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207A - 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 Google Patents

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207A
KR20200048207A KR1020180130020A KR20180130020A KR20200048207A KR 20200048207 A KR20200048207 A KR 20200048207A KR 1020180130020 A KR1020180130020 A KR 1020180130020A KR 20180130020 A KR20180130020 A KR 20180130020A KR 20200048207 A KR20200048207 A KR 20200048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on
cylindrical battery
battery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광욱
강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3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207A/en
Publication of KR2020004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2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2/206
    • H01M2/1055
    • H01M2/1077
    • H01M2/204
    • H01M2/34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rranged in a housing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power. A battery with a connecting plate includes a connecting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plat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The connecting plate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first plate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formed thereon, a second plate formed of metal layers and having connection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respectively,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a third plate formed of insulation layers and having a second connection hole formed to expose part of the connection units. Therefore,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separate part,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costs, and reducing durability.

Description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BATTERY WITH CONNECTION PLATE}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원통형 배터리셀로 형성된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formed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that provides electrical energy in a vehicle.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보조 전력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가솔린 차량이나 디젤 차량이 갖는 대기 오염 등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기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주된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mobile devices, auxiliary power devices, and the like. Also,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ain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which have been proposed as alternatives to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of conventional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따라서 전기자동차 등에는 복수 개의 배터리셀을 배치시킨 후 이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고전압을 제공하는 고출력 대용량 배터리가 사용된다. Therefore, a high-power large-capacity battery is used in an electric vehicle, etc., after arrang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in series or in parallel to provide a high voltage.

도 1은 종래 원통형 배터리과 플레이트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and a plat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배터리는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1)을 일정하게 배치한 후, 금속으로 형성된 플레이트(3)를 통해 각 원통형 배터리셀(1)이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이때 각 원통형 배터리셀(1)과 플레이트(3)는 원통형 배터리셀(1)의 일 측과 플레이트(3)에 각각 접촉되는 와이어 리드(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battery, after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 are regularly arranged,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1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plate 3 formed of metal. At this time,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1 and the plate 3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wire lead 4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and the plate 3, respectively.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는 와이어리드(4)를 별물로 형성하여 원통형 배터리셀(1)과 플레이트(3)에 각각 연결하여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 배터리셀(1)의 고정을 위해 사출 형성되는 커버(2)를 더 구비하고, 배터리 용량이 증가할수록 플레이트(3)의 면적과 두께가 증가하면서 배터리 중량 및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battery, the wire lead 4 is formed as a separate material to connect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and the plate 3, respectivel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decreases by increasing the time required for production and the fatigue of the operator. In addition,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2 that is injection-molded for fixing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 and as the battery capacity increases, the area and thickness of the plate 3 increase, and thus the battery weight and cost increase.

(특허기술문헌 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8573호 (2016.01.20 등록)(Patent technical document 00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88573 (2016.01.20 registration)

(특허기술문헌 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6147호 (2014.09.24 등록)(Patent Technical Document 00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46147 (Registered on September 24, 2014)

(특허기술문헌 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8823호 (2016.01.25 공개)(Patent Technical Document 00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8823 (2016.01.25 publishe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부품 없이 원통형 배터리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battery equipped with a connecting plate capable of reducing weight and cost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a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It is aimed at.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홀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 연결홀이 형성된 제3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power, and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ate of the connection plate is integrally formed; includes, The connection plate is a first plate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is formed; A second plate formed of a metal layer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a third plate formed of the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second connection hole to expose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에 접촉된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단선되는 칩 퓨즈(chip fuse)가 실장될 수 있다.In the second plate, a chip fuse that is disconnected when an overcurrent is generated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contacting the connection part may be mounted.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공부의 내주면에서 미리 정해진 폭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단선부와, 상기 단성부의 말단에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의 일 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단선부가 단선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disconnection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ed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formed to contact one end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t the end of the single portion, and an overcurrent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When is generated, the disconnection portion may be disconnected.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연결홀의 내주면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선부를 덮도록 제1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plate may be formed to exten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so that a first extension portion may be formed to cover the disconnection portion.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장부의 말 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 일부를 덮도록 제2 연장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plate may be formed to extend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o further cover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o cover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일 측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 각각의 양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양 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poles of each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과, 상기 연결플레이트로 형성된 배터리 모듈을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formed of the connection plate, and a bus ba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의 배치가 유지되도록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제1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이 고정되도록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제2 고정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fixing plat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first fixing hole to maintai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a second fixing ho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o fix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formed of a second fixed plate formed.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may be formed of aluminum, and the second plate may be formed of copper.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erted.

일실시 예에 따른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는 연결플레이트만으로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생산 공정을 축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 배터리 자체의 중량을 절감하여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battery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n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reducing a production process by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using only a connection plate. In addition, since no separate parts are used, the weight of the battery itself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단선부가 퓨즈 역할을 하도록 형성하여 별도의 부품 없이도 과전류 시 배터리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고, 접촉부가 일정 이상의 접촉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여 배터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절연층으로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에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형성하여 배터리의 조립성 및 내구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킨다.The disconnection part is formed to act as a fuse, thereby minimizing damage that may occur to the battery in the case of overcurrent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and forming the contact part to have a contact area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re formed on the third plate formed of the insulating layer, thereby increasing the assembly and durability improvement effect of the battery.

또한 원통형 배터리셀과 연결플레이트를 모듈화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키고, 설계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 개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the connection plate are modularized to improve versatility and facilitate design changes, thereby reducing product development costs.

도 1은 종래 배터리의 원통형 배터리셀과 플레이트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Ⅵ-Ⅵ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2의 모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연결플레이트의 일실시 예의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연결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연결부의 확대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연결부의 확대 평면도.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a plate of a conventional batter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 2.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4;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 of FIG. 2;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10 is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plate of FIG. 9.
11 is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plate of FIG. 10;
1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FIG. 10;
1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FIG. 1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Ⅵ-Ⅵ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연결플레이트의 일실시 예의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연결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연결부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연결부의 확대 평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VI-VI of FIG. 2,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4,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 of FIG. 2,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FIG. 10 is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plate of FIG. 9, and FIG. 11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plate of FIG. It is a top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FIG. 1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FIG. 10, and 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FIG. 9.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100)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플레이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0)는 제1 연결홀(311)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31),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홀(311)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321)가 형성된 제2 플레이트(32) 및 상기 절연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21)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 연결홀(331)이 형성된 제3 플레이트(3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o 13, the battery 100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power It relates to a battery 100 for supplying, and includes a connection plate 30 formed of a plurality of plates integrally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the connection plate 30 is a first A first plate 31 having a connection hole 311 is formed of a metal layer, and a connection portion 321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is form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311. The third plate 33 formed of the second plate 32 and the insulating layer and having the second connection hole 331 exposed to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321 is sequentially stacked and formed. .

또한 본원발명의 배터리(100)는 고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연결플레이트(30)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M)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s bar (not shown)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module M formed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nd the connection plate 30 to provide high voltage. It can contain.

배터리(100)는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전압을 제공한다. 이때 원통형 배터리셀(20)은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40)에 형성된 고정홀(41)에 하나씩 고정되어 일정 패턴을 갖도록 고정된다.The battery 100 is used in automobiles and the like, and electr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to provide high voltage. At this time,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s fixed one by one to the fixing holes 41 formed in the fixing plate 4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to have a certain pattern.

원통형 배터리셀(20)은 몸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은 서로 다른 전기적 극성을 가지며, 고전압을 제공하도록 복수 개가 연결플레이트(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연결플레이트(30)의 조립성 향상을 위해 각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일 측은 고정홀(4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re formed in a cylindrical body, both sides have different electrical polarities,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nection plate 30 to provide a high voltage.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assembl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nd the connection plate 30, one side of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41.

하우징(10)은 내부공간(11)이 형성되어 원통형 배터리셀(20)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원통형 배터리셀(20)을 보호하며, 연결플레이트(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하우징(10)은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 전압 등 설계에 맞추어 그 크기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housing 10 has an inner space 11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to protect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from the outside, and allows the connection plate 30 to be fixed so that the battery 100 is Improve the assembly. Therefore, the housing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stiffness or more, and its size and shape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a design such as a required voltage.

이때 하우징(10)에는 원통형 배터리셀(20)의 배치 및 고정을 위한 고정부(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의 배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41)와, 원통형 배터리셀(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42)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housing 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40 for the placement and fixing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The fixing part 4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41 and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to be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housing 10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can be maintained. It is formed of a second fixing plate 42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0 to enable.

제1 고정플레이트(41)는 하우징(10)의 내벽에서 연장 형성되어 작업자가 원통형 배터리셀(20)을 보다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 고정플레이트(41)에는 각 원통형 배터리셀(20)이 삽입될 수 있도로 배치위치에 맞춰 제1 고정홀(411)이 형성되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서 중간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ixing plate 41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place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Therefore, the first fixing plate 41 is formed with a first fixing hole 411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so that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20 can be inserted, and the intermediate height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is increased.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또한 제1 고정플레이트(41)는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등 외력에 의해 원통형 배터리셀(20)들이 흔들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원통형 배터리셀(20)들 간의 접촉을 방지하고, 각 원통형 배터리셀(20)이 배열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first fixed plate 4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and when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by external force such as vibr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 To prevent shaking more effectivel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tact betwee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nd prevents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from being displaced from an arrayed position, thereby stably supplying power.

이때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41)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원통형 배터리셀(2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하여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각 제1 고정홀(411)에 고정된 각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상하측을 모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plates 41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fixing holes 411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can be fixed more stably. It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20 fixed to the.

제2 고정플레이트(42)는 하우징(10)과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플레이트(30)가 배치되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먼저 배치되어 원통형 배터리셀(20)을 고정한다. 따라서 제2 고정플레이트(42)에는 제1 고정홀(4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고정홀(421)이 형성되며, 하우징(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본원발명의 배터리(100)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접촉부(3212)와 원통형 배터리셀(20)의 극이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배터리(100)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킨다.The second fixing plate 42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10 and is firs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in which the connection plate 30 is disposed to fix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Therefore, the second fixing plate 42 is formed with a second fixing hole 4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hole 411, and fitted inward along the rim of the housing 10 to be coupled to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the same time as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100), the pole of the contact portion 3212 and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facilitates the connection,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he battery 100.

또한 연결플레이트(30)가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양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우징(10)의 양 측에 대향하여 결합되는 경우, 제2 고정플레이트(42) 또한 하우징(10)의 대향하는 양 측에 각각 결합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plate 30 is coupled to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poles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the second fixed plate 42 also faces the housing 10 Each is coupled to both sides.

제1,2 고정홀(411,421)은 복수 개의 배터리셀(20)의 배치 위치를 유지하고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일정 패턴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단면의 크기는 원통형 배터리셀(20)의 단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조립을 용이하게 위하여 원통형 배터리셀(20)의 단면과 약간의 유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은 이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411 and 421 are formed to maintain and fix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is a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t is preferably formed the same as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assembly, it can be considered that this is formed to have a slight gap with the cross-s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배터리(100)는 고정부(40)를 구비하여, 배터리(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the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xing part 40 to improve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battery 100 and lower the fatigue of the worker,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연결용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100)는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이와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30)로 형성되는 배터리셀 모듈(M)이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M)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8 and 9, the battery 100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ell formed of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nd a connection plate 30 connected thereto A plurality of modules M are formed, and a bus bar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 may be further included.

배터리셀 모듈(M)은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과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을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30)로 형성된다. 이때 원통형 배터리셀(2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9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로 형성되며, 9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은 가로 및 세로 각각 3개씩 배열되는 패턴을 갖는다.The battery cell module M is specifically formed of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nd a connecting plate 3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sign. As an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ine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re formed, and the nine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have patterns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spectively.

또한 하나의 배터리셀 모듈(M)을 형성하는 원통형 배터리셀(20)은 같은 전기적 극성이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30)에 의해 병렬 연결되며, 인접하는 배터리셀 모듈(M)을 구성하는 원통형 배터리셀(20)은 같은 전기적 극성이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버스바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어 고전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forming one battery cell module M are formed so that the same electrical polarity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re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connection plate 30, and the adjacent battery cell modules M The constituting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s formed such that the same electrical polarity is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connected in series by a bus bar to provide high voltage.

다만 배터리셀 모듈(M)의 전기적인 연결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연결 방법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However, the electric connection method of the battery cell module M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connected to provide voltages of various sizes by various connection methods.

연결플레이트(3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고,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플레이트(30)는 제1 연결홀(311)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31)와,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32)와, 절연층으로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3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The connection plate 3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late 30 is formed of a first plate 31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311, a second plate 3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and an insulating layer. 3 plates 33 ar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이때 조립성 향상을 위해, 연결플레이트(30)는 제1,2,3 플레이트(31,32,33)와 연결되는 동시에 하우징 일 측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assembly, the connection plate 3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34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lates 31, 32 and 33.

제1 플레이트(31)는 금속층으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배터리셀 모듈(M)이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한다. 또한 원통형 배터리셀(20)의 고정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홀이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32)와 원통형 배터리셀(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plate 31 is formed of a metal layer, and the adjacent battery cell modules M are easily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a connection hole is formed in correspondence to a fixed posi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so that the second plate 32 and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2 플레이트(32)는 금속층의 회로 패턴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2)는 제1 연결홀(3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부(321)가 형성된다.The second plate 32 is formed in a circuit pattern of a metal lay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respectively. Therefore, the second plate 32 protrudes inside the first connection hole 311 to form a connection portion 321.

구체적으로 연결부(321)는 제1 연결홀(31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선부(3211)와 단선부(3211)의 말단에서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일 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3212)로 형성된다. 이때 접촉부(3212)는 원통형 배터리셀(20)과의 일정 이상의 접촉 면적을 갖도록 단선부(3211)보다 넓게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portion 321 is a contact portion 3212 formed to contact one end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at the ends of the disconnection portion 3311 and the disconnection portion 3311 that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hole 311. ).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3212 is formed wider than the disconnection portion 3211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ontact area with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이때 제2 플레이트(32)에는 각 원통형 배터리셀(20)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각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단선시키는 칩 퓨즈가 실장되거나, 단선부(3211)를 미리 정해진 폭(a)을 갖도록 형성하여 각 단선부(3211)에 연결된 원통형 배터리셀(20)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단선부(3211)가 끊어지도록 형성한다.At this time, when the overcurrent is generated in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n the second plate 32, a chip fuse that disconnects a circu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s mounted, or a disconnection unit 3211 is installed.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 so that when an overcurrent is generated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connected to each disconnection part 3211, the disconnection part 3211 is formed to be cut off.

구체적으로 단선부(3211)는 각 단선부(3211)의 말 단에 형성된 접촉부(3212)에 연결되는 원통형 배터리셀(20)에 일정 이상의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과전류에 의한 열에 의해 녹아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퓨즈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2)는 과전류 시, 배터리(100)에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여 배터리(100)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Specifically, the disconnection unit 3211 is a cylindrical battery cell 20 connected to the contact unit 3212 formed at the end of each disconnection unit 3211, when a certain amount of overcurrent is generated, it is melted by heat due to the overcurrent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 It acts as a breaking fuse. Therefore, the second plate 32 minimizes damage that may occur in the battery 100 when overcurrent,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battery 100.

따라서 단선부(3211)의 미리 정해진 폭(a)은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접촉부(3212)는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조립성 향상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레이저 웰딩 또는 초음파 공정에 의해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edetermined width (a) of the disconnection portion 3211 may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3212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improve assembly with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by laser welding or ultrasonic processing.

또한 접속부(3212)의 폭은 단선부(321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원통형 배터리셀(20)과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된다. 또한 단선부(3211)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탄성력이 향상되며, 과전류 발생 시 접속부(3212)보다 쉽게 단선되어 원통형 배터리셀(20)과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연결부(321)는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접촉부(3212)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단선 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통형 배터리셀(20)의 다른 부분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ortion 3212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disconnection portion 3211, so that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more stably. In addition, the disconnection portion 3211 is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and the elastic force is improved, and when an overcurrent occurs, it is more easily disconnected than the connection portion 3212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s cut off. Therefore, the connection portion 321 of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and the contact portion 3212, and also prevents contact with other parts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by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disconnected. .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배터리(100)는 제1,2 플레이트를 통해 원통형 배터리셀(2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고전압을 제공한다. 이때 배터리(100)의 중량을 절감하기 위하여 제1 플레이트(31)는 알루미늄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플레이트(32)는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전기전도성이 좋은 구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batt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voltage by connecting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in series or paralle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t this time,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attery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late 31 is formed of aluminum, and the second plate 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so that it has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It is preferably formed.

제3 플레이트(33)는 절연층으로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31) 및 제2 플레이트(32)를 보호하고, 주변 부품과의 쇼트 현상 등을 방지한다. 이때 제3 플레이트(33)는 연결부(3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연결홀(331)이 형성되어 접촉부(3212)와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The third plate 33 is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to protect the first plate 31 and the second plate 32, and prevents short-circuits with peripheral components. At this time, the third plate 33 is formed with a second connection hole 33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21 to facilitat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3212 and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구체적으로는 제3 플레이트(33)에는 제2 연결홀(331)이 형성되고, 제2 연결홀(331)의 내주면 일 측에서 연장되어 단선부(3211)를 덮도록 제1 연장부(332)가 형성되어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 단선부(3211)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한다.Specifically, a second connection hole 331 is formed in the third plate 33,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331, so that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32 covers the disconnection portion 3211. Is formed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disconnection unit 3311 due to vibration or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또한 제1 연장부(332)의 말단에는 접촉부(3212)의 일부를 덮도록 제2 연장부(3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장부(333)는 접촉부(32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접촉부(3212)와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연결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333 may be further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32 to cover a part of the contact portion 3212. At this time, the second extension part 333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part 321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art 3212 and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따라서 제1 연장부(332) 및 제2 연장부(333)에 의해 차량 운행에 따른 지속적인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 단선부(3211)가 단선되거나, 접촉부(3212)가 원통형 배터리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터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the first extension part 33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33 cause the disconnection part 3211 to be disconnected by the continuous vibration or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vehicle operation, or the contact part 3212 is deviated from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100 by minimizing it.

지지플레이트(34)는 제1,2,3 플레이트(31,32,33)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어 하우징(10)과 연결플레이트(30)의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지지플레이트(34)는 하우징(10)에 볼팅 또는 락킹 등의 구성될 수 있으며, 설계에 맞춰 다양한 구조를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s 34 are connected along the rim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lates 31, 32, and 33 to improve assembly of the housing 10 and the connection plate 30.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34 may be configured such as bolting or locking on the housing 10,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design.

일 예로 지지플레이트(34)에는 제1 플레이트(31)와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341)가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모서리에는 하우징(10) 또는 인접하는 배터리셀 모듈(M)의 지지플레이트(34)와 연결되도록 고정돌기(342)가 더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341 coupled to and fixed to the first plate 31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plate 34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t each corner, the housing 10 or the adjacent battery cell module M Fixing projections 342 may be further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34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100)는 연결플레이트(30)를 구비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배터리 모듈(M)의 연결 공정 및 배터리(100)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에 소요되는 원가 및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the batt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late 30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in a simpler structure, a connection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M, and a process of assembling the battery 100 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production,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이때 본 발명의 배터리(1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배터리 모듈(M)을 형성하는 연결플레이트(30)가 1개 또는 2개로 형성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원통형 배터리셀(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배터리 모듈(M)을 형성하는 연결플레이트(30)가 2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원통형 배터리셀(20)의 보다 원활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batt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6, the connection plate 30 forming a single battery module (M) can be formed in one or two cylinders in a variety of ways The battery cell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As shown in FIG. 6, when two connection plates 30 forming one battery module M are formed, a more smooth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s possible.

또한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연결플레이트(30)로 형성되는 배터리셀 모듈(M)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향상시켜 제품 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in providing various voltages through a battery cell module (M) formed of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20) and connection plates (30), design changes can be made more easily,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and reducing product development costs. It has the effect of saving.

이때 복수 개의 배터리셀 모듈(M)을 포함하는 경우, 인접하는 배터리셀 모듈(M)은 버스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버스바는 하우징(10) 일 측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배터리셀 모듈(M)의 전기적 연결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 modules M are included, adjacent battery cell modules M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us bar, and the bus bar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0. Howeve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M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onnected by various methods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배터리(10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30)를 구비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 연결플레이트(30)의 생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Since the batt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assembly and productivity by having a connecting plate 30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a method of producing the connecting plate 30 will be described below. .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31)에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연결홀(311)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연결홀(311)은 원통형 배터리셀(20)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32)와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전기적 연결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A first connection hole 311 is formed in the first plate 31 made of aluminum in correspondence to the posi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hole 31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late 32 and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구리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32)는 각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321)가 형성되고, 제1 연결홀(3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부(321)가 위치하도록 제1 플레이트(31) 상측에 적층된다. 따라서 제1 연결홀(311)의 내측으로 연결부(321)가 노출된다.The second plate 32 formed of copper has a connection portion 321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ylindrical battery cell 20 is formed, and the connection portion 321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hole 311. The first plate 31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Therefore, the connection portion 321 is expos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hole 311.

절연층으로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33)는 연결부(321)와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연결 공정을 위해 연결부(3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연결홀(331)이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32) 상측에 적층된다. 이때 제2 연결홀(331)은 연결부(321)의 크기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제1,2 플레이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The third plate 33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has a second connection hole 33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21 for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21 and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and the second The plate 32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hole 33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nnection portion 321 to protec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from the outsid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연결플레이트(30)는 제1,2,3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FPC를 형성한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plat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stacks the first, second, and third plates to form an FPC.

지지플레이트(34)는 제1,2,3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제1 플레이트(31) 상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테두리 내측을 따라 형성된 결합부(341)에 의해 제1 플레이트(31)에 고정되어 연결플레이트(30)를 생산한다.Aft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plates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support plate 34 is dispos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irst plate 31, and the first plate 31 by the engaging portion 341 form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edge. ) Is fixed to produce a connection plate (30).

다만, 상기한 생산 방법은 연결플레이트(30)의 생산 방법의 일실시 예에 해당하며, 다른 실시 예의 경우 제3 플레이트(33) 적층전에 지지플레이트(34)를 제1 플레이트(31)의 일 측에 결합부(341)에 의해 고정 결합한 후, 결합부(341)를 상측으로 덮도록 절연층으로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33)가 적층될 수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corresponds to one embodiment of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connecting plate 30,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34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31 before the third plate 33 is stacked. After being fixedly coupled by the coupling portion 341, a third plate 33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to cover the coupling portion 341 upward may be stacked.

이때 결합부(341)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결합부(341)와 접촉되어 인접하는 배터리셀 모듈(M)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41) 상측으로 제3 플레이트(33)가 적층되어 외부와의 쇼트 현상 등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34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y be in contact with adjacent coupling portions 341 to electrically connect adjacent battery cell modules M. At this time, the third plate 33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41 to prevent shorting and the like with the outside.

생산된 연결플레이트(30)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원통형 배터리셀(20)의 상측에 배치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레이저 웰딩 또는 초음차 공정에 의해 연결부(321)가 원통형 배터리셀(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produced connection plate 30 is disposed and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nd in a fixed state, the connection portion 321 is formed by a cylindrical welding cell or a laser welding or supersonic wave process ( 2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pecific embodiment, and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hang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rresponds.

1 원통형 배터리셀
2 커버 3 플레이트 4 와이어리드
100 배터리
10 하우징 11 내부공간 20 원통형 배터리셀
30 연결플레이트 31 제1 플레이트 311 제1 연결홀
32 제2 플레이트 321 연결부 3211 단선부
3212 접촉부 33 제3 플레이트 331 제2 연결홀
332 제1 연장부 333 제2 연장부
34 지지플레이트 341 결합부 342 고정돌기
40 고정부 41 제1 고정플레이트 411 제1 고정홀
42 제2 고정플레이트 421 제2 고정홀
a 미리 정해진 폭 M 배터리셀 모듈
1 Cylindrical battery cell
2 Cover 3 Plate 4 Wire Lead
100 batteries
10 Housing 11 Inner space 20 Cylindrical battery cell
30 Connecting plate 31 1st plate 311 1st connecting hole
32 2nd plate 321 connection 3211 disconnection
3212 Contact part 33 Third plate 331 Second connection hole
332 First extension 333 Second extension
34 Support plate 341 Coupling 342 Fixing projection
40 Fixing part 41 First fixing plate 411 First fixing hole
42 Second fixing plate 421 Second fixing hole
a predetermined width M battery cell module

Claims (12)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홀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 연결홀이 형성된 제3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In th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Includes a; connection plat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lates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The connecting plate
A first plate in which a first connection hole is formed;
A second plate formed of a metal layer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A battery having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plate is formed of the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i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connection part is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에 접촉된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단선되는 칩 퓨즈(chip fuse)가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late
A battery with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chip fuse, which is disconnected when an overcurrent is generated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contacting the connection part,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공부의 내주면에서 미리 정해진 폭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단선부와, 상기 단성부의 말단에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의 일 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단선부가 단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When the overcurrent is generated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ncluding a disconnection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ed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formed to contact one end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t the end of the single portion, A battery with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onnection portion is disconnec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연결홀의 내주면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선부를 덮도록 제1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According to claim 3,
The third plate
A battery with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xtension is formed to exten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to cover the disconnectio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장부의 말 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 일부를 덮도록 제2 연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plate
A battery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xtension is further formed to extend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to cover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일 측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late
A battery having a connection plat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 각각의 양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양 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necting plate
A battery with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poles of each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과, 상기 연결플레이트로 형성된 배터리 모듈을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The method of claim 6,
And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formed of the connection plates, and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의 배치가 유지되도록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제1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이 고정되도록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제2 고정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ixing plat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first fixing hole to maintai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a second fixing ho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o fix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 battery having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med of a second fixed plate form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fixed plate extends inside the housing and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second fixed plat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is formed to be detachab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원통형 배터리셀의 삽입 방향으로 따라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플레이틀가 구비된 배터리.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fixed plate is a battery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ate is formed of aluminum, the second plate is a battery equipped with a connec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copper.
KR1020180130020A 2018-10-29 2018-10-29 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KR202000482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20A KR20200048207A (en) 2018-10-29 2018-10-29 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20A KR20200048207A (en) 2018-10-29 2018-10-29 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07A true KR20200048207A (en) 2020-05-08

Family

ID=7067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020A KR20200048207A (en) 2018-10-29 2018-10-29 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20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683A1 (en) * 2021-03-12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s bar assembly, battery pack comprising bus bar assembly,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47B1 (en) 2013-04-29 2014-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for vehicle's battery pack
KR20160008823A (en) 2014-07-15 2016-01-25 에너지 컨트롤 리미티드 Battery pack formed by parallel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KR101588573B1 (en) 2014-05-19 2016-01-26 주식회사 유비넷시스 Unit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assembly compri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47B1 (en) 2013-04-29 2014-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for vehicle's battery pack
KR101588573B1 (en) 2014-05-19 2016-01-26 주식회사 유비넷시스 Unit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assembly comprising thereof
KR20160008823A (en) 2014-07-15 2016-01-25 에너지 컨트롤 리미티드 Battery pack formed by parallel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683A1 (en) * 2021-03-12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s bar assembly, battery pack comprising bus bar assembly,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107B1 (en) Battery module with connecting member
US8956751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JP6025319B2 (en) Battery module
EP2645454B1 (en) Bus bar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JP5613332B2 (en)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bus bar module
JP5209502B2 (en)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with vertical stacking structure
EP2765632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739360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20120086656A (en) Battery module
KR101750487B1 (en) Battery Module Having Mounting Means of Bus Bar and External Input-Output Terminal
EP3940867B1 (en) Battery pack with enhanced structure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and shock
JP5628430B2 (en) High voltage battery with integrated connection device
JP2015088312A (en) Power source device
EP2490277B1 (en) Battery Module
CN114256544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00048207A (en) Battery with connection plate
US20230155228A1 (en) Battery module
US2022030249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7367182B2 (en) Battery packs, electronic devices and automobiles
KR102012403B1 (en) Intergrated Cartridge for battery cell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1440402B1 (en) Battery Module Having Coupling Hole for Sensing Assembly and Fixing Hole for Unit Cell Assembly
JP7421588B2 (en) battery pack
US20230207939A1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7981161A (en) Battery module having laminated busba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