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085A -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085A
KR20200046085A KR1020207009211A KR20207009211A KR20200046085A KR 20200046085 A KR20200046085 A KR 20200046085A KR 1020207009211 A KR1020207009211 A KR 1020207009211A KR 20207009211 A KR20207009211 A KR 20207009211A KR 20200046085 A KR20200046085 A KR 2020004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image capture
capture
stat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908B1 (ko
Inventor
조나단 엠. 2세 로드리게즈
제랄드 닐레스
Original Assignee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2702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5/23216
    • H04N5/2324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스마트 안경과 같은 전자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대한 장치들 및 시스템들이 설명된다. 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하우징,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로킹 컴포넌트, 및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이미징 애퍼처를 정의한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하우징에 결합되고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된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된 시야의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컴포넌트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결합된다. 로킹 컴포넌트는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하도록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를 수정한다. 제어 컴포넌트는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된다.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은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 및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7년 8월 31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인 미국 특허 출원 제15/692,968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은 이로써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개시내용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에 대한 하드웨어 기반 액세스 제어들을 다루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많은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기기를 이용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상의 이미지 및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의 출현은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에 대한 프라이버시 및 보안 우려를 야기한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해킹 및 은밀한 액세스 및 제어는 사용자들이 그 사용자들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3자들에 의해 리코딩되는 위험을 일으킨다. 또한, 대중 대면(public-facing)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부착된 카메라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대중의 멤버들에 대한 프라이버시 우려를 야기한다. 그러한 대중의 멤버들은 리코딩될 때 통지를 원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3자의 제어 하에 은밀하게 리코딩하고 있지 않다는 보증을 원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 도면들에서 제한이 아닌 예로서 예시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전방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사시 절개도(perspective cut-away view)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후방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보안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보안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보안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선택적으로 보안을 테스트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보안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머신 상에 설치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머신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명령어들의 세트가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형식의 머신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장치들, 시스템들, 및 기법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본 발명의 주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주제의 실시예들이 이들 특정 상세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구조들 및 기법들은 반드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상세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은 예들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의 하드웨어 기반 액세스 제어를 허용하는 장치들, 시스템들, 및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프로세서, WiFi 컴포넌트들, 및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과 같은 온보드 전자 컴포넌트들을 갖는 안경류 물품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라, 안경류 물품은 스마트 안경을 포함한다. 온보드 전자 컴포넌트들은 스마트 안경의 바디에 의해,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에, 또는 안경다리(들)에 탑재될 수 있다. 온보드 전자 컴포넌트들은 이미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고, 이미지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고, 우발적인 데이터 캡처로부터 데이터 컬렉션 컴포넌트들을 보안할 수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 시계, 및 스마트 안경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에 이미지 및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을 포함시키는 것은 그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해 그리고 사용자 주위에 위치한 개인들에 대해 프라이버시 우려를 일으킬 수 있다. 관찰자들 및 방관자들은 이미지 캡처 또는 오디오 캡처를 통해 리코딩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그들이 리코딩되거나 리코딩되고 있다는 것을 알기를 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침입, 해킹, 또는 제3자가 사용자를 은밀하게 감시할 수 있는 다른 활동들로부터 그들의 디바이스가 안전하다는 것을 알기를 원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패치들 및 보안 특징들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방법들은 극복되거나, 회피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치 않는 감시, 리코딩, 또는 다른 침입 활동들을 방지하기 위해 리코딩 디바이스들을 물리적으로 보안할 필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개념들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들이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들인지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인지에 관계없이, 이미지 캡처 및 사운드 캡처 디바이스들을 선택적으로 보안하는 물리적 구조들 및 상호관련된 컴포넌트들을 구현함으로써 디바이스 보안의 기술적 문제들을 다룬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가 사용중인 것을 관찰자들 및 방관자들에 경고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 애니메이션 또는 표시자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AR) 디스플레이들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가 이용가능하거나 활동적으로 리코딩하고 있는 때를 통지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제조가 원하는 보안 표준들을 만족시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공장 테스트 및 품질 보증 조치들을 다룬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전방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에 결합되거나 그 안에 있는 컴포넌트들을 보여주기 위해 부분 절개가 있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10),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로킹 컴포넌트(130) 및 제어 컴포넌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안경),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10)은 이미징 애퍼처(112)를 정의한다. 하우징(110) 내에 정의된 이미징 애퍼처(112)는 하우징(110)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 또는 보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미징 애퍼처(112)는 하우징(110)을 통해 연장되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하우징(110) 외부의 물체들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캡처할 수 있는 개구를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류 바디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용자에 의한 착용 및 하나 이상의 광학 및 전기 요소의 유지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및 로킹 컴포넌트(13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는 프레임의 일부 내에 형성된 캐비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캐비티는 열 소산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둘러싸는 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하우징(110)에 의해 정의된 이미징 애퍼처(112)와 정렬된 시야의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하우징(110) 내에 장착되거나 부분적으로 장착되도록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체결구(fastener)(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핀, 클립, 또는 솔더링), 하나 이상의 몰딩된 체결구(예를 들어, 프릭션 핏, 몰딩된 폼, 또는 3차원 프린팅된 표면), 화학적 체결구(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 메커니즘 또는 기법을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이미징 애퍼처(112)와 정렬시키는 위치에서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일부가 이미징 애퍼처(112) 내에 위치될 때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렌즈, 센서, 또는 다른 데이터 수집 부분이 이미징 애퍼처(112)와 정렬된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일부가 이미징 애퍼처(112)를 통해 또는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때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또한 이미징 애퍼처(112)와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이미징 애퍼처(112)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인지, 수신, 또는 다른 방식으로 캡처할 수 있을 때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이미징 애퍼처(112)와 정렬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10)은 프레임(114) 및 적어도 하나의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를 포함한다. 프레임(114)은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 영역(118)을 정의한다. 광학 요소 영역들(118)은 시선 방향(viewing direction)으로 사용자가 보기 위한 광학 요소들(119)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시선 방향은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는 복수의 안경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는 프레임(11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맞도록 일정 거리 떨어져 이격되는 2개의 가늘고 긴 안경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2개의 가늘고 긴 안경다리는 한 쌍의 안경(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안경다리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는 프레임(11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는 프레임(114)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있는 동안에 정의된 위치에 프레임(114)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가 프레임(114)을 정의된 위치에 정렬시키고 시선 방향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시야를 포함할 때,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및 이미징 애퍼처(112)가 광학 요소들(119)의 시선 방향과 정렬된 상태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가 프레임(114)의 대향 단부들 상에 위치된다. 가늘고 긴 안경다리들(116)은 관절식 조인트에 의해 프레임(114)에 연결될 수 있다. 관절식 조인트는 서로 짝을 짓도록 구성된 힌지 돌출부를 갖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식 조인트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어셈블리, 볼 조인트 어셈블리, 수/암 어셈블리, 또는 프레임(114)에 대한 가늘고 긴 안경다리들(116)의 이동을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계적 연결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늘고 긴 안경다리들(116) 및 프레임(114)은 플라스틱 재료, 셀룰로오스 플라스틱(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코-플라스틱 재료, 열가소성 재료 등으로 구성된다. 유사하게, 가늘고 긴 안경다리들(116) 및 프레임(114)은 비-플라스틱 재료들, 예컨대 금속들(예를 들어, 강철,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적합한 금속들), 천연 재료들(예를 들어, 목재),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컴포넌트들을 하우징하거나 그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와 전원(150) 사이의 결합을 조작함으로써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한다. 캡처 상태들은 물리적으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픽셀 데이터)를 캡처하고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그러한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고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하나 이상의 렌즈,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셔터, 및 하나 이상의 전압 도메인을 포함한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충분한 수의 전압 도메인이 전원으로의 제거가능한 연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지 않으면 이미지 캡처 또는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3개의 전압 도메인을 갖는 경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모든 3개의 전압 도메인이 전력을 공급받지 않으면 이미지들을 캡처하거나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적합한 수의 전압 도메인들이 전원에 의해 명시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지 않을 때 이미지 캡처 또는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을 막도록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하나 이상의 전압 도메인으로의 전력에도 불구하고, 그 전력이 누설 경로로부터 유래하는 경우, 이미지 캡처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누설 경로들은 전압 도메인이 다른 전압 도메인 또는 복수의 다른 전압 도메인으로부터 기생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게 할 수 있다.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처 상태의 수정은 로킹 컴포넌트(130)를 해제하는 선택 또는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시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함으로써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캡처 컴포넌트의 지정된 캡처 상태 동안에 하나 이상의 리코딩 또는 캡처(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또는 오디오 캡처) 동작들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 또는 협력 작동하는 복수의 컴포넌트이다.
로킹 컴포넌트(130)는 하나 이상의 수동 컴포넌트 및 능동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하나 이상의 개별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팩, 압전 결정, 발진기, 로직 게이트(예를 들어, 비-프로그램 가능한 또는 이전에 구성된 로직 게이트), 타이머 컴포넌트, 타이머 칩(예를 들어, 비-프로그램 가능한 또는 이전에 구성된 타이머 칩),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외부의 전원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들은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에 있는 Silego Technology로부터 입수가능한 Silego GreenPAK 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적합한 Silego GreenPAK 어레이들은 Silego GreenPAK 3, Silego GreenPAK 4, 및 Silego GreenPAK 5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컴포넌트(130)가 특정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들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보안 디스에이블 핀으로서 구성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발자 또는 테스팅 유닛들에서 사용되면, 보안 디스에이블 핀은 테스팅 디바이스 상의 물리적 보안을 디스에이블하기 위해 테스팅 유닛들 상의 접지로 풀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처 상태는 로킹 상태(locked state) 및 언로킹 상태(unlocked state)를 포함한다.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오디오, 또는 다른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언로킹 상태에 있을 때,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이미지, 오디오, 및 다른 적합한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언로킹 상태는 1 분 내지 20 분과 같은 사전설정된 기간 후에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언로킹 상태에서, 일부 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30 초 비디오 클립들과 같은 사전 정의된 치수들 내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리코딩하거나 캡처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사전 정의된 비디오 데이터 캡처는 확장된 비디오 캡처, 하이퍼랩스(예를 들어, 비디오 리코딩 동안 낮아진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확장된 리코딩 상태), 비디오 효과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치수들과 같은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로킹 상태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전원 사이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 레일의 연결을 디스에이블함으로써 데이터 캡처가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전력 레일 또는 전력 레일들에 결합되고 전압 레귤레이터를 가질 수 있다. 전압 레귤레이터의 인에이블 핀은 로킹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접지로 단락될 수 있다. 유사하게, 로킹 상태에서,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는 접지로 단락된 데이터 라인을 가져, 로킹 상태에서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에 의한 데이터 캡처를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락 상태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FET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예를 들어, 네거티브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NFET)일 수 있다. NFET는 풀업 저항기에 의해 전원의 레귤레이팅되지 않은 전력으로 풀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풀링하는 즉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또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는 상태를 수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기반 공격 또는 소정의 물리적 시도에 관계없이 로킹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캡처 컴포넌트와 전원 사이의 연결의 조작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로킹 컴포넌트(130)는 캡처 컴포넌트를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물리적으로 결합 또는 격리(예를 들어, 분리)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캡처 및 캡처 상태를 조작(예를 들어,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언로킹 상태에 있을 때,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보안 관련 FET들(예를 들어, NFET들)은 턴오프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해제(disengage)되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전압 레귤레이터들이 정상 동작에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언로킹 상태에 있을 때,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그와 협력하는 것은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의해 데이터 캡처를 제어하고 야기할 수 있다. 유사하게,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가 언로킹 상태에 있을 때,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의 보안 FET들이 해제될 수 있다. 언로킹 상태, 및 결과적인 보안 FET들의 해제는 물리적으로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가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데이터가 제약 없이 데이터 라인을 가로질러 흐르게 한다.
지정된 실시예들에 관하여 위에 설명되었지만,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또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기계적 차단(예를 들어, 카메라 셔터를 맞물리는 것), 전원을 차단하는 것, 클록 또는 시간 컴포넌트를 차단하는 것, 데이터 송신 또는 스토리지를 차단하는 것, 제어 신호들을 차단하는 것, 데이터 송신 또는 스토리지를 인터셉트하고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 제어 신호들을 인터셉트하고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 하드웨어 핀의 조작, 스토리지 칩의 조작(예를 들어, 칩의 조작, 그의 반전은 전력 사이클을 이용함), 또는 컴포넌트들 사이에 연장되는 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물리적 컴포넌트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카메라(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깊이 센서, 마이크로폰,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무선 통신 컴포넌트(예를 들어, 무선 트랜시버), 프로세서, 이들의 조합들, 또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디스에이블함으로써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캡처 상태들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 컴포넌트(140)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호작용은 로킹 컴포넌트(130)를 해제하고 로킹 컴포넌트(130)에 의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는 선택을 트리거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그 선택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컴포넌트(1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조작가능한 물리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제어 컴포넌트(140)는 버튼, 스위치, 레버, 센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물리적 액세스 컴포넌트일 수 있다. 그러한 물리적 액세스 컴포넌트들은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하기 위해 제어 컴포넌트(140)에 대한 물리적 액세스 또는 그와의 상호작용을 보장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는 추가적으로 전원(150), 타이밍 컴포넌트(160), 충전 인터페이스(170),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 및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를 포함하고, 이들은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하우징(110)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원(150)은 로킹 컴포넌트(130)에 결합되고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상호작용은 전원(150)을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하도록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위에 설명되고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로킹 상태는 전원(150)으로부터의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격리에 대응하여,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의한 동작 및 이미지 캡처를 막을 수 있다. 언로킹 상태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와 전원(150) 사이의 결합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고, 이는 전력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로 흐르고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사용자 상호작용들 또는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타이밍 컴포넌트(160)는 로킹 컴포넌트(130)가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수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이밍 컴포넌트(16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언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상태로 수정 또는 복귀시키도록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이밍 컴포넌트(160)는 미리 결정된 기간의 소진 후에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전원(150)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예를 들어, 그 기간은 30 초 내지 20 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 기간은 11 분이다. 지정된 범위 또는 지정된 양의 시간으로 설명되었지만, 그 기간은, 적절하게 수 초에서 수 시간까지, 임의의 적합한 시간 또는 시간 세그먼트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미리 결정된 기간은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언로킹 상태에 두도록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하는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시작 또는 개시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기간은 로킹 컴포넌트(130)가 캡처 상태를 수정하는 즉시 시작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방식과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이밍 컴포넌트(160)는, 미리 결정된 기간의 소진 후에 오디오 데이터의 캡처를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레코드 상태(예를 들어 언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상태로)를 복귀시키도록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기간은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대한 미리 결정된 기간은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에 대한 미리 결정된 기간과는 별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는 음성 또는 다른 커맨드들을 청취하도록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활성화되어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가 활성인 시간 동안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70)는 전원(15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인터페이스(170)는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를 검출하고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 중의 충전 양태를 검출하는 즉시 로킹 컴포넌트(130)에 의한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충전 인터페이스(170)는 플러그 또는 다른 전력 어댑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포트 및 과도 전하들(transient charges)의 생성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필터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커패시터는 인쇄 회로 기판 트레이스에서 인덕턴스에 의해 야기되는 오버슈트를 방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외부 전원 및 전원(150)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 충전 사이클, 충전 사이클 임계치, 전압 임계치, 시간 임계치,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양태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외부 전원이 충전 인터페이스(170)에 연결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충전 사이클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사이클 임계치 미만의 충전 사이클을 검출하는 즉시, 충전 인터페이스(170)는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하여, 캡처 상태의 수정을 야기한다. 충전 양태가 전압 임계치인 경우, 전압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압(예를 들어 전원(150)에서의 전압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170)에 들어가는 전압)을 검출하는 즉시, 충전 인터페이스(17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하도록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충전 인터페이스(170) 또는 포트를 통해 캡처 상태의 로킹 또는 언로킹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공장, 테스팅 설비, 또는 다른 것에서의 제품들의 테스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테스팅은 움직이는 부분들이 없이 또는 제어 컴포넌트(140)의 사용자 조작 없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팅은 제어 컴포넌트(140)의 조작 없이 어셈블리 라인 또는 자동화된 제조 설비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는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가 오디오 애퍼처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오디오 애퍼처와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애퍼처는 이미징 애퍼처(112)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애퍼처는 이미징 애퍼처(112)와는 별개이고 이미징 애퍼처(112)로부터 떨어져 이격된다. 예를 들어, 이미징 애퍼처(112)는 프레임(114) 상에 위치될 수 있는 반면, 오디오 애퍼처는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는 더 긴 지속기간의 언로킹된 캡처 상태들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지정된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는 음성 텍스트 세션, 음성 통화, 또는 오디오 메뉴 내비게이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거나 발성된 메뉴 내의 옵션들을 선택하기 위한 음성 커맨드들)의 지속기간 동안 수정된 캡처 상태(예를 들어, 언로킹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언로킹 상태에 있는 것 및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는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자의 프레젠테이션을 야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의 일부 실시예들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의 관찰자들에게 표시자의 프레젠테이션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LED 표시자들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언로킹 상태로의 캡처 상태의 수정 즉시, LED 표시자들 중 하나 이상은 조명하거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가 핸즈-프리 동작을 위해 인에이블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원으로 배열된 일련의 LED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어, 언로킹 상태의 지속기간 동안 LED 원 주위에 단일 LED가 회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는 사용자 이외의 관찰자들에게 표시자의 프레젠테이션과 함께 또는 없이, 사용자에게 표시자의 프레젠테이션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는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 광학 요소들(119), 및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AR) 디스플레이(192)에 통합될 수 있다. AR 디스플레이(192)는 AR 디스플레이(192)의 가시 영역 내에 AR 요소(194)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또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가 언로킹 상태에 있을 때, AR 디스플레이(192)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캡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AR 요소(194)를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통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또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현재 캡처 상태를 통지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R 디스플레이(192)는 제어 컴포넌트(140)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로킹 상태의 통지에 더하여 AR 통지들이 AR 디스플레이(192) 상에 나타날 수 있다. 통지들은 사용자 상호작용들, 제어 컴포넌트(140) 및 로킹 컴포넌트(130) 중 하나 이상의 동작들, 또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동작들에 기초하여 AR 디스플레이(192)에 선택적으로 푸시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또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로킹 상태는 AR 통지가 존재하는 시간의 양을 제한할 수 있거나, 음성 또는 햅틱 통지로서 AR 통지를 프레젠테이션하면서 AR 디스플레이(192) 내의 AR 통지를 막을 수 있다.
로킹 컴포넌트(130)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와 전원(15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위에 설명되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2)와 다른 컴포넌트 사이에 연장되는 결합과 상호작용하거나 그를 조작할 수 있다. 도 4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프로세서(402)와 전원(15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송신 경로(404)를 따라 위치되거나 그와 교차한다. 프로세서(402)와 전원(150)의 선택적 결합은 데이터 전송, 커맨드들, 또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402)로부터 전원(150)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경로(404)의 격리 또는 분리는 전원(150)이 프로세서(402)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 또는 프로세서(402)로부터의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403)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로킹 컴포넌트(130)는 도 2에 관하여 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컴포넌트(140)의 선택 또는 그와의 상호작용은 로킹 컴포넌트(130)로 하여금 프로세서(402)와 전원(150) 사이에 연장되는 결합 또는 송신 경로(404)를 완성함으로써 프로세서(402)와 전원(15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할 수 있다.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상호작용, 기간의 소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특징은 로킹 컴포넌트(130)로 하여금 송신 경로(404)를 분리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중단함으로써 전원(150)으로부터 프로세서(402)를 격리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경로(404)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지정된 컴포넌트에 대한 전원과 프로세서(402)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경로(404)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예를 들어, 이미징 센서)에 대한 전원과 프로세서(402)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 경로(404)는 카메라, 마이크로폰(예를 들어,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 깊이 센서,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통신 컴포넌트(예를 들어 무선 트랜시버), 또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와 같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에 대한 전원과 프로세서(402)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지정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캡처 상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격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컴포넌트(130)는 중개 컴포넌트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전원(150)과 센서,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무선 트랜시버,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등) 사이의 송신 경로(408)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 경로(408)는 2개의 컴포넌트 사이에 연장되고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다른 컴포넌트로 전력 및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결합이다. 송신 경로(408)는 또한 송신 경로(408)를 통해 이동하거나 또는 송신되는 에너지, 데이터, 또는 다른 적합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송신과 2개의 컴포넌트의 결합을 주기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방지하도록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컴포넌트는 전력 스위치(410)일 수 있다. 전력 스위치(410)는 전원(150)과 다른 컴포넌트 사이의 송신 경로(408)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상호작용은 로킹 컴포넌트(130)로 하여금 전력 스위치(410)를 인에이블하게 하여, 전원(150)과 다른 컴포넌트(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사이의 송신 경로(408)의 연결 또는 결합을 완성할 수 있다. 다른 컴포넌트로부터의 전원(150)의 격리는,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상호작용, 시간의 경과, 타이머 또는 시간 제한의 소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정의 인자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에 의한 전력 스위치(410)의 조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로킹 컴포넌트(130)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414)와 프로세서(402)와 사이의 송신 경로(412)를 조작하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의 실시예를 묘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컴포넌트(130)는 프로세서(402) 및 컴포넌트(414)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격리하기 위해 송신 경로(412)에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포넌트(414)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타이밍 컴포넌트(160),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통신 컴포넌트(예를 들어, 무선 트랜시버), 센서(예를 들어, 이미징 센서, 클록, 또는 위치 센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송신 경로(412)를 조작하여 프로세서(402)에 의해 컴포넌트(414)로 송신되는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인에이블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414)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일 수 있고 로킹 컴포넌트(130)는 프로세서(402)로부터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로의 데이터 송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인에이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프로세서(402)가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상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회수하기 위한 요청들 또는 명령어들을 송신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차단하거나 인에이블할 수 있다.
로킹 컴포넌트(130)에 의한 송신 경로(412)의 조작에 의해 차단되거나 인에이블되는, 프로세서(402)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프로세서(40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증강된 또는 편집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컴포넌트(414)로의 송신을 위해 프로세서(402)에 의해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414)(예를 들어, 센서, 이미징 센서, 무선 트랜시버, 또는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는 타이밍 컴포넌트(160) 또는 프로세서(402)의 일부에 의해 생성되는 시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 컴포넌트(140)의 조작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는, 프로세서(402)가 타이밍 컴포넌트(160)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402)의 일부 내에서 시간 또는 타이밍 정보를 생성한 후에, 송신 경로(412)를 통해 프로세서(402)로부터 컴포넌트(414)로의 시간 정보(예를 들어, 클록 신호)의 송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에 의한 송신 경로(412)의 조작에 기초하여 클록 신호, 타임 스탬프, 또는 다른 시간 정보가 센서, 다른 프로세서,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컴포넌트, 또는 무선 트랜시버로 송신되거나 그 송신이 차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송신 경로(412)를 조작하여 컴포넌트(414)에 의해 프로세서(402)로 송신되는 신호들을 차단하거나 인에이블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414)가 이미징 센서와 같은 센서인 경우, 로킹 컴포넌트(130)는 송신 경로(412)의 경로를 완성함으로써 이미징 센서와 프로세서(402)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로킹 컴포넌트(130)에 의해 결합되면, 컴포넌트(414)(예를 들어, 이미징 또는 다른 센서)는 프로세서(402)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송신 경로(412)는 컴포넌트(414)의 출력 포트(예를 들어, data out)와 프로세서(402)의 입력 포트(예를 들어, data in) 사이에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단된 데이터는 데이터를 프로세서(402)에 송신하는 컴포넌트(414)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는 시야의 캡처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차단된 데이터는 다른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그로부터 유래할 수 있고, 컴포넌트(414)는 생성 컴포넌트와 프로세서(402) 사이의 중개자로서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송신 경로(412)를 조작하여 양쪽 방향으로의 신호들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로킹 컴포넌트(130)는 프로세서(402)가 컴포넌트(414)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해당 컴포넌트로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세서(402)를 격리시킬 수 있다. 신호들은 프로세서(402)와 컴포넌트(414) 사이에 송신되는 제어 신호들, 데이터 전송,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정보일 수 있다.
도 7은 로킹 컴포넌트(130)가 프로세서(402)와 컴포넌트(416) 사이의 인터셉트로서 역할을 하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의 실시예를 묘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402)는 송신 경로(418)를 따라 제어 신호들을 송신한다. 제어 신호들은 로킹 컴포넌트(130)에 의해 인터셉트되고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상호작용들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캡처 상태에 기초하여 컴포넌트(416)로 전달되거나 차단된다. 일부 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가 로킹된 캡처 상태에 있는 동안, 로킹 컴포넌트(130)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402)로부터 컴포넌트(416)로 제2 세트의 커맨드 신호들을 허용하거나 재송신하면서, 프로세서(402)로부터 제1 세트의 커맨드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8은 로킹 컴포넌트(130)가 프로세서(402)와 컴포넌트(422) 사이의 송신 경로(420)를 따라 이중 마스터로서 역할을 하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의 실시예를 묘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402)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 경로(420)를 따라 컴포넌트(422)에 송신한다. 로킹 컴포넌트(130)는 또한 제어 신호들을 송신 경로(420)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컴포넌트(422)에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02) 및 로킹 컴포넌트(13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의 조합들은,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캡처 상태에 기초하여 컴포넌트(422)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보안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9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묘사한다. 방법(900)의 동작들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예시의 목적으로 그렇게 아래 설명된다.
동작 910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디폴트 캡처 상태에 둔다. 디폴트 캡처 상태는 로킹 상태일 수 있다. 디폴트 로킹 또는 보안 상태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거나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와 전원(150)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디스에이블 또는 격리함으로써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디폴트 캡처 상태에 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NFET의 게이트에 결합된 풀업 저항기를 풀링함으로써,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로킹된 캡처 상태에 두어, 전원(150)으로의 결합을 격리한다. 풀업 저항기는 전원(150)으로부터의 레귤레이팅되지 않은 전력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킹 컴포넌트(130)가 제어 컴포넌트(140)에 의해 적합하게 트리거될 때까지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로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910은 로킹 상태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디폴트 상태이도록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제어 컴포넌트(140)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검출한다. 제어 컴포넌트(140)가 물리적 버튼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다른 방식으로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컴포넌트(140)의 버튼은 사용자 상호작용을 수신한 후에 리셋된다. 예를 들어, 버튼은 처음에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을 누르면 버튼이 프레임(114) 또는 가늘고 긴 안경다리(116)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과 같은 제2 위치에 놓인다. 버튼이 해제된 후에, 버튼은 즉시 제1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튼은 캡처 상태가 다시 로킹 상태로 복귀하는 즉시 리셋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제어 컴포넌트(140)가 사용자 상호작용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컴포넌트(140)는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컴포넌트(140)는 전압을 릴리스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전압이 로킹 컴포넌트(130)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전압은 사전 정의된 전압 임계치보다 높을 수 있고, 따라서 전압 임계치를 초과하는 즉시, 전압은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컴포넌트(140)는 캡처 상태를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수정하도록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로킹 컴포넌트(130)가 풀업 저항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는 경우,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와 전원(150) 사이의 회로 또는 결합을 완성하도록 풀업 저항기를 위치시킴으로써 캡처 상태를 수정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또한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한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및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캡처 상태들의 수정은 링크될 수 있고, 따라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언로킹하는 것은 또한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를 언로킹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의 수정은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캡처 상태의 수정과 분리된다.
동작 940에서, 종료 이벤트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는 후속하여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한다. 종료 이벤트는 경과된 기간, 휴면 기간, 데이터 캡처(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캡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종료 이벤트일 수 있다. 후속의 수정은 캡처 상태를 언로킹 상태로부터 다시 디폴트 로킹 상태로 전환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풀업 저항기를 풀링함으로써 캡처 상태를 언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상태로 복귀시킨다. 로킹 컴포넌트(130)가 풀업 저항기를 조작하는 즉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와 전원(150) 사이의 결합은 다시 NFET를 통해 접지로 단락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보안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묘사한다. 방법(1000)의 동작들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1000)의 특정 동작들은,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법(900)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이용하여 또는 방법(900)의 하나 이상의 동작의 서브-동작들로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010에서, 제어 컴포넌트(140)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검출한다. 사용자 상호작용은 제어 컴포넌트(140)의 일부로서 포함된 물리적 버튼을 누르는 것, 스위치를 움직이는 것,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어 컴포넌트(140)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10은 동작 920에 관하여 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제어 컴포넌트(140)가 사용자 상호작용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컴포넌트(140)는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컴포넌트(140)는 전압을 릴리스하거나 전압이 로킹 컴포넌트(130)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트리거되면, 로킹 컴포넌트(130)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한다. 로킹 컴포넌트(130)는, 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캡처 상태를 디폴트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예를 들어, 레코드 상태 또는 청취 상태)로 수정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캡처 상태의 수정에 기초하여,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는 청취 모드를 개시한다. 청취 모드에서,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가 인지가능한 오디오 데이터를 검출하고 하나 이상의 커맨드 또는 큐에 대해 오디오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커맨드는 음성 커맨드들 또는 프롬프트들이다. 예를 들어, "시작" 또는 "비디오 촬영"의 사용자의 음성 커맨드가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에 의해 캡처될 수 있다.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는 표시자를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가 표시자를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전달하는 즉시,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하여, 이미지 및 비디오 데이터의 캡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표시자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시야 내의 장면의 이미지 또는 비디오 캡처를 개시할 수 있다. 음성 커맨드의 수신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를 언로킹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언로킹 동작은 동작 1020에서 그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예들에서,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로부터의 표시자의 수신은 이전에 언로킹된 캡처 상태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 캡처를 트리거한다.
동작 1040에서, 종료 이벤트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는 후속하여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캡처 상태를 언로킹 상태로부터 디폴트 로킹 상태로 수정한다. 로킹 컴포넌트(130)는 또한 종료 이벤트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작 1040은 위에 설명된 동작 94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보안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1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묘사한다. 방법(1100)의 동작들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1100)의 특정 동작들은,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법들(900 또는 1000)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이용하여, 또는 방법들(900 또는 1000)의 하나 이상의 동작의 서브-동작들로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1100)은 위에 설명된 동작 920 또는 동작 1010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개시될 수 있다.
동작 1110에서, 제어 컴포넌트(140)가 사용자 상호작용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밍 컴포넌트(160)는 타이머를 개시한다(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기간의 카운트다운). 미리 결정된 기간은 10 분 또는 11 분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을 수신하거나 검출하는 즉시, 제어 컴포넌트(140)는 사용자 상호작용의 표시를 타이밍 컴포넌트(160)에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시자는 타이밍 컴포넌트(160)에게 타이머를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데이터의 일부이다. 표시자는 또한 제어 컴포넌트(140)로부터 타이밍 컴포넌트(160)로 전달되는 전압일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미리 결정된 기간(예를 들어, 타이머)의 종료 즉시, 타이밍 컴포넌트(16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및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 중 하나 이상의 캡처 상태를 언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로킹 컴포넌트(130)를 트리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의 트리거링은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또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활동적 사용에 종속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비디오 데이터를 캡처하고 있는 동안 미리 결정된 기간이 경과한 경우, 로킹 컴포넌트(130)는 비디오 캡처의 중단 후에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리코딩 제한에 기초하여 캡처 상태의 반전의 연기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미리 결정된 시간 세그먼트들에서의 비디오 캡처로 제한되는 경우, 로킹 컴포넌트(130)는, 비디오 캡처가 완료되거나 미리 결정된 시간 세그먼트가 경과할 때까지,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가 활동적으로 리코딩하고 있는 동안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로킹을 연기할 수 있다.
도 1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선택적으로 보안을 테스트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2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묘사한다. 방법(1200)의 동작들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210에서, 충전 인터페이스(170)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로의 외부 연결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 연결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전원(150)과는 별개의 외부 전원이다. 외부 연결은 또한 충전 케이스, 전기적으로 결합된 케이스, 테스팅 디바이스로의 연결, 또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외부의 디바이스 또는 컴포넌트로의 충전 인터페이스(170)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연결일 수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70)는 충전 인터페이스(170)에 공급되는 전력 또는 충전 인터페이스(17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 또는 컴포넌트에 기초하여 외부 연결을 검출할 수 있다.
동작 1220에서, 충전 인터페이스(170) 및 로킹 컴포넌트(130) 중 하나 이상은 충전 인터페이스(170)에서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를 검출한다.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충전 인터페이스(170)로의 전력 전송과 연관된 충전 사이클, 충전 사이클 임계치, 전압, 전압 임계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양태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임계치는 보통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것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충전 인터페이스(170)의 충전 핀들에 권한부여되는 파형을 포함한다. 파형은 로킹 컴포넌트(130)(예를 들어,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의 일부에 대해 제로 볼트 또는 그 아래의 전압에서 또는 디지털 로우에서 개시할 수 있다. 저전압에서 개시한 후에, 전압의 에지는 지정된 전압 또는 전압 임계치(예를 들어, 4 볼트) 이상인 레벨로 상승할 수 있다. 파형을 검출하는 즉시, 충전 인터페이스(170) 또는 로킹 컴포넌트(130)는 파형이 충전 양태와 매칭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동작 1230으로 진행한다.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또한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충전들 또는 전력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은 공장 언로킹 서명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시간의 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일반적인 사용으로부터 예상되는 것보다 짧은 전력 또는 충전 사이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충전 사이클과 연관된 시간은 0.3 초 내지 5 초,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양의 시간일 수 있다. 충전들 사이의 시간 또는 충전 사이클의 지속기간이 충전 양태와 매칭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즉시, 충전 인터페이스(170) 또는 로킹 컴포넌트(130)는 동작 1230으로 계속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테스트 프로세스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하기 위해 허용가능한 한계들보다 낮은 전압, 충전 사이클, 또는 임계치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테스트 프로세스는 로킹 컴포넌트(130)의 무단 변경 또는 우회가 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충전 양태가 파형인 경우, 테스트 프로세스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또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 중 하나 이상이 부적절한 파형으로 수정된 상태로 강제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불충분하거나 부정확한 파형들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처 상태를 수정하는 것의 일부로서 또는 그 대신에, 테스트 프로세스가 부팅되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전력을 제공하려는 시도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테스트 프로세스는, 더 높은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로킹 컴포넌트(130)의 요소들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에 대해 저전압을 유지하는지 또는 전압을 유지하지 않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230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및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 중 하나 이상의 캡처 상태를 수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캡처 상태를 디폴트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수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캡처 상태를 테스팅 상태로 수정한다. 테스팅 상태는, 공장 설정에서와 같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기능을 모니터링하거나 테스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작 1230은 위에 설명된 동작 930 또는 동작 102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테스트 프로세스가 부적절한 파형, 임계치 아래의 전압, 또는 다른 테스트 양태를 제공할 때, 로킹 컴포넌트(130) 또는 테스팅 컴포넌트는 부적절한 입력 또는 충전 양태의 결과로서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 또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중 하나 이상이 활동적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또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에 의해 어떠한 액션도 수행되지 않거나, 노이즈가 생성되는 경우(예를 들어, 모두 1, 모두 0, 또는 랜덤 데이터), 테스트 프로세스들은 데이터 컬렉션 컴포넌트들의 보안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동작 1240에서, 종료 이벤트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또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의 캡처 상태를 수정한다. 캡처 상태들의 수정은 캡처 상태들을 언로킹 상태로부터 디폴트 로킹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작 1240은 위에 설명된 동작 94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보안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3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묘사한다. 방법(1300)의 동작들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예시의 목적으로 그렇게 아래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300)의 동작들의 일부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에 대한 부트 또는 전력 공급 프로세스 동안 수행될 수 있는 반면, 동작들의 일부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셧다운 또는 턴 오프 절차 동안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동작 1310 내지 동작 1330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에 대한 부팅 프로세스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350 내지 동작 1370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에 대한 셧다운 또는 턴 오프 절차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310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전력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내의 임베딩된 멀티미디어 카드(eMMC),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데이터 스토리지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전력 공급 또는 부팅 프로세스 동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를 턴 온하기 위해 선택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전력 버튼 또는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파워-업 또는 부트-업은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 판정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언제 시스템(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을 부트 업할지에 관한 판정 또는 결정을 하기 위한 허가를 수행하거나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중 적어도 하나가 eMMC 디바이스인 실시예들에서, eMMC 디바이스는 eMMC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막는 기록 보호(예를 들어, 기록-보호 상태)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eMMC 디바이스는 eMMC 디바이스의 지정된 부분 또는 eMMC 디바이스의 전체에 대한 기록 보호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록 보호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를 캡처 상태(예를 들어, 언로킹 상태)에 두기 위한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의 동작에 의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동작 1320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를 로킹 상태에 두는 로킹 커맨드를 발행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는 로킹 커맨드를 자동으로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킹 커맨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발행된 "파워-온 기록 보호" 커맨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킹 커맨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보호 주소 또는 보호 주소 범위를 포함한다. 보호 주소 범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의 이용가능한 데이터 스토리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서, 보호 주소 범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내의 데이터 스토리지 위치들의 전체 범위를 포함한다.
동작 1330에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전력이 제공된다. 로킹 커맨드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발행되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전력을 전송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의 리셋 핀 또는 다른 물리적 기록 보호 컴포넌트들에 액세스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내에서 와이어링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전력이 제공되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및 상호작용을 위해 부팅될 수 있다.
동작 1340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한다. 하나 이상의 동작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임의의 적합한 동작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추가 부트 동작들을 수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120), 전원(150), 타이밍 컴포넌트(160),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180), 및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190))에 액세스하거나 이를 초기화하거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프레젠테이션하거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가 로킹 상태에 있는 동안, 로킹 컴포넌트(130)로부터의 로킹 커맨드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하기 위해 정보를 기록하거나 송신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컴포넌트(140)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로킹 컴포넌트(130)는 언로크 커맨드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발행한다. 로킹 컴포넌트(130)는 언로크 커맨드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더하여 전원(150)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발행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언로크 커맨드는 전력 사이클링 동작을 수행하여,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일부를 리셋한다. 전력 사이클링 및 언로크 커맨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가 기록 상태에 들어가거나 또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가 캡처 상태에 들어가도록 야기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그러한 상태 변경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데이터를 송신, 전달, 또는 다른 방식으로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동작 1350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동작을 중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전력 버튼과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 판정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언제 시스템(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을 부트 업할지에 관한 판정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전력 버튼과의 상호작용을 검출한 후에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가 주기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캡처 상태에 놓이는지에 관계없이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동작 1360에서, 로킹 컴포넌트(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하나 이상의 소거 커맨드를 발행한다. 하나 이상의 소거 커맨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의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명시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가 RAM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소거 커맨드는 RAM이 퍼징되게 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RAM의 전체 콘텐츠들을 소거할 수 있다. 퍼징 또는 소거는 콜드-부트 공격으로부터 민감한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처음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전력을 제공할 때,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는, 콜드-부트 공격들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또는 그 위에 위치하는 캐시로부터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소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처음에 동작 1330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전력을 제공할 때,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 위치한 모든 캐시로부터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소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시들의 소거는 프로세서 캐시 자체를 수반하는 콜드-부트 공격들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 1370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는 동작을 중단한다. 소거 커맨드들이 발행되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로부터 적절한 데이터가 퍼징되거나, 명시적으로 소거되거나, 중복 기록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거되었다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의 동작의 중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로부터의 전력의 제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예들은 실시예들이다.
1.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이미징 애퍼처를 정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되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된 시야의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됨 -;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결합된 로킹 컴포넌트 - 상기 로킹 컴포넌트는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하도록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를 수정함 -;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된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은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 및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2. 예 1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시선 방향으로 사용자가 보기 위한 각각의 광학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 영역을 정의하는 프레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동안에 정의된 위치에 상기 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늘고 긴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및 상기 이미징 애퍼처가 상기 광학 요소들의 시선 방향과 정렬된 상태로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다.
3. 예 1 또는 예 2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원 -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은 상기 전원을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를 수정하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함 -; 및 미리 결정된 기간의 소진 후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를 격리시키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은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기 상호작용 및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로의 상기 전원의 결합에 응답하여 개시된다.
4. 예 1 내지 예 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원 - 상기 로킹 컴포넌트는 상기 전원을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로 에너지가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를 수정함 -; 및 상기 전원에 결합된 충전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를 검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 중의 충전 양태를 검출하는 즉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한 상기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5. 예 1 내지 예 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외부 전원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충전 사이클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사이클 임계치 미만의 충전 사이클을 검출하는 즉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한 상기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한다.
6. 예 1 내지 예 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전압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압을 검출하는 즉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한 상기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한다.
7. 예 1 내지 예 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하우징은 오디오 애퍼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오디오 애퍼처와 정렬되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 - 상기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해 트리거된 레코드 상태에 응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됨 -; 및 미리 결정된 기간의 소진 후에 오디오 데이터의 캡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의 레코드 상태를 복귀시키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은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개시된다.
8. 예 1 내지 예 7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결합된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는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자의 프레젠테이션을 야기한다.
9.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보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를 디폴트 캡처 상태에 두는 단계 -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는 로킹 상태임 -;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의 수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됨 -; 상기 캡처 상태를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수정하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종료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캡처 상태를 상기 언로킹 상태로부터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0. 예 9의 방법으로서,
상기 상호작용은 사용자 상호작용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언로킹 상태에 대한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의 종료 즉시, 상기 캡처 상태를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11. 예 9 또는 예 10의 방법으로서,
상기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단계는 외부 전원으로의 외부 연결을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12. 예 9 내지 예 1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캡처 상태를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로부터 상기 언로킹된 캡처 상태로 수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13. 예 9 내지 예 1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방법으로서,
상기 캡처 상태를 상기 로킹 상태로부터 상기 언로킹 상태로 수정하는 단계에 후속하는 시간에 상기 종료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14. 예 9 내지 예 1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로킹 컴포넌트가 로킹 커맨드를 발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를 상기 디폴트 상태에 두는 단계; 상기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15. 예 9 내지 예 1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방법으로서,
상기 종료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하나 이상의 소거 커맨드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16.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이미징 애퍼처를 정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되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된 시야의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됨 -; 스토리지 컴포넌트; 상기 스토리지 컴포넌트에 결합된 로킹 컴포넌트 - 상기 로킹 컴포넌트는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지 스토리지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하도록 상기 스토리지 컴포넌트의 기록-보호 상태를 수정함 -; 및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된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은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 및 상기 스토리지 컴포넌트의 기록-보호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17. 예 16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시선 방향으로 사용자가 보기 위한 각각의 광학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 영역을 정의하는 프레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동안에 정의된 위치에 상기 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늘고 긴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및 상기 이미징 애퍼처가 상기 광학 요소들의 시선 방향과 정렬된 상태로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다.
18. 예 16 또는 예 17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기록-보호 상태를 해제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언로킹 상태에 대응한다.
19. 예 16 내지 예 1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하우징은 오디오 애퍼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오디오 애퍼처와 정렬되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 - 상기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기록-보호 상태의 해제 즉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해 트리거된 레코드 상태에 응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됨 -; 및 미리 결정된 기간의 소진 후에 오디오 데이터의 캡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의 레코드 상태를 복귀시키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은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개시된다.
20. 예 16 내지 예 1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예의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결합된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는 상기 기록-보호 상태의 해제를 나타내는 표시자의 프레젠테이션을 야기한다.
21. 머신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예 9 내지 예 15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운반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도 14는 위에 설명된 디바이스들 상에 설치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1402)의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블록도(1400)이다. 도 14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비제한적 예에 불과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많은 다른 아키텍처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1402)는 프로세서들(1510), 메모리(1530), 및 I/O 컴포넌트들(1550)을 포함하는 도 15의 머신(1500)과 같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된다. 이 예시적인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1402)는 각각의 계층이 특정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계층들의 스택으로서 개념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1402)는 운영 체제(1404), 라이브러리들(1406), 프레임워크들(1408), 및 애플리케이션들(1410)과 같은 계층들을 포함한다. 동작중에, 애플리케이션들(1410)은, 일부 실시예들과 일관되게, 소프트웨어 스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호출들(1412)을 기동시키고 API 호출들(1412)에 응답하여 메시지들(1414)을 수신한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운영 체제(1404)는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관리하고 공통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운영 체제(1404)는, 예를 들어, 커널(1420), 서비스들(1422), 및 드라이버들(1424)을 포함한다. 커널(1420)은 일부 실시예들과 일관된 하드웨어와 다른 소프트웨어 계층들 사이의 추상화 계층으로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커널(1420)은, 여러 기능성 중에서도, 메모리 관리, 프로세서 관리(예를 들어, 스케줄링), 컴포넌트 관리, 네트워킹, 및 보안 설정들을 제공한다. 서비스들(1422)은 다른 소프트웨어 계층들을 위한 다른 공통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드라이버들(1424)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기본 하드웨어를 제어하거나 그와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들(1424)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BLUETOOTH® 드라이버,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버, 직렬 통신 드라이버(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USB)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전력 관리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라이브러리들(1406)은 애플리케이션들(1410)에 의해 이용되는 로우-레벨 공통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라이브러리들(1406)은 메모리 할당 기능들, 문자열 조작 기능들, 수학 기능들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라이브러리들(1430)(예를 들어, C 표준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라이브러리들(1406)은 미디어 라이브러리들(예를 들어,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H.264 또는 AVC(Advanced Video Coding), MP3(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3), AAC(Advanced Audio Coding), AMR(Adaptive Multi-Rate) 오디오 코덱, JPEG 또는 JP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또는 PNG(Portable Network Graphics)와 같은 다양한 미디어 포맷들의 프레젠테이션 및 조작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들), 그래픽 라이브러리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의 그래픽 콘텐츠에서 2차원(2D) 및 3차원(3D)으로 렌더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OpenGL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들(예를 들어, 다양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SQLite), 웹 라이브러리들(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WebKit) 등과 API 라이브러리들(1432)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들(1406)은 또한 많은 다른 API들을 애플리케이션들(1410)에 제공하기 위한 매우 다양한 다른 라이브러리들(143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들(140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애플리케이션들(14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하이-레벨 공통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들(1408)은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기능들, 하이-레벨 리소스 관리, 하이-레벨 위치 서비스들 등을 제공한다. 프레임워크들(1408)은 애플리케이션들(14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다른 API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특정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에 특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들(1410)은, 홈 애플리케이션(1450), 연락처 애플리케이션(1452),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454), 북 리더 애플리케이션(1456), 위치 애플리케이션(1458), 미디어 애플리케이션(1460), 메시징 애플리케이션(1462), 게임 애플리케이션(1464), 및 제3자 애플리케이션(1466)과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의 광범위한 모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들(1410)은 프로그램들에서 정의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화된 애플리케이션(1410)을 생성하기 위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예를 들어, Objective-C, Java, 또는 C++) 또는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예를 들어, C 또는 어셈블리 언어)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1466)(예를 들어, 특정 플랫폼의 벤더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ANDROID™ 또는 IOS™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이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IOS™, ANDROID™, WINDOWS® PHONE, 또는 다른 모바일 운영 체제들과 같은 모바일 운영 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146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운영 체제(1404)에 의해 제공되는 API 호출들(1412)을 기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머신 아키텍처 및 머신-판독가능 매체
도 15는 머신-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머신-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예를 들어,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할 수 있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머신(1500)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머신(1500)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 또는 그의 부분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아래 설명되는 머신(1500)의 부분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컴퓨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형식의 머신(1500)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안에서 머신(1500)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1516)(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애플릿(applet), 앱, 또는 다른 실행가능 코드)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머신(1500)은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거나 다른 머신들에 결합(예를 들어, 네트워킹)될 수 있다. 네트워킹된 배치에서, 머신(1500)은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 머신 또는 클라이언트 머신의 자격으로 동작하거나, 피어-투-피어(또는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머신(1500)은, 서버 컴퓨터, 클라이언트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넷북, 셋톱 박스(STB),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시스템, 셀룰러 폰, 스마트폰, 모바일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스마트 홈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어플라이언스),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들, 웹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라우터, 네트워크 스위치, 네트워크 브리지, 또는 머신(1500)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명시하는 명령어들(1516)을 순차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단일 머신(1500)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머신"이라는 용어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1516)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머신들(1500)의 컬렉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머신(1500)은 버스(1502)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로세서들(1510), 메모리(1530), 및 I/O 컴포넌트들(155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머신(1500)의 컴포넌트들은 위에 설명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거나, 이들을 표현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들(1510)(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다른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은, 예를 들어, 명령어들(1516)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1512) 및 프로세서(15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명령어들(1516)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독립된 프로세서("코어들"이라고도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도 15는 다수의 프로세서(1510)를 도시하지만, 머신(1500)은 단일 코어를 갖는 단일 프로세서, 다수의 코어를 갖는 단일 프로세서(예를 들어, 멀티-코어 프로세서), 단일 코어를 갖는 다수의 프로세서, 다수의 코어를 갖는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버스(1502)를 통해 프로세서들(1510)에 액세스 가능한 메인 메모리(1532), 정적 메모리(1534), 및 스토리지 유닛(1536)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유닛(153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론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하는 명령어들(1516)이 저장되어 있는 머신-판독가능 매체(1538)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1516)은 또한, 머신(1500)에 의한 그의 실행 동안,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메인 메모리(1532) 내에, 정적 메모리(1534) 내에, 프로세서들(1510) 중 적어도 하나 내에(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 내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인 메모리(1532), 정적 메모리(1534), 및 프로세서들(1510)은 머신-판독가능 매체(1538)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메모리"라는 용어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머신-판독가능 매체(1538)를 지칭하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 캐시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매체(1538)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일 매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머신-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명령어들(1516)을 저장할 수 있는 단일 매체 또는 다수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집중형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또는 연관된 캐시들 및 서버들)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또한, 명령어들이, 머신(1500)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1510))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1500)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머신(예를 들어, 머신(15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예를 들어, 명령어들(1516))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또는 다수의 매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머신-판독가능 매체"란 단일 스토리지 장치 또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기반" 스토리지 시스템들 또는 스토리지 네트워크들을 지칭한다. 따라서, "머신-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광학 매체, 자기 매체,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의 형식의 데이터 저장소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용어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구체적으로 비-법정 신호들 자체를 배제한다.
I/O 컴포넌트들(1550)은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을 제공하고, 출력을 생성하고, 정보를 송신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측정들을 캡처하는 등을 수행하기 위한 매우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I/O 컴포넌트들(1550)은 도 15에 도시되지 않은 많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I/O 컴포넌트들(1550)은 단지 이하의 논의를 간소화하기 위해 기능성에 따라 그룹화되어 있고, 이러한 그룹화는 결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I/O 컴포넌트들(1550)은 출력 컴포넌트들(1552) 및 입력 컴포넌트들(1554)을 포함한다. 출력 컴포넌트들(1552)은, 시각적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프로젝터, 또는 음극선관(CRT)과 같은 디스플레이), 음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스피커), 햅틱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진동 모터), 다른 신호 생성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컴포넌트들(1554)은, 영숫자 입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키보드, 영숫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 포토-광학 키보드, 또는 다른 영숫자 입력 컴포넌트), 포인트 기반 입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마우스, 터치패드, 트랙볼, 조이스틱, 모션 센서, 또는 다른 포인팅 기구), 촉각 입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터치 또는 터치 제스처의 위치 또는 힘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또는 다른 촉각 입력 컴포넌트),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일부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I/O 컴포넌트들(1550)은, 광범위한 여러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바이오메트릭 컴포넌트들(1556), 모션 컴포넌트들(1558), 환경 컴포넌트들(1560), 또는 포지션 컴포넌트들(156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바이오메트릭 컴포넌트들(1556)은, 표현들(예를 들어, 손 표현, 얼굴 표정, 음성 표현, 신체 제스처, 또는 시선 추적)을 검출하고, 생체신호들(예를 들어, 혈압, 심박수, 체온, 땀 또는 뇌파)을 측정하고, 사람을 식별(예를 들어, 음성 식별, 망막 식별, 얼굴 식별, 지문 식별, 또는 뇌전도 기반 식별)하는 등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모션 컴포넌트들(1558)은, 가속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가속도계), 중력 센서 컴포넌트들, 회전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한다. 환경 컴포넌트들(1560)은, 예를 들어, 조명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광도계), 온도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 습도 센서 컴포넌트들, 압력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기압계), 음향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배경 노이즈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 근접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인근 물체들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들), 가스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안전을 위해 유해성 가스들의 농도들을 검출하거나 대기 내의 오염물질들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 검출 센서들, 머신 후각 검출 센서들), 또는 주변 물리적 환경에 대응하는 표시들, 측정들, 또는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포지션 컴포넌트들(1562)은, 위치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컴포넌트), 고도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고도계 또는 고도가 도출될 수 있는 기압을 검출하는 기압계), 방위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자력계) 등을 포함한다.
통신은 매우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O 컴포넌트들(1550)은 머신(1500)을 결합(1582) 및 결합(1572)을 통해 각각 네트워크(1580) 또는 디바이스들(1570)에 결합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컴포넌트들(156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156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또는 네트워크(1580)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들에서, 통신 컴포넌트들(1564)은 유선 통신 컴포넌트들, 무선 통신 컴포넌트들, 셀룰러 통신 컴포넌트들, 근거리 무선 통신(NFC) 컴포넌트들, BLUETOOTH®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BLUETOOTH® Low Energy),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양상들을 통해 통신을 제공하는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들(1570)은 다른 머신 또는 매우 다양한 주변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해 결합된 주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컴포넌트들(1564)은 식별자들을 검출하거나 식별자들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들(1564)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판독기 컴포넌트들, NFC 스마트 태그 검출 컴포넌트들, 광학 판독기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UPC(Universal Product Code) 바 코드와 같은 1-차원 바 코드들, QR(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은 다-차원 바 코드들, Aztec 코드, Data Matrix, Dataglyph, MaxiCode, PDF417, Ultra Code, UCC RSS(Uniform Commercial Code Reduced Space Symbology)-2D 바 코드, 및 다른 광학 코드들을 검출하기 위한 광학 센서), 또는 음향 검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태깅된 오디오 신호들을 식별하기 위한 마이크로폰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게다가, 인터넷 프로토콜(IP) 지오-로케이션을 통한 위치, WI-FI® 신호 삼각측량을 통한 위치, 특정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BLUETOOTH® 또는 NFC 비컨 신호의 검출을 통한 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통신 컴포넌트들(1564)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송신 매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580)의 부분들은 애드 혹 네트워크,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무선 LAN(WLAN), WAN(wide area network), 무선 WAN(WW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인터넷, 인터넷의 부분,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부분,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네트워크,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또는 둘 이상의 그러한 네트워크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580) 또는 네트워크(1580)의 부분은 무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1582)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연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연결, 또는 다른 유형의 셀룰러 또는 무선 결합일 수 있다. 이 예에서, 결합(1582)은 1xRTT(Single Carrier Radio Transmission Technology), EVDO(Evolution-Data Optimized) 기술,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술,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기술, 3G를 포함하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4G(fourth generation wireless) 네트워크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 다양한 표준 설정 조직들에 의해 정의된 다른 것들, 다른 장거리 프로토콜들, 또는 다른 데이터 전송 기술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전송 기술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명령어들(1516)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들(1564)에 포함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통해 송신 매체를 이용하여 그리고 다수의 널리 공지된 전송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580)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된다. 유사하게,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명령어들(1516)은 디바이스들(1570)로의 결합(1572)(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결합)을 통해 송신 매체를 이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된다. "송신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15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1516)을 저장, 인코딩,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무형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또는 다른 무형 매체를 포함한다.
더욱이, 머신-판독가능 매체(1538)는 비일시적일 수 있지만, 머신-판독가능 매체(1538)는 전파 신호를 구현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매체(1538)를 "비일시적"으로 라벨링하는 것은 매체가 이동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매체는 하나의 물리적 위치로부터 다른 물리적 위치로 운반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머신-판독가능 매체(1538)는 유형이기 때문에, 매체는 머신-판독가능 디바이스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언어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복수의 사례들은 단일 사례로서 설명된 컴포넌트들, 동작들, 또는 구조들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방법의 개별 동작들이 별개의 동작들로서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개별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동작들이 예시된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제시된 구조 및 기능성은 결합된 구조 또는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컴포넌트로서 제시된 구조 및 기능성은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본 명세서의 주제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주제의 개요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더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들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제의 그러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단지 편의상 "발명"이라는 용어에 의해 언급될 수 있는데 사실상 하나보다 많은 실시예 또는 발명 개념이 개시되어 있다면 본 출원의 범위를 임의의 단일 실시예 또는 발명 개념으로 자발적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개시된 교시내용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그로부터 도출될 수 있어서, 이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및 논리적 치환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함께, 그러한 청구항들의 자격이 있는 균등물들의 최대 범위(full range of equivalents)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함적 또는 배타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더욱이, 단일 사례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리소스들, 동작들, 또는 구조들에 대해 복수의 사례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리소스들, 동작들, 모듈들, 엔진들, 및 데이터 저장소들 사이의 경계들은 다소 임의적이고, 특정 동작들은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의 맥락에서 예시된다. 기능성의 다른 할당들이 구상되고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별개의 리소스들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성은 결합된 구조 또는 리소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리소스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성은 별개의 리소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들은 한정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1)

  1.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이미징 애퍼처를 정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되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된 시야의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됨 -;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결합된 로킹 컴포넌트 - 상기 로킹 컴포넌트는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지 캡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하도록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를 수정함 -; 및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된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은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 및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시선 방향으로 사용자가 보기 위한 각각의 광학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 영역을 정의하는 프레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동안에 정의된 위치에 상기 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늘고 긴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및 상기 이미징 애퍼처가 상기 광학 요소들의 시선 방향과 정렬된 상태로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원 -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은 상기 전원을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를 수정하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함 -; 및
    미리 결정된 기간의 소진 후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를 격리시키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은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기 상호작용 및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로의 상기 전원의 결합에 응답하여 개시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원 - 상기 로킹 컴포넌트는 상기 전원을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로 에너지가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캡처 상태를 수정함 -; 및
    상기 전원에 결합된 충전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를 검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 중의 충전 양태를 검출하는 즉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한 상기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외부 전원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충전 사이클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사이클 임계치 미만의 충전 사이클을 검출하는 즉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한 상기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는 전압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압을 검출하는 즉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한 상기 캡처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오디오 애퍼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오디오 애퍼처와 정렬되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 - 상기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해 트리거된 레코드 상태에 응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됨 -; 및
    미리 결정된 기간의 소진 후에 오디오 데이터의 캡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의 레코드 상태를 복귀시키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은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개시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결합된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는 언로킹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자의 프레젠테이션을 야기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9.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보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를 디폴트 캡처 상태에 두는 단계 -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는 로킹 상태임 -;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의 수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됨 -;
    상기 캡처 상태를 로킹 상태로부터 언로킹 상태로 수정하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종료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캡처 상태를 상기 언로킹 상태로부터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은 사용자 상호작용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언로킹 상태에 대한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종료 즉시, 상기 캡처 상태를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단계는:
    외부 전원으로의 외부 연결을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양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캡처 상태를 상기 디폴트 캡처 상태로부터 상기 언로킹된 캡처 상태로 수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상태를 상기 로킹 상태로부터 상기 언로킹 상태로 수정하는 단계에 후속하는 시간에 상기 종료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로킹 컴포넌트가 로킹 커맨드를 발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를 상기 디폴트 상태에 두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하나 이상의 소거 커맨드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서,
    이미징 애퍼처를 정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되는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이미징 애퍼처와 정렬된 시야의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됨 -;
    스토리지 컴포넌트;
    상기 스토리지 컴포넌트에 결합된 로킹 컴포넌트 - 상기 로킹 컴포넌트는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에 응답하여 이미지 스토리지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하도록 상기 스토리지 컴포넌트의 기록-보호 상태를 수정함 -; 및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결합된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은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해제하는 선택 및 상기 스토리지 컴포넌트의 기록-보호 상태의 수정을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시야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시선 방향으로 사용자가 보기 위한 각각의 광학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광학 요소 영역을 정의하는 프레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동안에 정의된 위치에 상기 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늘고 긴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 및 상기 이미징 애퍼처가 상기 광학 요소들의 시선 방향과 정렬된 상태로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보호 상태를 해제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의 언로킹 상태에 대응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오디오 애퍼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오디오 애퍼처와 정렬되는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 - 상기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는 상기 기록-보호 상태의 해제 즉시 상기 로킹 컴포넌트에 의해 트리거된 레코드 상태에 응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도록 구성됨 -; 및
    미리 결정된 기간의 소진 후에 오디오 데이터의 캡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캡처 컴포넌트의 레코드 상태를 복귀시키도록 상기 로킹 컴포넌트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은 상기 제어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개시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컴포넌트에 결합된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캡처 상태 디스플레이는 상기 기록-보호 상태의 해제를 나타내는 표시자의 프레젠테이션을 야기하는, 보안가능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21. 머신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운반하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KR1020207009211A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43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9420A KR102585987B1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92,968 US10616470B2 (en) 2017-08-31 2017-08-31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rdware secured camera
US15/692,968 2017-08-31
PCT/US2018/049224 WO2019046794A1 (en) 2017-08-31 2018-08-31 ELECTRONIC APPARATUS WITH A CAMERA ATTACHED TO HARDWA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420A Division KR102585987B1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085A true KR20200046085A (ko) 2020-05-06
KR102437908B1 KR102437908B1 (ko) 2022-08-30

Family

ID=6368452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664A KR20240052860A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0237033618A KR102656967B1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0227029420A KR102585987B1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0207009211A KR102437908B1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664A KR20240052860A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0237033618A KR102656967B1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KR1020227029420A KR102585987B1 (ko) 2017-08-31 2018-08-31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616470B2 (ko)
EP (2) EP4325279A3 (ko)
KR (4) KR20240052860A (ko)
CN (2) CN118092593A (ko)
WO (1) WO2019046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470B2 (en) 2017-08-31 2020-04-07 Snap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rdware secured camera
US10768451B1 (en) 2018-06-26 2020-09-08 Snap Inc. Diffusers in wearable devices
USD879867S1 (en) * 2018-07-31 2020-03-31 Snap Inc. Eyeglasses
US11761618B2 (en) * 2019-03-22 2023-09-1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Light diagnostics and monitoring using wearables
EP3876025A1 (de) * 2020-03-02 2021-09-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hinderniserkennung und kollisionswarnung
US11598979B1 (en) * 2020-03-30 2023-03-07 Snap Inc. Dual port constrained acoustic volume
IT202100013811A1 (it) 2021-05-27 2022-11-27 Jlg Group S R L Micro fotocamera integrata indossabile
US20230061037A1 (en) * 2021-09-01 2023-03-02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with power-based data protection mechanism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2149A1 (en) * 2007-11-13 2009-05-14 Kensuke Ishii Digital camera security
JP2012060218A (ja) * 2010-09-06 2012-03-22 Casio Comput Co Ltd 動画処理装置、動画再生装置、動画処理方法、動画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59768A (ko) * 2011-11-29 201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 트래킹 기반의 사용자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40267631A1 (en) * 2013-03-15 2014-09-18 Occipital, Inc.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3d image capture system
WO2016032453A1 (en) * 2014-08-27 2016-03-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nablement and disablement of cameras
KR20170083132A (ko) * 2014-11-14 2017-07-17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아이웨어 장착 가능 안구 추적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326B1 (en) * 1999-04-06 2004-05-04 Innoventions, Inc. Low vision panning and zooming device
AU2003265428A1 (en) * 2002-08-14 2004-03-03 Deja View, Inc. Recording device that stores buffered digital signals to memory flashcards
US6738095B2 (en) * 2002-09-11 2004-05-18 Eastman Kodak Company Orientation-sensitive electronic vertical shutter release lock
KR20050040624A (ko) * 2003-10-29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촬영 제한 방법
CN101206711B (zh) * 2006-12-20 2011-04-13 普天信息技术研究院 一种锁定存储卡的方法
JP2009032143A (ja) * 2007-07-30 2009-02-12 Seiko Epson Corp ドライブレコーダ、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ドライブレコーダ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00779B2 (ja) 2008-04-01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811948B2 (en) * 2010-07-09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Above-lock camera access
JP5894397B2 (ja) * 2011-08-29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アクセサリ及び撮像システム
US8223024B1 (en) * 2011-09-21 2012-07-17 Google Inc. Locking mechanism based on unnatural movement of head-mounted display
US20140114534A1 (en) * 2012-10-19 2014-04-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ynamic rearview mirror display features
JP2016500887A (ja) * 2012-10-26 2016-01-14 ライブスクライ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マートペンとコンピュータ装置との間の認証接続の確立および保持
CN105164549B (zh) * 2013-03-15 2019-07-02 优步技术公司 用于机器人的多传感立体视觉的方法、系统和设备
US20140337621A1 (en) * 2013-05-07 2014-11-13 Serguei Nakhimov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security complex and user interface
US20150278499A1 (en) * 2013-11-21 2015-10-01 Yevgeny Levitov Motion-Triggered Biometric System for Access Control
CA2934528C (en) * 2013-12-17 2022-06-28 Marsupial Holdings Inc. Integrated microoptic imager, processor, and display
US9451727B2 (en) * 2014-12-16 2016-09-20 Gopro, Inc. Heat sink for a square camera
JP5900598B1 (ja) * 2014-12-26 2016-04-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保護回路、二次電池保護装置及び電池パック、並びにデータ書き込み方法
US10921896B2 (en) * 2015-03-16 2021-02-16 Facebook Technologies, Llc Device interaction in augmented reality
US9692967B1 (en) * 2015-03-23 2017-06-27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boot time and power consumption in camera systems
US9742997B1 (en) 2015-05-14 2017-08-22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handshaking
KR20160141476A (ko) * 2015-06-01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6210305A1 (en) * 2015-06-26 2016-12-29 Mobile Video Corporation Mobile camera and system with automated functions and operational modes
US9769364B2 (en) * 2015-07-02 2017-09-19 Gopro, Inc. Automatically determining a wet microphone condition in a sports camera
JP2017183827A (ja) * 2016-03-28 2017-10-05 京セラ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WO2017212679A1 (ja) * 2016-06-08 2017-12-14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KR20180023310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16470B2 (en) 2017-08-31 2020-04-07 Snap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rdware secured camer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2149A1 (en) * 2007-11-13 2009-05-14 Kensuke Ishii Digital camera security
JP2012060218A (ja) * 2010-09-06 2012-03-22 Casio Comput Co Ltd 動画処理装置、動画再生装置、動画処理方法、動画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59768A (ko) * 2011-11-29 201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 트래킹 기반의 사용자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40267631A1 (en) * 2013-03-15 2014-09-18 Occipital, Inc.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3d image capture system
WO2016032453A1 (en) * 2014-08-27 2016-03-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nablement and disablement of cameras
KR20170083132A (ko) * 2014-11-14 2017-07-17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아이웨어 장착 가능 안구 추적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987B1 (ko) 2023-10-10
US10616470B2 (en) 2020-04-07
US11863861B2 (en) 2024-01-02
CN118092593A (zh) 2024-05-28
EP3676683A1 (en) 2020-07-08
CN111052032B (zh) 2024-03-22
EP3676683B1 (en) 2024-01-03
KR20220123334A (ko) 2022-09-06
EP4325279A2 (en) 2024-02-21
EP4325279A3 (en) 2024-04-24
US20240064396A1 (en) 2024-02-22
US11431890B2 (en) 2022-08-30
CN111052032A (zh) 2020-04-21
WO2019046794A1 (en) 2019-03-07
US20220417419A1 (en) 2022-12-29
US20200314326A1 (en) 2020-10-01
KR20240052860A (ko) 2024-04-23
KR102437908B1 (ko) 2022-08-30
KR102656967B1 (ko) 2024-04-16
US20190068873A1 (en) 2019-02-28
KR20230143629A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7908B1 (ko) 하드웨어 보안 카메라를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TWI801872B (zh) 可穿戴式裝置、用於其中之充電及通信之方法及用於可穿戴式裝置與充電裝置之間的充電及除錯通信之系統
KR10223472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클장치
KR102396685B1 (ko) 전자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1127019B2 (en) Security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smart card application
KR102329821B1 (ko) 개인 인증 전자 장치 및 방법
EP3178029B1 (en) Mobile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wearable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7017132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accounts
KR20160041147A (ko)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102206877B1 (ko) 생체 정보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391202B1 (ko) 카메라 활성화 및 조도
KR102370842B1 (ko) 컨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8852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25468A (ko) 조건부 액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20335107A1 (en) 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 Program and Related Product
KR102383792B1 (ko)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16213B1 (ko) 감전 방지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376962B1 (ko) 서버,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KR20160076565A (ko) 전자 장치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능동 알림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CN116204059B (zh) 眼动追踪的帧率调整方法和装置
US20230342160A1 (en) Lockscreen for head-worn augmented reality device
KR20160026318A (ko)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의 플립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