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463A -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463A
KR20200049463A KR1020190049854A KR20190049854A KR20200049463A KR 20200049463 A KR20200049463 A KR 20200049463A KR 1020190049854 A KR1020190049854 A KR 1020190049854A KR 20190049854 A KR20190049854 A KR 20190049854A KR 20200049463 A KR20200049463 A KR 2020004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window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fol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최민훈
김도훈
황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561,84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136067A1/en
Priority to CN201911016249.0A priority patent/CN111105707B/zh
Publication of KR2020004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비폴딩 영역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윈도우; 표시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보조층;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층; 및 표시 패널과 보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에서 윈도우의 폭은 비폴딩 영역에서 윈도우의 폭보다 크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벤딩(bending)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장치와 달리, 종이처럼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롤러블 표시 장치, 폴더블 표시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딩 영역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비폴딩 영역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윈도우; 표시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보조층;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층; 및 표시 패널과 보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에서 윈도우의 폭은 비폴딩 영역에서 윈도우의 폭보다 크다.
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비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보다 클 수 있다.
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1GPa 내지 100GPa이고, 비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100MPa 내지 1GPa일 수 있다.
폴딩축에 수직하고,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에서 양 측면은 비절단면이고, 비폴딩 영역에서 양 측면은 절단면일 수 있다.
폴딩 영역에서 양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비폴딩 영역에서 양 측면은 평면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 윈도우, 보조층,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각각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에서 양 측면은 곡면일 수 있다.
절단면에 배치된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는 비절단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윈도우는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강화 유리일 수 있다.
보조층은 보호 필름, 차광 필름, 반사 필름, 방열 필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윈도우; 표시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보조층;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층; 및 표시 패널과 보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윈도우는 폴딩축에 수직하고,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에서 양 측면은 비절단면이고, 비폴딩 영역에서 양 측면은 절단면이다.
폴딩 영역에서 윈도우의 폭은 비폴딩 영역에서 윈도우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비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보다 클 수 있다.
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1GPa 내지 100GPa이고, 비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100MPa 내지 1GPa일 수 있다.
윈도우는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강화 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표시 패널의 전면 상에 윈도우를 결합하고, 표시 패널의 후면 상에 보조층을 결합하는 단계; 및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윈도우 및 보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폴딩 영역에서 윈도우의 폭은 비폴딩 영역에서 윈도우의 폭보다 크다.
표시 패널의 전면 상에 윈도우를 결합하고, 표시 패널의 후면 상에 보조층을 결합하는 단계에서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윈도우 및 보조층은 절단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패널, 윈도우 및 보조층의 절단면에 보강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절단면을 포함하는 비폴딩부 및 절단면을 포함하지 않는 폴딩부를 포함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가 폴딩(Folding)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의 제1 면(S1, 예를 들어, 도 2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윈도우(WD), 표시 패널(DP)의 제2 면(S2, 예를 들어, 도 2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보조층(SL),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D)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층(AD1) 및 표시 패널(DP)과 보조층(SL)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AD2)을 포함한다.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가 서로 결합된 일체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각각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반면, 제2 모드에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각각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윈도우(WD)는 표시 패널(DP)보다 폴딩축(FX)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 윈도우(WD)는 가장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모드에서 윈도우(WD)는 가장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한다.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폴딩 영역(FA)의 일단부와 인접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폴딩 영역(FA)의 타단부와 인접한 제2 비폴딩 영역(NFA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하나의 폴딩 영역(FA) 및 폴딩 영역(FA)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두 개 이상의 폴딩 영역 및 세 개 이상의 비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0.5mm 내지 10mm의 곡률 반경(CR)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약 1.5mm의 곡률 반경(CR)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곡률 반경(CR)은 제1 및 표시 패널(DP)의 강도, 윈도우(WD)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flexible)이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서부터 수 나노미터 수준으로 휠 수 있는 구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박막 형태의 적층 구조로 제조될 수 있어, 뛰어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면(S1) 및 제2 면(S2) 중 적어도 일면 상으로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제1 면(S1) 상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는 폴딩부(DF),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부(DNF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부(DNF2)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폴딩부(DF), 제1 및 제2 비폴딩부(DNF1, DNF2) 구분없이 이미지를 생성하여 방출한다.
표시 패널(DP)의 폴딩부(DF)는 제1 모드일 때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제2 모드일 때 펼쳐진다. 반면, 표시 패널(DP)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DNF1, DNF2)는 제1 및 제2 모드에서 모두 폴딩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DP)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DNF1, DNF2)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완만하게 휘어질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의 제1 비폴딩부(DNF1)와 제2 비폴딩부(DNF2) 사이의 거리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DNF1)와 제2 비폴딩부(DNF2)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DP)이 폴딩되었을 때,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DNF1)와 제2 비폴딩부(DNF2)의 면적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DNF1)와 제2 비폴딩부(DNF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영역(DA)은 평면상에서 직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 영역(PA)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 영역(PA)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영역(PA)은 각각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고, 화소 정의막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 영역(PA)에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 및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위치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DA)은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DP)은 편광층, 반사층 및/또는 터치 센싱 유닛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의 제1 면(S1) 상에 윈도우(WD)가 배치된다. 윈도우(WD)는 표시 패널(DP)을 보호한다. 윈도우(WD)는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는 폴딩부(WF),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부(WNF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부(WNF2)를 포함한다.
윈도우(WD)의 폴딩부(WF)는 제1 모드일 때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제2 모드일 때 펼쳐진다. 반면, 윈도우(WD)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WNF1, WNF2)는 제1 및 제2 모드에서 모두 폴딩되지 않는다. 윈도우(WD)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WNF1, WNF2)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완만하게 휘어질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D)의 제1 비폴딩부(WNF1)와 제2 비폴딩부(WNF2) 사이의 거리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WNF1)와 제2 비폴딩부(WNF2)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윈도우(WD)가 폴딩되었을 때,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WNF1)와 제2 비폴딩부(WNF2)의 면적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WNF1)와 제2 비폴딩부(WNF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D)는 투명한 강화 유리이다. 유리 윈도우(WD)는 플라스틱 윈도우보다 강도가 뛰어나므로, 표시 장치(10)가 파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파손되었다고 함은 파괴되거나, 흠 또는 균열이 형성되거나, 흠 또는 균열이 전파되거나, 파단되는 등, 윈도우(WD)가 의도된 목적에 따라 사용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윈도우(WD)는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WD)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변형에 대한 반발력이 지나치게 커짐으로써 윈도우(WD)를 폴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윈도우(WD)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강도가 낮아짐으로써 윈도우 파손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만, 윈도우(WD)의 두께는 강도가 부합되는 한도 내에서 얇을수록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윈도우(WD)는 2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제2 면(S2) 상에 보조층(SL)이 배치된다. 보조층(SL)은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는 폴딩부(SF),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부(SNF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부(SNF2)를 포함한다.
보조층(SL)의 폴딩부(SF)는 제1 모드일 때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제2 모드일 때 펼쳐진다. 반면, 보조층(SL)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SNF1, SNF2)는 제1 및 제2 모드에서 모두 폴딩되지 않는다. 보조층(SL)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SNF1, SNF2)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완만하게 휘어질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층(SL)의 제1 비폴딩부(SNF1)와 제2 비폴딩부(SNF2) 사이의 거리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SNF1)와 제2 비폴딩부(SNF2)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보조층(SL)가 폴딩되었을 때,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SNF1)와 제2 비폴딩부(SNF2)의 면적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SNF1)와 제2 비폴딩부(SNF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보조층(SL)은 박막의 플렉서블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층(SL)은 보호 필름일 수 있다. 보호 필름은 표시 패널(DP)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보호 필름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것이라면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필름는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다. 또한, 보조층(SL)은 특정 기능을 부여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층(SL)은 차광 필름, 반사 필름, 방열 필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하나의 보조층(SL)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복수의 보조층(S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D)는 제1 접착층(AD1)에 의해 결합되고, 표시 패널(DP)과 보조층(SL)은 제2 접착층(AD2)에 의해 결합된다.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은 각각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는 폴딩부(MF, AF),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부(MNF1, ANF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부(MNF2, ANF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 각각의 폴딩부(MF, AF)는 제1 모드일 때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제2 모드일 때 펼쳐진다. 반면,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 각각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MNF1, MNF2, ANF1, ANF2)는 제1 및 제2 모드에서 모두 폴딩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 각각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MNF1, MNF2, ANF1, ANF2)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완만하게 휘어질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 각각의 제1 비폴딩부(MNF1, ANF1)와 제2 비폴딩부(MNF2, ANF2) 사이의 거리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MNF1, ANF1)와 제2 비폴딩부(MNF2, ANF2)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가 폴딩되었을 때,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MNF1, ANF1)와 제2 비폴딩부(MNF2, ANF2)의 면적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비폴딩부(MNF1, ANF1)와 제2 비폴딩부(MNF2, ANF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은 각각 양면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은 각각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s sheet, PSA)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층(AD1, AD2)은 가요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폴딩 영역(FA)에서의 폭이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의 폭보다 크다. 특히, 폴딩 영역(FA)에서 윈도우(WD)의 폭(W1)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 윈도우(WD)의 폭(W2)보다 크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WD)의 폴딩부(WF)의 폭을 제1 폭(W1)이라 하고, 윈도우(WD)의 제1 비폴딩부(WNF1)의 폭을 제2 폭(W2)이라 할 때,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크다. 여기서, 윈도우(WD)의 폭은 폴딩축(FX)의 방향의 길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폴딩축(FX)에 수직하고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갖는다. 이때, 폴딩 영역(FA)에서의 양 측면(도 5의 NCS)은 비절단면이고, 폴딩 영역(FA)에서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의 양 측면(도 4의 CS)은 절단면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폴딩 영역(FA)에서의 파괴 강도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의 파괴 강도보다 크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특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폴딩 영역(FA)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CS, NCS)을 포함한다. 즉, 양 측면(CS, NCS)은 각각 폴딩축(FX)에 수직하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양 측면(CS)은 평평한 평면 형태를 갖는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영역(FA)에서의 양 측면(NCS)은 단차를 갖는다. 특히, 폴딩 영역(FA)에서 윈도우(WD)의 일 측면은 표시 패널(DP), 보조층(SL), 제1 접착층(AD1) 및 제2 접착층(AD2) 각각의 일 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단차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 각각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영역(FA)에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 각각의 폭을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이때,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양 측면(CS)은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의 접합 공정 후 절단 공정을 거친 절단면이다. 반면, 폴딩 영역(FA)에서의 양 측면(NCS)은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의 접합 공정 후 절단 공정을 거치지 않은 비절단면이다. 이에 대하여는 제조 방법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면(S1) 및 제2 면(S2)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P)을 준비한다. 이어서, 표시 패널(DP)의 제1 면(S1) 상에 제1 접착층(AD1)을 이용하여 윈도우(WD)를 결합시키고, 표시 패널(DP)의 제2 면(S2) 상에 제2 접착층(AD2)을 이용하여 보조층(SL)을 결합시킨다.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D), 표시 패널(DP)과 보조층(SL)은 각각 라미네이팅 공정과 같은 접합 공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공지된 접합 공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체로 결합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동시에 절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로 결합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레이저(Laser)를 이용하여 동시에 절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결합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나이프를 이용한 절단 공정(Knife Cut)으로 동시에 절단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공정 시,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위치하는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가 동시에 절단된다. 반면,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는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절단 공정 시 절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폴딩 영역(FA)에서의 양 측면은 비절단면이고, 폴딩 영역(FA)에서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의 양 측면은 절단면이다.
폴더블 표시 장치(10)를 이루는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의 접합 공정 시, 각 층 간의 측면 라인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각 층 간의 계면에서 계단형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측면에 발생한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접합 공정 후 절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절단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 각각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또는 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절단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폴딩 영역(FA)은 동작 모드에 따라 폴딩되거나 펼쳐지는 부분으로, 동작 모드에 관계 없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된다. 다만, 강화 유리로 이루어진 윈도우(WD)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절단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위치하는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이 동시에 절단됨으로써, 접합 공정 시 발생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고,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 각각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어 그 측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한 일체형 표시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이라 함은, 완전히 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공정 조건이나 재료 특성 등에 의한 어느 정도의 오차 범위를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유사 또는 근접한 정도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 각각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었다 함은, 이들의 측면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이들의 계면에서 급격한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는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절단되지 않음으로써, 폴딩 영역(FA)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폴딩 영역(FA)에서의 파괴 강도는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파괴 강도보다 크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10)의 폴딩 영역(FA)에서의 파괴 강도는 1GPa 내지 100GPa이고,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파괴 강도는 100MPa 내지 1GPa일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1)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2)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7 및 도 8은 도 2의 I-I` 선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1)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양 측면(CS`)은 각각 평평한 경사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양 측면(CS`)은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가 동시에 절단된 절단면일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1)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제1 방향(DR1)을 따라 폭이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제1 방향(DR1)을 따라 폭이 점점 감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공정 시 발생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고, 폴더블 표시 장치(11)의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 각각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어 그 측면이 연속적인 일체형 표시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2)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양 측면(CS``)은 각각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양 측면(CS``)은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가 동시에 절단된 절단면일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2)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제1 방향(DR1)을 따라 폭이 점점 감소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는 제1 방향(DR1)을 따라 폭이 점점 증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공정 시 발생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고, 폴더블 표시 장치(12)의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 각각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면 상에 배치되어 그 측면이 연속적인 일체형 표시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3)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3)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의 양 측면(CS)에 배치된 보강재(3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양 측면(CS)은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의 접합 공정 후 절단 공정을 거친 절단면이다. 즉, 보강재(300)는 보조층(SL), 제2 접착층(AD2), 표시 패널(DP), 제1 접착층(AD1) 및 윈도우(WD) 각각의 절단면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강재(300)는 절단면에서 발생한 테이퍼 및 부피 손실을 보완할 수 있다. 보강재(300)는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보강재(300)는 폴딩 영역(FA)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즉, 보강재(300)는 폴딩 영역(FA)의 비절단면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13)은 폴딩 영역(FA)에서 충분한 플렉서블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3)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된 보강재(300)를 더 포함함으로써, 폴더블 표시 장치(13)의 측면 강도를 보강하고 내구성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상기 설명된 도면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생각해 내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D: 윈도우 DP: 표시 패널
SL: 보조층 AD1: 제1 접착층
AD2: 제2 접착층 PM: 보강재

Claims (20)

  1.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보조층;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의 폭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의 폭보다 큰 폴더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보다 큰 폴더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1GPa 내지 100GPa이고,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100MPa 내지 1GPa인 폴더플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폴딩축에 수직하고,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양 측면은 비절단면이고,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양 측면은 절단면인 폴더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양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은 단차를 갖는 폴더블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양 측면은 평면인 폴더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윈도우, 상기 보조층,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각각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폴더블 표시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양 측면은 곡면인 폴더블 표시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에 배치된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비절단면과 접촉하지 않는 폴더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강화 유리인 폴더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층은 보호 필름, 차광 필름, 반사 필름, 방열 필름 중 어느 하나인 폴더블 표시 장치.
  13.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보조층;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폴딩축에 수직하고,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양 측면은 비절단면이고,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양 측면은 절단면인 폴더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의 폭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의 폭보다 큰 폴더블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보다 큰 폴더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1GPa 내지 100GPa이고,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의 파괴 강도는 100MPa 내지 1GPa인 폴더플 표시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강화 유리인 폴더블 표시 장치.
  18.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 상에 윈도우를 결합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 상에 보조층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윈도우 및 상기 보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의 폭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의 폭보다 큰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윈도우 및 상기 보조층을 동시에 절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윈도우 및 상기 보조층은 절단하지 않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윈도우 및 상기 보조층의 절단면에 보강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90049854A 2018-10-26 2019-04-29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49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61,840 US20200136067A1 (en) 2018-10-26 2019-09-05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911016249.0A CN111105707B (zh) 2018-10-26 2019-10-24 可折叠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86 2018-10-26
KR20180128786 2018-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63A true KR20200049463A (ko) 2020-05-08

Family

ID=7067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854A KR20200049463A (ko) 2018-10-26 2019-04-29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4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7852A (zh) * 2021-02-03 2021-06-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102482570B1 (ko) * 2022-04-11 2022-12-30 신동주 폴더블 스마트폰용 보호유리
US11711937B2 (en) 2020-07-01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1937B2 (en) 2020-07-01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987852A (zh) * 2021-02-03 2021-06-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102482570B1 (ko) * 2022-04-11 2022-12-30 신동주 폴더블 스마트폰용 보호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20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34807B1 (ko) 플렉서블 윈도우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0004946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31823B2 (en) Display device
KR10229210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289484B2 (en) Display device
KR10213223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33220B1 (ko) 표시 장치
JP5433465B2 (ja) 表示装置
US11812566B2 (en) Metal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445792A (zh) 显示装置
US20190094610A1 (en) Display device
KR102568908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055845A (ko) 표시 장치
KR20200052621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6331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00058634A (ko)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2037620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105707B (zh) 可折叠显示设备
US9703135B2 (en) Display
US20220151082A1 (en) Display device
KR202100862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7536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202400494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210323287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