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571A - 실리콘 세척용구 - Google Patents

실리콘 세척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571A
KR20200046571A KR1020180127931A KR20180127931A KR20200046571A KR 20200046571 A KR20200046571 A KR 20200046571A KR 1020180127931 A KR1020180127931 A KR 1020180127931A KR 20180127931 A KR20180127931 A KR 20180127931A KR 20200046571 A KR20200046571 A KR 20200046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upporting member
handle
silicone
hex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597B1 (ko
Inventor
신예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실리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실리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실리콘
Priority to KR102018012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5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38Bristles with non-roun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손잡이부와 브러시부로 이루워진 실리콘 세척용구에 있어서;
육각형의 브러시부지지부재;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상부에 구성된 브러시부;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일단은 브러시부지지대의 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타단의 면은 제4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타단과 인접한 부분의 방사면은 제1브러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러시부와 인접한 중앙부의 방사면은 제3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3브러시부와 인접한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일단부의 방사면은 제2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방사면의 한부분은 제5브러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세척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콘 세척용구{silicon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실리콘 세척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병의 내면에 대한 세척작업이 정교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세척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실리콘 세척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명인 병 세척용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체(10)의 샤프트부(11) 외면에는 이 샤프트부(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브러시몸체(20)의 내면에는 상기 끼움홈부가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브러시몸체(20)의 내면 길이방향을 따라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11)를 브러시몸체(20)에 끼울 때 상기 브러시몸체(20)에 구비된 끼움돌기에 샤프트부(11)의 끼움홈부를 끼움으로써 샤프트부(11)와 브러시몸체(20)의 끼움위치가 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는, 상기 손잡이체(10)의, 반구형의 선단면과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요입면을 갖는 호형의 샤프트부(11)에 의해 상기 브러시몸체(20)가 호형으로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임과 동시에 손잡이체(10)를 회전시켜 브러시몸체(20)를 돌릴 때 브러시몸체(20)가 샤프트부(11)로부터 겉돌게 되어 세척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체(10)에는, 상기 브러시몸체(20)가 끼움결합되는 샤프트부(11)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4)가 각각 분리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11)의 일측에는 탄성체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4)의 일측에는 회전축이 더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부(11)의 탄성체결부와 상기 손잡이부(14)의 회전축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11)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체(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손잡이체(10)의 손잡이부(14)를 돌리면 상기 구동체(30)가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부(11)측으로 전달하여 줌으로써 샤프트부(11)에 끼워진 브러시몸체(20)가 회전되도록 하기 때문에, 브러시몸체(20)가 병의 내부에서 360도 방향으로 회전되어 브러시몸체(20)에 구비되는 제1브러시부, 제2브러시부, 제3브러시부 및 제4브러시부 중 어느 하나의 브러시부가 편차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상기 구동체(30)는, 상기 샤프트부(11)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체결부)에 끼움결합되는 연동기어(31)와, 상기 손잡이부(14)의 회전축에 축설되고 상기 연동기어(31)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체(10)의 손잡이부(14)를 돌리면 상기 회전축에 축설된 구동기어(32)가 회전하고이 구동기어(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기어(31)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11)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잡이부(14)의 회전과는 별도로 상기 샤프트부(11) 및 이 샤프트부(11)에 끼워진 브러시몸체(20)가 회전됨으로써 브러시몸체(20)가 병의 내부에서 360도 방향으로 회전됨이 가능하다.
그러나 측면 및 바닥면이 여전히 세척력이 저하되고 힘을 주어 세척을 하게 되면 축과 솔부가 겉돌게 되는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배경하에서 발명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10-1379506(2014.04.01) 대한민국특허청등록번호10-1822826(2018.01.23)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병을 세척하는데 있어 상 하부의 측면 세척시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두번째 과제로는 사출 후 잔여 실리콘이 적게 남아 후가공이 유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세번째 과제는 중앙 실리콘 날개를 일반 l 자 보다 중앙이 얇고 가장자리가 두꺼운 호의 형상의 날개가 밀리는 형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세척할 때에는 유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손잡이부와 브러시부로 이루워진 실리콘 세척용구에 있어서;
육각형의 브러시부지지부재;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상부에 구성된 브러시부;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일단은 브러시부지지대의 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타단의 면은 제4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타단과 인접한 부분의 방사면은 제1브러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러시부와 인접한 중앙부의 방사면은 제3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3브러시부와 인접한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일단부의 방사면은 제2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방사면의 한부분은 제5브러시부로 실리콘 세척용구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3브러시부는 상기 제1브러시부와 상기 제2브러시부보다 브러시의 길이가 더 작은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5브러시부의 브러시는 상기브러시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하되, 상기 브러시의 중앙부는 양단부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형상은 호의 일부분의 형상을 가진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4브러시부를 지지하는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면의 구성은 육각형 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5브러시부의 구성은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육각형 모서리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의 손잡이부분의 앞부분은 실리콘밴드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첫번째 효과는 병을 세척하는데 있어 상 하부의 측면 세척이 약한 힘에도 견고한 리브 살 효과와 밀착력으로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두번째 효과는 일반 1자형 날개 보다 사출 후 잔여 실리콘이 적게 남아 후가공이 유리하다.
세번째 효과는 중앙 실리콘 날개를 일반 l 자 보다 중앙이 얇고 가장자리가 두꺼운 호의 형상의 날개가 밀리는 형상을 막을 수 있으며, 세척할 때에는 호의 형상의 날개가 삽과 같은 오목한 형상이 ㅣ자 보다 거품을 걷어 내는데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도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브러시를 측면에서 본 브러시의 크기에 대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브러시를 병의 하부와 상부를 세척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제5브러시부와 삽입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브러시부지지대를 보이는 도이다.
제6a도는 브러시부의 횡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6b도는 브러시부를 밀식할 수 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도는 손잡이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도면1도 내지 5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손잡이부(300)와 브러시부(100)로 이루워진 실리콘 세척용구에 있어서;
육각형의 브러시부지지부재(320)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320)의 상부에 구성된 브러시부(100)
상기 브러시부(100)는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320)의 일단은 브러시부지지대(110)의 삽입부(170)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320)의 타단의 면은 제4브러시부(150)로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텀블러의 입구내부에 솔이 잘 닫지 않는 부분에 세척이 용이하다.
일반솔이 잘 닫지 않는 바닥면의 세척이 용이하다.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320)의 타단과 인접한 부분의 방사면은 제1브러시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러시부(120)와 인접한 중앙부의 방사면은 제3브러시부(140)로 구성되며,
상기 제3브러시부(140)와 인접한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320)의 일단부의 방사면은 제2브러시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320)의 방사면의 한부분은 제5브러시부(160)로 구성되어 실리콘을 세척용구를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제3브러시부(140)는 상기 제1브러시부(120)와 상기 제2브러시부(130)보다 브러시의 길이가 더 작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 병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을 잘 닦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제5브러시부(160)의 브러시는 상기브러시지지부재(3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하되, 상기 브러시의 중앙부(162)는 양단부(164,166)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형상은 호의 일부분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여 측면을 세척할 때에 삽모양으로 측면을 잘닦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 하부의 측면 세척이 약한 힘에도 견고한 리브 살 효과와 밀착력으로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 1자형 날개 보다 사출 후 잔여 실리콘이 적게 남아 후가공이 유리하게 된다.
또한, 중앙 실리콘 날개를 일반 l 자 보다 중앙이 얇고 가장자리가 두꺼운 호의 형상의 날개가 밀리는 형상을 막을 수 있으며, 세척할 때에는 호의 형상의 날개가 삽과 같은 오목한 형상이 ㅣ자 보다 거품을 걷어 내는데 유리한 효과를 갖도록 한다.
상기 제4브러시부(150)를 지지하는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320)의 면의 구성은 육각형 면으로 구성하여 하부 바닥의 세척에 유리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5브러시부(160)의 구성은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320)의 육각형 모서리부에 구성하여 방사상 길이가 일반방사브러시와 동일한 크기일 경우에 가장 길게 세척면에 닿기 때문에 세척에 더욱 유리한 조건의 구성에 해당된다.
도6a 내지 도7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손잡이부(300)의 손잡이부분의 앞부분은 실리콘밴드(350)로 구성하여
엄지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있는 것이다.
손잡이부(300)에 실리콘밴드지지부재(352)를 구성하여 실리콘밴드(350)를 삽입한다. 또한 손잡이부 일단부에 손잡이부단부지지부재(372)를 구성하여 실리콘으로 손잡이부단부(370)를 구성하여 손잡이부에서 손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 원형 보다 육각형 원주율의 길이가 길게 됨으로 이로 인해 형성된 옆면적이 더 넓다.
이것은 물론 일반원형이 내접하게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설명의 도면은 도6a 및 도6b에 보면 확인할 수있다.
브러시부지지부재의 단면적은 내접하는 원(335)인 브러시부지지부재의 단면적에 내접하는 원(335)보다 크다.
그러므로 원둘레와 육각둘레의 크기를 대비하면 육각둘레의 길이가 긴 것임으로 알 수 있다.
물론 육각면적은 외접하는 원인 브러시부 지지부재의 단면적에 외접하는 원(345)
은 육각형면적보다 크다.
면적이 큰 것이 브러시부를 많이 식재할 수 있는 것이다.
육각형솔지지대의 일면(111,112,113,114,115,116)들은 육각면이어서
실리콘은 액상에 미끄러짐이 심해 종래기술인 솔지지대가 원형 끼움 방식으로 세척 사용시 내부에 비누거품이 들어가 밀림현상이 많았다.
육각형 내부 구조는 실리콘과 플라스틱 결합력이 월등히 우수해 내부 구조에 비누거품이 들어가도 밀림현상이 적다.
원형 방식은 내부 구조에 역 굽 가이드를 넣어 홀 가공에 어려움이 있지만 육각형 내부 구조는 형상 자체가 각이 져 있기 때문에 내부 가이드가 필요가 없어 홀 가공이 유리하다.
내부 외부구조가 육각형인 구조에서는 홀 가공이 용이하고 홀 끝단부 내부 구조 역시 육각형을 유지하여 세척력을 좋게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브러시부 110:브러시부지지대
111,112,113,114,115,116:육각형솔지지대의 일면
120:제1브러시부 130:제2브러시부 140:제3브러시부 150:제4브러시부
160:제5브러시부 162:제5브러시부의 중앙부 164:제5브러시부의 일단부
166:제5브러시부의 타단부 170:삽입부 200:손잡이 중간부
300:손잡이부 310:손잡이부지지대 320:브러시부지지부재
325:브러시부지지부재의 단면적
335:브러시부지지부재의 단면적에 내접하는 원
345:브러시부지지부재의 단면적에 외접하는 원
350:실리콘밴드 352:실리콘밴드 지지부재 360:중앙손잡이부
370:손잡이부단부 372:손잡이부단부지지부재

Claims (6)

  1. 손잡이부와 브러시부로 이루워진 실리콘 세척용구에 있어서;
    육각형의 브러시부지지부재;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상부에 구성된 브러시부;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일단은 브러시부지지대의 삽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타단의 면은 제4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타단과 인접한 부분의 방사면은 제1브러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러시부와 인접한 중앙부의 방사면은 제3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3브러시부와 인접한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일단부의 방사면은 제2브러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방사면의 한부분은 제5브러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세척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제3브러시부는 상기 제1브러시부와 상기 제2브러시부보다 브러시의 길이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세척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브러시부의 브러시는 상기브러시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하되, 상기 브러시의 중앙부는 양단부보다 두께가 얇은 것으로 형상은 호의 일부분의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세척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브러시부를 지지하는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면의 구성은 육각형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세척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브러시부의 구성은 상기 브러시부지지부재의 육각형 모서리부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세척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손잡이부분의 앞부분은 실리콘밴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세척용구.
KR1020180127931A 2018-10-25 2018-10-25 실리콘 세척용구 KR10215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31A KR102154597B1 (ko) 2018-10-25 2018-10-25 실리콘 세척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31A KR102154597B1 (ko) 2018-10-25 2018-10-25 실리콘 세척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71A true KR20200046571A (ko) 2020-05-07
KR102154597B1 KR102154597B1 (ko) 2020-09-10

Family

ID=7073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931A KR102154597B1 (ko) 2018-10-25 2018-10-25 실리콘 세척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677B1 (ko) * 2023-12-22 2024-03-14 신현국 내구성능이 우수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복합 포장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4216A (ja) * 2010-07-22 2012-02-09 Leben Hanbai:Kk ブラシチップ、ブラシチップを用いた歯ブラシ、及びブラシチップの製造方法
KR101379506B1 (ko) 2013-07-03 2014-04-01 김동표 병 세척용구
KR20150003628U (ko) * 2014-03-26 2015-10-06 아이디(주) 전동식 젖병 세척 장치
KR101822826B1 (ko) 2017-06-21 2018-03-15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병 세척용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4216A (ja) * 2010-07-22 2012-02-09 Leben Hanbai:Kk ブラシチップ、ブラシチップを用いた歯ブラシ、及びブラシチップの製造方法
KR101379506B1 (ko) 2013-07-03 2014-04-01 김동표 병 세척용구
KR20150003628U (ko) * 2014-03-26 2015-10-06 아이디(주) 전동식 젖병 세척 장치
KR101822826B1 (ko) 2017-06-21 2018-03-15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병 세척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597B1 (ko)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5933C (en) Descal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KR200426839Y1 (ko) 세척용 전동브러쉬
JP6075466B2 (ja) 床面吸込具及びこの床面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80006393U (ko) 세척용 브러시
KR20200046571A (ko) 실리콘 세척용구
KR101379506B1 (ko) 병 세척용구
KR200486074Y1 (ko) 수세미 고무장갑
JP7212457B2 (ja) 歯間清掃具
KR20090059865A (ko) 전동식 배수구 청소장치
KR100749234B1 (ko) 전동 청소기
KR101478952B1 (ko) 전동솔
KR101619417B1 (ko) 세척 솔
JP3205402U (ja) 自転式ブラシ構造
KR20200092609A (ko) 각도 가변형 손잡이가 구비된 세척브러쉬
CN202020365U (zh) 防溅射马桶刷
JP2012055658A (ja) ジュースミキサー用洗浄ブラシ
KR102079836B1 (ko) 전동 식기 세척기
KR200353535Y1 (ko) 장갑형 수세미
CN204698486U (zh) 一种饮水杯内壁清洁器
KR200367862Y1 (ko) 고무장갑
KR20130138555A (ko) 진동형 용기 세척기
KR200198267Y1 (ko) 마늘 껍질 벗기는 기구
JP3116924U (ja) 掃除機の吸込筒に、プロペラ1と回転ブラシ2を取り付けた、掃除機用アダプタ。
KR200359215Y1 (ko) 청소용 세척솔
KR200353536Y1 (ko) 장갑형 수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