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118A - 선로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선로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118A
KR20200049118A KR1020180132004A KR20180132004A KR20200049118A KR 20200049118 A KR20200049118 A KR 20200049118A KR 1020180132004 A KR1020180132004 A KR 1020180132004A KR 20180132004 A KR20180132004 A KR 20180132004A KR 20200049118 A KR20200049118 A KR 2020004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odule
moving device
electromagne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644B1 (ko
Inventor
홍지영
장승호
김민정
박덕신
이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6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1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placing rails; Moving rails placed on sleepers in the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5/00Applications of measuring apparatus or devices for track-building purposes
    • E01B35/12Applications of measuring apparatus or devices for track-building purposes for measuring movement of the track or of the components thereof under rolling loads, e.g. depression of sleepers, increase of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에 거치되는 몸체부;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센서모듈을 상기 레일의 원하는 지점에 부착하고 회수하는 모듈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로이동장치{Railway Line Moving Device}
본 발명은 선로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railway line)라 함은 노반, 궤도, 교량, 터널은 물론 역의 시설과 신호설비 및 전기운전을 하는 경우의 전차선로까지 포함하여 열차가 운행되는데 사용되는 통로로서 필요한 일체의 설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선로는 열차가 항시 최적의 상태에서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열차 운행의 정시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일정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혹은 이상 발견시마다 유지보수는 물론 열차 운행감시, 궤도 또는 시설물의 상태감시, 선로 환경정보 검측 등이 이루어진다.
작업자가 선로변에서 선로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당해 선로의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부터 전방 혹은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장소에 감시자를 배치하고, 열차의 진입시 그 감시자가 열차의 진입을 확인하여 깃발, 경광등, 호루라기, 확성기 혹은 무전기 등을 이용하여 선로변 작업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선로변 작업자는 수행중이던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미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감시자에 의해 열차의 진입을 감지 및 경고하게 되면, 선로의 유지보수에 힘써야 할 작업자 중 1인 이상을 감시자로 이용해야 하므로, 인력의 낭비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감시자의 감시소홀이나, 열차 진입 감지의 오류, 혹은 열차 진입 감시의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로변 작업자가 미리 대피하지 못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주변 소음이 심한 장소나 야간 시 등에 더욱 심각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로, 터널, 교량 등 궤도 구조물의 상태 감시를 위해 작업자가 선로 위를 도보로 또는 궤도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선로 환경정보 검측센서를 레일 면에 부착하고 측정이 완료된 후 탈거하게 되는데, 궤도 작업차량은 차량의 규모가 크고 소규모 작업에 활용하기 어려우며, 운영비용이 매우 큰 단점이 있어,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특히 야간이나 곡선부, 지하터널, 교량 등 위험한 선로 환경에서의 감시활동은 작업자의 안전에 매우 큰 위협이 될 수 있고, 열차로 인한 사고뿐만 아니라, 낙상 등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수 많은 연구 및 개발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진입하기 위험한 선로, 터널, 교량 등에 투입하여 열차 운행감시 및 궤도 또는 시설물의 상태감시, 선로 환경정보 검측 등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로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로이동장치는, 레일에 거치되는 몸체부;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센서모듈을 상기 레일의 원하는 지점에 부착하고 회수하는 모듈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장애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는, 이동 중에 장애물 감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상기 이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거나, 장애물 감지 정보를 상기 이동부로 전송하여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 올 수 있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폭에 대응되는 폭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경계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경사플레이트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레일의 양측에 접촉되는 메인휠;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메인휠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휠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경사플레이트에 각각 장착되되, 상기 메인휠과 동일한 선상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며, 자유 회전하는 가이드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착탈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각각의 전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박스를 작동시키는 착탈모터;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전자석모듈; 및 상기 기어박스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면서 상기 전자석모듈을 상기 레일에 부착하거나 회수하는 집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폭에 대응되는 폭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는 전후방휠; 및 상기 전후방휠 각각과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전후방휠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착탈부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플레이트 전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후방 상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기어박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박스를 작동시키는 착탈모터;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전자석모듈; 및 상기 기어박스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면서 상기 전자석모듈을 상기 레일에 부착하거나 회수하는 집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석모듈은, 배터리가 내제되며, 전류를 온/오프 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류가 흐를 때 자기화되는 전자석부; 및 상기 전원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집게에 잡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집게에 잡혔을 때는 전류가 오프 되어 상기 전자석부가 자기화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집게로부터 이탈되었을 때는 전류가 온 되어 상기 전자석부가 자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로이동장치는, 원격으로 이동하여 다용도의 센서모듈을 레일의 원하는 지점에 부착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시자 배치 없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접근하기 쉽지 않은 곳에도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로이동장치는, 소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로이동장치는, 열차의 바퀴나 궤도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도록 제작된 센서모듈을 레일의 원하는 지점에 부착한 후 레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열차 운행 시에도 부착된 센서모듈을 통해 감시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를 레일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센서모듈을 레일에 부착 또는 회수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를 레일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센서모듈을 레일에 부착 또는 회수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1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며,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에 의해 원격으로 그 작동이 제어되어 센서모듈(30)을 장착한 상태에서 레일(R)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구간의 시작 지점 및/또는 끝 지점에서 센서모듈(30)을 레일(R)에 부착하고, 부착된 센서모듈(30)을 출발 지점으로 회수하는 배달형 이송장치라 할 수 있다.
선로이동장치(10)는, 센서모듈(30)을 레일(R)에 부착한 후 레일(R)로부터 제거하여 안전한 곳에 보관할 수 있고, 회수 시에는 레일(R)에 다시 설치하여 센서모듈(30)을 회수할 수 있으며, 몸체부(11), 이동부(12), 모듈착탈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모듈(30)은, 열차 운행감시, 터널과 교량 등의 궤도 및 시설물의 상태감시, 선로 환경정보 검측 등에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수집된 현재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30)은, 모듈착탈부(13)의 전자석모듈(134)에 연결되어 레일(R)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레일(R)의 두부 또는 웹 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열차의 바퀴나 궤도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서모듈(30)은 열차 운행 중에도 레일(R)에 부착된 상태로 감시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로이동장치(10)가 센서모듈(30)을 이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선로이동장치(10)는 상기한 센서모듈(30)뿐만 아니라 조명모듈, 음향모듈 등 다양한 기능의 모듈 또한 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써, 열차 통과시 소음, 진동, 미세먼지, 유해가스, 분진, 레일 표면 온도 등 다양하게 측정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댐퍼, 궤도 체결장치 등의 궤도 구조물이 설치되는 레일(R)의 하단이나 측면에 설치된 기타 시설과의 간섭이 없도록 레일(R)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12) 및 모듈착탈부(13)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1)는, 메인플레이트(111), 가이드플레이트(112), 장애물감지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111)는, 레일(R)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플레이트(1111), 경사플레이트(1112)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1111)는, 레일(R)의 폭에 대응되는 폭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1111)의 전후방에는, 장애물감지센서(113)가 장착될 수 있다.
경사플레이트(1112)는, 수평플레이트(1111)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12)의 메인휠(122) 및 가이드휠(123)이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경사플레이트(1112)의 경사각도는, 메인휠(122) 및 가이드휠(123)이 레일(R)의 두부에 접촉되어 선로이동장치(10)가 레일(R)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또한, 메인플레이트(111)가 레일(R)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메인플레이트(111)에 의한 마찰저항이 없도록 하는 정도이면 된다.
가이드플레이트(112)는, 몸체부(11)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인플레이트(111)의 수평플레이트(1111)와 경사플레이트(1112)의 경계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선로이동장치(10)가 레일(R)에 설치되어 이동할 때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플레이트(112) 각각은, 선로이동장치(10)가 레일(R)을 따라 이동할 때 레일(R)의 두부 측면과 접촉될 수 있는데, 이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측면을 마찰력이 작은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112)의 전후방 각각에는 모듈착탈부(13)가 장착될 수 있다.
장애물감지센서(113)는, 몸체부(1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인플레이트(111)의 수평플레이트(1111)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작업자의 단말기 및/또는 이동부(12)의 드라이브모터(121)와 무선통신 하여 장애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애물감지센서(113)는, 선로이동장치(10)가 작업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끝 지점으로 가는 도중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작업자의 단말기로 그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가 드라이브모터(12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장애물감지센서(113)는, 선로이동장치(10)가 작업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끝 지점으로 가는 도중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그 정보를 드라이브모터(121)로 전송하여 선로이동장치(10)가 자동으로 작업자가 있는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12)는, 몸체부(11)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원격으로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선로이동장치(10)가 레일(R)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동부(12)는, 드라이브모터(121), 메인휠(122), 가이드휠(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라이브모터(121)는, 메인휠(122)에 연결되어 몸체부(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휠(122)이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드라이브모터(121) 각각은,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원격으로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모터(121) 각각은, 몸체부(11)에 마련되는 장애물감지센서(113)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장애물 정보에 따라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드라이브모터(121) 각각은, 센서모듈(30)을 레일(R)에 설치하기 위해 선로이동장치(10)가 작업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끝 지점으로 가는 도중에,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멈추거나 작업자가 있는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게 작동될 수 있으며, 또한 장애물감지센서(113)로부터 직접 장애물 감지 정보가 수신되면, 선로이동장치(10)가 작업자가 있는 출발 지점으로 자동으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메인휠(122)은, 몸체부(11)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인플레이트(111)의 양측면에 형성된 경사플레이트(1112)에 각각 장착되고, 드라이브모터(121)에 연결되어 드라이브모터(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선로이동장치(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휠(122) 각각은, 경사플레이트(1112)의 전방 또는 후방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나, 주행력이 선로이동장치(10)의 모든 부분에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경사플레이트(1112)의 중간 부분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메인휠(122) 각각은, 선로이동장치(10)를 레일(R)에 설치했을 때, 레일(R)의 두부에 접촉, 구체적으로는 레일(R)의 두부를 이루는 상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휠(122) 각각은, 가이드휠(123)과 함께 몸체부(11)가 레일(R)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휠(123)은, 몸체부(11)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인플레이트(111)의 양측면에 형성된 경사플레이트(1112)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휠(123) 각각은, 메인휠(122) 각각과 동일한 선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메인휠(122) 각각이 경사플레이트(1112)의 전방 또는 후방 부분에 마련될 경우, 이와 반대쪽인 경사플레이트(1112)의 후방 또는 전방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메인휠(122) 각각이 경사플레이트(1112)의 중간 부분에 마련될 경우 경사플레이트(1112)의 전방 및 후방 부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휠(123) 각각은, 메인휠(122) 각각과 마찬가지로 선로이동장치(10)를 레일(R)에 설치했을 때, 레일(R)의 두부에 접촉, 구체적으로는 레일(R)의 두부를 이루는 상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휠(123)은, 드라이브모터(121)에 연결된 메인휠(122)의 회전력에 의해 선로이동장치(10)가 이동할 때 자유 회전하면서 메인휠(122)과 함께 몸체부(11)가 레일(R)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메인휠(122)은 드라이브모터(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휠이라 할 수 있고, 가이드휠(123)은 외력에 의해 자유 회전하는 유동휠이라 할 수 있다.
모듈착탈부(13), 몸체부(1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몸체부(11)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112) 각각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즉, 모듈착탈부(13)는, 몸체부(11)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112)의 전후방과, 몸체부(11)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112)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여러 개의 센서모듈(30)을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모듈착탈부(13) 각각은, 센서모듈(30)을 레일(R)의 원하는 지점, 예를 들어 작업구간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 부착하고, 센서모듈(30)을 출발 지점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착탈모터(131), 기어박스(132), 집게(133), 전자석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모터(131)는, 기어박스(13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기어박스(132)를 작동시켜 집게(133)가 센서모듈(30)에 연결된 전자석모듈(134)을 레일(R)에 부착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어박스(132)는, 가이드플레이트(112) 각각의 전후방 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착탈모터(1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집게(133)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집게(133)는, 전자석모듈(134)을 잡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박스(132)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면서 전자석모듈(134)을 레일(R)에 부착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석모듈(134)은, 다양하게 마련되는 센서모듈(30)과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센서모듈(30)이 연결된 상태에서 레일(R)에 부착될 수 있다.
전자석모듈(134)은, 배터리가 내제되어 있으며, 전류를 온/오프 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부와, 전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류가 흐를 때 자기화되는 전자석부와, 전원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센서모듈(30)과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원부는 집게(133)에 잡히는 부분으로서, 집게(133)에 잡혔을 때는 전류가 오프 되도록 하여 전자석부가 자기화되지 않도록 하고, 집게(133)로부터 이탈되었을 때는 전류가 온 되도록 하여 전자석부가 자기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센서모듈(30)을 레일(R)에 설치하기 위해 선로이동장치(10)가 작업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끝 지점으로 가는 도중 또는 센서모듈(30)을 회수하여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 오는 도중에는 전자석모듈이 자성을 띄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로이동장치(2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며,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에 의해 원격으로 그 작동이 제어되어 센서모듈(30)을 장착한 상태에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구간의 시작 지점 및/또는 끝 지점에서 센서모듈(30)을 레일에 부착하고, 부착된 센서모듈(30)을 출발 지점으로 회수하는 배달형 이송장치라 할 수 있다.
선로이동장치(20)는, 센서모듈(30)을 레일에 부착한 후 레일로부터 제거하여 안전한 곳에 보관할 수 있고, 회수 시에는 레일에 다시 설치하여 센서모듈(30)을 회수할 수 있으며, 몸체부(21), 이동부(22), 모듈착탈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모듈(30)은, 열차 운행감시, 터널과 교량 등의 궤도 및 시설물의 상태감시, 선로 환경정보 검측 등에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수집된 현재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센서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몸체부(21), 댐퍼, 궤도 체결장치 등의 궤도 구조물이 설치되는 레일의 하단이나 측면에 설치된 기타 시설과의 간섭이 없도록 레일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22) 및 모듈착탈부(23)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21)는, 메인플레이트(211), 가이드플레이트(212), 장애물감지센서(2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211)는, 레일의 폭에 대응되는 폭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211)의 전후방에는, 장애물감지센서(213) 및 이동부(22)가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212)는, 메인플레이트(211)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선로이동장치(20)가 레일에 설치되어 이동할 때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플레이트(212) 각각은, 선로이동장치(2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레일의 두부 측면과 접촉될 수 있는데, 이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측면을 마찰력이 작은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212)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일측면 전후방 각각에는 모듈착탈부(23)의 기어박스(232) 및 집게(233)가 장착될 수 있다.
장애물감지센서(213)는, 몸체부(2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인플레이트(21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작업자의 단말기 및/또는 이동부(22)의 드라이브모터(221)와 무선통신 하여 장애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물감지센서(21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장애물감지센서(113)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부(22)는, 몸체부(21)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원격으로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선로이동장치(20)가 레일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22)는, 드라이브모터(221), 전후방휠(222), 구동벨트(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라이브모터(221)는, 몸체부(21)의 메인플레이트(211)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벨트(223)에 의해 연결되는 전후방휠(222) 각각이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드라이브모터(221)는,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원격으로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모터(221)는, 몸체부(21)에 마련되는 장애물감지센서(213)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장애물 정보에 따라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드라이브모터(121)는, 센서모듈(30)을 레일에 설치하기 위해 선로이동장치(20)가 작업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끝 지점으로 가는 도중에,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멈추거나 작업자가 있는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게 작동될 수 있으며, 또한 장애물감지센서(213)로부터 장애물 감지 정보가 수신되면, 선로이동장치(20)가 작업자가 있는 출발 지점으로 자동으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전후방휠(222)은, 몸체부(2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인플레이트(21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고, 드라이브모터(221)와 구동벨트(223)에 의해 연결되어 드라이브모터(2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선로이동장치(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전후방휠(222)은, 선로이동장치(20)를 레일에 설치했을 때, 레일의 두부 상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모듈착탈부(23), 몸체부(21)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모듈착탈부(23) 각각은, 센서모듈(30)을 레일의 원하는 지점에 부착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착탈모터(231), 기어박스(232), 집게(233), 전자석모듈(234)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모터(231)는, 메인플레이트(211)의 전후방 상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기어박스(232)에 연결될 수 있다. 착탈모터(231)는, 기어박스(232)를 작동시켜 집게(233)가 센서모듈(30)에 연결된 전자석모듈(234)을 레일에 부착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어박스(232)는, 착탈모터(231)에 연결된 상태로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212)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플레이트 전후방 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착탈모터(2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집게(233)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집게(233)는, 전자석모듈(234)을 잡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박스(232)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면서 전자석모듈(234)을 레일에 부착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석모듈(234)은, 다양하게 마련되는 센서모듈(30)과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센서모듈(30)이 연결된 상태에서 레일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모듈(23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석모듈(134)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로이동장치(10, 20)는, 원격으로 이동하여 다용도의 센서모듈(30)을 레일(R)의 원하는 지점에 부착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시자 배치 없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접근하기 쉽지 않은 곳에도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선로이동장치(10, 20)는, 소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선로이동장치(10, 20)는, 열차의 바퀴나 궤도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도록 제작된 센서모듈(30)을 레일(R)의 원하는 지점에 부착한 후 레일(R)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열차 운행 시에도 부착된 센서모듈(30)을 통해 감시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선로이동장치 11: 몸체부
111: 메인플레이트 1111: 수평플레이트
1112: 경사플레이트 112: 가이드플레이트
113: 장애물감지센서 12: 이동부
121: 드라이브모터 122: 메인휠
123: 가이드휠 13: 모듈착탈부
131: 착탈모터 132: 기어박스
133: 집게 134: 전자석모듈
20: 선로이동장치 21: 몸체부
211: 메인플레이트 212: 가이드플레이트
213: 장애물감지센서 22: 이동부
221: 드라이브모터 222: 전후방휠
223: 구동벨트 23: 모듈착탈부
231: 착탈모터 232: 기어박스
233: 집게 234: 전자석모듈
30: 센서모듈 R: 레일

Claims (11)

  1. 레일에 거치되는 몸체부;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센서모듈을 상기 레일의 원하는 지점에 부착하고 회수하는 모듈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장애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는,
    이동 중에 장애물 감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상기 이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거나, 장애물 감지 정보를 상기 이동부로 전송하여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 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폭에 대응되는 폭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경계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경사플레이트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레일의 양측에 접촉되는 메인휠;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메인휠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휠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경사플레이트에 각각 장착되되, 상기 메인휠과 동일한 선상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며, 자유 회전하는 가이드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착탈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각각의 전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박스를 작동시키는 착탈모터;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전자석모듈; 및
    상기 기어박스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면서 상기 전자석모듈을 상기 레일에 부착하거나 회수하는 집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폭에 대응되는 폭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면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는 전후방휠; 및
    상기 전후방휠 각각과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전후방휠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착탈부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플레이트 전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전후방 상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기어박스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박스를 작동시키는 착탈모터;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전자석모듈; 및
    상기 기어박스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면서 상기 전자석모듈을 상기 레일에 부착하거나 회수하는 집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모듈은,
    배터리가 내제되며,
    전류를 온/오프 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류가 흐를 때 자기화되는 전자석부; 및
    상기 전원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집게에 잡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집게에 잡혔을 때는 전류가 오프 되어 상기 전자석부가 자기화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집게로부터 이탈되었을 때는 전류가 온 되어 상기 전자석부가 자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이동장치.
KR1020180132004A 2018-10-31 2018-10-31 선로이동장치 KR10223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004A KR102230644B1 (ko) 2018-10-31 2018-10-31 선로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004A KR102230644B1 (ko) 2018-10-31 2018-10-31 선로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118A true KR20200049118A (ko) 2020-05-08
KR102230644B1 KR102230644B1 (ko) 2021-03-23

Family

ID=7067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004A KR102230644B1 (ko) 2018-10-31 2018-10-31 선로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5692A (zh) * 2020-09-28 2021-01-08 广州市鼎隆机电安装有限公司 一种城市有轨电车轨道辅装设备
CN115027512A (zh) * 2022-06-24 2022-09-09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顺德检测院 一种轨道智能检测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16B1 (ko) * 2006-08-18 2007-05-28 한국철도공사 스프링 체결장치
JP2016037808A (ja) * 2014-08-08 2016-03-22 株式会社ExH 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16B1 (ko) * 2006-08-18 2007-05-28 한국철도공사 스프링 체결장치
JP2016037808A (ja) * 2014-08-08 2016-03-22 株式会社ExH 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5692A (zh) * 2020-09-28 2021-01-08 广州市鼎隆机电安装有限公司 一种城市有轨电车轨道辅装设备
CN115027512A (zh) * 2022-06-24 2022-09-09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顺德检测院 一种轨道智能检测机器人
CN115027512B (zh) * 2022-06-24 2023-11-28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顺德检测院 一种轨道智能检测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644B1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02865A1 (en) Automated track inspection system
US9090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dragging equipment
CN201440300U (zh) 超高自动监测系统
CN111005272B (zh) 一种基于悬挂式磁悬浮轨道交通系统的轨道维护设备
CN105108728A (zh) 一种专用于变电站电缆沟的巡检机器人
CN104898671A (zh) 一种带清障功能的轨道式矿用输送机自动巡检小车
JP2009504501A5 (ko)
KR102230644B1 (ko) 선로이동장치
JP4931377B2 (ja) 列車管理システム
US10136106B2 (en) Train asset tracking based on captured images
KR101939164B1 (ko) 자율주행대차를 이용한 레일온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46982A1 (en) Improved safety system for railroad personnel
US11485394B2 (en) Vehicle flashover detection system
ZA200604728B (en) Rail-guided transport system
CN214335794U (zh) 驱动装置和巡检装置
ES2792448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inspeccionar el bastidor inferior de un vehículo ferroviario
CN110481594A (zh) 一种轨道扣件检修设备及其检修方法
CN101121411A (zh) 铁路轨道检视车及其在铁路安全行车中的应用
JP6438691B2 (ja) 軌道検査装置および軌道検査システム
WO2013146429A1 (ja) 列車制御システム
KR101663789B1 (ko) 진동분석에 의한 위험예측용 차량 운행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69531B1 (ko) 선로이동장치
KR20190056804A (ko) 자율운행체를 이용한 도시철도 안전운행 시스템
CN204576260U (zh) 一种仓库安监机器人
KR101249946B1 (ko) 전기식 선로 순회차 및 이를 이용한 선로 점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