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401A -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401A
KR20200049401A KR1020180132630A KR20180132630A KR20200049401A KR 20200049401 A KR20200049401 A KR 20200049401A KR 1020180132630 A KR1020180132630 A KR 1020180132630A KR 20180132630 A KR20180132630 A KR 20180132630A KR 20200049401 A KR20200049401 A KR 20200049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ouch point
wall
display system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지수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랩
Priority to KR102018013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9401A/ko
Publication of KR20200049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벽면(10)의 표면에 그림이 그려지는 표면부(11)가 형성되며 표면부(11)의 아래쪽으로는 다수개의 터치포인트(12)가 형성되어 터치포인트(12)는 다수개의 제1센서(13)에 각각 연결이 되어 터치포인트(12)가 터치되는 경우 제1센서(13)의 센싱신호는 제어부(21)로 전달이 되며 제어부(21)는 영상출력부(22)로 하여금 벽면(10)에 미리 지정된 조각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WALL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 되어 오던 디스플레이 벽면은 벽면에 단순하게 알리고 싶은 내용을 쓰거나 그리는 것이나 조금 다른 경우에는 관람자가 벽면의 특정부분을 터치했을 때 터치한 부분에 따라서 영상이 재생되거나 음악이 흘러나오거나 하는 형태가 많았다.
도1에 도시된 것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벽면중 두개를 도시하는데 종래의 디스플레이벽면은 도면의 빨간색 사각형 부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이저를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제품은 터치가 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하여 별도의 센서를 디스플레이 벽면에 부착을 하여야만 하였다. 도1의 오른쪽에서는 터치여부를 인식하기 위하여 벽면의 아래위쪽을 길쭉하게 센서가 전부 차지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 수 밖에 없으며 도1의 왼쪽의 레이저 방식은 센서가 디스플레이 월의 상단 두 곳에 위치하고 있어 왼쪽의 경우보다 차지하는 공간은 적으나 터치가 어느 장소에서 일어났는지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즉, 두개의 센서에 의해서 판단하지만 터치포인트가 위치하는 부분에 따라서는 터치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벽면은 터치하였을 때 터치된 부분에 따라서 개별적인 동작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벽면이 어디든 터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이 반짝이거나 배경이 여러가지 색으로 켜지는 것과 같은 단순한 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즉, 도1의 오른쪽 그림도 벽면의 일정부분을 터치하면 해당부분이나 연관된 부분에 불이 켜지는 것과 같이 동작하며 배치된 그림이 움직이거나 하는 동작은 하지 못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5-0129134호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벽면의 전부나 일부에 배치되고 영상 및 음성을 재생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움직임 및 음성을 각각 감지하는 카메라 및 마이크 및 카메라와 마이크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어 마이크와 카메라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표시부에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다란 모니터를 벽면에 붙인 것과 크게 다른 것이 없으며 입력수단으로 모니터와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이어서 특이한 것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드러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객의 터치에 따라 벽면에 그려진 그림이 움직이는 듯한 효과를 느끼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벽면(10)의 표면에 그림이 그려지는 표면부(11)가 형성되며 표면부(11)의 아래쪽으로는 다수개의 터치포인트(12)가 형성되어 터치포인트(12)는 다수개의 제1센서(13)에 각각 연결이 되어 터치포인트(12)가 터치되는 경우 제1센서(13)의 센싱신호는 제어부(21)로 전달이 되며 제어부(21)는 영상출력부(22)로 하여금 벽면(10)에 미리 지정된 조각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터치포인트(12)는 표면부(11)에 그려지는 도안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금속재의 물질일 수 있다.
터치 포인트는 표면부(11)에 그려지는 도안과 같은 외곽선을 갖도록 재단되는 것 일 수 있다.
영상선택부(23)는 미리 지정된 조각영상을 선택하며 영상위치조절부(26)는 터치된 터치포인트(12)와 영상위치DB(25)를 참조하여 조각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조립부(24)는 선택되어진 영상을 조합하여 표시될 전체 영상을 만들어 영상출력부(22)로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22)는 터치포인트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 움직이지 않는 스틸형태의 조각영상을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센서(14)를 더 포함하는데 제2센서(14)는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대상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관객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소리와 영상을 송출하도록 한다.
배경색제거모듈(27)를 더 포함하여 영상출력부(22)로 보내지기 전의 영상에서 배경색을 제거하여 벽면의 그림과 어울리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에 의하여 터치에 의하여 정지해 있던 그림이 움직이는 효과를 가져오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벽면을 도시하는 그림
도2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벽면은 여러 가지 도안으로 벽면(10)을 채우는데 벽면(10)의 특정부분을 터치하게 되면 여러가지 도안으로 채워져 있는 벽면(10)에 움직이는 영상이 되는데 벽면(10)에 있는 도안과 매칭되는 영상이 벽면에 투사되어 벽면(10)에 있는 도안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된다. 혹은 사람이 벽 앞을 지나가는 것을 센싱하여 소리가 흘러나도록 하여 관객의 주의를 끌게 된다.
이를 위해서 외부에서 보이는 벽면의 표면이 되는 표면부(11)에 도안(그림)을 그리고 표면부(11)의 바로 밑에 터치포인트(12)를 부착하고 터치포인트(12)를 별도의 제1센서(13)와 연결하여 센싱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1)로 송신하게 된다. 이때 터치포인트(12)는 터치되는 부분에 미리 형성된 도안의 크기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금속판이나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것을 길게 펴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에 사용되는 센서들은 특정한 영역을 정하고 그 영역 내에서 터치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본원 발명에서도 사용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같은 것은 대략적으로 센싱이 가능한 영역을 지정할 수는 있지만 특정지점을 경계로 센싱이 되거나 되지 않거나 하도록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직접 터치가 가능한 형태의 센서도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센서는 두께가 두꺼워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표면부(11)의 아래쪽에 설치하였을 때 센싱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었다는 것이 즉시 파악되기 쉬웠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로 모양을 만들 수 있는 형태의 터치포인트(12)를 제공하고 터치포인트(12)에 의하여 터치 신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미리 구획된 영역에서의 정확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서 도4에서와 같은 그림에서 그림의 특정한 부분(사람, 자동차, 지도등)을 터치하였을 때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하면 미리 정해진 부분의 경계선 외부를 터치하였을 때는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말아야만 하는데 종래의 센서들은 이러한 작업을 하기에 적합한 것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벽면에 그려진 도안의 특정한 부분의 경계선과 같은 모양을 갖는 터치포인트(12)를 만들고 터치포인트(12)를 그림과 같이 겹쳐 놓은뒤 제1센서와 연결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4에서 보듯이 터치포인트(12)는 사람이나 배, 자동차와 같이 복잡한 외곽선을 갖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사람, 배, 자동차와 같은 것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이는 조각영상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도4에서는 여러 가지 그림이 보여지는데 이중 일부는 실제 표면부(11)에 그려진 그림이며 일부는 프로젝터(31)를 통해 벽면에 비춰지는 영상으로서 터치포인트(12)를 터치하기 전까지 움직이지 않는 그림이다가 터치포인트(12)를 터치하게 되면 움직이도록 할 수 있어 마치 터치에 의해서 그림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도4에서와 같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는 강조해야 되는 부분에 색깔을 집어넣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3에서 표면부(11)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벽면으로부터 띄워서 투명한 색으로 표시하였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벽면에 밀착되며 프로젝터(31)의 빛을 받아 관객에게 보여질 수 있는 바탕색을 갖는데 표면부(1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터치포인트(12)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좀더 복잡한 형태의 외곽선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센서(14)는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활용하여 벽면의 특정부위에 설치되어 사람이 지나가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에 송신하여 미리 정해진 음악이나 동영상을 틀어 사람들의 주의를 끌도록 한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물체가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는데 도플러 효과를 적용하여 검출이 일어나며 온도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자동문의 움직임이나 생산라인의 물질 검출, 자동세정등에 사용이 된다. 또한, 무선주파수 간섭에 강하며 넓은 범위를 고속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데 제2센서는 벽면을 지나치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 대한 검출이 필요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터치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도 제어부(21)는 영상출력부(2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벽면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영상은 움직이는 동영상이 아닌 정지해있거나 정지한 것처럼 보이는 스틸영상일 수 있다. 이때, 제1센서(13)에 의하여 터치 센싱이 되는 경우 제어부(21)는 어떤 터치포인트(12)가 터치되었는지를 파악하고 해당 터치포인트(12)에 따라 미리 예정되어 있는 조각영상을 현재의 표시영상에 더하여 디스플레이벽면에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움직이지 않는 강아지를 영상출력부(22)를 통하여 표시하고 있는 경우 움직이지 않는 강아지는 벽면에 그려진 도안과 구별이 안 될 수 있는데 터치가 이루어진 후 강아지가 달리고 짖는 영상을 표시하게 되면 벽면에 그려진 강아지 그림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느낌을 느끼게 할 수 있다.
터치포인트(12)는 다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터치포인트(12)마다 벽면에서 다른 위치에 있으며 터치포인트(12)가 터치될 때마다 터치포인트(12) 주변으로 다른 터치포인트(12)에서와는 다른 영상이 보여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터치포인트가 있는 경우에 각각의 터치포인트(12)를 터치할 때 마다 해당되는 각각의 위치에서 다른 영상이 보여지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영상조립부(24)는 영상선택부(23)로부터 선택된 영상으로 보여져야 하는 영상들을 조합하는데 터치포인트(12)가 눌러졌는지에 따라 선택되는 영상이 다르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조합된 영상은 영상출력부(22)를 통하여 영상위치DB(25)를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뿌리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터치포인트(12)마다 보여지게 되는 조각영상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터치포인트의 터치에 따라서 출력되어야 하는 조각 영상의 위치를 영상위치조절부(26)가 영상위치DB(25)를 참조하여 전체영상에서 어떤위치에 있어야 하는지 결정한 뒤 각각의 조각영상을 모아 영상출력부에서 전체의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벽면에서 그림이 움직이는 느낌을 강화하기 위하여 영상의 배경색은 벽면의 배경색과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영상에서 배경색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경색제거모듈(27)은 조각영상들을 영상출력부로 보내지기 전의 영상에서 배경색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벽면에 투사하는 방식으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한 개 이상의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다.
벽면에 미리 그려진 이미지, 정지된 영상과 움직이는 동영상의 조합에 관람객의 터치에 의하여 영상이 움직이기 때문에 관람객의 입장에서는 벽면에 있는 그림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느끼게 되며 벽면의 이곳저곳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나타나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 도안이 그려진 벽면에 영상이 더해지면서 벽면의 그림이 살아서 움직이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10: 벽면 11: 표면부
12: 터치포인트 13: 제1센서
14: 제2센서
21: 제어부 22: 영상출력부
23: 영상선택부 24: 영상조립부
25: 영상위치DB 26:영상위치조절부
27: 배경색제거모듈 31: 프로젝터

Claims (8)

  1.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벽면(10)의 표면에 그림이 그려지는 표면부(11)가 형성되며 표면부(11)의 아래쪽으로는 다수개의 터치포인트(12)가 형성되어 터치포인트(12)는 다수개의 제1센서(13)에 각각 연결이 되어 터치포인트(12)가 터치되는 경우 제1센서(13)의 센싱신호는 제어부(21)로 전달이 되며 제어부(21)는 영상출력부(22)로 하여금 벽면(10)에 미리 지정된 조각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터치포인트(12)는 표면부(11)에 그려지는 도안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금속재의 물질인,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터치 포인트는 표면부(11)에 그려지는 도안과 같은 외곽선을 갖도록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영상선택부(23)는 미리 지정된 조각영상을 선택하며 영상위치조절부(26)는 터치된 터치포인트(12)와 영상위치DB(25)를 참조하여 조각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는,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영상조립부(24)는 선택되어진 영상을 조합하여 표시될 전체 영상을 만들어 영상출력부(22)로 보내도록 하는,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영상출력부(22)는 터치포인트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 움직이지 않는 스틸형태의 조각영상을 송출하도록 하는,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제2센서(14)를 더 포함하는데 제2센서(14)는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대상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관객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소리와 영상을 송출하도록 하는,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배경색제거모듈(27)를 더 포함하여 영상출력부(22)로 보내지기 전의 영상에서 배경색을 제거하여 벽면의 그림과 어울리도록 하는,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80132630A 2018-10-31 2018-10-31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00049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30A KR20200049401A (ko) 2018-10-31 2018-10-31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30A KR20200049401A (ko) 2018-10-31 2018-10-31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01A true KR20200049401A (ko) 2020-05-08

Family

ID=7067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630A KR20200049401A (ko) 2018-10-31 2018-10-31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4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1882A (zh) * 2019-04-12 2019-09-13 深圳全景空间工业有限公司 一种智慧墙及智慧建筑
CN111897455A (zh) * 2020-07-31 2020-11-06 北京服装学院 一种互动触摸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1882A (zh) * 2019-04-12 2019-09-13 深圳全景空间工业有限公司 一种智慧墙及智慧建筑
CN111897455A (zh) * 2020-07-31 2020-11-06 北京服装学院 一种互动触摸墙
CN111897455B (zh) * 2020-07-31 2024-04-02 北京服装学院 一种互动触摸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4267B2 (en) Interactive cont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2331048B1 (ko) 오디오 탐색 지원
CN106468949B (zh) 用于通知对象的虚拟现实头戴装置及其方法
US10565797B2 (en) System and method of enhancing user's immersion in mixed reality mode of display apparatus
US11822708B2 (en) Methods, apparatus, systems, computer programs for enabling consumption of virtual content for mediated reality
KR20170021188A (ko) 객체를 통지하기 위한 가상 현실 헤드셋 및 그의 방법
US20170150108A1 (en) Autostereoscopic Virtual Reality Platform
US8970693B1 (en) Surface modeling with structured light
JP2004081815A5 (ko)
KR20200049401A (ko)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벽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7533184A (zh) 用于增强式佩珀尔幽灵幻像的三维图像源
JP2015125448A (ja) 立体面スクリーン及び立体面画像投影方法並びに立体面表示装置
US7652824B2 (en) System and/or method for combining images
KR101192314B1 (ko) 실감형 3차원 게임 시스템
KR101177793B1 (ko) 입체영상 체험 장치 및 방법
JP2014182332A (ja) サイネージ装置
JP4611416B2 (ja) 教具
EP3534241B1 (en) Method, apparatus, systems, computer programs for enabling mediated reality
US202101818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6118816A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7008539U (zh) 重叠浮空投影互动装置及系统
JP2007323001A (ja) 画像表示装置
JP2016061983A (ja) 投影システム、投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投影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644739B1 (ko) 3d 프린팅 펜을 이용하는 3d 프린팅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TWI624693B (zh) 虛擬實境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