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177A - 피자 벤딩 장치 - Google Patents

피자 벤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177A
KR20200048177A KR1020180129949A KR20180129949A KR20200048177A KR 20200048177 A KR20200048177 A KR 20200048177A KR 1020180129949 A KR1020180129949 A KR 1020180129949A KR 20180129949 A KR20180129949 A KR 20180129949A KR 20200048177 A KR20200048177 A KR 2020004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zza
frozen
cooking
unit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윤
이창윤
Original Assignee
이치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윤 filed Critical 이치윤
Priority to KR102018012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177A/ko
Publication of KR2020004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자 벤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피자 벤딩 장치는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할로겐 램프 기능을 통해 피자를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들은 적외선 영역에 대다수의 열 흡수 대역을 지니는 유기물질 내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인 바, 이에 따라 음식물 가열에 있어 그 열전달율이 최대한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되어, 가열시간이 단축되고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되어 자판기 운용 효율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피자 벤딩 장치{Pizza vending device}
본 발명은 피자 벤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조사를 통해 피자를 조리함으로써 피자를 급속 조리함과 동시에 피자에 발생할 수 있는 조직 변형 등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피자 벤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자는 밀가루 반죽 위에 토마토, 치즈, 피망, 고기, 향료 따위를 얹어 둥글고 납작하게 구운 파이 모양의 식품으로서 큰 인기가 있는 식품이다.
그러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재료를 필요로하므로, 조리하기 번거롭고 완전 조리되는데 상당한 시간을 요하게 되어, 소비자가 이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을 대기하여야 한다.
이러한 피자의 즉석 구매 및 즉석 조리성을 확보하고자, 반죽, 토핑 등 사전 조리가 완료된 냉동피자가 출시된 상태이며, 이는 전자렌지 등 별도의 가열수단을 통해 데우기만 하면 즉석 취식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피자의 크기는 직경 30c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어서, 이를 데우는데 충분한 크기 및 용량을 지닌 가열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소비자들에게는 그 접근성이 상당히 제한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선행하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0131370 호 에서는, 냉동피자를 전자렌지로 즉석 가열하여 판매하는 가열 식품 자동 판매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자렌지 가열 구조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강제 분자 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리 과정 중 음식물 분자에 상당한 변형이 발생하여 인체에 상당히 유해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조리 수단을 화기를 이용한 직접 가열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는 전자렌지에 비해 조리시간을 상당히 요하는 것으로, 즉석 조리 및 취식을 위한 자판기 운영에 있어서 그 사업성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0131370 호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적외선 조사 방식 피자 조리 구성을 통해, 전자렌지 못지않게 피자를 급속 조리하면서도 조리시 발생할 수 있는 피자의 분자 변형 등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피자 벤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자 벤딩 장치는, 자판기 구조를 통해 내측에서 즉석 가열된 냉동피자를 판매하는 피자 벤딩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동피자를 냉동보관하는 냉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측에 구비되고 냉동피자를 조리하는 피자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조리부는,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냉동피자를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조리부는, 냉동피자가 거치되는 피자 거치부재와, 상기 피자 거치부재를 둘러싸도록 복수 구비되는 램프 수용부재와, 상기 램프 수용부재 각각에 구비되고 냉동피자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할로겐 램프 구조로 형성되는 램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냉동피자가 구비되는 피자 거치대와, 상기 피자 거치대에 거치된 냉동피자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피자 거치대와 연결되고 상기 피자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피자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 수용부재는, 상기 피자 거치부재에 대해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 수용부재는, 상기 램프부재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어 상기 피자 거치부재로 집중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광 반사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피자를 가열하는 경우 피자의 하부면에도 열이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피자를 지지하는 상부면에 소정의 체적을 갖는 열 통과 공간인 열 유입구간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대는, 상기 열 유입구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바(Bar)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예열 공급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자 벤딩 장치는, 상기 램프부재가 소정 시간 이상 동안 구동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예열 공급수단을 가동하여 상기 피자 거치부재를 예열시키는 조리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축열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자 벤딩 장치는,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할로겐 램프 기능을 통해 피자를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들은 적외선 영역에 대다수의 열 흡수 대역을 지니는 유기물질 내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인 바, 이에 따라 음식물 가열에 있어 그 열전달율이 최대한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되어, 가열시간이 단축되고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되어 자판기 운용 효율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회전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회전 특성을 통해 피자는 열원인 램프부재의 주변에서 지속 회전하게 되어 그 전체 면적이 골고루 조리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따라 조리의 일정성이 확보되어 피자의 맛과 풍미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 수용부재는 피자 거치부재에 대해 오목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는 경우 램프부재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피자 거치부재의 외측을 포위하는 형상인 상기 오목 구조에 의해 반사되어, 이를 통해 램프부재로부터 방출된 빛은 그 대부분이 피자로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오목 구조를 갖는 램프 수용부재는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광 반사돌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돌출 구조가 램프부재로부터 방출된 빛을 다단 반사시켜 피자 거치부재로 가이드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자 거치부재에 대한 광 집중율이 더욱 향상되어, 가열 시간 단축 및 에너지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상부면에 소정의 체적을 갖는 열 통과 공간인 열 유입구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자의 하부면에도 상기 열 유입구간을 통해 열이 직접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자를 전체적으로 고루 가열할 수 있게 되어 피자의 풍미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램프부재가 소정 시간 이상 동안 구동되지 아니한 경우, 조리모듈은 피자 거치부재와 연결된 예열 공급수단을 가동함으로써 피자 거치부재를 예열시킬 수 있고, 이러한 예열 특성에 대응되는 만큼 피자를 조리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피자 조리의 신속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축열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축열 특성을 통해 상당 온도 이상의 예열량이 상기 피자 거치부재에 존재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예열 온도에 대응되는 만큼 피자를 조리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자 조리의 신속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자 벤딩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계기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보호벽 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피자 보관부에 피자가 수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피자 보관부가 냉동부에 수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냉동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도어부재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 2 도어부재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제 2 도어부재의 개폐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제 2 도어부재의 개폐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1은 피자조리부의 내부를 모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피자조리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램프 수용부재 및 피자 거치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피자조리부를 이용한 피자 조리 과정을 모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지지로프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지지고리가 지지홈에 구속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피자 피자조리부에 냉기유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피자 피자조리부에 냉기 주입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피자 보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피자 지지부재와 냉기유입홈의 형성 과정을 모식화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자 벤딩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자 벤딩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계기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부(100)에 의해 자판기로서의 전체적인 구조가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자판기 구조를 개폐하는 계기부(600)가 형성된다.
상기 계기부(600)는 외측 피자토출부재(610), 각종 결제 수단(620), 피자 메뉴 선택 수단(630) 등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함으로써, 메뉴선택, 결제 및 제품수령을 위한 일반적인 자판기의 전면부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측은 보호벽 부재(120)로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벽부재(120)에는 상기 외측 피자토출부재(610) 및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와 연통되고 조리피자(12)가 배출되는 내측 피자토출부재(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벽 부재(120)의 배후에 피자의 보관, 조리 등을 위한 각종 구성들이 마련된다.
이하 다른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보호벽 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피자 보관부에 피자가 수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피자 보관부가 냉동부에 수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보호벽 부재(120)의 배후에는 냉동부(300), 피자조리부(400) 및 이송부(500)가 마련되며, 상기 냉동부(30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피자를 수용하고 상기 냉동부(300)에 카트리지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피자 보관부(200)가 마련된다.
먼저, 상기 피자 보관부(200)는 냉동피자(11)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일측면에 재고피자 출입개구(210)가 형성되며, 그 내측의 공동구조에는 복수개의 냉동피자(11)가 적층구조로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부(300)는 상술한 피자 보관부(200) 및 이에 수용된 냉동피자(11)를 냉동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냉동피자(11)는 상기 이송부(500)에 의해 상기 피자조리부(400)로 이송된 후 가열 조리되며, 이때 상기 이송부(500)는 냉동피자(11) 또는 피자조리부(400)에 의해 조리된 조리피자(12)를 하우징부(100) 내측 또는 외측의 임의의 구간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이송부(500)는 냉동피자(11) 등을 이송하기 위하여 각종 기어수단, 컨베이어 벨트, 각종 구동수단, 각종 센서 등 모든 주지관용적인 동력 전달 수단, 축 운동 수단, 센싱 수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내용들을 종합하면, 상기 피자 벤딩 장치는 냉동부(300)에 의한 판매용 피자 수용, 계기부(600)를 통한 주문 및 결제 진행, 그리고 피자조리부(400)에 의한 즉석 조리와 같은 특징들이 종합된 피자 판매용 자판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덧붙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자 벤딩 장치는 상기 계기부(600)와 연동되는 판매모듈(710), 상기 냉동부(300)를 관리하는 냉동모듈(720), 상기 피자조리부(400)를 관리하는 조리모듈(730) 및 상기 이송부(500)를 관리하는 이송모듈(7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전자상의 각종 제어 및 연산 기능 수행을 위한 모든 주지관용적인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0)의 각종 제어기능을 통해 각 구성 간의 기능들이 순차 연계됨으로써 전체적인 자판기 기능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소비자는 즉석에서 가열되어 신선도와 식감이 최대화된 피자를 시기에 상관없이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자 보관부(200)는 상기 냉동부(300)로부터 별도로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상기 피자 보관부(200)는 피자 공장 등 피자 생산 시설에 별도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후, 피자 공장에서 생산된 복수개의 냉동피자(11)는 상기 피자 보관부(200)에 수용된 채, 상기 피자 벤딩 장치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공장 측에서는 박스와 같이 복수개의 냉동피자(11)를 동시에 수용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박스 구매비 등과 같은 자재비의 지출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자판기 관리자는 공장에서의 사전 작업을 통해 복수개의 냉동피자(11)가 수용된 피자 보관부(200)를 냉동부(300)에 수용시키는 것만으로도 복수개의 피자를 동시에 냉동부(300)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자판기 관리자는 재고 기입을 위하여 복수개의 냉동피자(11)들을 낱개별로 일일이 냉동부(300)에 수용할 필요가 없게되므로, 이에 따라 자판기 운영상의 효율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상기 피자 벤딩 장치는 전체적으로 단순 피자 자판기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판기형 피자 판매의 사전 과정인 피자 유통 및 재고 관리 편의성까지 고려된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상기 피자 벤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들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마쳤으며, 이하 상기 피자 벤딩 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상기 피자 보관부(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자 보관부(200)는 내부 일측 및 이와 대향하는 내부 타측에는 걸림턱 형상이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피자 지지부재(220)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냉동피자(11)를 수용하는 피자 박스부(20) 하부면의 양 단은 상기 걸림턱 구조에 의해 지지된 채 복수개가 상기 피자 보관부(200) 내측에서 적층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림턱 구조는 냉동피자(11)를 지지하는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러한 지지 기능을 통해 피자의 낙하 및 망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반복되는 걸림턱 구조를 통해 피자 보관부(200) 내측에는 각 걸림턱 구조를 단위로 하여 일종의 구획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자판기 관리자는 각 냉동피자(11)간의 경계를 각 구획단위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식별 효과 향상을 통해 전체적인 재고 관리 등 자판기 운영상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냉동부의 배면 사시도인 도 6을 더 참조하여 냉동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부(300)의 일측면에는 피자 보관부(200)가 복수개 출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피자 보관부(200) 단면적에 대응되는 개구 구조를 갖는 보관부 출입개구(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부 출입개구(310)의 일측에는 이를 개폐하는 제 1 도어부재(320)가 형성되며, 제 1 도어부재(320)의 개폐를 통해 냉동피자(11)의 재고가 상기 냉동부(300)로 출입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각각의 재고피자 출입개구(21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개구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냉동피자 출입개구(3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피자 보관부(200)는 상기 재고피자 출입개구(210)가 상기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와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냉동부(300)에 수용된다.
즉, 재고피자 출입개구(210)과 냉동피자 출입개구(330)간의 연통 구조를 통해, 피자 보관부(200) 내측의 냉동피자(11)는 냉동부(300) 외부에 마련되는 피자조리부(400) 등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피자는 소비자 개개인들의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메뉴로 출시되는 만큼, 이를 판매하는 피자 자판기 구조 또한 복수개의 메뉴로 이루어진 냉동피자(11)들을 판매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복수개의 메뉴를 갖는 냉동피자(11)를 수용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피자 보관부(200)를 분리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냉동부(300)는 내측에 복수개의 구획을 형성하는 구획 형성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피자 출입개구(330)는 상기 구획 형성부재(350)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별로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 형성을 통해, 각각 상이한 피자 메뉴를 갖는 복수개의 피자 보관부(200)들은 각기 구획 단위로 분리 수용될 수 있다.
즉, 각 피자 메뉴들은 냉동부(300) 내측에 형성된 구획단위로 관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특정 피자 메뉴가 주문되는 경우 이송부(500)는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냉동피자(11)들을 수용하고 있는 특정 냉동피자 출입개구(330) 구획 측으로 이동한 후, 이에 수용된 냉동피자(11)를 피자조리부(400) 등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송모듈(740)은 특정 피자 메뉴가 주문되는 경우 이송부(500)가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냉동피자(11)들을 수용하고 있는 구획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동 경로는 하우징부(100)의 사이즈, 하우징부(100) 내측의 각종 구성들의 배치 등 사전에 입력 및 저장된 모든 제반 사항들을 고려하여 좌표값 단위로 현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냉동피자(11)를 이송하기 위한 한가지 예시일 뿐이며, 전술한 구획 형성부재(350)의 구획 형성 특징을 전제로 하는 한 이외에도 다양한 냉동피자(11) 이송 예시들이 존재한다 할 것이다.
또한, 도 5에는 상기 구획 형성부재(350)가 4개의 구획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 그 외 다양한 형태와 갯수를 가진 구획이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냉동피자 출입개구(330) 또한 상기 보관부 출입개구(310)와 마찬가지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바, 도 7, 도 8,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0a 내지 도 10c를 더 참조하여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의 개폐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제 2 도어부재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 2 도어부재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제 2 도어부재의 개폐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제 2 도어부재의 개폐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 도 8,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0a 내지 도 10c에 각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피자(11) 출입구는 제 2 도어부재(340)에 의해 개폐되며, 이하 상기 각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개폐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여닫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미닫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상하 방향으로 미닫이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바, 이는 설명을 위한 일례일 뿐이며,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상하좌우 어느 일방 및 타방으로 미닫이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복수개의 주름이 반복형성되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바라 구조 중 일단의 주름이 타단의 주름으로 접근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상기 냉동피자 출입개구(330)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자바라 구조 실시 형태에 따르는 경우,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의 단면 영역 내에서만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도어부재(340)가 개폐되는 경우 그 단면 영역을 제외한 별도의 타 공간은 필요치 않게되므로, 이를 통해 공간활용도가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도면상에는 상기 자바라 구조가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닫이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예컨대, 상기 자바라 구조는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의 높이방향으로도 미닫이될 수 있으며, 그 구동 방향은 어느 특정 방향에 구속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중간 접철되는 스윙도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제1 평판구간(341)과, 일단이 상기 제1 평판구간(341)의 일단과 힌지결합하는 제 1 스윙힌지(342)와, 일단이 상기 제 1 스윙힌지(342)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는 제 2 평판구간(343) 및 일단이 상기 제 2 평판구간(343)의 타단과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의 일측과 힌지결합하는 제 2 스윙힌지(3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상기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의 일측을 향해 미닫이 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제1 평판구간(341) 및 상기 제 2 평판구간(343)이 상기 각 스윙힌지(342, 344)들을 축으로 한 채 접철됨으로써 냉동피자 출입개구(330)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도어부재(340)는 직선 형태를 갖는 미닫이 동선을 형성하며 개폐작동을 하게 된다.
이는, 원호를 형성하는 여닫이 동선에 비해 공간 점유율을 적게 차지하는 것이므로, 이를 통해 상술한 동선 차이에 대응되는 만큼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개폐 과정 중 제 2 도어부재(340)의 단면 구간에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저항은, 상술한 제1 평판구간(341)과 제 2 평판구간(343)간의 접철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구간에만 발생하게 된다.
이와 달리, 비(非)접철 구조가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경우에는 그 전체 단면적에 공기저항이 작용하게 되므로, 결국 상술한 스윙도어 구조에 따를 경우 공기저항을 받는 면적이 비접철 여닫이 구조에 비해 확연히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 저항의 감소에 대응되는 만큼, 제 2 도어부재(340)에 작용하는 부하 등이 감소되어 제 2 도어부재(34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개폐과정의 응답성 저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제 2 도어부재(340)는 냉동 보관을 위한 소정의 냉기 유동에 상시 노출되는 바, 상기 냉기 유동에 의한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 2 도어부재(340)는 전술한 스윙도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다양한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 2 도어부재(340) 및 이를 통한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의 개폐에 대한 설명을 마쳤다.
그리고, 냉동피자 출입개구(330)는 조리되기 위한 냉동피자(11)가 출입되는 통로이며, 이는 복수개의 피자 보관부(200)를 출입시키기 위한 보관부 출입개구(310)에 비해 상당히 작은 단면적을 지니고 있다.
즉, 냉동피자 출입개구(330)를 더 포함함으로써, 피자 조리를 위하여 상기 냉동부(300)가 개방되는 면적은 보관부 출입개구(310)와 냉동피자 출입개구(330)의 단면적 차이에 대응되는 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방 면적의 축소에 대응되는 만큼, 이에 대응되는 냉매, 전력 등의 손실이 최소화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냉동모듈(720)은 특정 피자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냉동피자(11)를 수용하고 있는 제 2 도어부재(340)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이송부(500)가 상기 제 2 도어부재(340) 내측에 수용된 냉동피자(11)를 피자조리부(400)로 이송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은 피자조리부(400)의 내부를 모식화한 단면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피자조리부(400)에 의한 냉동피자(11) 조리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자조리부(400)의 일측에는 피자조리부 개폐부재(410)가 형성되며, 이는 조리되기 위한 냉동피자(11)의 출입구이다.
그리고, 상기 피자조리부(400)의 내측 하부에는 냉동피자(11)가 수용되기 위한 피자 거치부재(420)가 형성되며, 이때 이송부(500)는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의 상부에 피자 박스부(20)로부터 분리된 냉동피자(11)만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피자조리부(400)의 내측 상부에는 냉동피자(11)를 가열 조리하기 위한 피자 가열부재(430)가 형성된다.
이때, 오븐구조를 통해 냉동피자(11)를 조리할 수 있도록, 상기 피자 가열부재(430)는 열풍을 분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오븐구조에 따르는 경우, 열풍을 고루 분사하는 상기 오븐구조의 특징에 의해 대류 및 복사 열전달 현상이 발생하여 냉동피자(11)를 그 내부까지 전체적으로 골고루 데울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냉동피자(11)에는 해빙이 덜 되거나 덜 익혀진 구간이 최소화되어, 전체적인 피자의 맛과 풍미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다만, 이 경우 냉동피자(11)의 하부면은 피자 거치부재(420)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대류 및 복사열이 전달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는 축열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축열성 소재의 예시로는 맥반석 등이 있다.
상술한 축열 특성 강화에 따르는 경우, 기존의 피자조리부(400) 구동에 의해 발생한 열이 다음회의 피자조리부(400) 구동시에도 일정량 남아 있게 되는 일종의 예열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예열 효과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와 접촉하게되는 냉동피자(11)의 하부면에도 그 열이 전도 원리를 통해 전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동피자(11)는 대류, 복사 및 전도 등 모든 열전달 원리를 통해 그 전체면적이 데워질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대응되는 만큼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그 맛과 풍미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자조리부(400)는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와 연결되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를 가열하는 예열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 이내에 피자조리부(400)가 가동되지 아니한 경우, 조리모듈(730)은 상기 예열부재(440)를 가동함으로써 상기 조리 거치부재를 가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자조리부(400)가 특정 시간 이상 구동되지 않아 피자 거치부재(420)에 충분한 예열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다.
이에 따라,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에는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예열량이 존재하게 되어, 이러한 예열량에 대응되는 만큼 피자 거치부재(420)에는 피자 조리를 위한 온도가 신속히 형성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자 조리의 신속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술한 피자조리부(400)에 의한 피자 조리 과정 이후에는, 상기 피자조리부(400)에 의해 조리된 조리피자(12)는 이송부(500)의 운반작용을 통해 피자 박스부(20)에 다시 수용된다.
그리고, 피자 박스부(20)에 수용된 상기 조리피자(12)는 이송부(500)에 의하여 내측 피자토출부재(110)와 외측 피자토출부재(610)를 거쳐 하우징부(100) 외부에 있는 소비자에게로 전달되는 것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피자조리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램프 수용부재 및 피자 거치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피자조리부를 이용한 피자 조리 과정을 모식화한 단면도이며, 도 12 내지 도 14를 더 참조하여 다른 형태의 피자조리부(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자조리부(400)의 다른 실시 형태는 피자 거치부재(420)와, 램프 수용부재(450)와, 램프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수용부재(450)의 경우 피자가 거치되는 피자 거치부재(420)를 둘러싸는 구조로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램프 수용부재(450)에는 피자 조리를 위한 열원인 램프부재(460)가 구비된다.
이때,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들은 유기 물질 내지 고분자 물질들로서, 적외선 영역에 대다수의 열 흡수 대역을 지니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부재(460)가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할로겐 램프 구조로 형성된다면, 유기 물질인 피자에 대해 열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술한 열 전달율 최대화에 대응되는 만큼, 가열시간이 단축되고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되어, 자판기 운용 효율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는 피자를 거치할 수 있도록 피자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피자 거치대(424)와, 상기 피자 거치대(424)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자 거치대(424)를 회전시키는 피자 회전축(423)과, 상기 피자 회전축(423)의 하부에 구비되는 피자 거치축(4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자 거치대(424)는 복수 개의 바(Bar)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바(Bar) 사이에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열 통과 공간인 열 유입구간(421)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자의 하부면에도 상기 열 유입구간(421)을 통해 열이 직접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결국 피자를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조리할 수 되어 조리된 피자의 풍미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피자의 조리과정 중 발생하는 기름은 상기 열 유입구간(421)을 통해 유출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기름기가 완전히 제거되어 보다 더 담백한 맛을 내는 피자가 제공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피자 거치대(424)는 전술한 피자 회전축(423)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피자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자의 전체 면적이 더욱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램프부재(460)에서는 그 둘레를 따라 광이 전방위로 조사되는 바, 이러한 광 중 측면광 내지 후면광은 피자 거치부재(420)를 향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해 광 집중 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램프 수용부재(450)의 경우 피자 거치부재(420)에 대해 오목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부재(460)에서 방출되는 후면광, 측면광 등은 피자 거치부재(420)의 외측을 포위하는 형상인 상기 오목 구조에 의해 반사되어 피자 거치부재(420)로 향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자에 대한 광 집중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상술한 오목 구조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재(450)의 내주면에 조사되는 광 중 일부는 그 입사각에 따라 피자 거치부재(420)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부재(46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피자 거치부재(420)로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수용부재(450)는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광 반사돌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4에는 상기 광 반사돌부(451)가 그 단면이 소정의 치열구조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즉, 상기 광 반사돌부(451)는 상기 램프부재(460)로부터 조사되는 모든 광이 피자 거치부재(420)로 전부 반사될 수 있도록, 램프부재(460)와 피자 거치부재(420)간의 이격 거리 등과 같은 각종 요인들에 대응되는 다양한 기울기, 경사, 곡률 등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돌출 구조가 램프부재(460)로부터 방출된 빛을 다단 반사시켜 피자 거치부재(420)로 가이드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자에 대한 광 집중율이 더욱 향상되어 가열시간 단축 및 에너지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도 12 내지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1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예열부재(440)와, 조리모듈(730)과 같은 구성들도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다른 실시형태의 피자조리부(400)에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일 예로서,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예열 공급수단(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램프부재(460)가 소정 시간 이상 동안 구동되지 아니한 경우, 전술한 조리모듈(730)이 상기 예열 공급수단(미도시)을 가동함으로서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를 예열시킬 수 있다.
물론, 도 11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에 대응하여, 상기 피자 거치부재(420)는 축열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으로, 피자조리부(400)에 대한 설명을 마쳤으며, 이에 따라 피자 보관부(200)로의 냉동피자(11) 수용, 냉동부(300)에 의한 피자 냉동보관 및 피자조리부(400)에 의한 냉동피자(11) 조리와 같이, 피자 자판기 구조에서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과정이 모두 설명되었다.
그리고, 도 15는 지지로프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지지고리(232)가 지지홈(240)에 구속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도 16a 및 도 16b를 더 참조하여 유통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냉동피자(11)의 낙하 또는 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자 보관부(200)는 일측면에 재고피자 출입개구(210)가 형성되는 개방구조이며, 이때 상기 개방구조로 인하여 유통 또는 이송과정 중 상기 재고피자 출입개구(210)을 통해 피자가 낙하 또는 망실될 우려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재고피자 출입개구(210)을 간섭하여 일종의 지지막 기능 수행하는 지지수단이 더 부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자 보관부(200)는 일종의 로프구조를 통해 상기 재고피자 출입개구(210)을 간섭하는 지지로프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자 보관부(200)는 상하부면에 각기 절개홈 구조로 형성되는 지지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로프부재(230)는 로프구조로 형성되는 지지로프(231) 및 상기 지지로프(231)의 양 단에 소정의 고리 구조로 형성되는 지지고리(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 각각에 상기 지지고리(232)가 각각 구속됨으로써, 재고피자 출입개구(210)에는 일종의 로프구조를 갖는 지지막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고리(232)가 상기 지지홈(24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도피구간이 없는 구조로 형성된다면 냉동피자(11)를 피자 보관부(200)에 출입시키는데 상당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지지고리(232)가 상기 지지홈(24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소정의 도피구간을 갖는 일종의 갈고리 구조로 형성된다면, 지지로프부재(230)의 탈부착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운반 도중 지지로프(231)에 각종 외력 또는 냉동피자(11)의 쏠림에 의한 가압력 등이 작용한다면, 이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상기 지지고리(232)는 상기 도피구간을 통하여 탈거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홈(240)과 같은 절개홈 구조를 완전히 구속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임의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고리(232)는 개고리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개고리 구조는 도피구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임의로 형성 및 폐쇄 가능한 구조이므로, 이에 따라 상기 지지홈(240)으로의 탈부착 용이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도피구간을 폐쇄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고리(232)에는 지지홈(240)으로부터 이탈될만한 일체의 공간 없이 완벽히 지지홈(240)에 고정될 수 있게된다.
이에 따라, 지지홈(240)에 대한 지지고리(232)의 고정효과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막의 견고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 또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6a에서 도 16b 순으로 도시된 과정이 상술한 개고리 구조를 통한 지지로프부재(230) 설치의 예시이며, 이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역순 실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17은 피자 피자조리부에 냉기유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8은 피자 피자조리부에 냉기 주입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더 참조하여 냉기유입홈 및 냉기 주입부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에 따르면, 피자 보관부(200)가 냉동부(300)에 수용되는 경우 냉동피자(11)는 피자 보관부(200) 및 재고피자 출입개구(210)를 폐쇄하는 제 2 도어부재(340)에 의해 밀폐된다.
즉, 냉동부(300) 내측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동피자(11)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피자 보관부(200)의 벽면을 통해 전도되는 것이다.
이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자 보관부(200)에 냉기유입홈(250)을 형성한다면, 이를 통해 냉기가 피자 보관부(200) 내측으로 직접 유입될 수 있게되므로, 이에 따라 냉동 보관 효율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부(300)는 상기 냉기유입홈(250)을 통해 상기 피자 보관부(200) 내측으로 삽입되고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주입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자 보관부(200) 내측에는 상기 냉기 주입부재(360)에 의한 직접적인 냉기 전달이 수행되므로, 이를 통해 냉동 보관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냉동부(300)는 상기 냉기 주입부재(360)만을 통해 냉동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냉동의 대상인 복수개의 피자 보관부(200) 내측에만 냉동이 실시되고, 냉동부(300) 내 다른 공간에는 냉동 기능이 수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선택적 냉동 기능 수행에 의하여, 냉매와 전력의 사용량이 최소화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냉동부(300)는 수용하고자 하는 상기 복수개의 피자 보관부(200)의 전체 부피에 대응되는 부피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냉동부(300)의 내측에는 상기 냉기 주입부재(360)으로부터 냉열을 공급받지 않아 복수개의 피자 보관부(200) 내측에 비해 비교적 온도가 더 높은 구간들이 최소화된다.
즉, 이러한 고온 공간의 최소화에 대응되는 만큼, 상기 고온 공간에서 저온 공간인 피자 보관부(200) 내측으로의 열전달 발생이 최소화될 것이므로, 이러한 열전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냉열 손실이 더욱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도 17 및 도 18에는 피자 보관부(2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파지홈(260)에 대해 도시하고 있고, 이러한 파지홈(260)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 가능한 구조로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파지홈(260)을 통해 피자 보관부(200)의 내측으로 손을 삽입한 채 피자 보관부(200)를 운반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작업자는 파지홈(260)을 통해 피자 보관부(200)의 외측면과 내측면 및 파지홈(260)의 절개면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술한 파지홈(260)이 부존재한 경우에는, 피자 보관부의 하부면을 들어올려야만 그 운반이 가능한 바, 이는 파지 방식 운반 방법에 비해 더욱 많은 체력 소모를 요하는 것이므로, 결국 상술한 파지홈(260)의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피자 보관부(200)를 운반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체력 소모가 더욱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피자 보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피자 지지부재와 냉기유입홈의 형성 과정을 모식화한 평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17과, 도 19 및 도 20을 비교 참조하여 상기 피자 보관부의 타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와 도 17, 그리고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실시 형태에 의한 피자 보관부(200) 또한 피자 지지부재(220) 및 냉기유입홈(250)을 포함하며, 그 외 전체적인 구조 및 기능 또한 도 4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피자 보관부(200)와 동일하다.
다만, 도 19에 도시된 냉기유입홈(250)의 경우, 상기 피자 지지부재(220)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고 상기 피자 지지부재(220)의 하부면과 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자 보관부(200)의 제작에 있어서 그 양 측면을 소정 정도 절개한 후 이를 내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내측으로 절곡된 구간은 피자가 거치될 수 있는 피자 지지부재(22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절개된 구간은 피자 보관부(200)의 내측으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기유입홈(25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피자 지지부재(220) 형성을 위한 소재를 피자 보관부(200)의 내측에 별도로 접착시키거나, 또는 피자 지지부재(220)가 돌출형성된 구조로 피자 보관부(200)를 성형하는 등의 복잡한 제조 공정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단순한 절개 및 절곡의 공정만으로도 전술한 피자 지지부재(220) 및 냉기유입홈(250)이 구비된 피자 보관부(200)를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제작 용이성이 대폭 향상되어, 생산 비용 및 단가가 절약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피자 보관부(200)의 경우 아크릴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피자 보관부(200)의 경우 절개 및 절곡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Al) 등과 같이 소정의 연성 및 강성을 구비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9 및 도 2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피자 보관부(200) 또한 도 15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로프부재(230)와 지지홈(240) 등 기존에 설명한 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상기 피자 박스부(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자 박스부(20)는 냉동피자(11)가 노출되도록 상부박스부재(21)가 하부박스부재(22)의 하부를 향해 접혀진 상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접힘 상태는 냉동피자(11)의 수용, 조리, 하우징부(100) 외부로의 배출 등 자판기 구조의 전 과정에 있어서 마찬가지이다.
이와 반대로, 냉동피자(11)가 밀폐되도록 상기 상부박스부재(21)가 하부박스부재(22)의 상부를 커버한다면, 피자조리부(400)에 냉동피자(11)를 투입하고 이를 다시 회수하는 과정에서 피자 박스부(20)를 접거나 펼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 밖에 없다.
이때, 로봇 팔과 같은 기계적 수단을 통해 피자 박스부(20)를 폴딩 및 언폴딩하고자 한다면, 그 설계 방안은 필연적으로 복잡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각종 설계 및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냉동피자(11)가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박스부재(21)가 하향 폴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100) 내측에 마련한다면, 피자 박스부(20)를 폴딩 또는 언폴딩 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 등의 부가 또는 설계 변경 등이 생략되므로, 이에 따라 장치 전체의 제작 비용이 더욱 감소하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상술한 피자 박스부(20)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경우, 피자는 장시간 동안 피자 박스부(20)에 의한 밀폐 보호를 받을 수 없게 되어, 그 표면이 굳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자에 식용 가능한 오일을 분사하여 그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코팅층 하부에 존재하는 피자의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오일 분사 처리가 된 냉동피자(11)를 조리부(400)에서 조리한다면, 조리부(400)에서 발생되는 열기로 인해 상기 오일은 쉽게 녹게되므로, 오일 분사에 의한 코팅층 형성으로 인해 피자 조리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술한 오일 코팅층은 녹아내린 후 피자에 자연스레 배어들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자에는 사용한 오일의 성분 및 종류 등에 대응되는 향과 풍미가 더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피자 벤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피자 벤딩 장치
11 : 냉동피자
12 : 조리피자
20 : 피자 박스부
21 : 상부박스부재
22 : 하부박스부재
100 : 하우징부
110 : 내측 피자토출부재
120 : 보호벽 부재
200 : 피자 보관부
210 : 재고피자 출입개구
220 : 피자 지지부재
230 : 지지로프부재
231 : 지지로프
232 : 지지고리
240 : 지지홈
250 : 냉기유입홈
260 : 파지홈
300 : 냉동부
310 : 보관부 출입개구
320 : 제 1 도어부재
330 : 냉동피자 출입개구
340 : 제 2 도어부재
341 : 제 1 평판구간
342 : 제 1 스윙힌지
343 : 제 2 평판구간
344 : 제 2 스윙힌지
350 : 구획 형성부재
360 : 냉기 주입부재
400 : 피자조리부
410 : 피자조리부 개폐부재
420 : 피자 거치부재
421 : 열 유입구간
422 : 피자 거치축
423 : 피자 회전축
424 : 피자 거치대
430 : 피자 가열부재
440 : 예열부재
450 : 램프 수용부재
451 : 광 반사돌부
460 : 램프부재
500 : 이송부
600 : 계기부
610 : 외측 피자토출부재
620 : 결제 수단
630 : 피자 메뉴 선택 수단
700 : 제어부
710 : 판매모듈
720 : 냉동모듈
730 : 조리모듈
740 : 이송모듈

Claims (10)

  1. 자판기 구조를 통해 내측에서 즉석 가열된 냉동피자를 판매하는 피자 벤딩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동피자를 냉동보관하는 냉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측에 구비되고 냉동피자를 조리하는 피자조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조리부는,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냉동피자를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조리부는,
    냉동피자가 거치되는 피자 거치부재와, 상기 피자 거치부재를 둘러싸도록 복수 구비되는 램프 수용부재와, 상기 램프 수용부재 각각에 구비되고 냉동피자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할로겐 램프 구조로 형성되는 램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냉동피자가 구비되는 피자 거치대와, 상기 피자 거치대에 거치된 냉동피자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피자 거치대와 연결되고 상기 피자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피자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재는,
    상기 피자 거치부재에 대해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재는,
    상기 램프부재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어 상기 피자 거치부재로 집중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광 반사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피자를 가열하는 경우 피자의 하부면에도 열이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피자를 지지하는 상부면에 소정의 체적을 갖는 열 통과 공간인 열 유입구간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 거치대는,
    상기 열 유입구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바(Bar)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예열 공급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자 벤딩 장치는,
    상기 램프부재가 소정 시간 이상 동안 구동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예열 공급수단을 가동하여 상기 피자 거치부재를 예열시키는 조리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 거치부재는,
    축열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 벤딩 장치.


KR1020180129949A 2018-10-29 2018-10-29 피자 벤딩 장치 KR20200048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49A KR20200048177A (ko) 2018-10-29 2018-10-29 피자 벤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49A KR20200048177A (ko) 2018-10-29 2018-10-29 피자 벤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77A true KR20200048177A (ko) 2020-05-08

Family

ID=7067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949A KR20200048177A (ko) 2018-10-29 2018-10-29 피자 벤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5719B2 (ja) 食品の温度及び表面組織を調節する方法及び装置
US4503760A (en) Forced convection oven
US7468495B2 (en) Multi-mode convection oven with flow control baffles
EP0490900B1 (fr) Dispositif de remise en temperature a secteurs selectionnables pour produits alimentaires
JPH01319893A (ja) 加熱された個別分配倉品の供給装置
KR100829508B1 (ko) 인스턴트식품용 자동판매기
CA2864422A1 (en) Conveyor oven
NZ201528A (en) Hot air oven:direction of hot air stream on stationary food continuously varied
JPH06235520A (ja) 電子レンジ用の振動空気供給装置
KR20230043090A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516953B2 (en) Convected-air cabinet
US6624399B2 (en) Space saving cooking appliance
KR20200048177A (ko) 피자 벤딩 장치
KR102135257B1 (ko) 피자 보관부 및 이를 이용한 피자 벤딩 장치
KR960032246A (ko) 식품 자동판매기
WO2010108273A1 (en) Combined microwave and conventional oven
KR0131370B1 (ko) 가열 식품 자동 판매기
KR100966792B1 (ko) 즉석식품 자판기
RU2343551C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FR2824168A1 (fr) Distributeur automatique de produits alimentaires frais
JP2017203561A (ja) 加熱調理器
CN213695480U (zh) 自动烤地瓜机
CN208861384U (zh) 一种便当自动售卖机
KR20050035955A (ko) 식품 자동 판매기
KR102227118B1 (ko) 무인 자동화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