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873A - 고전압 커넥터를 위한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센서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를 위한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873A
KR20200049873A KR1020207011445A KR20207011445A KR20200049873A KR 20200049873 A KR20200049873 A KR 20200049873A KR 1020207011445 A KR1020207011445 A KR 1020207011445A KR 20207011445 A KR20207011445 A KR 20207011445A KR 20200049873 A KR20200049873 A KR 20200049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dapter element
voltage
detachable connector
sens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랄드 웨스트캄프
베른트 슈베르트
마크 그라베르만
옌스 바이홀트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0004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01R15/06Voltage dividers having reactive components, e.g. capacitive transform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77High voltag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capac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가능 커넥터(2) 내의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3)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센서는
- 분리가능 커넥터(2)의 고전압 전도체(7)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그리고 분리가능 커넥터로부터 HV/MV 전압을 받도록 구성되는 고전압 연결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요소(11); 및
- 어댑터 요소(11)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24) 및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고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저전압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저전압 연결부(42)를 포함하는 센서 몸체(12)를 포함하고, 여기서 어댑터 요소(11) 및 센서 몸체(12)는 분리가능 커넥터(2)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별개의 요소이고, 어댑터 요소는 분리가능 커넥터와 센서 몸체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를 위한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센서
본 발명은 분리가능 커넥터 내에 존재하는 고전압 또는 중전압(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HV/MV 전력 전도체, 분리가능 커넥터 및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포함하는 전력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전력 분배가 재생가능 에너지의 출현, 분산 발전을 통해 더 복잡해짐에 따라, 지능형 전기 분배 및 관련 전기적 감지가 더 유용하고 심지어 필수적인 것이 되고 있다. 유용한 감지는 전력 분배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전압, 전류의 감지 및 또한 전압과 전류 사이의 관계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많은 기존의 비교적 고전압 변압기 및 개폐기는 특히 더 높은 전압 응용(예를 들어, 5 ㎸ 내지 69 ㎸, 또는 그 초과)에서, 케이블 액세서리를 위한 전용의 그러나 제한된 공간을 갖는다. 그러한 케이블 액세서리 연결부는, 때때로, 예를 들어 엘보우(elbow) 또는 T-바디(T-body)와 같은 분리가능 커넥터로 지칭된다. 이들 케이블 액세서리 연결부는 이른바 플러그, 플러그-인(plug-in) 또는 후방 인서트(rear insert)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많은 케이블 액세서리가 케이블 액세서리를 위한 차폐 및 절연된 전도체 상에 존재하는 라인 전압의 스케일링된 분율을 제공하기 위해 테스트 포인트(test point)를 구현한다. 이들 테스트 포인트의 과거 사용은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서의 라인 전압의 존재의 표시를 위한 것이다. 흔히, 이들 테스트 포인트는 예를 들어 플러스, 마이너스 0.5 볼트일 수 있는, 현대의 그리드 자동화 전력 품질 및 제어 응용에 필요한 전압비 정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케이블 액세서리에서 전압을 측정하는 것의 다른 문제는, 예를 들어, 고전압 변압기 및 개폐기 내의 제한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응용 및 사용되는 차폐 및 절연된 전도체 때문에, 필요한 안전성을 제공하는 데 특별한 요건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 가지 중요한 태양은 조립체의 부분들 사이의 공기가 포획될 수 있는 공극 및 다른 공간이 회피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모든 필요한 부품을 적절하게 차폐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의 중요한 태양은 센서를 설치하기 용이한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EP 2 605 023 A1호는 고전압 전력 분배 셀에 플러그 접속될 수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 내부에 수용된 저항성 전압 분할기(resistive voltage divider)를 개시한다. 저항성 전압 분할기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 유전체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저항 요소를 포함한다. 저항성 전압 분할기는 고전압 응용에서 전압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DE 10 2015 000 301호는 통합된 센서 조립체를 갖는 HV/MV 전력 네트워크를 위한 분리가능 커넥터를 개시한다.
전술된 상황을 고려할 때, 소정 정확도의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저장 시스템을 또한 제공하며 설치하기 용이한, MV/HV 응용에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간단한 대안적인 해법을 제공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분리가능 커넥터 내의 고전압 또는 중전압(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그리고 분리가능 커넥터로부터 HV/MV 전압을 받도록 구성되는 고전압 연결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요소; 및
- 어댑터 요소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 및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고전압에 대응하는 저전압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저전압 연결부를 포함하는 센서 몸체를 포함하고,
- 어댑터 요소 및 센서 몸체는 분리가능 커넥터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별개의 요소이고, 어댑터는 분리가능 커넥터와 센서 몸체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요소를 갖는 센서를 제공하며, 여기서 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요구되는 정확도로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분할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요소, 예컨대 어댑터 요소는 HV/MV 전압을 받기 위해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고전압 연결부를 포함한다. 다른 요소, 예컨대 센서 몸체는 어댑터 요소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 및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분할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예를 들어, 전력 네트워크의 분리가능 커넥터를 위한 절연 플러그 또는 후방 인서트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2개의 별개의 요소 - 제1 요소는 분리가능 커넥터와 제2 요소 사이에 설치됨 - 를 포함하는 센서는 설치 또는 장착 이점을 제공한다. 플러그 또는 후방 인서트를 분리가능 커넥터 내에 또는 그 상에 장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전압 변압기 또는 개폐기 내에 제공되는 제한된 공간과 같은 여러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문제는, 특히 분리가능 커넥터 및/또는 플러그 또는 후방 인서트가 강성 절연 재료(들)이거나 그로 제조되는 경우, 공기가 포획되지 않도록 플러그 또는 후방 인서트를 장착하는 데 필요한 힘일 수 있다. 확고하고 안전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분리가능 커넥터 상에 장착될 부품들 사이에 소정의 접촉 또는 표면 압력이 요구될 수 있다. 이는 분리가능 커넥터가 플러그 또는 후방 인서트를 위해 제공하는 공간이 표준화되지 않고 그의 형상 및/또는 치수가 상이할 수 있는 개장 해법(retro-fit solution)에 대해 특히 어려울 수 있다.
이제 2개의 별개의 요소를 갖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은 제1 요소, 예컨대 어댑터 요소 - 제한된 치수를 제공할 수 있음 - 를 분리가능 커넥터와 센서의 어댑터 요소 사이에 공기가 포획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어댑터 요소가 제한된 치수를 제공하는 경우, 그것을 예를 들어 회전 운동과 같은 통상의 운동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더 작은 요소에 의해, 분리가능 커넥터와 센서 사이에 요구되는 표면 또는 접촉 압력을 생성하는 것이 더 용이한 경우가 또한 있을 수 있다. 어댑터 요소가 분리가능 커넥터와 센서 몸체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면, 어댑터 요소와 센서 몸체 사이의 계면(계면은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닿거나 접촉하는 어댑터 요소 및 센서 몸체의 접촉 표면을 의미함)은 센서 몸체를 어댑터 요소에 추가하기 위한 설치 단계가 용이한 것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강성을 갖는 접촉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어댑터는 강성 표면을 제공하고, 센서 몸체는 어댑터의 표면보다 더 가요성인 표면을 제공한다. 센서 몸체가 분리가능 커넥터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센서 몸체의 접촉 표면이 분리가능 커넥터보다 더 강성인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센서 몸체는 어댑터 요소의 치수보다 큰 치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댑터 요소와 센서 몸체 사이의 장착 방법은 더 큰 또는 긴 센서 몸체의 회전이 필요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제한된 공간 조건에서 연장된 치수를 갖는 경우에도, 센서의 설치를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고전압 또는 중전압은 고전압 임계치 이상의 전압을 의미한다. 고전압 임계치는 설명되는 특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표준, 사법권적 요건, 또는 최종 사용자 요건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전압 또는 중전압은 예를 들어 2.5 ㎸ 내지 35 ㎸ 정격의 전력 분배 시스템을 위한 분리가능 절연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전기전자기술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표준 386(2016)과 같은, 표준에 정의된 전압 정격쯤에서 작동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위상 대 위상 제곱 평균 제곱근 또는 rms로서 분류됨). 응용에 따라, 중전압 또는 고전압 임계치는 약 2.5 ㎸, 약 3 ㎸, 약 15 ㎸, 약 25 ㎸, 약 28 ㎸, 약 35 ㎸, 약 52 ㎸, 약 69 ㎸, 또는 그 초과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위상 대 위상 rms로서 분류됨).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저전압은 중전압 또는 고전압보다 작은 전압을 의미한다. 저전압은 저전압 임계치 또는 그 아래로 정의될 수 있다. 저전압 임계치와 중전압 또는 고전압 임계치는 동일한 임계치 또는 상이한 임계치일 수 있다. 저전압은 중전압 또는 고전압의 분율, 또는 1 미만의 비(ratio)일 수 있다. 저전압은 임계 분율, 또는 비(예를 들어, 약 1:100 이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저전압은 위상 대 접지 rms를 사용하여 기술된다. 응용에 따라, 저전압 임계치는 예를 들어 약 1 ㎸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리가능 커넥터는 작동 계면에서 연결부와 맞물리거나 연결부를 분리함으로써 손쉽게 확립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고전압 시스템을 위한 연결부 또는 계면을 의미한다. 분리가능 커넥터는 완전히 절연 및 차폐될 수 있으며, 전력 케이블을 종단처리 및 절연하거나, 다른 전기 컴포넌트를 절연하거나, 절연된 전력 케이블을 전기 장치, 다른 전력 케이블, 또는 둘 모두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는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분리가능 커넥터는 전력 유틸리티 산업에서 전력 케이블과 변압기 또는 개폐기 사이의 커넥터에서 노출된 고전압 표면을 갖지 않음을 지칭하는 데드-프론트(dead-front) 변압기 및 개폐기에 사용될 수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의 비제한적인 예는 엘보우 분리가능 절연 커넥터 및 t-분리가능 절연 커넥터(예를 들어, t-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전압 전도체는 분리가능 커넥터 내로 삽입되는 그리고 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압을 전달하는 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기 전도체이다. 그것은 또한 중전압을 전달할 수 있지만, 본 특허 출원 내에서 고전압 전도체로 불리울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연결부는 구성요소들을 전기적으로 그리고/또는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또는 다른 구조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결부는 플러그 또는 소켓, 와이어, 케이블, 기판 상의 전도체, 땜납 조각, 전도성 비아, 또는 다른 유사한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결합된 또는 연결된은 요소들이 서로 직접적으로(서로 직접 접촉하여) 또는 간접적으로(2개의 요소 사이에 하나 이상의 요소를 갖고 2개의 요소를 부착함) 부착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기 조립체는 예를 들어 전압, 예컨대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예컨대, 2개, 3개 또는 그 초과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예컨대 체인을 형성하도록, 직렬로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압 분할기는 전력 전도체의 내부 전도체와 저전압 또는 전기 접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것은 전력 전도체 및 저전압 또는 전기 접지 둘 모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피던스 요소는 예를 들어 저항기,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일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하나의 저항기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하나의 저항기 및 하나 이상의 인덕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하나의 인덕턴스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하나 이상의 저항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인덕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기, 커패시터 및 인덕턴스는 전압 분할기를 형성하기에 특히 적합한 요소인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적당한 비용으로 쉽게 입수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의 전기적 특성은 대체적으로 정밀하게 특정된다.
분할기 조립체는 강성일 수 있다. 이는 분할기 조립체를 본 발명의 센서 몸체의 공동 내로 밀어 넣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할기 조립체는 어느 정도 가요성일 수 있는데, 예컨대 굽힘가능할 수 있다. 분할기 조립체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가 그 상에 배열되는 인쇄 회로 보드("PCB")를 포함할 수 있다. PCB는 가요성 또는 강성일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예를 들어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연결된다. 그것들은 와이어에 의해 또는 PCB 상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의해 또는 납땜 재료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임피던스 요소는 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2개의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들 중 제1 임피던스 요소는 전력 전도체 또는 고전압의 구성요소에 대한, 예컨대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한 고전압 접점을 가질 수 있다. 분할기 조립체가 제1 단부 부분 및 반대편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긴 형상을 갖는 경우, 고전압 접점은 분할기 조립체의 제1 단부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들 중 제2 임피던스 요소는 저전압에 대한 또는 전기 접지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저전압 접점을 가질 수 있다. 대체적으로, 저전압 접점은 예를 들어 센서 몸체 외부로부터 전기적 접촉을 위해 접근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분할기 조립체가 제1 단부 부분 및 반대편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긴 형상을 갖는 경우, 그리고 고전압 접점이 제1 단부 부분에 배열되는 경우, 저전압 접점은 분할기 조립체의 제2 단부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접지 와이어가 저전압 접점의 전압을 센서 몸체의 외부에서 이용가능하게 하기 위해 저전압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할기 조립체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로부터 분할된 전압을 픽업하기 위한 중간점 접근 접점(midpoint access contact)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점 접근 접점은 제1 임피던스 요소와 제2 임피던스 요소 사이에 전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신호 와이어가 중간점 접근 접점의 전압을 센서의 외부에서 이용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간점 접근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직선형 체인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임피던스 요소를 따른 전압이 대체적으로 고전압 접점으로부터 저전압 접점으로 강하되기 때문에, 선형 체인 기하학적 구조가 상이한 전압에 있는 2개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들 사이의 최대 거리를 제공하며, 그에 의해 임피던스 요소들 사이에서의 또는 임피던스 요소를 그들 각각의 이웃과 연결하는 전도성 와이어들 또는 트레이스들 사이에서의 전기 방전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z자형 체인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접힌 체인(folded chain)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한 기하학적 배열은 분할기 조립체의 구성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상황 하에서,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분할기 조립체의 연장부를 짧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형과 같은 임피던스 요소의 임의의 다른 배열이 또한 가능하다. 특히,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가요성 PCB의 선형 체인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PCB는 나선형 기하학적 구조로 그 자체 상에 권취될 수 있다. 권취된 PCB는 수용 공간 둘레에서 동축으로 센서 몸체의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분할기 조립체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가 봉지되거나 매립될 수 있는 봉지재 몸체(encapsulation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재 몸체는 본 발명의 센서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임피던스 요소를 봉지재 몸체 내에 봉지하는 것은 임피던스 요소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센서의 나머지에 대한 추가의 전기 절연을 제공할 수 있다. 봉지재 몸체는 또한 마모와 같은 기계적 영향 또는 화학적 또는 환경적 영향에 대한 임피던스 요소의 추가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봉지재는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지는 경화된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절연 재료를 포함하고, 분리가능 커넥터 내로 삽입되어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절연 재료는 어댑터 요소에 의해 그리고/또는 센서 몸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절연 재료는 어댑터 요소 및/또는 센서 몸체의 일부분 또는 전체 표면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감싸는 것은 또한, 고전압 전도체를 보유하는 분리가능 커넥터를 위한 절연 플러그로서 둘러싸거나 봉입하거나 또는 달리 기능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센서는 또한, 분리가능 커넥터 내로 삽입될 때 노출된 고전압 표면이 없는 절연 플러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2개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하나는 감지 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절연 기능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의 어댑터 요소는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에 대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행하기 위한 금속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요소는 또한,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에 대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요소는 절연 재료로 제조되고, 분리가능 커넥터의 전도체뿐만 아니라 센서 몸체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전기 전도성 재료의 코팅, 삽입물(insertion) 또는 임의의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센서 몸체와 고전압 전도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어댑터 요소가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예를 들어, 전체 어댑터를 금속으로 제조함으로써 또는 어댑터 요소 내에 금속 부품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어댑터 요소의 금속 부품은 2개의 방향, 즉 분리가능 커넥터의 전도체의 방향뿐만 아니라 센서 몸체의 방향으로 고전압 연결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전압 연결부는 그것이 어댑터의 양측에 있는 다른 요소, 예컨대 분할기 조립체를 갖는 센서 몸체 및/또는 분리가능 커넥터의 전도체에 고전압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의 전도체와 어댑터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예를 들어 스크류 연결부를 통해 확립될 수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HV/MV 전력 네트워크의 고전압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크류 부품을 제공한다. 따라서, 어댑터 요소는 분리가능 커넥터의 스크류와 협동하도록 구성되는 나사(thread) 또는 나사형성된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어댑터 요소는 예를 들어, 그를 분리가능 커넥터의 스크류 부품 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리가능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나사는 금속 또는 임의의 다른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와 센서 사이의 고전압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적 연결이 확립되는 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의 금속 부품은 분리가능 커넥터 상에 또는 그 내에 나사체결되기 위한 나사를 제공할 수 있다. 금속 부품의 나사는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어댑터 요소는 또한, 어댑터 요소를 분리가능 커넥터 상에 또는 그 내에 나사체결하기 위한 임의의 종류의 공구와 협동하거나 그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예를 들어, 상보적 육각형 리셉터클을 갖는 임의의 종류의 표준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육각형 돌출부일 수 있다. 돌출부는 또한, 표준 공구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표준화된 돌출부일 수 있다. 돌출부는 금속 부품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어댑터 요소의 임의의 다른 부품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 요소의 금속 부분은 나사 및 돌출부 둘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어댑터 요소는 어댑터 요소를 센서 몸체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 볼트, 리벳, 스냅 끼워맞춤 또는 클램핑 해법 또는 니 레버(knee lever)와 같은 임의의 종류의 기계적 체결 수단이 어댑터 요소를 센서 몸체와 기계적으로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어댑터 요소 및, 또한, 센서 몸체는 그러한 기계적 체결 수단에 적합한 수용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어댑터 요소와 센서 몸체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장착 또는 설치 공정이 단순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센서 요소를 어댑터 요소 상에 장착하는 것은, 예를 들어, 단지 한 손으로 그리고 추가의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취급될 수 있다. 그러한 단순화된 해법의 가능한 실시예가 후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추가의 태양은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닿는 어댑터 요소 및 센서 몸체의 표면들이, 장착 공정 또는 설치 후에 2개의 요소의 계면 또는 닿는 영역들 사이에 공기가 포획되지 않도록 설계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어댑터 요소는 분리가능 커넥터의 리세스 내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크기설정되고 형상화되는 절연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보유하는 분리가능 커넥터의 리세스 또는 공동과 동일한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어댑터 요소가 리세스의 내부 표면에 닿도록 리세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와 어댑터로부터 최적화된 재료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분리가능 커넥터와 센서의 어댑터 사이에 공기가 포획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호한 재료 조합의 일례는 하나의 요소를 강성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의 요소를 가요성으로 만드는 것이다. 예컨대, 절연 요소는 예를 들어 에폭시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절연 요소가 강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분리가능 커넥터가 리세스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를 제공할 때, 설치는 양호하다. 그러한 상황에서, 분리가능 커넥터는 어댑터 요소의 형상 및 치수에 따라 그의 형상을 맞출 수 있으며, 따라서 설치 후에 공기가 포획되지 않는다. 또한, 어댑터 요소는 그것이 리세스의 내벽에 닿지 않지만 내벽에 닿음이 없이 리세스 내로 삽입되기에 충분히 작도록 치수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센서 몸체는 어댑터 요소의 금속 부품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몸체의 전도체는 금속 부품에 의해 어댑터 요소를 통해 전달되는, 분리가능 전도체의 고전압 전도체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고전압 전도체의 전압은 센서의 전도체를 통해 분할기 조립체로, 예컨대 분할기 조립체의 고전압 단부로 전도될 수 있다. 전도체는 그것이 고전압을 분할기 조립체로 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종류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센서 몸체는 전도체뿐만 아니라 또한 분할기 조립체를 보유하는 절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뿐만 아니라 또한 분할기 조립체를 보유하는 절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전체 감지 조립체가 절연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분리가능 커넥터 내의 고전압 전도체를 절연시키기 위한 해법이다.
또한, 센서 몸체의 절연 요소는 어댑터 요소 및/또는 분리가능 커넥터의 수용 영역, 리세스 또는 공동의 내부 표면에 크기 및 형상이 맞추어지는 외부 탄성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 표면은 전체 센서 몸체 또는 단지 어댑터 요소의 수용 영역 내로 삽입되는 그러한 부분들만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표면은 본 발명의 센서의 설치된 상태에서 센서 몸체의 부분들의 외부 표면과 직접 접촉하거나 그에 직접 닿는 어댑터 요소의 표면이다. 적어도 설치된 상태에서 어댑터 요소에 닿는 센서 몸체의 탄성 표면은 어댑터 요소 상에의 센서 몸체의 용이한 설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센서 몸체의 형상이 어댑터 요소의 형상에 맞추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댑터 요소가 전술된 바와 같이 강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센서 몸체의 표면 상의 가요성 재료는 용이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2개의 요소의 닿는 표면들 사이에 공기가 포획되는 것을 막는다.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센서 몸체는 긴 손잡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요소의 손잡이 부분은 분할기 조립체를 보유할 수 있다. 센서 몸체에서의 긴 부분은 분할기 조립체를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와 통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제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선형 체인 기하학적 구조로 배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이 상이한 전압에 있는 2개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들 사이의 최대 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임피던스 요소들 사이에서의 또는 임피던스 요소를 그들 각각의 이웃과 연결하는 전도성 와이어들 또는 트레이스들 사이에서의 전기 방전의 위험이 그에 의해 감소된다. 긴 손잡이 부분은 분리가능 커넥터 밖으로 연장되고, 탄성 외부 표면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긴 센서 몸체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요소가 먼저 설치되고 긴 센서 몸체의 회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해당 체결 수단을 제공한다면, 심지어 단지 제한된 공간만이 이용가능한 경우에도 설치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센서 몸체는 센서 몸체를 어댑터 요소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몸체를 어댑터 요소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어댑터 요소를 전술된 센서 몸체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과 동일하여야 한다. 스크류, 너트, 볼트, 리벳, 스냅 끼워맞춤 또는 클램핑 해법 또는 니 레버와 같은 임의의 종류의 기계적 체결 수단이 센서 몸체를 어댑터 요소와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센서 몸체와 어댑터 요소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장착 또는 설치 공정이 단순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센서 몸체를 어댑터 요소 상에 장착하는 것은, 예를 들어, 단지 한 손으로 취급될 수 있다. 그러한 단순화된 해법의 가능한 실시예가 후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추가의 태양은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닿는 어댑터 요소 및 센서 몸체의 표면들이 장착 공정 또는 설치 후에 공기가 포획되지 않도록 설계된다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강성 요소가 항상 가요성 요소 옆에 배열되도록 상이한 요소의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가요성 요소는 그의 형상을 강성 요소의 형상에 맞추어 공기가 2개의 요소들 사이에 포획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센서의 어댑터 요소 상에 장착될 베이어닛(bayonet) 기부를 포함하며, 이때 베이어닛 기부는 베이어닛 슬롯을 포함한다. 베이어닛 기부는 어댑터 요소 및 센서 몸체 외의 별개의 요소일 수 있고, 어댑터 요소와 센서 몸체 사이에 장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어닛 기부는 예컨대 스크류, 스크류, 너트, 볼트, 리벳 또는 스냅 끼워맞춤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공지된 체결 요소로 어댑터 요소에 장착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어댑터 요소 상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센서 몸체는 베이어닛 기부의 슬롯과 맞물리기 위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어닛 기부는 베이어닛 장착부의 일부인 베이어닛 슬롯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반경방향 핀을 갖는 원통형 수형 면 및 정합 슬롯을 갖는 암형 수용기로 구성되는 표준 기계적 연결 메커니즘이다. 슬롯은, 예를 들어 세리프(serif), 즉 L자의 수평 아암의 단부에 짧은 상향 세그먼트를 갖는 대문자 L과 같이 L자형일 수 있다. 2개의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수형 부품의 핀(들)이 L자형 슬롯의 수직 아암 내로 활주할 수 있다. 부품들을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회전시킨 후에, 핀(들)은 L자형 슬롯의 수평 아암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어서 세리프 내로 밀려 넣어질 수 있다. 핀(들)을 L자형 슬롯의 수평 아암 내로 밀어 넣기 위한 힘은, 본 발명에서, 분리가능 커넥터의 가요성 재료가 어댑터 요소 또는 센서 몸체에 대해 밀림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들 종류의 연결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렌즈를 카메라에 연결하는 것 또는 소정 전구 피팅(light bulb fitting)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센서 몸체와 어댑터 요소 또는 베이어닛 기부 사이의 베이어닛 연결은 센서를 설치할 때 센서 몸체의 큰 이동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센서 몸체가 설치될 필요가 있는 장소가 그리 크지 않을 때에도 센서 몸체의 긴 연장부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어댑터 요소는 베이어닛 기부 내의 다면(multisided) 구멍과 맞물리기 위한 다면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연결은 센서의 어댑터 요소와 베이어닛 기부 사이의 회전이 가능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핀 상의 그리고 구멍 상의 면의 개수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의 외측에 18개의 면을 그리고 구멍의 내측에 6개의 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요소들 사이의 회전을 저지하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기계적 해법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HV/MV 전력 전도체, 분리가능 커넥터 및 위의 설명에 따른 센서를 포함하는 전력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센서를 갖는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챔버 내의 3개의 분리가능 커넥터의 3차원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와 함께 분리가능 커넥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센서의 어댑터 요소의 3차원 단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센서의 센서 몸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5는 분할기 조립체를 갖는 도 1의 센서의 센서 몸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센서가 내부에 장착된 분리가능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센서를 갖는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챔버 내의 3개의 분리가능 커넥터의 3차원 도면이다.
도 8은 하나의 센서 몸체가 제거된 도 7의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3차원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센서와 함께 분리가능 커넥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분할기 조립체를 갖는 도 7의 센서의 센서 몸체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센서가 내부에 장착된 분리가능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이때 센서 몸체는 아직 베이어닛 기부에 최종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도 12는 도 7의 센서가 내부에 장착된 분리가능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센서의 어댑터 요소 및 베이어닛 기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센서의 어댑터 요소 및 베이어닛 기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5는 베이어닛 핀을 도시하는 장착된 상태에 있는 분리가능 커넥터를 향하는 면 상에서의 도 7의 센서의 센서 몸체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가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되는데, 이 도면에서 동일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제공된다.
도 1은 3개의 분리가능 커넥터(2)를 갖는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챔버(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분리가능 커넥터(2)는, 고전압/중전압(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연장부뿐만 아니라 하나가 센서(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인 2개의 추가의 연장부를 제공하는 t-바디이다. 챔버(1) 내의 3개의 센서(3)는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플러그-인 부분뿐만 아니라 긴 손잡이 부분을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서(3)와 함께 분리가능 커넥터(2)의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다. 분리가능 커넥터(2)는 HV/MV 전압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7)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1 연장부(4)를 갖는 t-바디이다. 전도체(7)는 단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그것은 금속 연결 요소(8)에 대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행한다. 금속 연결 요소(8)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성된 단부(9)를 제공한다. 분리가능 커넥터(2)는 또한, 플러그 또는 후방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2 연장부(5)를 제공한다. 연결 요소(9)의 나사형성된 단부(9)는 연장부(5) 내에 배열된다. 제2 연장부(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3)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2)는, 최종적으로, 변압기 또는 개폐기로부터의 부싱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3 연장부(6)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센서(3)는 어댑터 요소(11) 및 센서 몸체(12)를 제공한다. 어댑터 요소(11) 및 센서 몸체(12)는 분리가능 커넥터(2)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2개의 별개의 요소이며, 여기서 어댑터 요소(11)는 분리가능 커넥터(2)와 센서 몸체(12)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어댑터 요소(11)는 플러그-인 또는 후방 인서트와 같은 원추형 형상을 제공하고,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센서의 어댑터 요소(11)의 3차원 단면이다. 그것은 그의 크기 및 형상이 분리가능 커넥터(2)의 제2 연장부(5)의 공동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지는 원추형 형상을 제공한다. 어댑터 요소(11)는 또한, 전방 단부(13) 및 후방 단부(14)를 갖는 중공체이다. 센서의 장착된 상태에서, 어댑터 요소(11)의 전방 단부(13)는 분리가능 커넥터(2)를 향하고, 후방 단부(14)는 센서 몸체(12)를 향한다. 어댑터 요소(11)의 전방 단부(13)는 형상 및 크기가 분리가능 커넥터(2)의 연결 요소(9)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금속 부품(15)을 제공한다. 금속 부품(15)은 고전압 연결부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그것은 비-나사형성된 원통형 부분(15a) 및 나사형성된 원통형 부분(15b)을 포함한다. 나사형성된 원통형 부분(15b)은 연결 요소(8) 상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나사형성된 원통형 부분(15b)은 또한, 어댑터 요소(11)를 분리가능 커넥터(2) 내에 장착하기 위한 상보적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육각형 형상의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금속 부품(15)은 나사형성된 원통형 부분(15b)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접촉 영역(15c)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접촉 영역(15c)은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센서 몸체의 전도체(21)와 접촉하고, 어댑터(2)를 통한 센서 몸체(3)로의 전압의 전달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금속 부품(15)은 그것이 HV/MV 전압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7)로부터 본 발명의 센서(3)로 전압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일 필요가 있다. 그것은 또한 금속과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데, 그러한 재료가 전기 전도성이거나 분리가능 커넥터로부터 센서로의 전기 전도성 재료로부터의 경로를 제공하는 한 그러하다. 어댑터 요소(11)의 후방 단부(14)는 센서 몸체(12)를 어댑터 요소(11)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16)을 갖는 링(17)을 제공한다. 구멍(16)은 모두, 동일한 직경 및 서로로부터의 동일한 거리를 갖는다. 구멍(16)은 스크류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나사를 제공할 수 있다. 링(17)은 금속 또는 센서 몸체(12)에 대한 연결을 신뢰성 있게 확립하기에 충분히 강성인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어댑터 요소(11)의 나머지는 전술된 원추형 및 중공형 형상을 제공하는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절연 재료는 강성일 수 있다.
어댑터 요소(11)는, 그를 예컨대 육각형 형상의 공구의 도움으로 금속 연결 요소(8) 둘레에서 회전시켜 그에 의해 어댑터(11)를 금속 연결 요소(8) 상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분리가능 커넥터(2)에 제1 연장부(4)의 공동 내로 매우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약술된 바와 같이, 어댑터 요소가 제한된 연장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어댑터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그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긴 연장부를 갖는 센서 몸체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강성 어댑터 요소(11)는, 분리가능 커넥터(2)가 그의 형상을 어댑터 요소(11)의 형상 둘레에 맞추기 위해 약간의 가요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임의의 공기를 포획할 수 있는 임의의 갭 없이 분리가능 커넥터(2)의 연장부(5)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 몸체(12)는 플러그-인 부분(18) 및 긴 손잡이 부분(19)을 포함한다. 플러그-인 부분(18)은 또한 원추형으로 형상화되고, 그것은 그의 크기가 어댑터 요소(11) 내부의 중공 공간에 맞추어진다. 그것은 어떠한 공기도 봉입하지 않는 어댑터 요소(11) 상에의 센서 몸체(12)의 용이한 설치를 제공하도록 가요성인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몸체(12)의 플러그-인 부분(18)은 금속 부품(15), 특히 어댑터 요소(11)의 금속 부품(15)의 접촉 영역(15c)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행하기 위한 전도체(21)를 추가로 제공한다. 센서 몸체(12)의 전도체(21)는 어댑터 요소(11)의 금속 부품(15)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몸체(3)는 전도체(21)를 보유하는 절연 요소(22)를 추가로 포함한다. 절연 요소(22)는 강성일 수 있다. 가요성 플러그-인 부분(18)을 제공하기 위해, 그것은 가요성 재료의 층(2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절연 요소(22)는 또한 센서 몸체(12)의 손잡이 부분(19) 내로 연장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손잡이 부분(19)을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 부분(19)은 길고, 그것은 센서 몸체(12)의 플러그-인 부분(18)에 대략 수직하게 연장된다. 손잡이 부분(19)은, 센서 몸체(12)의 전도체(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예를 들어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24)를 보유한다(도 6 참조).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는 예를 들어 PCB 상에 배열될 수 있다.
플러그-인 부분(18)이 손잡이 부분(19)과 만나는 곳에서, 센서 몸체는 원형 링 섹션(25)을 제공한다. 링 섹션(25)은 그의 크기 및 형상이 어댑터 요소(11)의 링(17)에 맞추어진다. 링 섹션(25)은 관통 구멍(26)을 제공한다.
센서 몸체(12)의 전체 손잡이 부분(19)은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그것은 링 부분(25)을 포함하여 손잡이 부분(19)의 외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 재료의 얇은 층으로서 배열될 수 있다. 차폐부는 차폐부를 접지에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수단으로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를 설치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센서 몸체(12)를 어댑터 요소(11)에 연결하기 위해, 센서 몸체(12)가 어댑터 요소(1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단계로서, 어댑터 요소(11)의 링(17)의 구멍(16)이 센서 몸체의 링 세그먼트(25)의 관통 구멍(26)과 정렬될 수 있다. 어댑터 요소(11)의 링(17) 내에 다수의 구멍(16)이 있다는 사실은 변압기 또는 개폐기와 같이, 제한된 공간을 갖는 환경에서 유리할 수 있는, 어댑터 요소(11)에 대해 많은 상이한 위치에서 센서 몸체(12)를 고정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센서 몸체(12)는, 이제, 센서 몸체(12)의 관통 구멍(26) 내로 삽입되고 어댑터 요소(11)의 구멍(16) 내에 스크류체결되는 스크류(27)의 도움으로 어댑터 요소(1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스크류(27)가 사용된다.
단지 한 손으로 행해질 수 있는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관통 구멍(26)은 하나의 단부가 연장된 반경을 갖고 하나의 단부가 더 작은 반경을 갖는 배(pear)와 같이 형상화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연장된 반경은 스크류(27)들 중 하나의 스크류의 헤드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클 필요가 있다. 더 작은 반경은 스크류(27)의 헤드들 중 하나의 헤드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히 작을 필요가 있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스크류(27)를 어댑터의 구멍(16) 내로 먼저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에, 센서 몸체(12)가 어댑터 내로 삽입되어, 그에 의해 관통 구멍(26)의 연장된 반경이 스크류(27)의 헤드 옆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센서 몸체(12)가 스크류(27)의 헤드 위로 밀릴 수 있도록 센서 몸체(12)를 위치시킨다. 센서 몸체(12)는 그가 스크류(27)의 헤드 위로 밀린 후에 스크류가 관통 구멍(26)의 더 작은 섹션 내에 놓이도록 회전된다.
도 5는 분할기 조립체가 센서 몸체(12)의 내부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센서(3)의 센서 몸체(12)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센서 몸체(12)는 플러그-인 부분(18) 및 긴 손잡이 부분(19)을 포함한다. 플러그-인 부분(18)은, 어댑터 요소(11)의 금속 부품(15)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행하는 그리고 분리가능 커넥터로부터 고전압을 전달할 수 있도록 치수설정되는 전도체(21)를 보유한다. 전도체(21)는 스크류(41)를 통해 분할기 조립체(24)의 고전압 단부와 연결된다. 볼트, 리벳, 나사, 너트 등과 같은 다른 기계적 체결 수단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은, 예를 들어 전도체(21)를 향하는 분할기 조립체 측에 있는 접촉 영역(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도체(21)를 스크류(41)를 통해 분할기 조립체와 연결함으로써, 접촉 영역은 전도체(21)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긴 손잡이 부분(19)은 PCB(24) 상에 배열될 수 있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를 보유한다. 분할기 조립체(24)의 고전압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면 상에, 저전압 연결 요소(42)가 제공된다. 저전압 연결 요소(42)는 그것이 센서 몸체(12)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것은 공지된 연결 수단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몸체(12)는 또한, 전압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전달하는 추가의 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예를 들어, 센서 몸체(12)로부터 저전압 케이블을 통해 RTU(원격 단말 유닛)로 전달될 수 있다. RTU는 센서 몸체(12)로부터의 저전압 신호를 분리가능 커넥터(2) 내의 고전압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센서(3)를 갖는 분리가능 커넥터(2)의 단면도인 도 6에서, 분리가능 커넥터(2) 내로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3)를 장착된 상태에서 볼 수 있다. t-바디인 분리가능 커넥터(2)는 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7)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볼트 유사 금속 연결 요소(8)를 포함한다. 어댑터 요소(11) 및 센서 몸체(12)를 갖는 센서(3)는 분리가능 커넥터(2)에 장착된다. 어댑터 요소(11)는 그의 금속 부품(15)으로 연결 요소(8) 상에 나사체결된다. 어댑터 요소(11)의 외부 표면은 분리가능 커넥터(2)의 제1 연장부(5)의 공동의 내부 표면과 완전히 정렬된다. 센서 몸체(12)는 어댑터 요소(11) 내로 완전히 삽입되며, 그에 의해 센서 몸체(12) 및 어댑터 요소(11)의 계면 또는 2개의 접촉 표면을 또한 정렬시킨다. 센서 몸체(12)는, 하나를 도 6에서 볼 수 있는 스크류(27)를 통해 어댑터 요소(11)에서 고정된다. 센서 요소(12)의 전도체(21)는 어댑터 요소(11)의 금속 부품(15)과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에 의해 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몸체(12)는, 예를 들어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24)를 추가로 보유한다. 분할기 조립체는 전도체(21)를 통해 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은 3개의 분리가능 커넥터(2)를 갖는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챔버(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분리가능 커넥터(2)는, 고전압/중전압(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연장부뿐만 아니라 하나가 센서(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인 2개의 추가의 연장부를 제공하는 t-바디이다. 3개의 센서(3)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긴 손잡이 부분과 함께 플러그-인 부분을 제공한다.
도 8은 하나의 센서(3)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도 1의 챔버(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때 센서(3)의 센서 몸체(12)가 제거되어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의 공동에 의해, 베이어닛 기부(10)와 함께 어댑터 요소(11)를 볼 수 있다.
도 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서(3)와 함께 분리가능 커넥터(2)의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다. 분리가능 커넥터(2)는 HV/MV 전압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7)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1 연장부(4)를 갖는 t-바디이다. 전도체(7)는 단지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그것은 금속 연결 요소(8)에 대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행한다. 금속 연결 요소(8)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성된 단부(9)를 제공한다. 분리가능 커넥터(2)는 또한, 플러그 또는 후방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2 연장부(5)를 제공한다. 연결 요소(8)의 나사형성된 단부(9)는 연장부(5) 내에 배열된다. 제2 연장부(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3)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분리가능 커넥터(2)는, 최종적으로, 변압기 또는 개폐기로부터의 부싱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3 연장부(6)를 제공한다.
도 10은 분할기 조립체가 센서 몸체(12)의 내부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센서(3)의 센서 몸체(12)의 3차원 도면이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센서 몸체(12)는 플러그-인 부분(18) 및 긴 손잡이 부분(19)을 포함한다. 플러그-인 부분(18)은 어댑터 요소(11) 및 베이어닛 기부(10)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행하는 전도체(21)를 보유하며, 여기서 센서 몸체(12)의 전도체(21)는 분리가능 커넥터(2)로부터 고전압을 전달할 수 있도록 치수설정된다. 전도체(21)는 스크류(41)를 통해 분할기 조립체(24)의 고전압 단부와 연결된다. 볼트, 리벳, 나사, 너트 등과 같은 다른 기계적 체결 수단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은 예를 들어 전도체(21)를 향하는 분할기 조립체 측에 있는 접촉 영역(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도체(21)를 스크류(41)를 통해 분할기 조립체와 연결함으로써, 접촉 영역은 전도체(21)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긴 손잡이 부분(19)은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24)를 보유한다. 분할기 조립체(24)의 고전압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면 상에, 저전압 연결 요소(42)가 제공된다. 저전압 연결 요소(42)는 그것이 센서 몸체(12)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것은 알려진 연결 수단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몸체(12)는 또한, 전압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전달하는 추가의 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예를 들어, 센서 몸체(12)로부터 저전압 케이블을 통해 RTU(원격 단말 유닛)로 전달될 수 있다. RTU는 센서 몸체(12)로부터의 저전압 신호를 분리가능 커넥터(2) 내의 고전압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센서 몸체(12)의 전체 손잡이 부분(19)은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그것은 손잡이 부분(19)의 외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 재료의 얇은 층으로서 배열될 수 있다. 차폐부는 차폐부를 접지에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수단으로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센서(3)는 어댑터 요소(11), 베이어닛 기부(10) 및 센서 몸체(12)를 제공한다. 어댑터 요소(11), 베이어닛 기부(10) 및 센서 몸체(12)는 분리가능 커넥터(2)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3개의 별개의 요소이며, 여기에서 어댑터 요소(11)는 분리가능 커넥터(2)와 센서 몸체(12)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어댑터 요소(11)는 관통 구멍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제공한다. 어댑터 요소는 2개의 상이한 직경을 제공한다. 분리가능 커넥터(2)를 향해 지향되는 어댑터 요소(11)의 부분은 센서 몸체(12)를 향해 지향되는 어댑터 요소(11)의 부분보다 더 큰 직경을 제공한다. 관통 구멍은 어댑터 요소(11)의 양단부에서 나사형성된다. 분리가능 커넥터(2)를 향하는 부분은 연결 요소(8)의 나사형성된 단부(9)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센서 몸체(12)를 향하는 부분은 베이어닛 기부(10)를 어댑터 요소(11)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이제 어댑터 요소가 도 1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3은 도 7 및 도 8의 센서의 어댑터 요소(11) 및 베이어닛 기부(10)의 3차원 분해도이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어댑터 요소(11)는 더 큰 단부(31) 및 더 얇은 단부(32)를 갖는 원통형 형상을 제공한다. 더 큰 단부(31)는 분리가능 커넥터(2)를 향하도록 설계된다. 그것은 나사형성된 관통 구멍(도 11에 도시되지 않음) 및 균일한 외부 표면을 갖는다. 어댑터 요소의 더 얇은 단부(32)는 역시 나사형성된 관통 구멍 및 다면 외부 표면(다면 핀)을 제공한다. 더 얇은 단부(32)를 향해 지향되는 더 큰 단부(31)의 단부에서, 어댑터 요소(11)는 어댑터 요소(11)를 연결 요소(8)의 나사형성된 부품(9) 상에 고정(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육각형 형상의 영역을 제공한다.
어댑터 요소는, 그를 금속 연결 요소(8) 둘레에서 회전시켜 그에 의해 어댑터(11)를 금속 연결 요소(8) 상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분리가능 커넥터(2)에 제1 연장부(4)의 공동 내로 매우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베이어닛 기부(10)는 또한 관통 구멍을 갖는 원통형 요소이다. 베이어닛 기부(10)의 관통 구멍은 어댑터 요소(11)의 다면 핀(32)을 수용하기 위한 다면 표면을 제공한다. 다면 관통 구멍 및 다면 핀(32)을 제공함으로써, 어댑터 요소(11)와 베이어닛 기부(10) 사이의 상대 회전이 저지된다. 베이어닛 기부(10)는 4개의 베이어닛 슬롯(33)을 추가로 제공한다. 베이어닛 슬롯은 베이어닛 기부(10)의 표면 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슬롯 섹션 및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짧은 슬롯 섹션을 갖는 L자형이다.
베이어닛 기부(10)를 어댑터 요소(11) 상에 장착하는 것은 도 9, 도 11 및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34) 및 와셔(35)의 도움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어 볼트, 너트, 리벳, 스냅 끼워맞춤 또는 클램핑 해법과 같은 대안적인 장착 수단이 또한 가능하다.
도 14는 어댑터 요소(11) 및 베이어닛 기부(10)의 다른 실시예의 3차원 분해도이다. 어댑터 요소(11)는 더 큰 단부(31) 및 더 얇은 단부(32)를 갖는 원통형 형상을 제공한다. 더 큰 단부(31)는 분리가능 커넥터(2)를 향하도록 설계된다. 그것은 균일한 외부 표면을 갖는다. 어댑터 요소의 더 얇은 단부(32)는 나사형성된 관통 구멍을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게, 그것은 또한 균일한 표면을 제공한다. 더 얇은 단부(32)를 향해 지향되는 더 큰 단부(31)의 단부에서, 어댑터 요소(11)는 어댑터 요소(11)를 연결 요소(8)의 나사형성된 부품(9) 상에 고정(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육각형 형상의 영역을 제공한다.
어댑터 요소는, 그를 금속 연결 요소(8) 둘레에서 회전시켜 그에 의해 어댑터(11)를 금속 연결 요소(8) 상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분리가능 커넥터(2)에 제1 연장부(4)의 공동 내로 매우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베이어닛 기부(10)는 또한 관통 구멍을 갖는 원통형 요소이다. 베이어닛 기부(10)의 관통 구멍은, 이번에도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게, 균일하다. 어댑터 요소(11)와 베이어닛 기부(10) 및 추가의 요소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 마찰 심(shim)(45)이 제공된다. 마찰 심(45)은 강철 코어 및 양측에 니켈 층 내에 매립된 작은 다이아몬드를 갖는 평와셔(flat washer)이다. 마찰 심(45)은 스크류의 토크를 유지시키면서 베이어닛 기부(10)와 어댑터 요소(11) 사이의 마찰 계수를 상당히 증가시킨다.
베이어닛 기부(10)는 4개의 베이어닛 슬롯(33)을 추가로 제공한다. 베이어닛 슬롯(33)은 베이어닛 기부(10)의 표면 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슬롯 섹션 및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짧은 슬롯 섹션을 갖는 L자형이다.
베이어닛 기부(10)를 어댑터 요소(11) 상에 장착하는 것은 도 9, 도 11 및 도 12에서 또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34) 및 와셔(35)의 도움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어 볼트, 너트, 리벳, 스냅 끼워맞춤 또는 클램핑 해법과 같은 대안적인 장착 수단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 몸체(12)는 플러그-인 부분(18) 및 긴 손잡이 부분(19)을 포함한다. 플러그-인 부분(18)은 원추형으로 형상화되고, 그것은 그의 크기가 분리가능 커넥터(2)의 제1 연장부(5)의 공동에 맞추어진다. 센서 몸체(12)의 플러그-인 부분(18)은 베이어닛 기부(10) 및 어댑터 요소(11)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행하기 위한 전도체(21)를 추가로 제공한다. 전도체(21)는 어댑터 요소(11) 및 베이어닛 기부(1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형상을 제공한다. 리세스는 베이어닛 기부(10)의 베이어닛 슬롯(33)과 맞물리기 위한 베이어닛 핀(36)을 추가로 제공한다. 전기적 연결은 전도체(21)의 베이어닛 핀(36)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절연 요소(22)는 또한 센서 몸체(12)의 손잡이 부분(19) 내로 연장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손잡이 부분(19)을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 부분(19)은 길고, 그것은 센서 몸체(12)의 플러그-인 부분(18)에 대략 수직하게 연장된다. 손잡이 부분(19)은, 센서 몸체(12)의 전도체(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예를 들어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24)를 보유한다.
센서(3)를 설치하기 위해, 여기서는 센서 몸체(12)를 어댑터 요소(11) 및 베이어닛 기부(10)에 연결하기 위해, 센서 몸체(12)는 베이어닛 핀(36)이 베이어닛 기부(10)와 접촉할 때까지 분리가능 커넥터(2)의 제1 연장부의 공동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센서 몸체(12)를 베이어닛 기부(10)와 함께 어댑터 요소(11)에 대해 회전시킬 때, 베이어닛 핀(36)은 베이어닛 슬롯(34)이 시작되는 위치에 도달할 것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베이어닛 핀(36)이 베이어닛 슬롯(33)의 긴 슬롯 섹션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센서 몸체(12)를 분리가능 커넥터(2) 내로 추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 몸체(12)를 분리가능 커넥터(2)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센서 몸체(12)가 어댑터 요소(11) 상에 고정되고, 그와 함께 센서(3)가 분리가능 커넥터(2) 내에 고정된다. 분리가능 커넥터(2)의 연장부(5)로부터 가요성이고 센서 몸체(3)의 플러그-인 부분으로부터 강성인 재료 조합을 통해, 센서 몸체(3)를 베이어닛 슬롯(33)의 짧은 슬롯 섹션에 대고 연장부(5) 밖으로 밀어내는 힘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한 설치는 용이하고, 단지 한 손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 조합은 또한, 분리가능 커넥터(2)의 표면과 센서 몸체(3)의 플러그-인 부분(18) 사이에 공기가 포획되는 것을 회피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센서(3)를 갖는 분리가능 커넥터(2)의 단면도인 도 11 및 도 1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능 커넥터(2) 내의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3)를 거의 장착된 상태에서 그리고 장착된 상태에서 볼 수 있다. t-바디인 분리가능 커넥터(2)는 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7)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볼트 유사 금속 연결 요소(8)를 포함한다. 어댑터 요소(11), 베이어닛 기부(10) 및 센서 몸체(12)를 갖는 센서(3)는 분리가능 커넥터(2)에 장착된다. 어댑터 요소(11)는 분리가능 커넥터(2)의 연결 요소(8) 상에 나사체결된다. 베이어닛 기부(10)는 스크류(34)의 도움으로 어댑터 요소(11) 상에 장착된다. 도 11에서, 센서 몸체(12)는 베이어닛 핀(36)이 베이어닛 기부(10)에 닿을 때까지 분리가능 커넥터(2) 내로 삽입된다. 도 12에서, 센서 몸체(12)는 베이어닛 핀(36)이 베이어닛 기부(10) 내의 해당(according) 베이어닛 슬롯(33)의 내부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 분리가능 커넥터(2) 내로 추가로 삽입된다.
센서 몸체(12)가 분리가능 커넥터(2)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센서 몸체(12) 및 분리가능 요소의 2개의 접촉 표면은 이제 공기가 포획되도록 서로 완전히 정렬된다. 센서 요소(12)의 전도체(21)는 어댑터 요소(11)와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에 의해 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몸체(12)는, 예를 들어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24)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24)를 추가로 보유한다. 분할기 조립체는 전도체(21)를 통해 HV/MV 전력 네트워크의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4는, 2개의 베이어닛 핀(36)이 전도체(21)의 반대편 면들 상에 배열된 상태의 전도체(21)를 도시하는 플러그-인 부분(18) 상으로의 도 7의 센서의 센서 몸체의 측면도이다.

Claims (16)

  1. 분리가능 커넥터(2) 내의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3)로서,
    -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2)의 고전압 전도체(7)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그리고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로부터 HV/MV 전압을 받도록 구성되는 고전압 연결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요소(11); 및
    - 상기 어댑터 요소(11)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분할기로서 작동가능하도록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분할기 조립체(24) 및 상기 HV/MV 전력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고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저전압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저전압 연결부(42)를 포함하는 센서 몸체(12)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요소(11) 및 상기 센서 몸체(12)는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2)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별개의 요소이고, 상기 어댑터 요소는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와 상기 센서 몸체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는 절연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2) 내로 삽입되어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의 고전압 전도체(7)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요소(11)는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2)의 고전압 전도체(7)에 대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행하기 위한 금속 부품(15)을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요소(11)는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2)의 고전압 전도체(7) 상에 또는 그 내에 나사체결되기 위한 나사(thread) 및/또는 상기 어댑터 요소를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 상에 또는 그 내에 나사체결하기 위한 임의의 종류의 공구와 협동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요소(11)는 상기 어댑터 요소를 상기 센서 몸체(12)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16, 17)을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요소(11)는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2)의 리세스 내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크기설정되고 형상화되는 절연 요소를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12)는 상기 어댑터 요소(11)의 금속 부품(15)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전도체(21)를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12)는 상기 전도체(21)뿐만 아니라 상기 분할기 조립체(24)를 보유하는 절연 요소(22)를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12)의 절연 요소(22)는 크기 및 형상이 상기 어댑터 요소(11) 및/또는 상기 분리가능 커넥터(2)의 접촉 표면에 맞추어지는 외부 탄성 표면(23)을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12)는 긴 손잡이 부분(19)을 제공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12)의 손잡이 부분(19)은 상기 분할기 조립체(24)를 보유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12)는 상기 센서 몸체를 상기 어댑터 요소(11)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25, 26)을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는 상기 어댑터 요소(11) 상에 장착될 베이어닛(bayonet) 기부(1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어닛 기부는 베이어닛 슬롯(33)을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몸체(12)는 상기 베이어닛 기부(10)와 맞물리기 위한 핀(36)을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요소(11)는 상기 베이어닛 기부(10) 내의 다면(multisided) 구멍과 맞물리기 위한 다면 핀(32)을 포함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16. HV/MV 전력 전도체, 분리가능 커넥터(2), 및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센서(3)를 포함하는, 전력 네트워크.
KR1020207011445A 2017-09-28 2018-09-28 고전압 커넥터를 위한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센서 KR202000498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93719.6 2017-09-28
EP17193719.6A EP3462183A1 (en) 2017-09-28 2017-09-28 Sensor with discrete impedance elements for high voltage connectors
PCT/IB2018/057567 WO2019064265A1 (en) 2017-09-28 2018-09-28 DISCRETE IMPEDANCE ELEMENT SENSOR FOR HIGH VOLTAGE CONNEC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873A true KR20200049873A (ko) 2020-05-08

Family

ID=6003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445A KR20200049873A (ko) 2017-09-28 2018-09-28 고전압 커넥터를 위한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센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9215B2 (ko)
EP (1) EP3462183A1 (ko)
JP (1) JP2020535435A (ko)
KR (1) KR20200049873A (ko)
CN (1) CN111133320B (ko)
CA (1) CA3076801A1 (ko)
WO (1) WO2019064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9246B1 (en) * 2017-12-18 2024-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oltage divider assembly
WO2020104884A1 (en) 2018-11-20 2020-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d plug sensor device with voltage divider and test point features
EP3828553A1 (en) * 2019-11-28 2021-06-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oltage sensor for power networks
EP3840135B1 (en) * 2019-12-20 2023-09-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fittable voltage sensing device for power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9631Y (zh) * 1993-04-14 1993-12-15 董梅 精密分压器
DE29500691U1 (de) * 1995-01-18 1995-03-16 Hoppe Ag Schraubbefestigung
ES2174754B1 (es) 2001-03-30 2004-08-01 Grupo Ormazabal, S.A. Sistema modular de conexion aislada de alta tension con captacion de intensidad y tension.
DE10150166A1 (de) 2001-10-11 2003-05-08 Wacker Chemie Gmbh Toleranzring mit einer reibungserhöhenden Beschichtung
SE525259C2 (sv) * 2002-12-20 2005-01-18 Abb Ab En metod och en anordning för att mäta högspänd växelspänning med en kondensatorutrustning
EP1564418B1 (de) 2004-02-13 2006-03-29 AHC-Oberflächentechnik GmbH & Co. OHG Verbindungselement zur kraftschlüssigen Verbindung von Bauteilen
DE102008007700A1 (de) 2007-10-31 2009-05-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chnergestützten Exploration von Zuständen eines technischen Systems
CN202034575U (zh) 2011-03-22 2011-11-09 广东吉熙安电缆附件有限公司 一种智能型可分离连接器
WO2013037058A1 (en) * 2011-09-13 2013-03-21 Atlas Copco Canada Inc. Drill pipe with replaceable tool joints
ES2645377T3 (es) 2011-12-16 2017-12-05 Arteche Lantegi Elkartea, S.A. Divisor de tensión de alta tensión y conector que comprende dicho divisor
US9335348B2 (en) * 2012-11-02 2016-05-1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Modular high voltage sensing unit
US9437374B2 (en) * 2013-05-24 2016-09-0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Automated grounding device with visual indication
EP2819250B1 (en) * 2013-06-26 2022-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connecting a power cable to an electrical installation of a power network
CN105340145B (zh) * 2013-06-26 2019-06-18 3M创新有限公司 电力电缆端子连接装置
PL3203245T3 (pl) * 2014-10-01 2024-02-26 Ormazabal Protection & Automation, S.L.U. Izolowany adapter wysokiego napięcia
DE102015000301B4 (de) 2015-01-12 2021-12-09 Isabellenhütte Heusler Gmbh & Co. Kg Kupplung der Mittelspannungstechnik oder der Hochspannungstechnik
EP3051299A1 (en) * 2015-02-02 2016-08-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de foil
DE102015203300A1 (de) * 2015-02-24 2016-08-25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Sensorvorrichtung zur Verbindung mit einem Messanschluss einer kapazitiv gesteuerten Durchführung
CN204855621U (zh) 2015-06-03 2015-12-09 烟台东方威思顿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带电源和导电屏蔽的插头式电压传感器
FR3041436B1 (fr) * 2015-09-17 2017-10-20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mesure pour cellule d'appareillage haute 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8381A1 (en) 2020-09-03
JP2020535435A (ja) 2020-12-03
EP3462183A1 (en) 2019-04-03
CN111133320A (zh) 2020-05-08
CN111133320B (zh) 2022-05-13
US11099215B2 (en) 2021-08-24
CA3076801A1 (en) 2019-04-04
WO2019064265A1 (en)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9873A (ko) 고전압 커넥터를 위한 별개의 임피던스 요소를 갖는 센서
CN110622009B (zh) 用于高电压可分离连接器的具有分立电容器的传感器
US8368405B2 (en) Remote test point for electrical connector
US8408925B2 (en) Visible open for switchgear assembly
TW201515353A (zh) 電力電纜終端連接裝置
EP3146598B1 (en) Sensored electrical jumper
EP3499246B1 (en) Voltage divider assembly
EP3824299A1 (en) Sensor with insulating element for high voltage separable connectors
EP3828553A1 (en) Voltage sensor for power networks
CN113039445A (zh) 具有分压器和测试点特征部的端部插头传感器装置
TW201513468A (zh) 電纜連接裝置
WO2015157605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annular contact
US20150301087A1 (en) Differential current measuring module
US3422392A (en) Electrical bushing assembly
US5505636A (en) CATV power tapping device
CN110225694B (zh) 用于屏蔽布置在塑料外壳中的电子部件的接地连接元件以及用于其安装的方法
US5201666A (en) Adapter for enabling connection of vintage oil fuse cutouts and the like with modern cable lead connector systems
CN208093889U (zh) 同轴偏置t型连接器
RU2027263C1 (ru) Штепсельная вилка
CN112074994A (zh) 具有错列式接触载体的电连接器
JP2561941Y2 (ja) ケーブル接続用ブッシング盲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