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824A - 이관 삽입 기구 - Google Patents

이관 삽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824A
KR20200048824A KR1020180131352A KR20180131352A KR20200048824A KR 20200048824 A KR20200048824 A KR 20200048824A KR 1020180131352 A KR1020180131352 A KR 1020180131352A KR 20180131352 A KR20180131352 A KR 20180131352A KR 20200048824 A KR20200048824 A KR 20200048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head
eustachian tube
tail part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수근
최성원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824A/ko
Priority to PCT/KR2019/010250 priority patent/WO2020091202A1/ko
Publication of KR2020004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08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cluding an inner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002/183Ear parts
    • A61F2011/08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관에 삽입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관이 때때로 또는 지속적으로 열리게 되는 장애인 이관개방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이관 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이관 삽입 기구는 확장된 이관에 삽입되고 단면이 타원형으로 마련된 꼬리부; 상기 꼬리부에서 두 관으로 나뉘고 상기 두 관이 10 내지 20°의 각도로 마련되어 상기 꼬리부가 삽입 후 상기 이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련된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두 관에서 연장되어 수평으로 꺾여 걸림이 형성되는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며, 상기 꼬리부는 고막 절개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꼬리부는 상기 머리부와 연결된 일단부의 단면과 타단부의 단면의 길이비가 2.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무기물 또는 금속류가 포함되어 표식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항생제가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스테로이드가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관 삽입 기구{EUSTACHIAN TUBE PLUG DEVICE}
본 발명은 이관에 삽입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관이 때때로 또는 지속적으로 열리게 되는 장애인 이관개방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이관 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관개방증은 이관이 때때로 지속적으로 열리게 되는 신체 장애 증상으로, 자가공명을 경험하게 되는데 자기 말이 울림과 더불어 체내의 소리를 듣게 된다. 심한 경우 환자의 모든 숨소리, 말소리, 삼키는 소리, 심장박동 소리 등 정상인에게는 들리지 않는 소리가 환자에게는 머리 위에 양동이를 뒤집어 쓴 듯한 음향효과(Bucket on the head effect)를 발생시키며 직접 고막을 진동시킨다.
이관개방증 환자들의 증상은 일과성부터 일상생활에 지장이 큰 경우까지 다양하다. 임신 기간 중 발생한 일과성 증상은 출산 후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과도한 다이어트로 갑자기 체중이 감소한 경우는 체중이 회복되면서 증상이 사라질 수 있다. 이런 일과성 증상이 아닌 경우에는 환자의 사회적 활동에 현저한 장해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는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도해야 한다.
현재까지 이관개방증의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뉜다. 상기 내과적 치료는 이관의 코인두 입구 점막이 부종을 일으키는 에스트로겐 제제인 Premarin 비액, SSKI(saturated solution of potassium iodide), 아트로핀의 항콜린성분 등을 코에 점적하거나 비강 식염수 점적으로 이관의 코인두 입구 점막의 부종 생성을 통해 초기 치료로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직접적인 치료로 외과적 치료는 고막 절개와 환기관 삽입, 고막 강성증가, 이관 코인두 입구부 주입, 코인두 이관 입구 카테터 삽입, 중이내 이관 입구 플러그 혹은 카테터 삽입, 구개범장근전위 및 날개갈고리 절제, 이관폐쇄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상기 고막 절개와 환기관 삽입은 중이 압력, 고막의 움직임 변화에 대한 증상 완화에 국한되며 자가강청에 대한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상기 고막 강성증가는 이관개방증의 주관적 증상의 완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보고되며, 상기 이관 코인두 입구부 주입은 어려운 시술 방법에 비해 증상 호전율이 높지 않다. 또한, 상기 코인두 이관 입구 카테터 삽입은 카테터의 자연 탈출 가능성이 높으며, 상기 구개범장근전위 및 날개갈고리 절제는 절제 시술이 필요하며, 상기 이관폐쇄는 이관개방증의 증상을 완전히 없앨 수 있지만, 영구적인 환기관 삽입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중이내 이관 입구 플러그 혹은 카테터 삽입 기술에 사용할 수 있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7858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중이내 이관 입구 플러그 혹은 카테터 삽입 기술에 사용할 수 있고, 이관 내에 삽입하여 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재채기 또는 움직임에도 이관에서 미끄러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걸림부가 마련된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관개방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되 이관내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는 가장 효과적인 크기의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관 내 삽입되어 엑스레이에 보일 수 있는 물질이 표면에 도포되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이관 삽입 기구는 확장된 이관에 삽입되고 단면이 타원형으로 마련된 꼬리부; 상기 꼬리부에서 두 관으로 나뉘고 상기 두 관이 10 내지 20°의 각도로 마련되어 상기 꼬리부가 삽입 후 상기 이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련된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두 관에서 연장되어 수평으로 꺾여 걸림이 형성되는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며, 상기 꼬리부는 고막 절개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꼬리부는 상기 머리부와 연결된 일단부의 단면과 타단부의 단면의 길이비가 2.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무기물 또는 금속류가 포함되어 표식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항생제가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스테로이드가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중이내 이관 입구 플러그 혹은 카테터 삽입 기술에 사용할 수 있고, 이관 내에 삽입하여 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재채기 또는 움직임에도 이관에서 미끄러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걸림부가 마련된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관개방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되 이관내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는 가장 효과적인 크기의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관 내 삽입되어 엑스레이에 보일 수 있는 물질이 표면에 도포되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항생제가 표면에 도포되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스테로이드가 표면에 코팅된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중이내 이관 입구 플러그 혹은 카테터 삽입 기술에 의해 이관 삽입 기구가 시술 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이관 삽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이관 삽입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의 일실시예로, 꼬리부에서 머리부와 연결된 일단부의 단면과 타단부의 단면의 길이비가 1.5 : 1.0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의 일실시예로, 꼬리부에서 머리부와 연결된 일단부의 단면과 타단부의 단면의 길이비가 2.0 : 1.0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의 일실시예로, 꼬리부에서 머리부와 연결된 일단부의 단면과 타단부의 단면의 길이비가 2.0 : 1.5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의 일실시예로, 꼬리부에서 머리부와 연결된 일단부의 단면과 타단부의 단면의 길이비가 2.5 : 2.0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꼬리부의 단면 모양을 다양하게 제작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꼬리부, 머리부 및 걸림부로 구성된다.
상기 꼬리부는 확장된 이관에 삽입되고 단면이 타원형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꼬리부는 말단으로 갈수록 휘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관에 삽입되었을 때 일부 걸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는 상기 꼬리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마련하되 상기 꼬리부에서 두 관으로 나뉘고 상기 두 관이 10 내지 20°의 각도로 마련되어 상기 꼬리부가 삽입 후 상기 이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련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꼬리부에서 상기 머리부의 이음부는 단차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머리부의 두 관이 벌어질 때 상기 꼬리부에 영향을 주거나 같이 벌어지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는 상기 이관의 골부에 걸려 이관 삽입 기구가 빠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의 두 관이 10 내지 20°의 각도로 마련된다. 상기 두 관의 사이 각도가 10° 미만인 경우 상기 머리부가 상기 골부에 걸리지 않고 미끄러질 우려가 있고, 상기 두 관의 사이 각도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관의 골부를 너무 벌어지게 하여 이관을 축소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머리부의 두 관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평으로 꺾여 걸림이 형성된다. 도 1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상기 걸림부는 수평으로 꺾여 있어 상기 이관에서 골부에 더욱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꼬리부는 고막 절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꼬리부가 먼저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가 상기 이관의 골부에 걸리고, 상기 걸림부가 내이의 골부에 더욱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는 실리콘 화합물로 제조하고 구체적으로 옥타메틸시클로실록산(Ocatmethylcyclosiloxane)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비중은 1.14±0.05, 경도는 60(JIS A), 인장은 78(kgf/㎠), 신장은 275(%)으로 마련되어 내이의 삽입되었을 때 환자의 움직임이나 재채기, 기침, 하품 등에 의해 상기 내이가 손상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의 세로 길이는 4(mm)이고, 상기 머리부의 길이는 5(mm) 및 상기 꼬리부의 길이는 18(mm)로,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 전체의 가로 길이는 2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의 세로 길이는 4(mm)이고, 상기 꼬리부에서 상기 머리부가 연장된 일단부는 2(mm)이고 상기 꼬리부의 타단부는 1(mm)로 제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상기 꼬리부는 상기 머리부와 연결된 일단부의 단면과 타단부의 단면의 길이비가 2.0 :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관 삽입 기구는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무기물 또는 금속류가 포함되어 표식부가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식부는 엑스레이(X-ray)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비정질 셀레니움, Hg, PbO, CdTe, CdS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식부는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가 제조될 때 상기 실리콘 화합물과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가 제조된 후 표면에 도포되거나 밴드로 붙이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항생제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항생제는 이과 영역에서 중이 내에 점적 가능한 물질로 사용가능한 오플록사신(ofloxaci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생제는 상기 표식부와 같이 상기 실리콘 화합물과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가 제조된 후 표면에 도포되거나 밴드로 붙이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이관 삽입 기구는 실리콘 혼합물로 제조되어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에 상기 항생제가 코팅되어 있어 외이에 존재하던 세균들이 내이에 들어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스테로이드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히드로코티솔(hydrocortisone)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상기 항생제와 상기 표식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실리콘 화합물과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가 제조된 후 표면에 도포되거나 밴드로 붙이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테로이드는 상기 이관 내부에서 이물 반응을 줄여준다.
하기에는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여 이관에 삽입 후 유지가 가장 용이한 형태를 확인하고자 한다.
1) 꼬리부의 크기비율
도 4 내지 도 7의 크기 및 형상으로 이관 삽입 기구를 제조하였다.
제1 실시예(도 4)로 상기 걸림부의 세로 길이는 4(mm)이고, 상기 머리부의 길이는 5(mm) 및 상기 꼬리부의 길이는 18(mm)로,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 전체의 가로 길이는 23(mm)로 제조하되, 상기 꼬리부에서 상기 머리부가 연장된 일단부는 1.5(mm)이고 상기 꼬리부의 타단부는 1(mm)로 제조되었다.
제2 실시예(도 5)로 상기 걸림부의 세로 길이는 4(mm)이고, 상기 머리부의 길이는 5(mm) 및 상기 꼬리부의 길이는 18(mm)로,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 전체의 가로 길이는 23(mm)로 제조하되, 상기 꼬리부에서 상기 머리부가 연장된 일단부는 2.0(mm)이고 상기 꼬리부의 타단부는 1(mm)로 제조되었다.
제3 실시예(도 6)로 상기 걸림부의 세로 길이는 4(mm)이고, 상기 머리부의 길이는 5(mm) 및 상기 꼬리부의 길이는 18(mm)로,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 전체의 가로 길이는 23(mm)로 제조하되, 상기 꼬리부에서 상기 머리부가 연장된 일단부는 2.0(mm)이고 상기 꼬리부의 타단부는 1.5(mm)로 제조되었다.
제4 실시예(도 7)로 상기 걸림부의 세로 길이는 4(mm)이고, 상기 머리부의 길이는 5(mm) 및 상기 꼬리부의 길이는 18(mm)로,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 전체의 가로 길이는 23(mm)로 제조하되, 상기 꼬리부에서 상기 머리부가 연장된 일단부는 2.5(mm)이고 상기 꼬리부의 타단부는 2.0(mm)로 제조되었다.
제1 실시예(도 4)에 의해 제조된 이관 삽입 기구는 상기 꼬리부의 일단부가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상기 머리부가 좁아지게 되어 상기 이관의 골부에 걸림이 형성되기 어려워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고, 상대적으로 상기 꼬리부의 타단부가 넓어 상기 이관에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약해져 환자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2 실시예(도 5)에 의해 제조된 이관 삽입 기구는 상기 꼬리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상대적인 비율을 가장 잘 만족하는 형태로, 상기 머리부의 걸림 형성이 가장 자연스럽고, 상기 이관에 출입하는 공기가 가장 유동하기 용이하여 이관개방증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제3 실시예(도 5)에 의해 제조된 이관 삽입 기구는 상기 꼬리부의 타단부가 상대적으로 넓어지면서 상기 이관에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약해져 환자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4 실시예(도 6)에 의해 제조된 이관 삽입 기구는 상기 꼬리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크기가 너무 넓어 상기 이관에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약해져 환자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2 실시예(도 5)로 제조된 이관 삽입 기구가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2) 꼬리부의 단면 모양
도 8(a) 내지 (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이관 삽입 기구 꼬리부의 단면 모양을 다양하게 제조하여 이관에 삽입 후 유지가 가장 용이한 형태를 확인하였다.
(a)의 경우 단면이 타원형으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이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타원형의 일부가 상기 이관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관 삽입 기구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이관개방증 환자에게 가장 적합하였다.
(b)의 경우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이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원형의 어느 면도 이관에 맞닿지 않고 저항성이 없었고, 이관 내의 공기 흐름을 너무 많게 하여 이관개방증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의 경우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직사각형의 모서리 때문에 이관에 삽입이 매우 불편하고 이관 내의 공기 흐름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여 이관개방증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d)의 경우 단면이 직사각형이되 모서리가 부드럽게 마련된 것으로, 상기 (c) 형태 보다는 용이하게 이관에 삽입되었으나 상기 (c)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관 내의 공기 흐름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여 이관개방증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의 경우 단면이 삼각형태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삼각형의 모서리 때문에 이관에 삽입이 매우 불편하고 이관 내의 공기 흐름을 너무 많게 하여 이관개방증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꼬리부의 단면은 원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중이내 이관 입구 플러그 혹은 카테터 삽입 기술에 사용할 수 있고, 이관 내에 삽입하여 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재채기 또는 움직임에도 이관에서 미끄러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걸림부가 마련된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관개방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되 이관내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는 가장 효과적인 크기의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관 내 삽입되어 엑스레이에 보일 수 있는 물질이 표면에 도포되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항생제가 표면에 도포되는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스테로이드가 표면에 코팅된 이관 삽입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10. 걸림부
20. 머리부
30. 꼬리부

Claims (5)

  1. 확장된 이관에 삽입되고 단면이 타원형으로 마련된 꼬리부;
    상기 꼬리부에서 두 관으로 나뉘고 상기 두 관이 10 내지 20°의 각도로 마련되어 상기 꼬리부가 삽입 후 상기 이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련된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두 관에서 연장되어 수평으로 꺾여 걸림이 형성되는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며,
    상기 꼬리부는 고막 절개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 축소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부는,
    상기 머리부와 연결된 일단부의 단면과 타단부의 단면의 길이비가 2.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 삽입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무기물 또는 금속류가 포함되어 표식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 삽입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항생제가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 삽입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머리부 및 꼬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스테로이드가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 삽입 기구.
KR1020180131352A 2018-10-30 2018-10-30 이관 삽입 기구 KR20200048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52A KR20200048824A (ko) 2018-10-30 2018-10-30 이관 삽입 기구
PCT/KR2019/010250 WO2020091202A1 (ko) 2018-10-30 2019-08-13 이관 삽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52A KR20200048824A (ko) 2018-10-30 2018-10-30 이관 삽입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78A Division KR102209183B1 (ko) 2020-07-31 2020-07-31 이관 삽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24A true KR20200048824A (ko) 2020-05-08

Family

ID=7046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352A KR20200048824A (ko) 2018-10-30 2018-10-30 이관 삽입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48824A (ko)
WO (1) WO202009120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588A (ko)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용손 방지용 주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09186B2 (en) * 1975-08-14 1980-04-24 Vitek Inc. Surgical implant
US4015607A (en) * 1976-01-23 1977-04-05 Wright Iii J William Eustachian tube prosthesis and method for its implantion
JP2002224157A (ja) * 2001-02-06 2002-08-13 Koken Co Ltd 耳管ピン
AU2013232514A1 (en) * 2012-03-15 2014-09-04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Accessory device for inner ear drug delivery
CN206453901U (zh) * 2016-11-14 2017-09-01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咽鼓管障碍治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588A (ko)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용손 방지용 주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202A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64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non-ventilating middle ear by providing a gas pathway through the nasopharynx
US6004342A (en) Nasal insert device for improving breathing
US4015607A (en) Eustachian tube prosthesis and method for its implantion
US10383759B2 (en) Cuspid and first bi-cuspid bite retainer for sleep apnea
US3721233A (en) T-shaped tracheal stent
KR102084146B1 (ko) 이관 기능부전 치료를 위한 이관 내 삽입 스텐트
US2005016692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upper airway obstructions
US20190167464A1 (en) Nasal dilator apparatus
EP2273957B1 (de) Antischnarchvorrichtung
US201303039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non-ventilating middle ear by providing a gas pathway through the nasopharynx
JP7177553B2 (ja) いびき防止装置
JP2019097904A (ja) 睡眠時呼吸確保用チューブ
EP1715825A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upper airway obstructions
Yules Current concepts of treatment of ear disease in cleft palate children and adults
KR20200048824A (ko) 이관 삽입 기구
KR102209183B1 (ko) 이관 삽입 기구
KR102425009B1 (ko) 가이드카테터 적용이 가능한 이관 삽입용 카테터
US20180193181A1 (en) Nasal device to increase airflow
JPWO2005082303A1 (ja) 埋め込み式人工耳管
US9867734B2 (en) Device for reducing snoring
JP5992922B2 (ja) 耳管鼓膜チューブ
KR200442820Y1 (ko) 눈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눈물관
JP2002224157A (ja) 耳管ピン
US20220323248A1 (en) Intranasal splint comprising angled wing structure
US20170080171A1 (en) Airw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