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983A -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983A
KR20200047983A KR1020180129543A KR20180129543A KR20200047983A KR 20200047983 A KR20200047983 A KR 20200047983A KR 1020180129543 A KR1020180129543 A KR 1020180129543A KR 20180129543 A KR20180129543 A KR 20180129543A KR 20200047983 A KR20200047983 A KR 20200047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entence
language learning
displaye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413B1 (ko
Inventor
이소민
민서영
Original Assignee
이소민
민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민, 민서영 filed Critical 이소민
Priority to KR102018012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4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어 블록을 조립함으로써 언어 문장을 만들며 스스로 언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면에는 제1형태의 제1홈이 형성되고,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주어가 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주어블록과; 상기 제1형태의 제1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1형태의 제1돌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2형태의 제2홈이 형성되며,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동사가 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동사블록과; 상기 제2형태의 제2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2형태의 제2돌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3형태의 제3홈이 형성되며, 블록 일면에는 동사 이후에 후치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후치블록과; 상기 제3형태의 제3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3형태의 제3돌부가 형성되고,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마침부호가 표시되는 마침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각 블록에는 상기 각 블록에 표시된 단어와 문장을 파악하는 제어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고, 상기 각 블록에는 상기 각 블록에 표시되는 단어가 변경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BLOCK SET FOR LANGUAGE STUDY}
본 발명은 언어의 문법구조를 분해하여 블록으로 구분한 후 전체 블록을 치합하면 하나의 문장(SENTENCE)이 완성되게 학습하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로서, 완성된 문장이 문법상 올바른지 정오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분된 블록이 서로 다른 연결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퍼즐 학습방식을 유도하고 문장 완성시 시각적 디스플레이 및 음성출력을 동시 지원하는 공감각적 언어학습을 지원한다. 본 발명은 학습자 인지능력을 향상시켜 치매 예방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우리는 대개 영어교육을 종이로 만든 두꺼운 책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다. 그런데 언어 학습시 단어와 문법을 지식으로 익히면 실생활에 사용할 수 없고 교육효과도 매우 저조하다. 이는 피교육자가 가진 학습전 사회문화적 경험이 전혀 다른 외국어 속성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며 이 때문에 깊이있는 언어교육이 어려워진다.
최근 한국에선 직장을 그만두고 자녀교육에 매진하는 엄마가 많은데 이 때문에 영어 등 사교육 시장이 넘쳐나고 언어학습용 알파벳 블록이나 스마트폰 앱(APP: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이 개발되어 시판중이다. 그러나 알파벳 블록의 경우 유아나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교육성이 떨어지고, 흥미 유발이 어려우며, 언어학습용 앱은 학습자로하여금 스마트폰의 다른 기능, 예컨대, 게임, TV, 유튜브 등으로 학습자를 쉽게 유인하고 집중력을 떨어뜨려 학습 방해 요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의 언어학습 방식이나 시판 제품이 효과적이지 못한 이유는 제공 방식에서 아이 눈높이에 맞추지 못하고 언어 학습 시도자가 처음부터 사용하기 어려웠고 어느 정도 습득한 경험자에게 수준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어린 아이는 손으로 조작하는 블록 놀이를 해야 공간지각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지는데, 그 대표적 블록 놀이로 레고를 꼽는다. 레고 블록이란 각 사물의 구성을 모두 분해하여 작은 블록으로 쪼개 논 것으로, 블록에는 여러 연결부가 사방에 배치되어 다른 블록과 입체 결합하여 특정 사물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레고블록은 연결부 결합방식이 일률적이어서 일정한 패턴의 문장구조를 순서대로 구현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언어학습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조각그림 퍼즐은 큰 그림을 많은 조각으로 분할한 후 이를 모두 맞추면 그림이 완성되는 기술로,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장치와 유사한 면이 있다. 퍼즐은 처음에 조립하기 어렵지만 계속 할수록 새로운 조각그림을 통해 또다른 시도를 해보는 등 사용자로 하여금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놀이활동을 할 수 있게 지원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조각그림 퍼즐은 언어학습에 적용하는 기술은 지금까지 없었다.
이처럼 언어학습의 관점에서 많은 놀이 수단이 있고 시판 언어학습 도구도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학습자가 언어 특성을 이해하고 문장이 하나의 블록 조합이라는 점을 이해하여 구현한 사례가 많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놀이와 언어학습을 연계하여 다양한 공감각적 경험을 통해 이를 통해 언어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놀이를 통한 언어학습을 지원함으로써 치매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할 수도 있는 언어학습용 블록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블록 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대로 치합하지 않으면 퍼즐이 완성되지 않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치합부 연결 구조를 가지는 블록들로 이루어진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에 있어서, 후면에는 제1형태의 제1홈(1b)이 형성되고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주어가 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주어블록과(1-1); 상기 제1형태의 제1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1형태의 제1돌부(2b)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2형태의 제2홈(2c1)이 형성되며,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동사가 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동사블록(1-2a)과; 상기 제2형태의 제2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2형태의 제2돌부(3b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3형태의 제3홈(3c)이 형성되며, 블록 일면에는 동사 이후에 후치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후치블록(1-3a)과; 상기 제3형태의 제3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3형태의 제3돌부가 형성되고,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마침부호가 표시되는 마침블록(1-4);을 포함하되, 상기 각 블록에는 상기 각 블록에 표시된 단어와 문장을 파악하는 제어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어 블록 치합시 완성된 문장의 정오를 판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의 블록은 품사별 색깔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내부에 충전지를 내장하여 필요한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전기 커넥터 및 자석이 각 블록의 치합부에 연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각 블록 치합부에 데이터 교환용 접속 단자를 대응 설치하여 블록 정보를 주어블록 등에 전달할 수 있게 지원한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주어블록, 동사블록, 후치블록 및 마침블록의 어느 하나 이상은 터치스크린 블록인 것일 수 있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블록을 통해 입력 단어를 인식하고 대응 음성을 출력하여 인지적, 시각적 및 청각적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상기 주어블록, 동사블록, 후치블록 및 마침블록의 어느 하나 이상의 블록은 버튼형 블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의 각 블록은 제어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자체 판단기능과 함께, 통신망을 통해 휴대폰 앱과 연동함으로써 학부모가 원격지에서 자신의 아이가 어떤 단어를 학습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버튼형 블록 및 터치스크린 블록을 더 포함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문장을 이루는 품사 블록의 모양과 색깔을 구분하여 퍼즐과 같은 방식으로 치합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는 시각적, 인지적 관점에서 언어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품사별 블록형태가 동일하여 연결부 모양을 치합하기만 하면 올바른 문장 구조를 익힐 수 있다.
본 발명은 품사별 블록이 연결되어 문장을 치합하기만 하면 완성여부를 알리는 불빛 및/또는 소리를 통해 올바른 문장인지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언어 블록은 문장 완성시 문장을 읽어줌으로써 청각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언어 블록은 공감각적 언어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언어공부 등 뿐아니라 노인 치매예방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언어 학습자가 흥미롭게 스스로 학습하도록 몰입하게 함으로서 휴대폰 등 놀이용품에 노출된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 전자파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 언어 블록을 퍼즐 조립하듯이 제공함으로써 직접 만지면서 촉각과 인지 기능을 자극하도록 하여 뇌 활동에도 좋은 자극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린이 및 청소년이 사교육 없이도 공간지각 및 창의성을 높이는 블록 놀이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언어 습득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 언어블록은 언어를 쉽게 망각하는 것이 특징인 노인들 치매 예방 및 치료 교구로도 다양하게 구성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언어블록은 반복 학습이 가능하여 단어 철자 학습도 할 수 있고,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능력도 키울 수 있으며, 난이도 조절 및 단계 학습으로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본 발명 언어블록은 퍼즐식 블록 교구이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고 제작비가 저렴하며, 언어 이외에도 한국어를 비롯한 다른 외국어 학습에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 언어블록은 모양이나 색에 따라 품사를 구분하기 때문에 언어를 쉽고 재미있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언어블록은 블록을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로 붙이면서 연결고리를 스스로 터득하는 퍼즐 조립식 문제해결을 통해 스스로 문법이나 쓰기 체험을 경험하게 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언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순서가 정해진 품사별 블록 형태 및 서로 다른 연결부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순서가 정해진 블록의 구체적인 형태 및 결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의 블록은 품사별 색깔을 달리 적용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의 치합부에 연접하여 전기 커넥터(6) 및 자석(7)을 설치된 것을 예시한다.
도 5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블록을 독립적으로 구성한 것이고, 도 6은 품사 블록을 치합하여 구성한 것을 예시한다.
도 7은 버튼형 블록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 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대로 결합하지 않으면 퍼즐이 완성되지 않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를 제공한다.
즉 도 1은 품사별 서로 다른 치합부 연결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품사별 블록 형태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되, 블록간 연결 구조를 서로 상이하게 구성한 것이다. 즉 각 품사별 블록의 치합부 연결 구조가 상이하게 이루어져 정해진 블록 순서대로 결합하지 않으면 문장 퍼즐은 완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품사별 상이한 형태로 블록을 구성하되 블록 연결 구조를 모두 상이하게 설계함으로써 정해진 순서대로 치합될 수 있도록 연접하는 연결 구조가 서로 치합되는 형태로 설계된다. 치합되는 형태가 달라 품사 블록의 조립순서가 바뀌면 치합되지 않아 문장을 완성할 수 없고, 마침블록을 사용함으로써 문장 완성 판단을 제어센서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완결 문장구조를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고 언어를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지원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에서 후면에는 제1형태의 제1홈(1b)이 형성되고,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주어가 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주어블록과(1-1); 상기 제1형태의 제1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1형태의 제1돌부(2b)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2형태의 제2홈(2c1)이 형성되며,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동사가 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동사블록(1-2a)과; 상기 제2형태의 제2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2형태의 제2돌부(3b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3형태의 제3홈(3c)이 형성되며, 블록 일면에는 동사 이후에 후치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후치블록(1-3a)과; 상기 제3형태의 제3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3형태의 제3돌부가 형성되고,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마침부호가 표시되는 마침블록(1-4);을 포함하되, 상기 각 블록에는 상기 각 블록에 표시된 단어와 문장을 파악하는 제어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있어 블록 치합시 완성된 문장의 정오를 판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의 블록은 품사별 색깔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주어블록(1-1), 동사블록(1-2), 후치블록(1-3) 및 마침블록(1-4)에서 동일품사의 블록이거나, 서로 결합되는 블록인 경우에는, 상기 주어블록(1-1), 동사블록(1-2), 후치블록(1-3) 및 마침블록(1-4)의 각 블록들의 치합부 면에는 서로 일치되는 색(color)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관사 ‘a’와 명사 ‘student’는 서로 치합되는 부위 색깔이 같으므로 정상 결합될 수 있는 부위임을 확인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happy’와 ‘good’은 형용사이며, 문장에서 보어를 나타내므로 블록 형태는 물론 색깔이 같은 색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내부에 충전지를 내장하여 필요한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야외 소풍 등 상황 즉, 전원 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도 블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각 블록은 시각, 음성, 또는 램프 출력을 위한 전원용 충전지를 내장하였다가 평시 충전모드로 운영하고 필요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장치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각 블록은 스스로 충전되고, 동시에 전체 블록이 치합된 상태에서도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충전지는 일회용 건전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와 같이 본 발명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의 각 블록의 치합부에는 연접하여 전기 커넥터(6) 및 자석(7)을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각 블록간 치합부에 전기 컨넥터를 상호 접속되게 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조치할 수 있는데 각 블록 치합부에는 +, - 단자가 분리된 접속단자를 연접하여 설치함으로써 문장으로 치합시 단자가 연결되고 이를 통해 전체 블록의 전원공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치합부 연접 블록에는 대응 위치에 다른 극성의 자석을 설치하여 인력이 작용하게 하고, 연접하지 않은 블록에는 다른 대응 위치에 자석을 설치하되 동일 극성의 자석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연접 치합부 블록은 접근시 쉽게 부착되나 연접하지 않은 것은 서로 밀어내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블록간 서로 다르게 배치하여 조립시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는 효과를 구현하여 직감적으로 정오를 판단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각 블록 치합부에 데이터 교환용 접속 단자를 대응 설치하여 블록 정보를 주어블록 등에 전달할 수 있게 지원한다. 즉 치합되는 경우 각각의 블록 또는 특정 블록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 블록의 순서가 맞는지 판단하고 음성, 빛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한 특정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지원하며, 데이터 전송시 RS-232 케이블 단자 등 공지의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블록을 독립적으로 또는 도 6과 같이 품사 블록을 치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를 인식하고 대응 음성을 출력하여 인지적, 시각적 및 청각적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블록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는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단어가 해당 블록 품사와 동일한지 판단하고 틀리면 빨간 불빛을, 맞으면 파란 불빛을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각 블록이 치합되어 문장이 완성되면 불빛으로 문법상 정오를 판별하여 출력한다. 한편, 음성 출력장치는 하나의 단어 만 지원하거나 해당 단어가 들어간 문장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실제 단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문장을 통채로 학습할 수 있게 지원하며, 특히 원어민 발음을 직접 듣고 따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피킹 학습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언어 단어가 표시되는 주어블록(2-1), 동사블록(3-1) 및 후치블록(4-1)의 상면에는 터치펜(2-4)으로 필기를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2-3,3-3,4-3)이 구비된다. 상면에 터치스크린(2-3,3-3,4-3)이 구비된 상기 주어블록(2-1), 동사블록(3-1) 및 후치블록(4-1)에서는 해당 품사(2-2,3-2,4-2)를 블록 측면(2-1,3-2,4-1)에 표시함으로써 각각의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단어들의 조합을 품사와 함께 익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품사간 연결구조와 함께, 각 품사에 특정 단어를 입력하여 올바른 문장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상기 주어블록, 동사블록, 후치블록 및 마침블록의 어느 하나 이상의 블록은 버튼형 블록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버튼형 블록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버튼을 누를 때마다 저장된 단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지원하며, 미리 저장된 음성을 이용하여 소리로도 더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 언어학습용 블록세트는 연령대별 단계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저연령의 어린이는 품사별 구분된 일반 블록세트를 이용하여 퍼즐 조립하는 방식의 재미를 학습에 제공할 수 있고, 초등학생 정도 어린이는 버튼형 블록을 통해 각 품사의 단어수를 빠르게 늘려 배울 수 있고, 중학생 정도 청소년은 터치스크린 블록을 더 조합 사용하면 창의적 문장 구성까지 시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단계별 언어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의 가장 선두에서 배치되고 블록 후면에는 제1형태의 제1홈이 형성된 주어블록 또는 치합된 각 블록 중 어느 하나에서는 문장이 완성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이를 판단하고 바르고 잘못된 정오 여부 판단 후 음성 및/또는 램프로 출력하게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각 블록이 결합되어 문장이 만들어지면, LED 조명이 점등될 수 있도록 각 블록에는 LED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완성된 문장이 옳은 문장일 때는 파란색 또는 초록색 LED가 점등되고, 완성된 문장이 잘못된 경우에는 빨간색 LED가 점등되게 한다. 또한 옳은 문장이 치합되면, 파란색 또는 초록색 LED 점등과 동시에 'Great'같은 칭찬 소리가 재생될 수도 있으나, 틀린 문장이 치합되면, 빨간색 LED가 점등되는 동시에 'Try again'을 재생하여 학습자가 다시 할 수 있도록 경고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의 각 블록은 통신망을 통해 휴대폰 앱과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학부모가 원격지에서 자신의 아이가 어떤 단어를 학습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버튼형 블록 및 터치스크린 블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블록은 단어가 고정된 형태로 표시된 일반 블록, 디스플레이가 구현된 버튼형 블록 및, 단어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블록을 각 품사별로 구성하되, 각 블록 치합부는 품사별로 동일 형태로 지원함으로써 일반 블록, 버튼형 블록 및 터치스크린 블록이 하나의 문장 치합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1. 주어블록 1-2. 동사블록
1-3. 후치블록 1-4. 마침블록
1b. 제1형태의 제1홈 2b. 제1형태의 제1돌부
2c.제2형태의 제2홈 3b.제2형태의 제2돌부
3c.제3형태의 제3홈 4a. 마침부호
4b.제3형태의 제3돌부 5. 디스플레이
6. 전기커넥터 7. 자석

Claims (5)

  1. 서로 다른 치합부 연결 구조를 가지는 블록들로 이루어진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에 있어서,
    후면에는 제1형태의 제1홈(1b)이 형성되고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주어가 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주어블록과(1-1); 상기 제1형태의 제1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1형태의 제1돌부(2b)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2형태의 제2홈(2c1)이 형성되며,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동사가 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동사블록(1-2a)과; 상기 제2형태의 제2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2형태의 제2돌부(3b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3형태의 제3홈(3c)이 형성되며, 블록 일면에는 동사 이후에 후치되는 단어가 표시되는 후치블록(1-3a)과; 상기 제3형태의 제3홈에 치합하는 형태로 전면에 제3형태의 제3돌부가 형성되고, 블록 일면에는 문장의 마침부호가 표시되는 마침블록(1-4);을 포함하되, 상기 각 블록에는 상기 각 블록에 표시된 단어와 문장을 파악하는 제어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어 블록 치합시 완성된 문장의 정오를 판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전기 커넥터 및 자석이 각 블록의 치합부에 연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블록, 동사블록, 후치블록 및 마침블록의 어느 하나 이상은 터치스크린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블록, 동사블록, 후치블록 및 마침블록의 어느 하나 이상은 버튼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는 버튼형 블록 및 터치스크린 블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KR1020180129543A 2018-10-29 2018-10-29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KR10218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43A KR102184413B1 (ko) 2018-10-29 2018-10-29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43A KR102184413B1 (ko) 2018-10-29 2018-10-29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83A true KR20200047983A (ko) 2020-05-08
KR102184413B1 KR102184413B1 (ko) 2020-11-30

Family

ID=7067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43A KR102184413B1 (ko) 2018-10-29 2018-10-29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73B1 (ko) * 2020-09-18 2022-03-14 노은아 인지활동 교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지활동 교육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549A (ko) * 2009-07-08 2011-01-14 최읍제 문장 학습용 블록
KR20150075448A (ko) * 2013-12-26 2015-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학습 블럭
KR101552255B1 (ko) * 2014-03-20 2015-09-09 김관석 블록 완구
KR20170067063A (ko) * 2015-12-07 2017-06-15 박형근 영어학습용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549A (ko) * 2009-07-08 2011-01-14 최읍제 문장 학습용 블록
KR20150075448A (ko) * 2013-12-26 2015-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학습 블럭
KR101552255B1 (ko) * 2014-03-20 2015-09-09 김관석 블록 완구
KR20170067063A (ko) * 2015-12-07 2017-06-15 박형근 영어학습용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73B1 (ko) * 2020-09-18 2022-03-14 노은아 인지활동 교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지활동 교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413B1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bert et al. Sewing interest in E-textiles: analyzing making from a gendered perspective
Ivarsson et al. Representations in practices
US20150004570A1 (en) Block toy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Israel et al. Fifth graders as app designers: How diverse learners conceptualize educational apps
Rocha et al. Accembly at home: Accessible spatial programming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heir families
US20200242969A1 (en)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paired and active stylus with means and methods
US7104798B2 (en) Language teaching method
Chevalier et al. How do teachers perceive educational robots in formal education? A study based on the Thymio robot
KR102184413B1 (ko)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Achkasova The Best Ways of Teaching English to Children: Using Children's Operas in Teaching to 5-to 6-Year-Old Children.
Masfufah et al. The Role of Parents in Preventing Gadget Addiction in Early Childhood
Baqai et al. Optical Braille blocks for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education
KR20060045051A (ko) 어학 학습용 오락 및 교육 시스템
KR20110105898A (ko) 다감각 연산 학습기
KR20210093081A (ko) 파닉스 학습교구
Bose et al. STEM Education Needs STEM Talk
Ongoro et al. Tangispeak: A Digital Game 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b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Tangible Objects
US11132912B1 (en) Electronic educational device
CN219251621U (zh) 多通道的语言学习拼图
Corpus et al. Interactive mat for sensory and spat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visual or auditory disabilities
MURADYAN DEVELOPMENT SPECIAL EXERCISES" TO IMPROVE THE EDUCAT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HEARING DISABILITIES
Li et al. Study Marbles: A Wearable Light for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in Video Meetings
Probowati et al. Model Development of Children's Language Skills Based on Digital Literacy
Шамшетдинова PRESENTATIONS AS A LEARNING TOOL AND SOME WAYS FOR USING IT
TRESKA HOW DO WE PUT SHORT STORIES MODELS INTO PEDAGOGICAL PRACTICE (LITERATURE HERMENEUTICS) Vahidije KADIU q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