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891A -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891A
KR20200046891A KR1020180128676A KR20180128676A KR20200046891A KR 20200046891 A KR20200046891 A KR 20200046891A KR 1020180128676 A KR1020180128676 A KR 1020180128676A KR 20180128676 A KR20180128676 A KR 20180128676A KR 20200046891 A KR20200046891 A KR 20200046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port
vehicle
charg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0062B1 (en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2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062B1/en
Publication of KR2020004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0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port door of a vehicle charging port; a first link provid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a rear surface and a vehicle body of the port door; and a second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the vehicle body of the port door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link by magnetic force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The open position of a door by a magnetic force is guided, an open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door is easily closed.

Description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차량의 충전시 충전 포트를 개폐시키는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harging port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를 탑재하여 전기의 힘으로 주행하는 차량으로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가 포함되어 있다. In general, an electric vehicle is a vehicle mounted with a battery and a motor, and is driven by electric power, and includes a charging port for charging the battery.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의 입구에 도어가 2절 링크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charging port for an electric vehicle, a door is hinged at the entrance of the charging port for charging the battery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two-section link.

따라서, 도어를 바깥쪽으로 회동시키면서 잡아 당기면, 도어가 충전포트의 입구에 대하여 약 90°이상으로 배열되는 열림 상태가 되고, 이에 충전건을 충전포트에 연결하여 배터리 충전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oor is pulled while rotating outward, the door is in an open state arranged at about 90 ° or more with respect to the inlet of the charging port, and the charging gun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o charge the battery.

그러나, 이 경우 개폐하는 도어의 열림시, 도어가 충전포트의 입구에 대하여 약 90°이상으로 배열되는 상태가 되어, 도어의 전방 돌출량이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충전시 충전 건이 도어에 걸리는 등 간섭 현상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is opened, the door is arranged at about 90 ° or more with respect to the inlet of the charging port, and the front protrusion of the door is inevitably increased. There is discomfort caused.

또한, 도어가 단순히 2절 링크에 의하여 힌지 체결된 상태이므로, 작은 힘에도 링크가 손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도어의 강성 부족으로 인한 파손 및 개폐 기능 상실 등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is simply hinged by a two-section link, the link may be damaged even with a small force, thereby causing damage and loss of opening and closing functions due to lack of rigidity of the doo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포트 도어의 개폐 동작 시 간섭 현상을 감소시키는 구조가 요구되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575498호에서는 도어와 차체 사이에 회전 운동하는 4절 링크 2개와 슬라이드 및 회전 운동하는 추가적인 링크를 구비하여 도어를 슬라이드 및 스윙운동 시키면서 개폐시키는 구조를 도입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tructure for reducing the interference phenomenon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arging port door was required, and in Korean Patent No. 10-1575498, two links of four sections rotating between the door and the vehicle body and slide and rotating motion It is equipped with an additional link to introduce a structure to open and close the door while sliding and swinging the door.

이 경우 도어가 열릴 때, 두 개의 4절 링크 사이에는 후크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되어 하나의 링크가 다른 링크에 걸려 정지하도록 구비되었다.In this case, when the door is opened, a hook-shaped stopper is provided between the two four-section links so that one link is hung on the other link to stop.

이러한 구조의 경우 도어가 개발될 때 도어의 과도한 열림은 제한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링크와 후크의 충돌로 인하여 링크 또는 후크 자체가 파손되는 위험이 발생하였다.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when the door is developed, the excessive opening of the door has an effect of limiting, but there is a risk that the link or the hook itself is damaged due to a collision between the link and the hook.

또한, 링크에 후크가 걸려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급격히 닫을 경우 후크와 링크가 서로 걸려 잘 닫히지 않고, 강한 힘이 인가될 경우 파손이 발생하는 위험이 존재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is suddenly closed while the hook is hanging on the link, there is a risk that the hook and the link do not close well, and damage occurs when a strong force is applied.

따라서, 도어의 개폐 시에 부품의 파손을 방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는 커버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over structure that can prevent damage to parts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한국 등록특허 제10-1575498호(2015.12.0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75498 (2015.12.0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도어를 열 경우 도어 개방을 제한하는 동시에 도어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고, 도어 개폐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for a conventional vehic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is opened while maintaining the door open state and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The object is to provide a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는 차량용 충전 포트의 포트 도어,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 및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1링크, 및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 및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 door of a vehicle charging port, a first link provid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 door and the vehicle body, and the port d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link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the vehicle body and to contact the first link by a magnetic force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이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 및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링크 본체, 및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2링크와 접촉되도록 상기 링크 본체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first link is a first link body coupled to be rotatab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 door and the vehicle body, and a first body provided on the link body so as to contact the second link by magnetic force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one stopper portion.

또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상기 도어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차체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링크와 가까워지도록 구비된 제2링크 본체, 상기 제2링크 본체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제1링크와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cond link is a door coupl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 door, and is connected to the door coupling portion and is provided to be closer to the first link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A two-link body, the second link body is bent and formed in the port door is opened, the seating portion is arranged to contact the first link, and a body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It is also possible.

이때, 상기 제2링크는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와의 접촉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제2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econd link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pper part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first link by a magnetic force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한편, 상기 제1스토퍼부 및 상기 제2스토퍼부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자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stopper portion and the second stopper portion ar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so as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사이의 거리 변화를 가이드하는 제3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third link coupled to be movab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 doo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link to guide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ink and the first link.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 의하면, 자기력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 위치를 가이드하고, 개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도어를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uide the open position of the door by a magnetic force, maintain the open state, and easily close the do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서 차체에 충전 포트 및 포트 도어가 장착된 상태를 표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서 포트 도어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서 제1링크에 대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서 제2링크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서 제3링크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arging port and a port door are mounted on a vehicle body in a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 door in the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ink in the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link in the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link in the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는, 포트 도어(10), 제1링크(20), 제2링크(30) 및 제3링크(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트 도어(10)는 차체(1)에 스윙 및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차체(1)에 구비된 충전 포트(2)를 개방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차체(1)를 기준으로 상기 포트 도어(10)는 상기 차체(1)의 외형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충전 포트(2)는 상기 차체(1) 및 상기 포트 도어(10)의 내측에 구비된다.1 to 3, the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 door 10, a first link 20, a second link 30, and a third link 40 It includes. At this time, the port door 10 is provided to be able to swing and slide on the vehicle body 1, and is provided to open the charging port 2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1. That is, based on the vehicle body 1, the port door 10 forms a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vehicle body 1, and the charging port 2 is inside the vehicle body 1 and the port door 10. It is provided i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포트 도어(10)는 도어 본체(11), 제1링크 결합부(12), 제2링크 결합부(13) 및 제3링크 결합부(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어 본체(11)는 양면으로 이루어진 패널과 유사한 형태로 구비되되,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도어 본체(11)의 일면(이하 '정면' 이라고 한다)은 상기 차체(1) 외부에 노출되고, 타면(이하 '배면' 이라고 한다)은 상기 충전 포트(2) 방향을 향하여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port door 10 includes a door body 11, a first link coupling portion 12, a second link coupling portion 13 and a third link coupling portion 14. At this time, the door body 11 is provided in a form similar to a panel made of both sides, and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e surface of the door body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on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1, and the other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ck') is provided toward the charging port 2 direction.

상기 도어 본체(11)의 배면에는 상기 제1링크 결합부(12), 상기 제2링크 결합부(13) 및 상기 제3링크 결합부(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 결합부(12)는 상기 제1링크(20)와 힌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링크 결합부(13)는 상기 제2링크(30)와 힌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링크 결합부(14)는 상기 제3링크(4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3링크(40)가 회동 가능하도록 홈 형태의 레일로 구비된다.The first link coupling portion 12, the second link coupling portion 13 and the third link coupling portion 14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body 11. At this time, the first link coupling portion 12 is provided to be hinged with the first link 20, and the second link coupling portion 13 is provided to be hinged with the second link 30. do. In addition, the third link coupling portion 14 is formed in a rail shap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lide of the third link 40, the third link 40 is provided with a groove-shaped rail to be rotatabl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링크 결합부(12), 상기 제2링크 결합부(13)는 상기 제1링크(20) 및 상기 제2링크(30)와 각각 힌지 결합되도록 핀 형태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link coupling portion 12 and the second link coupling portion 13 are provided in a pin shape to be hinged with the first link 20 and the second link 30, respectively.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링크(20)는 제1링크 본체(21), 도어 결합부(22), 차체 결합부(23), 제1스토퍼(24) 및 공간부(2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link 20 includes a first link body 21, a door coupling portion 22, a vehicle body coupling portion 23, a first stopper 24, and a space portion 25 do.

상기 제1링크 본체(21)는 상기 충전 포트(2)와 상기 포트 도어(1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 본체(21)에서 상기 포트 도어(10) 방향으로 상기 도어 결합부(22)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 본체(21)에서 상기 충전 포트(2) 방향으로 상기 차체 결합부(23)가 연장 형성된다. The first link body 21 is provided between the charging port 2 and the port door 10, and the door engaging portion 22 in the direction of the port door 10 from the first link body 21 ) Is extended, and the vehicle body engaging portion 23 is extended from the first link body 21 toward the charging port 2.

이때, 상기 도어 결합부(22)는 상기 제1링크 결합부(12)와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결합부(22)는 상기 제1링크 결합부(12)가 관통하여 힌지 결합되도록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포트 도어(10)의 개폐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door coupling portion 22 is provided to be hinged with the first link coupling portion 12.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coupling portion 22 is formed to include a bearing member so that the first link coupling portion 12 is hinged through, so as to apply elastic forc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port door 10 A coil spring is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차체 결합부(23)는 상기 차체(1)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체 결합부(23)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차체(1)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홀(도면 미기재)에 힌지 결합되도록 핀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ehicle body engaging portion 23 is provided to be hing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1).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body coupling portion 23 is provided in a pair and is provided with a pin to be hinged to a coupling hole (not shown in the drawing) formed inside the vehicle body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스토퍼(24)는 상기 제1링크 본체(21)에 구비되고,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자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스토퍼(24)를 원통형의 영구자석으로 3개 구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석을 사용하여 도어 개폐시에만 자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고, 고무 자석을 사용하여 도어 개방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대하여 완충효과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에 다양한 자성 소재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시켜 구비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The first stopper 24 is provided on the first link body 21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sm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first stoppers 24 are provided as cylindrical permanent magne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magnetism onl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using an electromagnet and using a rubber magnet.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the buffering effect against the shock that may occu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includes all of the various magnetic materials processed in various forms.

또한, 상기 제1스토퍼(24)는 상기 제2링크(30)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포트 도어(10)가 개방되면, 상기 제1스토퍼(24)가 상기 제2링크(30)와 접촉이 되도록 위치한다.Further, the first stopper 24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link 30. That is, when the port door 10 is opened, the first stopper 24 is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link 30.

상기 공간부(25)는 한 쌍의 상기 차체 결합부(23) 사이 및 상기 충전 포트(2)와 상기 제1링크 본체(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The space part 25 means a space formed between a pair of the vehicle body coupling parts 23 and between the charging port 2 and the first link body 2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링크(30)는 제2링크 본체(31), 안착부(32), 제3링크 체결부(33), 제2스토퍼(34), 도어 결합부(35) 및 차체 결합부(3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link 30 includes a second link body 31, a seating portion 32, a third link fastening portion 33, a second stopper 34, and a door engaging portion 35 And a vehicle body coupling portion 36.

상기 제2링크 본체(31)는 상기 충전 포트(2)와 상기 포트 도어(1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링크 본체(31)에서 상기 포트 도어(10) 방향으로 상기 도어 결합부(35)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 본체(31)에서 상기 충전 포트(2) 방향으로 상기 안착부(32)가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32)에서 상기 충전 포트(2) 방향으로 상기 차체 결합부(36)가 다시 절곡 연장 형성된다. The second link main body 31 is provided between the charging port 2 and the port door 10, and the door engaging portion 35 in the direction of the port door 10 from the second link main body 31 ) Is formed extending, the seat portion 32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harging port (2) from the second link body (31) is formed to extend, the charging port (2) direction from the seat portion (32) As the body coupling portion 36 is formed to bend again.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2링크 본체(31)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링크(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벤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2링크 본체(31)에서 벤딩되어 형성되는 절곡면을 의미한다. The seating portion 32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cond link body 31, and is formed by bending (b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link 20. That is, the seating portion 32 refers to a bending surface formed by bending in the second link body 31.

한편,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1링크(20)와 서로 접촉 가능하게 위치된다. 즉, 상기 포트 도어(10)가 열리는 경우,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1링크(20)와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되고, 상기 제1링크(20)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ating portion 32 is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link 20. That is, when the port door 10 is opened, the seating portion 32 is bent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first link 2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link 20.

결과적으로,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2링크 본체(31)에서 벤딩되어 상기 제1링크 본체(21)와 접촉되고, 이때, 상기 제1링크(20)와 상기 제2링크 본체(31)는 서로 예각을 이루게된다.As a result, the seating portion 32 is bent from the second link body 31 to contact the first link body 21, and at this time, the first link 20 and the second link body 31 ) Are at an acute angle with each other.

상기 제3링크 체결부(33)는 상기 제3링크(40)와 힌지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링크 체결부(33)는 상기 제2링크 본체(31)에서 상기 포트 도어(10) 방향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3링크 체결부(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어 결합부(35) 사이에 구비된다.The third link fastening part 33 is provided to be hinged with the third link 40. At this time, the third link fastening portion 33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port door 10 from the second link body (31). That is, the third link fastening part 33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oor coupling parts 35.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링크 체결부(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어 결합부(35) 및 상기 제3링크(40)를 관통하여 힌지 결합시키도록 핀 형태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3링크(40)가 상기 제2링크(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link fastening part 3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so as to be hinged through the door coupling part 35 and the third link 40 formed as a p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rd link 40 includes all structures that can be hinged to the second link 30.

상기 제2스토퍼(34)는 상기 안착부(32)에 구비되고,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자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스토퍼(34)를 원통형의 영구자석으로 3개 구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석을 사용하여 도어 개폐시에만 자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고, 고무 자석을 사용하여 도어 개방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대하여 완충효과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에 다양한 자성 소재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시켜 구비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The second stopper 34 is provided on the seating portion 32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sm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second stoppers 34 are provided as cylindrical permanent magne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magnetism onl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using an electromagnet, and using a rubber magnet.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the buffering effect against the shock that may occu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includes all of the various magnetic materials processed in various forms.

또한, 상기 제2스토퍼(34)는 상기 안착부(32)가 상기 제1링크(20)와 접촉될 경우에 상기 제1스토퍼(24)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24) 및 상기 제2스토퍼(34)가 서로 마주보고 접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topper 34 is arranged to contact the first stopper 24 when the seating portion 32 contacts the first link 20. Therefore, the first stopper 24 and the second stopper 3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도어 결합부(35)는 상기 제2링크 결합부(13)와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결합부(35)는 상기 제2링크 결합부(13)가 관통하여 힌지 결합되도록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door coupling portion 35 is provided to be hinged with the second link coupling portion 13.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coupling portion 35 is formed to include a bearing member so that the second link coupling portion 13 penetrates and is hi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차체 결합부(36)는 상기 안착부(34)와 연결되되, 상기 안착부(34)에서 상기 제1링크(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벤딩)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체(1)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체 결합부(36)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차체(1)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홀(도면 미기재)에 힌지 결합되도록 핀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ehicle body coupling portion 36 is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34, and is formed by bending (b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link 20 from the seating portion 34. It is provided to be hing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1).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body coupling portion 36 is provided in a pair and is provided with a pin so as to be hinged to a coupling hole (not shown in the drawing) formed inside the vehicle body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링크(40)는 제3링크 본체(41), 도어 결합부(42) 및 제2링크 체결부(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third link 40 includes a third link body 41, a door engaging portion 42, and a second link fastening portion 43.

상기 제3링크 본체(41)는 상기 포트 도어(10)와 상기 제2링크(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링크 본체(41)에서 상기 포트 도어(10) 방향으로 상기 도어 결합부(42)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3링크 본체(41)에서 상기 제2링크(30) 방향으로 상기 제2링크 체결부(43)가 연장 형성된다.The third link body 41 is disposed between the port door 10 and the second link 30, and the door coupl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ort door 10 from the third link body 41 42 is extended, and the second link fastening portion 43 is extended from the third link body 4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30.

상기 도어 결합부(42)는 상기 포트 도어(10)의 상기 제3링크 결합부(14)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링크 결합부(14) 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 결합부(42)는 레일 형태의 상기 제3링크 결합부(14)에 대응하여 양 측면(단축 방향)으로 원통 형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The door engaging portion 42 is provided to be able to slide on the third link engaging portion 14 of the port door 10, and is form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within the third link engaging portion 14 . That is, the door engaging portion 42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of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in both sides (short 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link engaging portion 14 in the form of a rail.

상기 제2링크 체결부(43)는 상기 제3링크 체결부(33)와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링크 체결부(43)는 핀 형태의 상기 제3링크 체결부(33)가 관통하여 힌지 결합되도록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link fastening part 43 is provided to be hinged with the third link fastening part 33.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link fastening part 43 is formed to include a bearing member so that the third link fastening part 33 in the form of a pin penetrates and is hi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면, 상기 포트 도어(10)가 열리면, 상기 제1링크(20)는 상기 도어 결합부(22) 및 상기 차체 결합부(23)를 축으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제2링크(30)는 상기 도어 결합부(35) 및 상기 차체 결합부(36)를 축으로 회전 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20) 및 상기 제2링크(30)에 의하여 상기 포트 도어(10)가 스윙 및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충전 포트(2)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when the port door 10 is opened, the first link 20 is the door coupling part (22) and the vehicle body engaging portion 23 rotates axially, and the second link 30 rotates the door engaging portion 35 and the vehicle body engaging portion 36 axially. Accordingly, the port door 10 swings and slides by the first link 20 and the second link 30 to expose the charging port 2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제2링크(30)가 제1링크(20)보다 더 큰 회동 각도를 가지고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 본체(31)는 상기 포트 도어(10)가 열릴 경우 상기 충전 포트(2) 방향(차체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링크(20)에 가까워지도록 위치한다. At this time, the second link 30 is rotated with a larger rotation angle than the first link 20. Therefore, the second link body 31 is positioned to be closer to the first link 20 toward the direction of the charging port 2 (inside the vehicle body) when the port door 10 is opened.

또한,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2링크 본체(31)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링크(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 본체(21)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므로, 상기 포트 도어(10)가 열릴 경우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1링크 본체와 서로 마주보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32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cond link body 31, is formed by b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link 20,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link body 21 Therefore, when the port door 10 is opened, the seating portion 32 faces the first link body.

그리고, 상기 제1링크 본체(21)에 구비된 상기 제1스토퍼(24)와 상기 안착부(32)에 구비된 상기 제2스토퍼(34)는 자기력(인력)에 의하여 서로 접촉된다.Then, the first stopper 24 provided in the first link body 21 and the second stopper 34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human force).

결과적으로 상기 포트 도어(10)가 열리면, 상기 제2링크 본체(31)는 상기 제1링크에 가까워지고,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1링크 본체(21)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스토퍼(24)와 상기 제2스토퍼(34)는 자기력에 의하여 서로 접촉된다.As a result, when the port door 10 is opened, the second link body 31 is close to the first link, and the seating portion 32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link body 21, , The first stopper 24 and the second stopper 3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링크 본체(21)와 상기 안착부(32)가 서로 가까이 다가오면, 상기 제1스토퍼(24) 및 상기 제2스토퍼(34)의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 본체(21)와 상기 안착부(32)가 서로 접촉되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상기 포트 도어(10)를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link body 21 and the seating portion 32 come close to each other, the firs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stopper 24 and the second stopper 34 Since the link body 21 and the seating portion 32 contact each other, the user can easily open the port door 10.

또한, 상기 포트 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스토퍼(24)와 상기 제2스토퍼(34)의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20)와 상기 제2링크(30)의 접촉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rt door 10 is opened,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link 20 and the second link 30 is maintain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stopper 24 and the second stopper 34. It has an effect.

그리고 상기 포트 도어(10)를 닫을 경우에는 작은 힘으로 손쉽게 상기 제1스토퍼(24) 및 상기 제2스토퍼(34)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상기 포트 도어(10)를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rt door 10 is closed, since the first stopper 24 and the second stopper 34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a small force, the user can easily close the port door 10. There is.

더욱이, 종래의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에서는 후크 결합으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고정시켰으므로 도어를 닫을 때 후크의 걸림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20)와 상기 제2링크(30)를 고정시키므로, 개폐시에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없다.Moreover, in the conventional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since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fixed by hook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amage occurs due to hooking when the door is closed. Since the 1 link 20 and the second link 30 are fixed, there is no fear of damage due to impact during opening and closing.

한편, 상기 제3링크(40)는 상기 제2링크(3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제3링크 체결부(33)를 통하여 당겨진다. 그결과 상기 도어 결합부(42) 및 상기 제2링크 체결부(43)를 축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링크 결합부(14)의 레일을 따라 상기 도어 결합부(42)가 슬라이드 이동한다.Meanwhile, the third link 40 is pulled through the third link fastening part 33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link 30. As a result, the door engag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link fastening portion 43 are rotated in an axis, and the door engaging portion 42 slides along the rail of the third link engaging portion 14.

이때, 상기 제3링크(40)는 상기 제2링크(30)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30)가 상기 제1링크(20)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속도를 감속시킨다. 즉, 상기 제2링크(30)가 회동하는 힘의 일부가 상기 제3링크(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므로, 상기 제3링크(40)에 의하여 상기 제2링크(30)와 상기 제1링크(20) 사이의 거리 변화가 가이드되고, 상기 제1링크(20)와 상기 제2링크(30)가 적절한 회전 속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포트 도어(10)가 개폐된다. At this time, the third link 40 is hinged with the second link 30 to decelerate the speed at which the second link 30 approach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ink 20. That is, since the second link 30 is a part of the rotational force is used to slide the third link 20, the second link 30 and the second link 30 by the third link 40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nk 20 is guided, and the port door 10 is opened and closed with the first link 20 and the second link 30 maintaining an appropriate rotational speed.

한편, 상기 제2링크 본체(31)의 길이 및 상기 제2링크(30)의 회동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3링크(4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거리를 설정할 경우, 상기 포트 도어(10)가 열리는 경우 상기 제1스토퍼(24)의 인력(전자기력)이 미치는 위치에 상기 제2스토퍼(34)가 배치되고, 인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24) 및 상기 제2스토퍼(34)가 서로 접촉하게된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main body 31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link 30, when setting the distance the third link 40 slides, the port door 10 is opened. In the case, the second stopper 34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attraction forc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first stopper 24 is applied, and the first stopper 24 and the second stopper 34 are automatically moved by the attraction force. Will come into contac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are possible by the ruler.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차체
2 : 충전 포트
10 : 포트 도어
11 : 도어 본체(배면)
14 : 제3링크 결합부
20 : 제1링크
21 : 제1링크 본체
22 : 도어 결합부
23 : 차체 결합부
24 : 제1스토퍼
30 : 제2링크
31 : 제2링크 본체
32 : 안착부
33 : 제3링크 체결부
34 : 제2스토퍼
35 : 도어 결합부
36 : 차체 결합부
40 : 제3링크
41 : 제3링크 본체
42 : 도어 결합부
43 : 제2링크 체결부
1: Body
2: Charging port
10: port door
11: Door body (back)
14: third link coupling
20: first link
21: first link body
22: door coupling
23: vehicle body coupling
24: first stopper
30: second link
31: second link body
32: seating portion
33: third link fastening part
34: second stopper
35: door coupling
36: body coupling portion
40: third link
41: third link body
42: door coupling
43: second link fastening

Claims (6)

차량용 충전 포트의 포트 도어;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 및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1링크; 및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 및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제2링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
A port door of a vehicle charging port;
A first link provid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 door and the vehicle body; And
A second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the vehicle body of the port door, and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link by magnetic force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 및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링크 본체; 및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2링크와 접촉되도록 상기 링크 본체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nk,
A first link body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 door and the vehicle body; And
A first stopper part provided in the link body so as to contact the second link by a magnetic force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상기 도어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차체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링크와 가까워지도록 구비된 제2링크 본체;
상기 제2링크 본체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제1링크와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체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link,
A door coupl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 door;
A second link body connected to the door coupling portion and provided to be closer to the first link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A bending part formed in the second link body and disposed to contact the first link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And
A vehicle body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포트 도어가 열리는 경우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와의 접촉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제2스토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link,
A second stopper part provided in the seating part to contact the first link by a magnetic force when the port door is opened;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 및 상기 제2스토퍼부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자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
According to claim 4,
A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opper portion and the second stopper portion ar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so as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도어의 배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사이의 거리 변화를 가이드하는 제3링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link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 door to be slidably movable, and coupled to be rotatable to the second link to guide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ink and the first link;
Vehicle charging port cover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KR1020180128676A 2018-10-26 2018-10-26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 KR1022000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76A KR102200062B1 (en) 2018-10-26 2018-10-26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76A KR102200062B1 (en) 2018-10-26 2018-10-26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891A true KR20200046891A (en) 2020-05-07
KR102200062B1 KR102200062B1 (en) 2021-01-08

Family

ID=7073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76A KR102200062B1 (en) 2018-10-26 2018-10-26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0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757A (en)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875B2 (en) * 2001-04-03 2005-04-1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Door opener
JP2013531750A (en) * 2010-05-12 2013-08-08 タング、ゴードン・シー Easy to install and non-damaging security latch
JP2015202802A (en) * 2014-04-15 2015-11-16 株式会社城南製作所 Vehicle lid device,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vehicle lid device, and position adjustment jig of vehicle lid device
KR101575498B1 (en) 2014-06-25 2015-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Door assembly for charging port of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875B2 (en) * 2001-04-03 2005-04-1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Door opener
JP2013531750A (en) * 2010-05-12 2013-08-08 タング、ゴードン・シー Easy to install and non-damaging security latch
JP2015202802A (en) * 2014-04-15 2015-11-16 株式会社城南製作所 Vehicle lid device,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vehicle lid device, and position adjustment jig of vehicle lid device
KR101575498B1 (en) 2014-06-25 2015-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Door assembly for charging port of electric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757A (en)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062B1 (en)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498B1 (en) Door assembly for charging port of electric vehicle
WO2019128513A1 (en) Door hin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door hinge device
US9765559B2 (en) Multi-directional rotational sliding door self-closing device
EP3077237B1 (en) Air vent dial for automobile
JP2017511435A5 (en)
US9567781B2 (en) Latch structure of tail gate
JP2001164819A (en) Stay for window sash
JP2014121985A (en) Lid device
KR20200046891A (en) Covering structure of charging port for vehicle
KR20200048196A (en) Sliding guide structure of charging port cover for vehicle
EP1496673A2 (en)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652772B1 (en) Hinge structure of armrest for a vehicle
KR101510007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JP7089759B2 (en) Arm stopper
CN105332576A (en) Door stop
CN108926117B (en) Mechanica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cover of a housing
JPH08151850A (en) Door device for furniture
KR20190100821A (en) Semi-automatic interlocking door system
CN214094902U (en) Air guide 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2003214010A (en) Open/close device for sliding door
CN214835576U (en) Magnetic catch door shield
CN101131298B (en) Rotation device of family pub door for refrigerator
CN209874791U (en) Car door limiter
KR10055342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mi-automatic carkit cover using magnet
JP2011184961A (en)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