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209A - 호스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209A
KR20200046209A KR1020180126654A KR20180126654A KR20200046209A KR 20200046209 A KR20200046209 A KR 20200046209A KR 1020180126654 A KR1020180126654 A KR 1020180126654A KR 20180126654 A KR20180126654 A KR 20180126654A KR 20200046209 A KR20200046209 A KR 2020004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insertion path
fixing
shap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514B1 (ko
Inventor
최재혁
임덕현
김영준
우종익
심재원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8012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514B1/ko
Priority to JP2019135078A priority patent/JP2020066227A/ja
Priority to US16/660,342 priority patent/US20200122382A1/en
Publication of KR2020004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8Bending or folding of tubes or other profiled members
    • B29C53/083Bending or folding of tubes or other profiled members bending longitudinally, i.e. modifying the curvature of the tub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29C48/9105Heating, e.g. for cross link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8Bending or folding of tubes or other profiled members
    • B29C53/086Bending or folding of tubes or other profiled members bending radially, i.e. deformig the cross-section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5Hoses, i.e.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이 완료된 이후의 호스를 분리시에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여 분리할 수 있는 호스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호스가 삽입되되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호스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삽입로 및 상기 삽입로에 삽입된 상기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로는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호스의 직선구간이 삽입되는 직선삽입부, 상기 호스의 굴곡구간이 삽입되는 굴곡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굴곡삽입부는 상기 굴곡구간의 각도와 비교하여 15 ~ 35°더 굴곡진 추가각도를 갖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스 성형 장치{Apparatus for forming rubber hose}
본 발명은 성형이 완료된 이후의 호스를 분리시에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여 분리할 수 있는 호스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호스는 자동차, 선박, 또는 산업설비에서 사용되는 엔진, 공압설비, 유압설비 등에서 유체의 이동통로로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고무호스는 고장력의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층의 외부 및/또는 내부 표면에 고무층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압출기에서 직선형으로 압출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호스는 사용되는 요구조건에 따라 직선의 형상으르 포함하는 특정의 굴곡진 형상으로 가공되어야 한다.
상기 고무호스를 특정의 굴곡진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압출된 직선형의 고무호스를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굴곡진 맨드릴 금형에 끼운 후 가류(加硫) 가마에 넣고 고온, 고압상태에서 가류함으로써 상기 맨드릴 금형이 가지는 굴곡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탄성을 가지게 된다.
종래의 고무호스 성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호스(10)가 끼워지는 각각의 단위 맨드릴(23)과, 상기 단위 맨드릴(23)을 연결하는 금형본체(21)를 갖는 맨드릴 금형(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상기 단위 맨드릴(23)의 일단에는 상기 단위 맨드릴(23)과 상기 금형본체(21)와의 결합을 위한 맨드릴 결합볼트(23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금형본체(21)에는 상기 맨드릴 결합볼트(23a)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홀(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호스(10)가 상기 단위 맨드릴(23)에 끼워진 상태로 가류가마에서 가류공정이 적어도 한 번 이상 진행되고, 그 가류공정 이후에 일정시간동안 냉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단위 맨드릴과 동일한 형상의 고무호스를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무호스 성형장치는 냉각공정 이후에 성형이 완료된 해당 고무호스를 단위 맨드릴에서 분리시에 최초 성형된 상태에서 변형이 이루어져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단위 맨드릴에 끼워진 상태의 고무호스의 분리를 위해 상기 단위 맨드릴의 상단에서 상기 고무호스를 잡아당겨 분리하게 되면 상기 단위 맨드릴의 서로 다른 굴곡부분을 성형이 완료된 상기 고무호스가 지나쳐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굴곡각도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심하게는 파손의 위험도 존재하여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성형이 완료된 고무호스를 분리시에 단위 맨드릴의 서로 다른 굴곡부분을 거치지 않고도 일체로 분리가 가능하여 성형이 완료된 고무호스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무호스 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호스가 삽입되되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호스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삽입로 및 상기 삽입로에 삽입된 상기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로는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호스의 직선구간이 삽입되는 직선삽입부, 상기 호스의 굴곡구간이 삽입되는 굴곡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굴곡삽입부는 상기 굴곡구간의 각도와 비교하여 15 ~ 35°더 굴곡진 추가각도를 갖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삽입부 내부 지름은 상기 호스의 외경보다 1 ~ 5mm 크게 형성하되 상기 굴곡삽입부의 내부 지름은 상기 호스의 외경보다 3 ~ 7mm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로에 삽입된 상기 호스의 선단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호스의 후단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삽입로 일단에 구비된 제1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호스 일단이 형상맞춤으로 끼움 삽입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와 이웃하게 상기 삽입로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체에 삽입된 상기 호스를 상기 제2고정부재에 결합시에 상기 고정체에 삽입된 상기 호스 외면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삽입로 타단에 구비된 제2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되 양단이 서로 이어지는 관통홀이 천공형성된 관통체, 상기 관통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삽입되되 상기 호스 타단이 형상맞춤으로 끼움 삽입되는 이동체, 상기 관통체에 관통삽입된 상기 이동체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상기 관통체 외면에서 상기 관통홀 내측으로 진입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더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거나 상기 이동체에 삽입되는 상기 호스의 삽입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삽입로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호스를 지지하는 추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지지부재는 상기 삽입로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편, 상기 설치편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레버,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로에 삽입된 상기 호스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성형공정단계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호스를 삽입로에서 분리시에 상기 삽입로의 길이방향이 아닌, 개구된 상부를 통하여 일체로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리시 발생하는 변형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호스의 외경에 따라 삽입로의 직선삽입로와 곡선삽입로의 지름을 서로 달리하여 성형공정단계시에 상기 호스의 변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삽입로의 하단에 호스가 삽입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삽입로 상단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호스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상기 호스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고무호스 성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의 지그와 성형이 완료된 호스 간의 형상을 비교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의 직선삽입부와 곡선산입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추가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호스가 장착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호스 성형 장치(1) 중 특히, 삽입로(100)는 그 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호스(H)가 복수의 직선구간(H-1)과 굴곡구간(H-2)을 갖는 후크(HOOK) 형상인 것을 일 예로하여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해당 직선구간(H-1)과 굴곡구간(H-2)의 형성은 성형하고자 하는 호스(H)의 형상에 따라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1)는 크게 삽입로(100) 및 고정부(200)의 구성을 포함하되 해당 구성들에 의해 성형이 완성된 호스(H)의 형상유지가 가능하여 제품의 만족도를 올리는 것은 물론, 불량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이되 대량성형이 가능하여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삽입로(100)는 전체적으로 성형하기 이전의 '-'자 형상을 갖는 호스(H')를 작업자가 원하는 호스(H)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 직선삽입부(110)와 굴곡삽입부(120)를 포함한다(도 8 참조).
삽입로(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하고자 하는 호스(H)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소정길이의 지그(150)를 갖도록 형성되며,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20)가 구비되어 삽입로(100) 내부에 삽입된 호스(H)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삽입로(100)는 양단 및 상면이 개구되되 각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삽입부(110)와 굴곡삽입부(120)를 형성하여 그 내부로 성형 이전의 호스(H')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로(100)에 형성된 직선삽입부(110)와 굴곡삽입부(120)는 성형 후의 호스(H)에 형성된 직선구간(H-1) 및 굴곡구간(H-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굴곡삽입부(120)의 각도는 상기 굴곡구간(H-2)의 각도와 비교하여 약 15 ~ 35°내측으로 더 굴곡진 추가각도(A)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로(100)에 삽입 고정된 호스(H)는 적어도 1회 이상 소정온도의 열을 일정시간동안 가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호스(H)의 형상을 유도하는 가류공정과 해당 가류공정이 마감된 이후에 이를 상온에서 냉각시켜 그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냉각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성형공정단계들을 마감한 이후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호스(H)가 성형하기 이전의 형상으로 복귀하려 하는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프링 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굴곡삽입부(120)의 굴곡각도를 성형 이후인 호스(H)의 굴곡각도보다 더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게 설정함으로써, 스프링 백 현상이 진행되어 호스(H)의 굴곡구간(H-2)와 이어지는 직선구간(H-1)의 각도가 일정 각도로 벌어져도 성형 이후의 호스(H)가 유지하여야 할 굴곡각도를 유지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삽입로(100)에 형성된 직선삽입부(110)의 내부 지름(D1)은 그 내부에 삽입된 호스(H)의 외경(H/D)보다 약 1 ~ 5mm 크게 제작하며, 굴곡삽입부(120)의 내부 지름(D2)은 상기 호스(H)의 외경보다 약 3 ~ 7mm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 역시, 상술한 성형공정단계들을 실시시에 직선삽입부(110)의 경우, 삽입되는 호스(H)의 작업성을 고려한 것이고, 굴곡삽입부(120)의 경우는 가류공정시에 가열되는 열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지는 호스(H)의 펴짐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 그 이유라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성형공정단계는 150 ~ 155℃에서 약 25 ~ 30분 동안 가열하는 1차 가류공정과 해당 1차 가류공정이 실시된 이후에 175 ~ 180℃에서 약 25 ~ 30분 동안 가열하는 2차 가류공정을 통해 호스(H)가 삽입로(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는 가류공정과 해당 가류공정이 완료된 호스(H)를 상온에서 약 5 ~ 10분 동안 냉각하는 냉각공정을 통해 성형하고자 하는 호스(H)의 형상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가류공정과 냉각공정 사이에는 약 3 ~ 5분 정도의 세척공정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형이 완료된 하나의 호스(H)를 완성하는데 성형공정단계의 총 예상 시간은 최대 75분 이내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종래의 성형공정단계보다 신속하게 호스(H)를 성형할 수 있으면서도 불량률은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다음, 상기 고정부(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삽입로(100)에 삽입되되 성형공정단계를 거치는 호스(H)를 해당 삽입로(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고정부재(210) 및 제2고정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재(2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로(100)의 선단(또는 후단)에 구비되되 해당 삽입로(100)에 삽입되는 호스(H)의 일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예시적으로 제1고정나사(211), 고정체(212) 및 이탈방지편(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고정나사(211)는 통상의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삽입로(100) 외면에 천공형성된 제1조절공(130)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삽입로(100) 선단 내부로 삽입된 고정체(212)의 외면을 가압하거나 그 내부로 나사 결합할 수 있게 삽입되어 해당 고정체(212)를 고정한다.
이때, 제1조절공(130)은 필요에 따라 삽입로(100) 외면에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어 상기 삽입로(100)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체(212)의 배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삽입되는 호스(H)의 길이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고정체(212)는 전체적으로 관 형의 호스(H) 내부로 일정길이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호스(H) 일단이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체(212)는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부(미도시)가 천공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고정부재(220)에 호스(H)가 삽입되기 이전에 해당 해당 호스(H) 내부가 공기압 등의 압력에 의해 불어내어져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탈방지편(213)은 고정체(212)에 의해 끼움 결합한 호스(H)의 외면 즉, 삽입로(1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호스(H)의 외면과 접촉 지지하여 고정체(212)에 결합한 이후의 호스가 제2고정부재(220)인 이동체(224)와 서로 끼움 결합시에 상기 호스(H)가 삽입로(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탈방지편(213)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부는 삽입로(100) 외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그 상부는 개방된 삽입로(100) 상부를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호스(H) 외면을 지지한다.
제2고정부재(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로(100)의 후단(또는 선단)에 구비되되 상술한 제1고정부재(210)에 의해 끼움 결합한 호스(H)의 타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예시적으로 제2고정나사(221), 관통체(222), 이동체(224) 및 조임나사(2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고정나사(221)는 상술한 제1고정나사(211)와 동종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삽입로(100) 외면에 형성된 제2조절공(140)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관통체(222)를 고정한다.
관통체(222)는 전체적으로 이동체(224)가 그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용이하게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삽입로(100) 후단 내부로 삽입되어 제2고정나사(221)에 의해 해당 삽입로(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관통체(222) 역시, 상술한 고정체(212)와 동일하게 삽입로(100) 외면에 서로 이웃하게 다수 천공형성된 제2조절공(140)에 의해 해당 삽입로(100) 후단에서 자유로이 이동하여 제2고정나사(22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도 5 참조).
이동체(224)는 소정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링 형상을 갖는 고정체(212)의 관통홀(223) 내측에 왕복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된다.
이때, 이동체(224)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의 스토퍼(225)가 돌출형성되되 어느 하나는 해당 이동체(224)에 삽입되는 호스(H)의 삽입길이를 제한하며, 다른 하나는 이동시 관통체(222)와 접촉하여 상기 이동체(224)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나사(226)는 관통체(222) 외면에서 관통홀(223)까지 이어지게 천공형성된 조임공을 통해 관통삽입되며, 그 조임에 의해 해당 관통홀(223) 내측으로 관통 삽입된 이동체(224) 외면을 가압하여 호스(H)에 삽입된 상기 이동체(224)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고정한다.
조임나사(226)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풀거나 조일 수 있는 나비볼트를 사용하되 조임공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그 외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고정부(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및 제2고정부재(210,220)와 함께 삽입로(100) 내측으로 삽입된 호스(H)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호스(H)의 성형공정 과정에서의 변형 특히, 굴곡구간(H-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지지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지지부재(230)는 설치편(231), 레버(232) 및 지지편(233)의 구성을 포함하며, 상술한 장점을 만족할 수 있게 삽입로(100)에 삽입된 호스(H) 각각의 직선구간(H-1) 외면을 지지할 수 있게 복수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설치편(231)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하부는 삽입로(100) 외면에 고정되며, 수평한 상부에는 레버(2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한 쌍의 리브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삽입로(100)에 구비된 설치편(231)의 수직길이는 후술하는 지지편(233)이 하방으로 거의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 후, 호스(H)와 접촉하여 지지시에 상기 호스(H)의 형상에 변화를 주지 않을 정도로 가압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232)는 전체적으로 뒤집어진 'Y'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하부는 한 쌍의 리브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지지편(23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지지편(233)은 그 하부가 한 쌍의 리브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축 결합하되 그 상부는 회전에 의해 삽입로(100)에 삽입된 호스(H) 외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편(233)은 레버(232)가 하방으로 회전시에 서로 접촉하여 해당 레버(232)의 힘에 의해 그 하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레버(232)가 역으로 회전하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미도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유로이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이전의 '-'자 형상을 갖는 관 형상의 호스(H) 선단을 고정체(212)에 삽입하되 그 외면이 이탈방지편(213)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해당 호스(H)를 제1고정부재(210)에 결합한다.
다음,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210)에 결합한 호스(H)의 직선구간(H-1)과 굴곡구간(H-2)이 삽입로(100)에 형성된 직선삽입부(110)와 굴곡삽입부(120)에 일치할 수 있도록 해당 호스(H)를 상기 삽입로(100) 내측으로 삽입하며, 상기 호스(H) 후단이 제2고정부재(22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체(222)에 이동가능하게 관통 삽입된 이동체(224) 일단을 호스(H)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호스(H) 내부로 상기 이동체(224)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조임나사(226)를 조여 상기 이동체(224)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추가지지부재(230)의 지지편(233)이 레버(232)에 의해 각각 회전하여 삽입로(100)의 개방된 상부로 노출된 호스(H) 외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1)의 동작이 마감되며, 해당 호스(H)를 분리시에는 그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삽입로(100)에 결합한 호스(H)는 성형공정단계를 거쳐 작업자가 원하는 형상의 호스(H)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성형공정단계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호스(H)를 삽입로(100)에서 분리시에 상기 삽입로(100)의 길이방향이 아닌, 개구된 상부를 통하여 일체로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리시 발생하는 변형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호스(H)의 외경에 따라 삽입로(100)의 직선삽입로(100)와 곡선삽입로(100)의 지름을 서로 달리하여 성형공정단계시에 상기 호스(H)의 변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삽입로(100)의 하단에 호스(H)가 삽입고정되는 제1고정부재(210)와 상기 삽입로(100) 상단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호스(H)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220)를 포함하는 고정부(20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상기 호스(H)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성형 장치
100: 삽입로 110: 직선삽입부
120: 굴곡삽입부 130: 제1조절공
140: 제2조절공 200: 고정부
210: 제1고정부재 211: 제1고정나사
212: 고정체 213: 이탈방지편
220: 제2고정부재 221: 제2고정나사
222: 관통체 223: 관통홀
224: 이동체 225: 스토퍼
226: 조임나사 230: 추가지지부재
231: 설치편 232: 레버
233: 지지편 H,H': 호스
H-1: 직선구간 H-2: 굴곡구간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호스(H)가 삽입되되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호스(H)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삽입로(100); 및
    상기 삽입로(100)에 삽입된 상기 호스(H)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로(100)는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호스(H)의 직선구간(H-1)이 삽입되는 직선삽입부(110), 상기 호스(H)의 굴곡구간(H-2)이 삽입되는 굴곡삽입부(120)를 형성하며, 상기 굴곡삽입부(120)는 상기 굴곡구간(H-2)의 각도와 비교하여 15 ~ 35°더 굴곡진 추가각도를 갖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삽입부(110)의 내부 지름은 상기 호스(H)의 외경보다 1 ~ 5mm 크게 형성하되 상기 굴곡삽입부(120)의 내부 지름은 상기 호스(H)의 외경보다 3 ~ 7mm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성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삽입로(100)에 삽입된 상기 호스(H)의 선단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210)와 상기 호스(H)의 후단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성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210)는
    상기 삽입로(100)의 일단에 구비된 제1고정나사(211)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호스(H)의 일단이 형상맞춤으로 끼움 삽입되는 고정체(212), 상기 고정체(212)와 이웃하게 상기 삽입로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체(212)에 삽입된 상기 호스(H)를 상기 제2고정부재(220)에 결합시에 상기 고정체(212)에 삽입된 상기 호스(H)의 외면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2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220)는
    상기 삽입로(100)의 타단에 구비된 제2고정나사(221)에 의해 고정되되 양단이 서로 이어지는 관통홀(223)이 천공형성된 관통체(222), 상기 관통홀(223)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삽입되되 상기 호스(H)의 타단이 형상맞춤으로 끼움 삽입되는 이동체(224), 상기 관통체(222)에 관통삽입된 상기 이동체(224)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상기 관통체(222)의 외면에서 상기 관통홀(223) 내측으로 진입하는 조임나사(226)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22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225)가 더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224)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거나 상기 이동체(224)에 삽입되는 상기 호스(H)의 삽입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성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제1고정부재(210) 및 상기 제2고정부재(220)와 함께 상기 삽입로(100)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호스(H)를 지지하는 추가지지부재(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지지부재(230)는 상기 삽입로(10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편(231), 상기 설치편(23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레버(232),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레버(2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로(100)에 삽입된 상기 호스(H)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성형 장치.
KR1020180126654A 2018-10-23 2018-10-23 호스 성형 장치 KR10212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654A KR102125514B1 (ko) 2018-10-23 2018-10-23 호스 성형 장치
JP2019135078A JP2020066227A (ja) 2018-10-23 2019-07-23 ホース成形装置
US16/660,342 US20200122382A1 (en) 2018-10-23 2019-10-22 Apparatus for forming rubber ho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654A KR102125514B1 (ko) 2018-10-23 2018-10-23 호스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209A true KR20200046209A (ko) 2020-05-07
KR102125514B1 KR102125514B1 (ko) 2020-06-24

Family

ID=7027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654A KR102125514B1 (ko) 2018-10-23 2018-10-23 호스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22382A1 (ko)
JP (1) JP2020066227A (ko)
KR (1) KR102125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0967B (zh) * 2022-05-10 2023-05-09 徐州市华为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胶管的二次硫化定型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524B1 (ko) * 2006-05-23 2007-11-15 평화산업주식회사 곡선형 호스 제조용 지그장치 및 방법
KR20090011659U (ko) * 2008-05-13 2009-11-18 길기만 거푸집 고정용 파이프클램프
JP2010221465A (ja) * 2009-03-23 2010-10-07 Toyoda Gosei Co Ltd 屈曲した形状のホースを製造する方法
KR20130080316A (ko) * 2012-01-04 2013-07-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고무 호스 성형 금형 및 그것의 맨드릴 제조방법
KR101388293B1 (ko) * 2012-06-15 2014-04-22 주식회사 티씨씨벤드코리아 곡관교정금형장치
KR101404115B1 (ko) * 2013-11-19 2014-06-10 주식회사 동화티씨에이 강관 엘보우의 성형장치
KR101526909B1 (ko) * 2014-08-28 2015-06-09 주식회사 두성밴드 금속제 파이프의 곡관 제조장치
JP2016221528A (ja) *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三五 パイプ曲げ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396A (en) * 1974-05-15 1978-08-29 The Gates Rubber Company Curved tubular articles and method
US4495788A (en) * 1982-08-02 1985-01-29 Eaton-Leonard Corporation Multiple curvature bender
US5142895A (en) * 1989-05-15 1992-09-01 Amana Refrigeration, Inc. Method for bending tubes
US6910876B2 (en) * 2001-05-16 2005-06-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andrel for forming a curved hose
US6682335B2 (en) * 2001-11-16 2004-01-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ose molding device
US7076982B2 (en) * 2004-01-09 2006-07-18 Jeffrey & Connie Coop, Llc Concentric bore bend die and clamp insert assembly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524B1 (ko) * 2006-05-23 2007-11-15 평화산업주식회사 곡선형 호스 제조용 지그장치 및 방법
KR20090011659U (ko) * 2008-05-13 2009-11-18 길기만 거푸집 고정용 파이프클램프
JP2010221465A (ja) * 2009-03-23 2010-10-07 Toyoda Gosei Co Ltd 屈曲した形状のホースを製造する方法
KR20130080316A (ko) * 2012-01-04 2013-07-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고무 호스 성형 금형 및 그것의 맨드릴 제조방법
KR101388293B1 (ko) * 2012-06-15 2014-04-22 주식회사 티씨씨벤드코리아 곡관교정금형장치
KR101404115B1 (ko) * 2013-11-19 2014-06-10 주식회사 동화티씨에이 강관 엘보우의 성형장치
KR101526909B1 (ko) * 2014-08-28 2015-06-09 주식회사 두성밴드 금속제 파이프의 곡관 제조장치
JP2016221528A (ja) *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三五 パイプ曲げ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66227A (ja) 2020-04-30
KR102125514B1 (ko) 2020-06-24
US20200122382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514B1 (ko) 호스 성형 장치
DE1071325B (de) Verfahren zum befestigen von metallkappen an luftfederbälgen
US685528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resin hose
US2779061A (en) Tire-curing 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310437A (en) Fred thomas roberts
US2372644A (en) Tire mold
KR20190025185A (ko) 고무 호스 확관 삽입 장치
KR101600324B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스프링 벤트 장치
US154996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vulcanizing rubber tubes
RU2752772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тингов и соединителей для труб двухосной ориентации
US2318779A (en) Tire repairing apparatus
EP1609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parts with textile covering
US2825930A (en) Clamp for use in patching tubeless tires
US1289776A (en) Process for vulcanizing rubber articles.
US2510715A (en) Curing bag splicing machine
US1853356A (en) Tool for inserting valve stems in inner tubes
US1682125A (en) hennessy
KR200365711Y1 (ko) 타이어가류기의배관구조
CN113565462B (zh) 一种石油开采用便于拆卸修复的井口封堵器
US1855753A (en) Vulcanizing mold for inner tubes and the like
US3809737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a plastic conduit connector component
US1364362A (en) Splice-curing method and apparatus
US1837356A (en) Repair vulcanizer
US20200207041A1 (en) Apparatus for making conical bellows
CN219076521U (zh) 一种管材对接端口的修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