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253A -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253A
KR20200051253A KR1020180134383A KR20180134383A KR20200051253A KR 20200051253 A KR20200051253 A KR 20200051253A KR 1020180134383 A KR1020180134383 A KR 1020180134383A KR 20180134383 A KR20180134383 A KR 20180134383A KR 20200051253 A KR20200051253 A KR 20200051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rocessor
sub
displa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열
김용한
최종철
유수철
윤원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1253A/ko
Priority to US16/672,933 priority patent/US11397046B2/en
Priority to PCT/KR2019/014913 priority patent/WO2020096323A1/en
Priority to EP19882482.3A priority patent/EP3803240B1/en
Publication of KR2020005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2Switching on, e.g. with predetermined rate of increase of lighting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가전 기기가 개시된다. 본 가전 기기는 도어 센서, 디스플레이, 메인 프로세서,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 및 서브 프로세서에 연결된 전원 제어 소자를 포함하고, 메인 프로세서는 도어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제어 소자를 제어하여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킨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HOME APPLIAN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전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전력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가전 기기에는 가전 기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냉장실의 온도 및 냉동실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많은 가닥의 전선이 사용되면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의 냉장고는 프로세서를 2개로 배치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메인 프로세서와 별도로 서브 프로세서를 배치하고, 서브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하였다.
다만,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서브 프로세서를 배치하는 경우, 기존에 메인 프로세서만으로 구현되는 경우보다 전력을 더 많이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변경하여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가전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는 상기 가전 기기에 포함된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 디스플레이, 메인 프로세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 연결된 전원 제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킨다.
한편, 가전 기기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제어 소자는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이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제어 소자는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 배치되는 칩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칩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 제어 소자로부터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 기기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 기기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디스플레이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 센서에서 사용자 접근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대에서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대에서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저 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냉장고의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가전 기기에 포함된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도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제어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제어 소자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일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제어 소자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 배치되는 칩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칩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서, 상기 전원 제어 소자로부터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 기기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 기기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모션 센서에서 사용자 접근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대에서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대에서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저 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한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상기 냉장고의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든 도어를 개방한 냉장고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도어의 열림 동작이 센싱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도어의 닫힘 동작이 센싱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9는 사용자의 접근 동작이 센싱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가전 기기(100)는 도어 센서(110), 메인 프로세서(120), 전원 제어 소자(130), 서브 프로세서(140) 및 디스플레이(15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는 냉장고, TV,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공기 청정기 등과 같이 특정 정보 및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어 센서(110)는 가전 기기(100)에 부착된(포함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식별할 수 있는 센서 일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센서(110)는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도어 센서(110)는 생성된 센싱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어 센서(110)는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 센서(110)는 사용자가 문을 여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센서(110)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구성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닫힘 상태인 경우, A구성과 B구성이 접촉되어 있고, 도어가 열림 상태인 경우, A구성과 B구성이 접촉되어 있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도어 센서(110)는 A구성과 B구성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경우 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인 프로세서(1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어 센서(110)는 전면 카메라(151) 또는 내부 카메라(152)를 이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 센서(110)는 카메라에서 촬상되는 이미지의 변화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0)는 가전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어 센서(110)가 도어의 개폐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도어 센서(110)가 센싱하는 도어의 개폐에 따른 시간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을 10초동안 열고 있었던 경우, 도어 센서(110)는 도어 열림 상태가 10초동안 지속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의 개폐에 따른 시간 정보를 도어 센서(110)가 식별하는 것으로 기술 하였지만, 실제 구현 시 메인 프로세서(120)가 수행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메인 프로세서(120)(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메인 프로세서(120)(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메인 프로세서(120)(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메인 프로세서(120)(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메인 프로세서(12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는 메인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되는 소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 소자(130)는 서브 프로세서(14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소자일 수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 서브 프로세서(140)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전원 제어 소자(130)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서브 프로세서(140)는 전원을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가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는 메인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원 제어 소자(130)는 스위치, 릴레이, 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 소자(130)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일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모드를 절전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15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프로세서(140)는 서브 프로세서(140)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는 메인 프로세서(120)와 동일한 프로세서 칩일 수 있다. 다만, 서브 프로세서(140)는 메인 프로세서(120)보다 처리 용량이 적은 프로세서 칩일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40)는 전원 제어 소자(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15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15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디스플레이(15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도, 사용자 단말장치가 펜 입력 기능도 지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의 손가락 이외에도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이 내부에 코일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일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제스처뿐만 아니라 근접 제스처, 즉, 호버링(hovering)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센서(110)로부터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제어 소자(130)를 제어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평소에,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유지되는 점을 가정한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가 도어 센서(110)로부터 사용자가 도어를 열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원 제어 소자(1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 소자(13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을 서브 프로세서(140)에 공급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20)가 도어 센서(110)로부터 사용자가 도어를 닫았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원 제어 소자(1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 소자(13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을 서브 프로세서(140)에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는 전원을 공급받지 않으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전원 공급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소자(130)는 전원 공급부(195) 및 서브 프로세서(140)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란, 스위치, 릴레이 또는 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0)가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 시키는 것을 가정한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스위칭 소자인 전원 제어 소자(130)를 온 시킬 수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가 온 상태라는 것은 전원 공급부(195)로부터 전원이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달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 소자(130)가 오프 상태라는 것은 전원 공급부(195)로부터 전원이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달될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스위치의 경우, 스위치가 닫혀 있는 상태를 온 상태로 볼 수 있고, 스위치가 열려 있는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소자(130)는 전원 공급부(195) 및 서브 프로세서(140) 사이에 배치되는 칩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제어 신호를 칩 모듈로 전송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칩 모듈은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소자(130)가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력을 공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소자(130)가 전원 공급부(195)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서브 프로세서(140)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195)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전원 제어 소자(130)로부터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변경시키고 자신의 전원 상태 역시 오프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가전 기기(100)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150)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센서(110)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센싱되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40)가 오프 상태라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도어를 열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센서(110)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를 닫으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50)의 전원 상태가 오프되는 시점과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가 오프되는 시점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를 닫은 이후 디스플레이(150) 는 기 설정된 시간(5초) 뒤에 오프 되고 서브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시간(1분)뒤에 오프될 수 있다. 시간 차이를 두는 이유는 도어의 개폐가 일어날 경우마다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변경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1분에 냉장고의 도어를 4번 열고 닫았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1분동안 4번 열고 닫는데 소모되는 전력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1분)만큼 온으로 유지하고 디스플레이(150)의 전원 상태만을 온 또는 오프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1분 또는 5초)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50)는 가전 기기(100)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디스플레이(150) 일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모션 센서에서 사용자 접근이 센싱되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근전 센서(161)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근접 센서(161)는 접촉 없이도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냉장고 근처의 물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161)는 광학식 근접센서, 용량식 근접센서, 유도식 근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161)는 IR 근접 센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모션 센서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모션 센서는 전면 카메라(151) 또는 내부 카메라(152)를 이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 촬상되는 이미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에 접근하는 경우, 모션 센서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션 센서는 대응되는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에 접근하는 모든 경우마다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한다면, 소모 전력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120)는 모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사용자의 접근 의도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접근 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접근 여부, 접근 속도, 접근 방향 또는 접근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근 여부, 접근 속도, 접근 방향 또는 접근 빈도는 모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접근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모션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 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센싱되면,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 앞에서 속도를 줄여 가전 기기(100)를 이용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접근 속도가 감소되는 경우에 한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에 접근하는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전 기기(100)를 지나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은 오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반드시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모션 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하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만을 온 상태로 변경하고,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은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의 앞에 기 설정된 시간만큼 머물러 있는 것으로 식별하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 앞으로 다가오는 경우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 3초 이상 서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20)는 모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키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만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0)는 냉장고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키가 140cm이상인 경우에만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어른일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이 냉장고에 접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이 많아져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또 다른 구현 예로서, 메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키가 특정 값(140cm)부터 또 다른 특정 값(220cm) 사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서브 프로세서(140)를 전원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할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좌측에는 세탁실이 있고 우측에는 식탁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냉장고를 사용하는 경우는 식탁 쪽에서 접근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우측에서 접근하는 경우에만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우측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기 설정된 비율(90%)이상이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접근 방향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메인 프로세서(120) 스스로 학습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 프로세서(140)는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50)의 디스플레이(150)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전 기기(100)를 제어하는 다양한 명령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대에서 서브 프로세서(140)가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0)는 새벽 12시부터 오전 7시까지 시간 구간 대에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 구간 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인공 지능 학습을 통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0)는 1달간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를 사용한 시간을 확인하여 사용하지 않은 시간 구간에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대에서 도어 센서(110)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서브 프로세서(140)가 저 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는 모든 경우에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오프로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자주 변경하는 경우 전력 소모가 클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120)는 제2 시간 구간 대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는 경우에만 서브 프로세서(140)를 전원 오프 상태나 저 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벽 1시부터 새벽 6시 사이에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었다고 가정한다. 새벽 시간에는 냉장고를 이용하는 경우가 흔치 않으므로 도어 닫힘 동작 이후 다시 도어 열림 동작이 센싱될 확률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새벽 1시부터 새벽 6시 사이에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는 경우, 바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냉장고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브 프로세서(140)는 냉장고의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150)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냉장고에 부착된 디스플레이(150)에는 냉장고의 온도 정보 이외에 냉장고가 동작 기능, 동작 모드 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도어 센서(110) 또는 모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실제 구현 시 도어 센서(110) 및 모션 센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센서(110) 및 모션 센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시키고 디스플레이(150)는 오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여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본원은 도어 센서(110) 또는 모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모션 센서 대신에 지문 센서(163) 또는 압력 센서(164)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 센서(163) 또는 압력 센서(164)에 의해 센싱되는 정보를 기초로,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이 지문 센서(163)를 통해 인식되거나, 압력 센서(164)에 의해 압력이 변동됨을 감지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시킬 때마다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변경 시킨다면 전력 소모가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오프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여부는 전력 소모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 차이가 별로 없다 하더라도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 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하는 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키도록 서브 프로세서(140)의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오프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항상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두는 경우, 전력 소모가 클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센서(110) 또는 모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결과에 따라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여 전체적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냉장고로 구현될 수 있다. 냉장고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는 본체(10), 저장실(11, 12, 13), 복수의 도어(20, 30, 40, 50) 및 각 도어(20 내지 50)를 본체(10)에 연결하는 힌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개수가 4개인 것은 일 예일 뿐, 도어의 개수는 1개, 2개, 3개 등일 수도 있다.
복수의 도어(20, 30, 40, 50)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예를 들어, 좌측 도어(20) 및 우측 도어(30)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15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복수의 도어(20, 30, 40, 50)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스피커(141)가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복수의 도어(20, 30, 40, 50)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전면 카메라(또는 제1 카메라)(151, 도 4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어(20, 30, 40, 50)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근접 센서(161, 도 4 참조)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어(20, 30, 40, 50)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마이크(142, 도 4 참조)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20, 30, 40, 50)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지문 센서(163, 도 4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손잡이(21, 31, 41, 51) 중 적어도 하나에 지문 센서(163, 도 4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11 내지 13)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inner case, 미도시),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outer case, 미도시) 및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서 온도 차이를 유지하는 단열재(insulat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미도시)는 저장실(11 내지 13) 내부의 냉기에 대한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 온기의 저장실(11 내지 13) 내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11 내지 13)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유닛(미도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compressor, 181, 도 4 참조), 응축기(condenser, 미도시), 팽창 밸브(expansion value, 미도시), 증발기(evaporator, 미도시) 및 파이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11 내지 13)은 파티션(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실(11 내지 13)은 아래의 냉동 저장실(12, 13, 이하에서는 "냉동실"로 칭함)과 냉동실(12, 13)의 위에 있는 냉장 저장실(11, 이하에서는 "냉장실"로 칭함)로 구분될 수 있다.
파티션(14)으로 구분되는 저장실(11 내지 13) 중 냉장실(11)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선반(15)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저장함(storage box, 16)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11)은 냉장실(11)의 일측(예를 들어, 왼쪽)의 제1 도어(20) 및, 제1 도어(20)에 인접하고 저장실(11)의 타측(예를 들어,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 도어(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20)의 전면(예를 들어, + y 축 방향)에 물, 얼음 또는 탄산수(sparkling water)를 제공하는 디스펜서(미도시) 및/또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2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도어(30)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20)의 손잡이(21) 및 제2 도어(30)의 손잡이(31)는 냉장실(11)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어(20)에는 회전바(7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전바(70)는 제1 도어(20) 및 제2 도어(30)사이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제1 도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바(70)를 제2 도어(30)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내부 카메라(또는 제2 카메라)(152)는 회전바(70)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52)는 회전바(70)가 제1 도어(20) 및 제2 도어(30)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위치에 있을 때, 냉장실(11)과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20) 및 제2 도어(3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내부 카메라(152)를 통해 냉장실(11) 내부를 볼 수 있다.
제2 도어(30)의 전면(예를 들어, + y 축 방향)에 냉장고의 기능 및 저장된 설정을 표시 가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또는, 위젯 포함) 화면을 표시가능 한 디스플레이(150)가 위치할 수 있다. 태스크 바(153)는 디스플레이(150)에 포함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50)와 별개일 수 있다. 태스크 바(153)는 터치 스크린에 포함되어 있는 소프트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과 별개의 물리 버튼일 수 있다. 태스크 바(153)는 예컨대 마이크 키, 메뉴 키, 홈 키, 뒤로가기 키, 알림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키는 누르면 마이크(142)을 켜고 끌 수 있다. 메뉴 키는 누르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뉴를 보여주거나,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보여줄 수 있다. 홈 키는 누르면 홈 스크린으로 돌아올 수 있다. 뒤로 가기 키는 누르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알림 키는 누르면 알림 목록을 보여주거나 Wi-Fi를 끄고 켤 수 있으며 화면 밝기, 음량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를 중심으로 스피커(141)는 디스플레이(150) 아래 쪽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50) 상단 좌, 우에 두 개의 마이크(142, 도 4 참조)가 내장될 수 있다.
냉동실(12)은 일 측에 제3 도어(4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냉동실(13)은 일 측에 제4 도어(50)를 가질 수 있다. 냉동실(12, 13)은 하나의 저장실(예를 들어, 냉장실(11)처럼)로 합쳐질 수 있다. 하나의 냉동실은 냉장실(11)처럼 왼쪽 및 오른쪽에 각각 도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 도어(40) 또는 제4 도어(50)는 냉장실(11)처럼 회전바를 가질 수 있고, 이 회전바는 냉동실(12, 13) 내부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내부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도어(40)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도어(50)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어(40)의 손잡이(41) 및 제4 도어(50)의 손잡이(51)는 냉동실(12, 13)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냉장고 내부에 디스플레이(150)가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냉동실 온도, 냉장실 온도, 냉장고의 동작 모드, 냉장고가 수행하고 있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내부 디스플레이를 설명함에 있어, 냉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디스플레이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내부에는 냉장실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고, 냉동실 내부에는 냉동실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는 도어 센서(110), 메인 프로세서(120), 전원 제어 소자(130), 서브 프로세서(140), 디스플레이(150), 메모리(196), 스피커(141), 마이크(142), 전면 카메라(151), 내부 카메라(152), 근접 센서(161), 온도 센서(162), 지문 센서(163), 압력 센서(164), 디스플레이(150), 입력부(175), 구동부(180), 통신부(190) 및 전원 공급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들이 냉장고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구성이더라도 실시 형태에 따라 냉장고에서 제외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냉장고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냉장고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메인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CPU(123) 및 버스(124)를 포함할 수 있다. RAM(121), ROM(122), CPU(123) 등은 버스(124)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121)은 냉장고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RAM(121)은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 냉장고의 동작 정보, 또는, 냉장고의 상태 정보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ROM(122)에는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SoC(system on chip), MICOM(Microcompu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90), 스피커(141), 마이크(142), 전면 카메라(151), 내부 카메라(152), 근접 센서(161), 온도 센서(162), 지문 센서(163), 압력 센서(164), 디스플레이(150), 입력부(175), 구동부(180), 메모리(196) 및 전원 공급부(195)를 제어할 수 있다.
냉장고는 통신부(190)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예컨대, 모바일 기기(200), 서버(300), 가전 장치(ex. 에어컨, 세탁기, TV)일 수 있다.
통신부(19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수립할 수 있다. 냉장고는 이동 통신망, 무선랜 통신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랜 통신은 AP(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으로 AP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통신, 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통신,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통신 및/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통신부(190)을 통해 냉장고의 동작(예를 들어, 각 저장실 온도 조절 등)에 대응되는 동작 정보, 또는, 냉장고의 상태(예를 들어, 정상, 비정상 등)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제어 정보(예를 들어, 냉장고의 급속 냉동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방송 신호, 오디오 소스,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141)는 냉장고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141)는 디스플레이(15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141)는 저장실 내 식품의 저장 위치 표시에 관한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42)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전기적인 신호로 생성(또는,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142)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는 메모리(196)에 저장되거나 또는 스피커(17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42)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또는, 제1 카메라, 151) 및 내부 카메라(또는, 제2 카메라, 152)는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51)는 냉장고의 전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전면 카메라(151)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얼굴을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식품을 냉장고에 넣기 전에 전면 카메라(151)를 통해 식품이 촬영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120)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식품을 식별하여, 어떤 식품이 냉장고에 저장되는지를 기록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52)는 저장실들(11, 12, 13)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52)는 도어(20, 30, 40, 50)가 닫혀진 상태에서 저장실(11, 12, 13)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라도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카메라(152)는 도어(20, 30, 40, 50)의 뒤쪽에 하나 또는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카메라(152)는 저장실(11)에 대면하는 도어(20, 30)의 뒤쪽에 하나 또는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카메라(152)는 저장실(12)에 대면하는 도어(40)의 뒤쪽에 하나 또는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카메라(152)는 저장실(13)에 대면하는 도어(50)의 뒤쪽에 하나 또는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내부 카메라(152)는 도어들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회전 바(70)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52)는 저장실(11, 12, 13) 안쪽 벽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 카메라(152)는 깊이 맵(depth map)을 획득할 수 있는 3D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두 대의 내부 카메라(152)를 이용해서 스테레오 매칭(stereo matching) 기법을 통해 깊이 맵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깊이 맵을 통해 촬영된 영상 내의 각 객체들의 상대적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전면 카메라(151) 및 내부 카메라(152) 중 하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196)에 저장할 수 있다.
근접 센서(161)는 접촉 없이도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냉장고 근처의 물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근접 센서(161)는 도어들(20, 30, 40, 5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61)는 예를 들어, 광학식 근접센서, 용량식 근접센서, 유도식 근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근접 센서(161)는 IR 근접 센서일 수 있다.
근접 센서(161)뿐만 아니라 전면 카메라(151) 또는 마이크(142)를 통하여서도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2)는 냉장고의 저장실의 온도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근접 센서(161)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2)는 저장실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지문 센서(163)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지문 센서(163)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163)는 렌즈와 프리즘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지문에 전반사시켜 지문의 골과 산이 가진 반사율의 차이를 반영되는 반사상을 생성하는 광학형 지문인식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163)는 지문의 골과 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이미지로 구현하는 정전용량형 지문인식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163)는 지문이 접촉할 때 지문의 골과 산의 열의 차이에 의해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초전물질을 이용한 열감지형 지문인식센서가 될 수 있다.
지문 센서(163)는 도어의 손잡이들(21, 31, 41, 51)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문 센서(163)는 사용자가 손잡이(21, 31, 41, 51)를 파지하였을 때, 파지한 손의 손가락이 손잡이에 자연스럽게 닿을 수 있는 가동범위에서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163)를 통해 획득된 지문 이미지는 사용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64)는 냉장고(10)의 선반에 배치되어 선반에 놓여지는 물체의 무게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64)는 선반에 위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센서(164)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냉장고의 선반(15)에는 복수의 압력 센서(164)가 선들이 교차하는 점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164) 어레이 간격은 1mm이하도 가능하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압력 센서(164)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기초하여 선반에 놓여진 식품의 바닥 면 모양 및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메인 프로세서(120)는 내부 카메라(152)에서 촬영한 영상과 압력 센서(164)에서 감지된 압력을 바탕으로 어느 위치에 어떤 식품이 놓여져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냉장고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냉장고의 문 열림,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 디스플레이(150)의 밝기 조절을 위해 냉장고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수신, 사진 촬영, 동영상 콘텐트 보기, 또는, 모바일 결제를 포함하는 전자 결제 등)에 대응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또는,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예컨대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MOLED(passive-matrix OLED)),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입력부(17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메인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75)는 예컨대, 터치 센서, (디지털) 펜 센서, 압력 센서, 키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와 입력부(175)의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150)에서 입력된 터치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7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 중 선택된 단축 아이콘(또는, 아이콘이라고도 칭함)을 선택되지 않은 다른 단축 아이콘과 구분되게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150)에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동부(180)는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압축기(181), 팬(182), 필터(183) 또는 히터(18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80)는 조명(미도시), 또는, 냄새 탈취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81)는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냉동 사이클의 작동 유체인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181)에 의해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체 상태의 냉매로 변환하는 응축기(미도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기(미도시) 및 감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액체 상태인 냉매의 기화를 통해 저장실에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는 펠티어 소자(미도시), 자기 열 효과(magnetocaloric effect)를 이용하는 자기 냉각 장치(미도시)를 통해 저장실의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팬(182)은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외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냉각 사이클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는 외부 공기를 통해 열 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필터(183)는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저장실 내 부유하거나 또는, 부착된 세균을 살균(또는, 제거)할 수 있다. 필터(183)는 이온 살균 청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84)는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발생되는 서리를 제거할 수 있다. 히터(184)는 제상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5)는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냉장고의 구성 요소들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5)는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전원 코드(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냉장고의 각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메모리(196)는 냉장고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6)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냉장고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96)는 메인 프로세서(120)에 의해 액세스되며, 메인 프로세서(12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96), 메인 프로세서(120) 내 ROM(122), RAM(121) 또는 냉장고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6)는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냉장고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6)는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식품 관리(또는, 식품 인식)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6)는 냉장고 또는 메인 프로세서(1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식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식품 인식 어플리케이션, 식품 구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푸드리마인더 어플리케이션, 모닝브리프 어플리케이션 등)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대응되는 이미지들, 식품 정보,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 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6)는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성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의 집합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가전 기기(100)는 냉장고에 해당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는 냉동실 온도 및 냉장실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는 가전 기기(100)의 현재 동작 모드, 기능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가 특정 위치에 표시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외부 디스플레이는 가전 기기(100)의 어느 곳에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는 LED 또는 LCD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가전 기기(100)는 도어 센서(110)를 통해 가전 기기(100)의 도어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도어 센서(110)는 가전 기기(100)의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인지 또는 닫혀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가 몇 초 동안 열려 있는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0)는 몇 초 동안 닫혀 있는 상태인지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센서(110)에 의해 도어 열림 상태를 센싱하면, 해당 센싱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 제어 소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는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 소자(130)는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는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는 전원 제어 소자(13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라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만약,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도 7내지 도 8에서는 도어 센서(110) 또는 근접 센서(161)에 의해 센싱되는 정보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어의 열림 동작이 센싱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어 센서(110)는 가전 기기(100)의 도어의 열림 동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이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 센서(110)는 해당 내용에 대응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센서(110)는 도어 열림 동작을 나타내는 센싱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를 열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 제어 소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는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 소자(130)의 상태를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 소자(130)가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가 전원 제어 소자(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된다면,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는 경우, 반드시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며,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가 되도록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하거나,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5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도어의 닫힘 동작이 센싱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도어 센서(110)는 가전 기기(100)의 도어의 닫힘 동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이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 센서(110)는 해당 내용에 대응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센서(110)는 도어 닫힘 동작을 나타내는 센싱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를 닫으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 제어 소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는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 소자(130)의 상태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 소자(130)가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가 전원 제어 소자(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으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가 전원을 공급 받지 못하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디스플레이(150)의 전원도 오프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지 못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가 도어 센서(110)에 의해 센싱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가 근접 센서(161)에 의해 센싱되는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의 접근 동작이 센싱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근접 센서(161)는 사용자의 접근 동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 근처에 다가서면, 근접 센서(161)는 해당 내용에 대응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서(161)는 사용자의 접근을 나타내는 센싱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0)는 근접 센서(161)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100) 근처에 다가서면,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 제어 소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의 동작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소자(130)는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 소자(130)의 상태를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 소자(130)가 메인 프로세서(120)로부터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 프로세서(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40)가 전원 제어 소자(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된다면,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는 경우, 반드시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이 온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며,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가 되도록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하거나,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5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7내지 도9를 설명함에 있어, 도어 센서(110) 또는 근접 센서(161)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복수 개의 센싱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어 센싱 정보 또는 사용자 접근 센싱 정보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접근 및 도어의 열림 상태가 모두 센싱되는 경우에만 가전 기기(10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메인 프로세서(120) 및 디스플레이(150)의 디스플레이(150)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140)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100)의 제어 방법은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S1010).
또한, 메인 프로세서(120)는 도어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020).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제어 소자(130)를 제어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S1030).
여기서, 전원 제어 소자(130)는 전원 공급부(195) 및 서브 프로세서(140)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S103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켜,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전원 제어 소자(130)는 전원 공급부(195) 및 서브 프로세서(140) 사이에 배치되는 칩 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S1030)는 제어 신호를 칩 모듈로 전송하여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서브 프로세서(140)에서, 전원 제어 소자(130)로부터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15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가전 기기(100)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150)일 수 있으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20)는 도어 센서(110)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센싱되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20)는 도어 센서(110)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가전 기기(100)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디스플레이(150)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20)는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모션 센서에서 사용자 접근이 센싱되면, 서브 프로세서(14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서브 프로세서(140)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50)의 디스플레이(150)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대에서 서브 프로세서(140)가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대에서 도어 센서(110)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서브 프로세서(140)가 저 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100)는 냉장고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한편, 가전 기기(100)의 제어 방법은 서브 프로세서(140)가, 냉장고의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150)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가전 기기(100) 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가전 기기(100) 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가전 기기(100)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가전 기기(100)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00)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가전 기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가전 기기(100)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전 기기(100) 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100) 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가전 기기 110: 도어 센서
120: 메인 프로세서 130: 전원 제어 소자
140: 서브 프로세서 150: 디스플레이

Claims (20)

  1. 가전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에 포함된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
    디스플레이;
    메인 프로세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 연결된 전원 제어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가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제어 소자는,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이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가전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제어 소자는,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 배치되는 칩 모듈이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칩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가전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 제어 소자로부터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가전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 기기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가전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 기기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 센서에서 사용자 접근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가전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대에서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가전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대에서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저 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가전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로 구현되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냉장고의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가전 기기.
  11. 메인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에 포함된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도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제어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소자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이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소자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 배치되는 칩 모듈이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칩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서, 상기 전원 제어 소자로부터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 기기의 내측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 기기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모션 센서에서 사용자 접근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대에서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대에서 상기 도어 센서에서 도어 닫힘 동작이 센싱되면,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저 전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로 구현되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상기 냉장고의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80134383A 2018-11-05 2018-11-05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51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83A KR20200051253A (ko) 2018-11-05 2018-11-05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6/672,933 US11397046B2 (en) 2018-11-05 2019-11-04 Home appliance having a main processor to control power to a sub-processor based on a door stat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9/014913 WO2020096323A1 (en) 2018-11-05 2019-11-05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882482.3A EP3803240B1 (en) 2018-11-05 2019-11-05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83A KR20200051253A (ko) 2018-11-05 2018-11-05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253A true KR20200051253A (ko) 2020-05-13

Family

ID=7045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83A KR20200051253A (ko) 2018-11-05 2018-11-05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97046B2 (ko)
EP (1) EP3803240B1 (ko)
KR (1) KR20200051253A (ko)
WO (1) WO2020096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8575B2 (ja) 2020-09-03 2022-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使用状況通知装置
CN113531978B (zh) * 2021-07-01 2024-02-20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控制方法及制冷设备
CN113739512A (zh) * 2021-09-09 2021-12-0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冰箱显示屏的控制方法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625B1 (ko) 1995-12-26 1999-01-15 김광호 냉장고의 표시부 제어장치
JPH09264659A (ja) 1996-03-28 1997-10-07 Hitachi Ltd 冷蔵庫
KR100241500B1 (ko) 1997-07-31 2000-03-02 전주범 냉장고의 표시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4162A (ko) 1998-11-27 2000-06-15 구자홍 냉장고 표시장치의 전원공급제어방법 및 장치
KR20010113401A (ko) 2000-06-19 2001-12-28 구자홍 냉장고의 표시부 절전장치
US6546741B2 (en) 2000-06-19 2003-04-15 Lg Electronics Inc. Power-sa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portion of refrigerator
JP2004353993A (ja) 2003-05-30 2004-12-16 Sharp Corp 冷蔵庫
KR20050014518A (ko) 2003-07-31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143975B1 (ko) 2008-12-16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095167B2 (en) 2009-01-08 2015-08-04 Lg Electronics Inc. Supercooling system for supercooling a stored liquid
WO2010079946A2 (ko) 2009-01-08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시스템
US20140230346A1 (en) 2011-09-09 2014-08-21 Blumberg Capital Partner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Grain Storage
KR102009947B1 (ko) * 2013-01-02 2019-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KR20170031577A (ko) * 2015-09-11 201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524622B (zh) * 2016-10-11 2019-02-01 邱迪清 一种双冷式扎啤机
KR102674490B1 (ko) 2016-11-04 202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97046B2 (en) 2022-07-26
EP3803240B1 (en) 2024-01-17
EP3803240A1 (en) 2021-04-14
WO2020096323A1 (en) 2020-05-14
US20200141634A1 (en) 2020-05-07
EP3803240A4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869B2 (en) Refrigerator
US1072479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food management thereof
US11397046B2 (en) Home appliance having a main processor to control power to a sub-processor based on a door stat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75295B1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KR102220910B1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JP5318172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005268B (zh) 冰箱和在冰箱上显示用户界面的方法、用户终端和在用户终端中执行功能的方法
US11617071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apparatus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3260828B (zh) 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CN109891903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5042927A (ja) 消費電力出力装置
US11852397B2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3260971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70017326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내부 영상을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893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2025326B1 (ko)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69951B1 (ko) 냉장고
KR20170023465A (ko) 네트워크를 통해 냉장고의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냉장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79851B1 (ko)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4118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14923A (ko)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