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270A -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270A
KR20200048270A KR1020180130173A KR20180130173A KR20200048270A KR 20200048270 A KR20200048270 A KR 20200048270A KR 1020180130173 A KR1020180130173 A KR 1020180130173A KR 20180130173 A KR20180130173 A KR 20180130173A KR 20200048270 A KR20200048270 A KR 20200048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insertion rod
sleeve member
piece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269B1 (ko
Inventor
김형년
박재용
조재호
임해준
송시영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2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1Apparatus for manipulating flexible wire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2Flexible wires, band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6Nails or pins, i.e. anchors without movable parts, holding by friction only, with or without structured surface
    • A61B17/848Kirschner wires, i.e. thin, long n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의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부재의 하부에 의료용 강선의 곡선부가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부재의 중공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강선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삽입봉;을 포함하는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DEVICE FOR INSERTING FRACTURE FIXATION WIRES}
본 발명은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긴장대 강선 고정술에 사용되는 강선의 삽입방향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한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 골절된 골편을 원래의 위치에 정복한 후 나사로 고정하거나 금속판과 나사를 이용해 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흔한 골절 수술 방법이다.
그러나 골절된 골편이 작은 경우에는 나사로 고정하기에 나사가 너무 큰 경우가 있으며 무리하게 고정을 시도하다가 골편이 부서지거나 견고한 고정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비교적 얇은 의료용 강선(K 강선)을 이용하여 골편을 고정하고 8자형 철선으로 비교적 넓은 부위를 압박하는 긴장대 강선 고정술(tension band wiring)을 시행하여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료용 강선을 삽입하여 골편을 고정한 후에 강선의 일측 단부를 구부려 자르고, 강선의 잘린 단부 부위가 철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삽입하여 철선이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의료용 강선의 삽입 시술은 피부 속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뼈나 관절에 대해 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의료용 강선을 피부 속에 위치한 뼈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술 경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시술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의료용 강선의 삽입 시술 중에 강선의 단부가 원하는 위치에 삽입되지 않고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강선의 단부가 철선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뾰족한 강선의 단부에 피부가 자극되고 찔려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철심이 강선에서 빠져 나와 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선의 단부가 골편에 밀착되지 못하면 삽입 시에 삽입 방향의 위치가 좋더라도 이후 움직이게 되어 피부와 연부조직을 자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15401호(2005.09.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긴장대 강선 고정술에 사용되는 강선의 삽입 방향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강선 삽입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의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부재의 하부에 의료용 강선의 곡선부가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부재의 중공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강선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삽입봉;을 포함하는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닿아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편; 상기 삽입봉의 상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닿아 일체로 형성되는 타격편; 및, 상기 지지편 및 상기 타격편 사이의 상기 삽입봉에 수평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삽입봉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의 직경을 가지며 외측으로부터 중심부까지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된 삽입봉높이조절편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용홈부는, 수용되는 의료용 강선의 곡선부가 제자리에서 회전하지 않고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노치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편에는 의료용 강선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의료용 강선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지시선이 지지편의 상면의 어느 일측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봉높이조절편은, 상기 삽입봉의 하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끝에서 노치홈의 상단에 일치하는 만큼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에 의하면, 골절된 뼈를 고정하거나 탈구된 뼈를 고정하기 위한 의료용 강선의 삽입 수술 시, 손잡이부에 표시된 위치지시선에 의해 강선의 굴곡된 단부의 삽입 방향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선 삽입술의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수술 시간 및 치유 시간을 단축하고 수술 정확성 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수술 오류에 의한 재수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선의 단부가 철선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된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손잡이부의 수용홈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삽입봉높이조절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의료용 강선의 수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손잡이부의 수용홈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거나 탈구된 뼈를 고정하기 위한 의료용 강선(l)의 삽입 수술 시에 사용되는 수술장치로서, 손잡이부(10), 삽입봉(20) 및 삽입봉높이조절편(30)을 포함한다.
의료용 강선(l)은 일측에 골절된 부위에 삽입하여 골편에 고정될 수 있도록 뾰족한 바늘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측에는 8자형 철선으로 조여 압박할 수 있도록 단부가 굴곡 형성된 곡선부(c)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중공(11a)의 슬리브부재(11)로 이루어지며, 슬리브부재(11)의 상부에는 손으로 슬리브부재(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슬리브부재(11)의 상부에 대해 교차하는하는 방향으로 맞닿아 일체로 형성된 지지편(12)이 형성된다. 지지편(12)은 슬리브부재(11)의 중공(11a)과 일치하는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삽입봉(20)이 관통공(12a)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부재(11)의 하부에는 의료용 강선(l)의 곡선부(c)가 수용되는 수용홈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부(13)는 오목한 형태의 홈으로서, 슬리브부재(11)의 중공(11a)과 일체로 연결되며, 수용되는 강선(l)의 곡선부(c)가 제자리에서 회전하지 않고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노치홈(13a)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노치홈(13a)은 그 길이방향으로 강선(l)의 곡선부(c)가 맞닿아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회전하지 못하고 그대로 수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홈(13a)은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하부측은 굵은 직경의 강선(l)을 고정할 수 있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작은 직경의 강선(l)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노치홈(13a)에 수용되는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이 지지편(12)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의료용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지시선(12b)이 지지편(12)의 상면의 어느 일측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방향지시선(12b)이 지지편(12)의 좌측에 있을 경우, 손잡이부(10)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이 좌측으로 향하도록 강선(l)을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향지시선(12b)과 강선(l)의 단부가 서로 반대로 향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전적으로 수술을 집도하는 수술자의 선택에 달려 있으나, 보편적으로 정해진 수술 규정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술자는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지시선(12b)이 표시된 손잡이부(10)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삽입봉(2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손잡이부(10)의 슬리브부재(11)의 중공(1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단단한 소재, 예컨대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10)의 수용홈부(13)에 수용되는 강선(l)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강선(l)이 골절 부위의 골편에 삽입되도록 한다.
삽입봉(20)의 상부에는 삽입봉(2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닿아 일체로 형성되며, 망치 등의 타격수단을 이용하여 가격할 수 있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타격편(21)이 형성된다. 타격편(21)은 망치 등의 타격수단에 의해 형상이 변하지 않는 스틸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타격편(21)은 도면에서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봉(20)은 손잡이부(10)의 지지편(12)의 관통공(12a)에 삽입되어 수용홈부(13)와 만나는 슬리브부재(11)의 중공(11a)을 통해 손잡이부(10)의 하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삽입봉(20)이 손잡이부(10)의 하단부까지 이동하지 않고 수용홈부(13)의 노치홈(13a) 상단과 높이를 맞추기 위해 손잡이부(10)의 지지편(12)과 삽입봉(20)의 타격편(21) 사이에 별도의 삽입봉높이조절편(30)을 개재하게 된다.
삽입봉높이조절편(30)은, 삽입봉(20) 전체가 슬리브부재(11)의 중공(11a)에 삽입되지 않고, 삽입봉(20)의 하단부가 수용홈부(13)의 끝에서 수용홈부(13)의 노치홈(13a)의 상단에 일치하는 만큼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봉높이조절편(30)은 외측으로부터 중심부까지 절개된 절개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절개공(31)의 직경은 삽입봉(20)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이루어져 지지편(12)과 타격편(21) 사이의 삽입봉(20)에 수평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삽입봉높이조절편(30)의 형상은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되지 않도록 타격편(21)과 동일한 형상이거나, 크기가 타격편(2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편(12)과 타격편(21) 사이의 삽입봉(20)에 삽입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삽입봉높이조절편(3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의료용 강선의 수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손잡이부(10)의 슬리브부재(11)의 중공(11a)에 삽입봉(20)을 슬라이딩 삽입한다. 이때, 슬리브부재(11) 내에 삽입된 삽입봉(20)이 수용홈부(13)의 노치홈(13a) 상단과 높이를 맞추기 위해 손잡이부(10)의 지지편(12)과 삽입봉(20)의 타격편(21) 사이의 삽입봉(20)에 삽입봉높이조절편(30)의 절개공(31)을 끼워 고정한다.
따라서, 손잡이부(10)의 슬리브부재(11)를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봉(20)은 지지편(12)에 대해 타격편(21)의 상부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삽입봉높이조절편(30)에 지지되며, 삽입봉(20)의 하단부는 손잡이부(10)에 구비된 수용홈부(13)의 노치홈(13a) 상단에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10)에 형성된 수용홈부(13)의 빈 공간에는 의료용 강선(l)이 수용 가능하게 되며,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이 지지편(12)의 상면에 표시된 방향지시선(12b)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의료용 강선(l)의 단부와 방향지시선(12b)이 서로 일치할 경우 수술자는 강선(l)의 단부의 삽입 방향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며, 삽입하고자 하는 골편에 대한 강선(l)의 단부 방향을 조정하여 골절 부위의 골편에 삽입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l)의 단부와 방향지시선(12b)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술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의료용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하고 타격수단으로 타격편(21)을 타격하여 의료용 강선(l)이 골절 부위의 골편에 삽입되도록 한다.
손잡이부(10)의 하단부가 골절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강선(l)의 삽입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삽입봉높이조절편(30)을 삽입봉(2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삽입봉높이조절편(30)을 지지편(12)과 타격편(21) 사이에서 분리하는 경우, 슬리브부재(11)의 중공(11a)을 통해 삽입봉(20)을 더 삽입할 수 있도록 수용홈부(13)에 여유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타격편(21)으로 타격하여 삽입봉(20)이 수용홈부(13)의 하단까지 안내되면서 강선(l)을 여유 공간만큼 더 골편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방향지시선(12b)과 일치하는 강선(l)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의 변화없이 삽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술자는 의료용 강선(l)의 삽입 방향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 골절된 골편에 의료용 강선(l)을 원하는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어, 수술 시간 및 치유 시간을 단축하고 수술 정확성 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수술 오류에 의한 재수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손잡이부 11 : 슬리브부재
12 : 지지편 13 : 수용홈부
20 : 삽입봉 21 : 타격편
30 : 삽입봉높이조절편

Claims (5)

  1. 중공의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부재의 하부에 의료용 강선의 곡선부가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부재의 중공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강선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삽입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닿아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편;
    상기 삽입봉의 상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닿아 일체로 형성되는 타격편; 및,
    상기 지지편 및 상기 타격편 사이의 상기 삽입봉에 수평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삽입봉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의 직경을 가지며 외측으로부터 중심부까지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된 삽입봉높이조절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는, 수용되는 의료용 강선의 곡선부가 제자리에서 회전하지 않고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노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는 의료용 강선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의료용 강선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지시선이 지지편의 상면의 어느 일측에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높이조절편은, 상기 삽입봉의 하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끝에서 노치홈의 상단에 일치하는 만큼의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KR1020180130173A 2018-10-29 2018-10-29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KR10215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173A KR102156269B1 (ko) 2018-10-29 2018-10-29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173A KR102156269B1 (ko) 2018-10-29 2018-10-29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70A true KR20200048270A (ko) 2020-05-08
KR102156269B1 KR102156269B1 (ko) 2020-09-15

Family

ID=7067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173A KR102156269B1 (ko) 2018-10-29 2018-10-29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2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401B1 (ko) 2003-11-13 2005-09-14 김준현 골절치료를 위한 철심삽입용 보조장치
CN201200471Y (zh) * 2008-05-14 2009-03-04 王卫国 克氏针按压折弯器
KR101351830B1 (ko) * 2012-11-29 2014-01-20 오병준 제침 및 철침누름기능이 부가된 스테플러
US20150045612A1 (en) * 2013-08-12 2015-02-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Wire coil tissue fixation device
WO2016144272A1 (en) * 2015-03-10 2016-09-15 Karadeni̇z Emre A latch for wire retain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401B1 (ko) 2003-11-13 2005-09-14 김준현 골절치료를 위한 철심삽입용 보조장치
CN201200471Y (zh) * 2008-05-14 2009-03-04 王卫国 克氏针按压折弯器
KR101351830B1 (ko) * 2012-11-29 2014-01-20 오병준 제침 및 철침누름기능이 부가된 스테플러
US20150045612A1 (en) * 2013-08-12 2015-02-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Wire coil tissue fixation device
WO2016144272A1 (en) * 2015-03-10 2016-09-15 Karadeni̇z Emre A latch for wire re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269B1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745B2 (en) Aiming device for inserting stable-angle, long screws in the articular region of a bone
TWI472312B (zh) 用於放置柯希納金屬絲之具瞄準器的固定裝置
TWI667009B (zh) 附接骨板之裝置及套件
US3441017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fractures of tubular bones
JP2021180892A (ja) 骨位置付けガイド
US11980396B2 (en) Percutaneous targeting device
US20030135211A1 (en) Intramedullary nail, device for inserting a screw into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200801618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starting point for a surgical procedure
US8114093B2 (en) Targeting device
KR102156269B1 (ko)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CN108697472B (zh) 用于将外科手术装置引入骨中的定位和对准器械
JP2020532361A (ja) 外科用ドリルガイド
JP2001286480A (ja) 髄内釘の位置決め装置
KR100393256B1 (ko) 골절치료용 골절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절고정방법
KR102167114B1 (ko) 최소침습성 골절 수술용 강선 벤딩장치
CN113288330B (zh) 一种胫骨高位截骨装置
KR102169654B1 (ko) 와셔를 이용한 골 신연 금속판 장치
JP3342999B2 (ja) 髄内釘のラグスクリュー挿入方向確定装置
RU2684528C2 (ru) Способ интрамедуллярной фиксации кости и направля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ецизионного совмещения осей симметрии направителей инструмента с осями симметрии отверстий интрамедуллярного стержня
KR101604198B1 (ko) 골 신연을 위한 수술 용구
WO2020059405A1 (ja) 骨手術用器具
TW202128091A (zh) 骨手術用器具
JP2019122622A (ja) 外科手術器具
KR101476671B1 (ko) 방아쇠 수지 수술기구
CN117084774A (zh) 一种骨折用固定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