 볼록부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마개; 및
    상기 마개의 제 1,2 볼록부를 각각 수용하도록 형성된 제 1,2 오목부 및 상기 제 1 오목부의 최하단면에 형성된 벤팅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2 오목부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뚜껑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제 1,2 오목부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제 2 오목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볼록부 사이를 잇는 베이스 부재의 변형에 의해 제 1 볼록부가 제 1 오목부에 수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부재.
  2. 베이스 부재 양단의 하부에 배치되며 원기둥, 원뿔대, 다각 기둥 및 다각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밑면을 가지는 제 1,2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2 볼록부는 그 형상이 동일하며, 제 1,2 볼록부가 이격된 거리는 제 1,2 볼록부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마개; 및
    상기 마개의 제 1,2 볼록부를 각각 수용하도록 형성된 제 1,2 오목부 및 상기 제 1 오목부의 최하단면에 형성된 벤팅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2 오목부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뚜껑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제 1,2 오목부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제 2 오목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볼록부 사이를 잇는 베이스 부재의 변형에 의해 제 1 볼록부가 제 1 오목부에 수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200054522A 2020-05-07 2020-05-07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20200051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22A KR20200051563A (ko) 2020-05-07 2020-05-07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22A KR20200051563A (ko) 2020-05-07 2020-05-07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102A Division KR20200014662A (ko) 2018-08-01 2018-08-01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563A true KR20200051563A (ko) 2020-05-13

Family

ID=7073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22A KR20200051563A (ko) 2020-05-07 2020-05-07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15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41B1 (ko) 2009-08-10 2011-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KR20170039330A (ko) 2015-10-01 2017-04-11 (주)조이쿡 조리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41B1 (ko) 2009-08-10 2011-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KR20170039330A (ko) 2015-10-01 2017-04-11 (주)조이쿡 조리용기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817B2 (en) Ammunition packaging
US5799814A (en) Drink-through lid for container
US3358879A (en) Nesting container
US11518589B2 (en) Lid and scoop for a container
US3478867A (en) Stackable trays and package formed therefrom
JP2007161309A (ja) 果実用トレー
KR20200051563A (ko)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US5823351A (en) Semiconductor crystal packaging device
JP3200813U (ja) 食品包装用容器
KR20200014662A (ko) 뚜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EP0085559B1 (en) Packaging containers
US20050242092A1 (en) Resealable divided plate
US6848576B1 (en) Container for storing elongated articles
KR200383322Y1 (ko) 금속제 용기
US20190162461A1 (en) Isothermal container
JP3120347U (ja) 積み重ね容器
JP2006096366A (ja) 合成樹脂製容器
JPS6244899Y2 (ko)
JPH0126591Y2 (ko)
US20240043174A1 (en) Collapsible Food Containers with Divider Device
JP7259276B2 (ja) 蓋付き容器
JP3125511U (ja) 食品用容器
WO1993001986A1 (en) Nestable and stackable container
JP7100352B2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