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399A - 방향성 물질용 비주 코 클립/확장기 - Google Patents

방향성 물질용 비주 코 클립/확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399A
KR20200045399A KR1020190125106A KR20190125106A KR20200045399A KR 20200045399 A KR20200045399 A KR 20200045399A KR 1020190125106 A KR1020190125106 A KR 1020190125106A KR 20190125106 A KR20190125106 A KR 20190125106A KR 20200045399 A KR20200045399 A KR 20200045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oid
nose clip
nose
holders
por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리포드 에스. 어보프
Original Assignee
클리포드 에스. 어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리포드 에스. 어보프 filed Critical 클리포드 에스. 어보프
Publication of KR2020004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61M15/085Fix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U자의 각 단부에 돌출된 더 넓은 구형/스페로이드 홀더를 가지는 U자형 코 클립 및/또는 확장기가 각 구형 홀더가 콧구멍에 내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U자형 클립은 비주(columella)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각 홀더는 비중격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각각의 홀더 내부에는 그 안에 방향족 화합물을 갖는 플라스틱 볼 또는 실린더와 같은 향편이 있고, 방향족 화합물은 각각의 향편의 표면으로부터 빠져 나간다. 상기 향편으로부터 코 안으로 향기가 용이하게 빠져나오게 하기 위해, 각각의 홀더는 그 원주 둘레 및/또는 그 대향하는 면에 상기 홀더의 "U"를 가로지르는 포털을 갖는다.

Description

방향성 물질용 비주 코 클립/확장기{COLUMELLA NASAL CLIP/DILATOR FOR AROMATIC SUBSTANCES}
개시된 기술은 코 클립(nasal clip)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에서 공기 흐름을 증가 및/또는 아로마 테라피 용도를 위한 방향성 물질의 향기를 발산시키는 코 클립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향기 및 약물은 냄새를 개선하고 입덧 증세가 있는 임산부, 화학요법을 받는 사람들, 또는 HIV 치료, 감기 및 알러지가 있는 사람들, 멀미에 취약한 사람들, 유독한 냄새에 노출된 사람들, 과민한 냄새가 나는 사람들 등과 같은, 사람들에게 메스꺼움 또는 구역질을 경감시킨다.
아로마 테라피는 실제로 심리적 및 신체적 웰빙을 위해 휘발성 식물 오일 또는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사용한다. 에센셜 오일은 일반적으로 잎, 줄기, 꽃, 나무 껍질, 뿌리 또는 식물의 다른 요소에서 증류되는 식물의 순수한 에센스이다. 천연 에센셜 오일의 향기가 뇌를 자극하여 반응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로마 테라피는 암이나 에이즈와 같은 심각한 질병을 치료하지는 않지만 메스꺼움을 완화하고 환자의 기분을 개선시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로마 테라피는 다양한 방법으로 오일을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현재 시중에는 많은 디퓨저가 있다. 스티머(steamers), 양초, 클래이 포트(clay pots), 램프 링(lamp rings) 등이 그 예이다. 이들 모든 제품에는 하나의 단점이 있다. 그들은 오일의 냄새를 방이나 영역으로 근처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확산시킨다.
또한, 코가 막혀있거나 잠잘 때의 호흡 및 공기 흐름은 많은 사람들에게 문제이다. 수면 무호흡증 리테이너, 호흡 마스크, 약물, 코 스프레이 및 코 확장기가 종종 코 막힘을 줄이고 코골이를 줄여 코에서 공기 흐름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코 확장기는 구조적 이상으로 인한 호흡 곤란의 일시적인 원인 및/또는 감소된 공기 흐름과 관련된 코 막힘의 일시적인 원인을 임시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다(21 VFR 874.3900).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의 결과로서, 아로마 테라피를 실시 및/또는 코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장치가 오랫동안 요구되어 왔다.
개시된 기술은 코에서 공기 흐름을 증가 및/또는 아로마 테라피 용도를 위한 방향성 물질의 향기를 발산시키는 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비주(columella)에 압력을 인가하는 코 클립/확장기가 비중격(nasal septum)을 파지하여 맞물리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자유 단부를 갖는 U자형 베이스를 가진다. U자형 베이스의 각 단부에 하나씩 배치된 2개의 스페로이드(spheroid) 홀더는 그 안에 방향성의 향편(scented piece)이 고정되어 있다. 코 클립을 착용한 경우 호흡하는 동안 사용자의 비강을 통해 방향성 물질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구형(spherical) 홀더는 코 클립이 착용될 때 상기 향편과 각각의 비강 사이에 차단되지 않은 통로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2개의 대향 배치된 포털(portals)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는 사용자의 비주를 누르도록 구성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포털은 각각의 두 개의 스페로이드 홀더 각각으로 통하게 되어(open into) 향편을 비강에 더욱 노출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향편은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에 마찰식으로(frictionally)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향편의 제거가 통상적으로 그것이 유지된 상기 홀더의 파괴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영구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영구적(permanent)"은 "그 제거가 용융 및 개질과 같은 특별한 수단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 파괴적이고 비가역적인 행위를 요구하는 경우, 및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그와 같이 남아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개시된 기술에 대한 실시형태에서 코 클립은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을 갖는다. 상기 면들은 지구 중력에 대해 임의적이지만, 상면 및 하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전면과 후면도 마찬가지이다. 전면과 후면은 상면과 하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면과 하면을 가로지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는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또는 장치의 가장 위쪽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를 연결하는 U자형 베이스는 반대쪽 하면에 있다(또는 장치의 가장 아래쪽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의 전면 및 후면(예, 장치의 최 전면 및/또는 후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원형 포털(circular portal)을 가지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스페로이드 홀더는 U자형 홀더와 비교하여 전면 및 후면으로 바깥쪽으로 튀어 나온다.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는 적어도 2개의 경로가 구의 프레임워크인 원형 돌기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이기 때문에 "스페로이드(spheroid)"로 정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는 포털에 의해 절개되는 구형 면을 가지며, 그 전방 및 후방 단부는 그 내부에 원형 또는 다른 포털로 편평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완전한 구체이고, 북극과 남극을 잘라내는데 사용되는 위도 선을 가지고, 측면 포털을 형성하는, 상기 극까지 가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극쪽으로 연장되는 측면 포털들을 자르는데(cut in) 사용되는 경도 선을 가진다면, 지구와 유사하다.
상기 원형 포털은 개시된 기술의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각 스페로이드 홀더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원형 포털은 스페 로이드 홀더 중 하나의 구형 측면(spherical side)의 경계를 형성하고, 전면 또는 후면 중 하나와 평면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 각각은 상기 구형 측면으로 통하는(open into) 추가적인 포털을 갖는다. 향편은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홀더 당 하나의 향기 볼)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채우되 각각의 홀더의 가장 안쪽의 연속적인 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운다. 상기 향편은 이러한 구형 홀더의 각각의 전방/후방 단부에서 원형 포털로부터 튀어나오는 것과 같이, 가장 안쪽 및/또는 가장 바깥쪽의 연속 벽을 지나서 바깥쪽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스페로이드 홀더(들)는 향기, 특히 향편에 존재하는 향기가 없다.
개시된 기술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의 인접한 면들은 견고하고(solid)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의 인접하지 않는 면들에는 상기 추가적인 포털이 위치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U자형 베이스는 코의 비주(columella)에 접촉하여 배치 및 가압하고, 두 개의 분리된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는 비중격(septum)에 접촉하여 배치 및/또는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2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에 미리 삽입된 방향성 향편이 구비된 코 클립을 구하여 콧구멍(콧구멍 당 하나의 스페로이드 홀더)에 배치함으로써 코 클립을 사용할 수 있다. U자형 베이스는 비주(두 콧구멍 사이의 코 아래쪽)에 맞닿거나 비주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맞닿음(abutting) 또는 가압(pressing)은 코 클립이 안쪽 방향으로 밀려서 콧구멍을 개방하도록 양쪽 측면(either lateral side)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기술은 편평한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이격된 구형 단부로 그 단부가 넓어지는(open out) U자형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구형 단부 내에 복수의 포털이 각각의 구형 단부내에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방향성 향편으로부터 향이 빠져나오기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각각의 구형 단부가 콧구멍으로 밀어질 때 U자형 베이스가 코의 비주와 맞닿거나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 코를 통한 호흡은 향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향기가 인출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및 "실질적으로 보여주는"은 "적어도 90%"로 정의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르게 지시된다.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장치(device)는 그 안에 언급된 장치들을 "포함(comprise)"하거나 또는 장치들로 "이루어져(consist of)" 있을 수 있다.
용어 "및/또는"의 사용은, "a 및/또는 b"라는 용어가 "a 및 b", "a 또는 b", "a", "b" 세트를 모두 포함하도록 정의된다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코에서 공기 흐름을 증가 및/또는 아로마 테라피 용도를 위한 방향성 물질의 향기를 발산시키는 코 클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코 클립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코 클립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코 클립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코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코 클립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향기 볼이 삽입된 도 1의 코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코 클립으로부터 분리된 향기 볼을 보여주는 도 7의 코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비강 내로 삽입된 도 1의 코 클립을 도시한다.
U자형의 각 단부에 돌출된 더 넓은 구형(spherical)/스페로이드(spheroid) 홀더를 가지는 U자형 코 클립은, 각각의 구형 홀더가 콧구멍에 있게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사기 U자형 클립은 비주(columella)에, 각각의 홀더는 비중격(septum)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각각의 홀더 내부에는 방향족 화합물이 구비된 플라스틱 볼/실린더와 같은 향편(scented piece)이 있고, 각각의 향편의 표면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이 빠져 나온다. 향편으로부터 향기가 빠져나와 코로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홀더는 그것의 원주둘레 및/또는 대향면들에 상기 홀더의 "U"를 가로지르는 포털(portal)을 갖는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가 다음의 도면에 대한 설명을 고려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의 코 클립(1)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그 외측을 나타내는 라인들이 그어진) 스페로이드 홀더(10 및 20)는 전면 및 후면 포털(40)에 의해 트여진(broken) 부분적으로 구형인 외부면을 갖는다. 상기 전면 및 후면 포털(40)은 구체의 세로선을 따라 절단되거나 깍여져(lop off) 원형 개구를 형성한다. 측면은 또한 스페로이드 홀더(10 및 20)의 외부 구형 측면으로 개구를 형성하는 포털(14 및 24)과 같은 하나 이상의 포털을 각각 가진다. U자형 커넥터(30/32/34)는 측면 영역(32 및 34)으로 만곡되는 중간 영역(30)을 갖는다. 측면 영역(32 및 34)의 양 끝단은 연결 영역(16 및 26)에서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10 및 20)와 단일의 구조를 형성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코 홀더의 단면 크기는 연결 영역(16 및 26)에서 확장되어 각각의 구형 홀더가 U자형 커넥터(32/34)보다 모든 면에서 더 넓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강 내로 밀어 올려질 때 상기 U자형 커넥터 측면 영역(32 및 34)이 방해하지 않으며, 각 콧구멍 사이의 코의 하부, 예를 들어 비주(columella)에 대해(against) U자형 커넥터의 중간 영역(30)을 가압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10, 20)의 내벽(12, 22)은 구체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코 클립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U자형 커넥터의 중간 영역(30)의 중심을 따라 미러링된 장치 자체의 대칭성을 볼 수 있다. 또한, 종이 아래의 그에 평행한 평면이 상기 커넥터를 절반으로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을 정도의 가로 방향 대칭성을 볼 수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실시 형태에서 각 스페로이드 홀더(10, 20)의 전면 및 후면 포털(40)은 동일하므로, 향편이 없을 때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곧바로 관통하여 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코 클립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측면 포털(14, 24)이 보여질 수 있다. 각 도면에서 하나의 측면 포털만 번호가 매겨지지만 이는 각 측면 포털을 가리킨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도 1의 코 클립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는 스페로이드 홀더(20) 중 하나의 외부면이 두드러지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스페로이드 홀더의 내부와 그 내부 벽(22)을 보여주는 측면 포털(24)을 볼 수 있다. 스페로이드 홀더(20)의 하부에는 스페로이드 형상이 직사각형, 곡선형 및/또는 편평면이 있는 상부 에지(flat-sided top edge) 및 상기 커넥터의 측면(34)의 나머지 부분으로 전환하는 연결 영역(26)이 있다.
도 5는 도 1의 코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코 클립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스페로이드 홀더(10, 20)는 U자형 커넥터보다 더 넓어서, 장치를 아래에서 볼 때 스페로이드 홀더(10/20)가 커넥터를 만나는 영역 전체에서 스페로이드 홀더(10, 20)가 보이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7은 향편이 삽입된 도 1의 코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향편(45)은 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방향족 화합물로 침투된 플라스틱 또는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인체에 알려진 의학적 효과가 있는) 약물(medicinal)일 수 있다. 이들 조각(45)은 각 스페로이드 홀더(10, 20)의 내부 공간 내에 주입되거나 달리 배치될 수 있다. 향기는 코 클립의 포털(40, 14)을 통해 각각의 향편(45)으로부터 빠져나온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향편(45)은 코 클립 내에 영구적으로(permanently) 배치된다. 코 클립(1)이 제조될 때, 향기 볼이 그 안에 배치되고 상기 향편의 인접하는 측면보다 개구가 더 작은 각각의 포털로 밀봉되어, 상기 향편(45)이 그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한다. 예를 들면, 전면 및/또는 후면 포털(40)은 향편(45)의 인접한 에지, 코너 또는 가장 가까운 외부 부분을 덮는 내부 립(interior lip)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코 클립으로부터 분리된 향편을 보여주는 도 7의 코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향편(45)은 각각의 원통 형상이고 이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 원통형 벽을 가질 수 있는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10, 20)의 내부 벽 내에 끼워진다. 상기 포털(40)의 립(41)은 향편이 캐비티 내로 눌려져 있는 것과 같이, 향편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형태에서 도 9는 비강 내로 삽입된 도 1의 코 클립을 도시한다. 코(90)는 2개의 콧구멍(94, 96) 사이에 비주(columella)를 갖는 저면(92)을 갖는다. 코 클립(1)은 각 콧구멍 내로 밀어넣어져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10, 20)가 콧구멍 내에 위치하고 비중격(septum)과 접촉할 수 있고,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코의 비주 또는 비중격 중 어느 하나를 누를 수 있다. U자형 커넥터는 부분적으로 콧구멍(94/96) 내에 있고 부분적으로 코(90)의 외부에 있으며, 이때 U자형 커넥터의 중간 영역(30)은 콧구멍 외부에 있다. 스페로이드 홀더(10, 20)에 연결되는 단부 영역(32, 34)에 대해 가로놓인 중간 영역(30)은 비주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상기 실시형태들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개시된 기술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이 변경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설명된 실시형태들은 모든 측면에서 단지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의 의미 및 균등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경은 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 및 장치 중 임의의 조합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Claims (17)

  1. 사용자의 비주(columella)에 압력을 인가하는 코 클립 및/또는 확장기로서,
    비중격(nasal septum)을 파지하여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자유 단부를 가지는 U자형 베이스;
    상기 U자형 베이스의 각 단부에 하나씩 배치된 두 개의 스페로이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스페로이드 홀더는 각각 상기 코 클립이 착용될 때 호흡 중에 상기 사용자의 비강을 통해 흡입될 수 있는 그 안에 고정된 방향성 물질을 갖는 향편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는 적어도 두 개의 대향하도록 배치된 포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코 클립이 착용될 때 상기 향편과 상기 비강 사이에 차단되지 않은 통로를 형성하도록 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비주 상에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U자형 베이스는 상기 두 개의 스페로이드 홀더의 각각의 일 부분과 결합하고, 상기 부분은 상기 대향하도록 배치된 포털 사이에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 각각은 원주 벽(circumferential wall)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주 벽은 구형의 측면으로 통하는 추가적인 포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및/또는 확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페로이드 홀더의 각각으로 통하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포털이 상기 향편을 상기 비강에 더욱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향편의 각각은 상기 포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립(lip)에 의해 각각의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에서 마찰식으로 고정되는 코 클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향편의 각각은 상기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코 클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에 상기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성질은 상기 코 클립이 사용 후에 폐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6. 코 클립으로서,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 클립이 사용자의 코에 사용 중일 때 상기 상면은 사용자의 눈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면은 사용자의 입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은 사용자의 코 끝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면은 상기 사용자 머리의 안쪽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이격되어 상기 상면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를 연결하고 상기 하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 각각의 일 부분과 결합하는 U자형 베이스로서, 상기 부분은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 각각의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등거리인, U 자형 베이스;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의 상기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포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형 포털은, 각각의 스페로이드 홀더의 상기 전면 및 후면 각각에 하나씩, 두 개의 원형 포털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원형 포털은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 중 하나의 구형 측면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 중 하나와 평면이고;
    상기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 각각은 원주 벽(circumferential wall)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주 벽은 상기 구형 측면으로 통하는 추가적인 포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7. 청구항 6에 있어서,
    향편을 추가로 포함하며, 각각의 향편은 상기 스페로이드 홀더 중 하나 내의 공간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채우는 것인 코 클립.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의 상기 원주 벽의 인접한 부분들은 비중격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견고하고(solid) 포털이 없으며, 상기 추가적인 포털은 상기 비중격과 맞물리지 않는 상기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의 상기 원주 벽의 부분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베이스는 코의 비주 상에 접촉하도록 놓여져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의 각각은 상기 비중격에 접촉하도록 놓여지도록 구성된 코 클립.
  10. 청구항 6의 코 클립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 각각에 미리 삽입된 방향성의 향편을 갖는 상기 코 클립을 얻는 단계;
    상기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 중 하나를 제1 콧구멍에, 다른 하나를 제2 콧구멍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베이스를 비주에 대해 맞닿게 하고 상방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그 단부가 이격된 구형 단부로 넓어지는 U자형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단부의 각각은 편평한 전면 및 후면과, 각 구형 단부 내에 영구적으로 유지된 방향성 향편으로부터 향기가 빠져 나오도록 구성된 복수의 포털을 가지며,
    상기 U 자형 베이스는 상기 구형 단부의 각각의 일 부분에서 상기 구형 단부와 결합하며, 상기 구형 단부의 상기 부분은 각각의 상기 구형 단부의 편평한 전면과 후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배치되고;
    두 개의 분리된 스페로이드 홀더 각각은 원주 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주 벽은 구형 측면으로 통하는 추가적인 포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베이스는 상기 각 구형 단부가 콧구멍에 밀어 넣어질 때 코의 비주에 맞닿게 되는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코를 통한 호흡이 상기 향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향기가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 클립은 상기 U자형 베이스와 상기 두 개의 스페로이드 홀더를 통하여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16.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 클립은 상기 U자형 베이스와 상기 두 개의 스페로이드 홀더를 통하여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털은 각각의 상기 구형 단부의 원주 벽에 배치된 복수의 원주형 포털을 포함하고, 상기 구형 단부의 각각은 비중격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부분에는 상기 포털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클립.
KR1020190125106A 2018-10-22 2019-10-10 방향성 물질용 비주 코 클립/확장기 KR20200045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66,975 US10413686B2 (en) 2018-10-22 2018-10-22 Columella nasal clip / dilator for aromatic substances
US16/166,975 2018-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99A true KR20200045399A (ko) 2020-05-04

Family

ID=6536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106A KR20200045399A (ko) 2018-10-22 2019-10-10 방향성 물질용 비주 코 클립/확장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13686B2 (ko)
EP (1) EP3643275A3 (ko)
JP (1) JP7396631B2 (ko)
KR (1) KR20200045399A (ko)
CN (1) CN111068152A (ko)
AU (1) AU2019240648B2 (ko)
CA (1) CA3059758A1 (ko)
IL (1) IL26997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5922S1 (en) * 2017-10-16 2020-02-18 Daniel D. Nelson Intra-nasal clip
USD926612S1 (en) * 2018-04-16 2021-08-03 Jesse Yepez-Patterson Diffuser ring
USD874640S1 (en) * 2018-10-22 2020-02-04 Clifford S. Aboff Columella nasal clip dilator
USD944981S1 (en) * 2020-07-28 2022-03-01 Sinead McKeown Nasal dilator
CA3216564A1 (en) * 2021-04-29 2022-11-03 Lei Wang Slow release apparatus for slowly releasing compound in nasal passag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0331B2 (en) * 2001-05-22 2008-06-24 Sanostec Corp Nasal inserts
US8834512B1 (en) * 2007-12-12 2014-09-16 International Patent Development Group, Llc Nasal dilator comprising joined legs with end pads and air passages
US20100147300A1 (en) * 2008-12-17 2010-06-17 Clickmist, A Series Of The Invention Machine, Llc Nasal humidification and dispensing device
US9272117B2 (en) * 2011-12-07 2016-03-01 Gary Miledi Intra-nasal aromatherapy clip
US20150047641A1 (en) * 2013-08-19 2015-02-19 Fred Frey Air filter equipped nose clip
WO2015192162A1 (en) * 2014-06-20 2015-12-23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s
WO2016191791A1 (en) 2015-06-05 2016-12-08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s
KR101686747B1 (ko) * 2015-08-20 2016-12-15 정진구 개구부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구
US20170273626A1 (en) * 2016-03-23 2017-09-28 Sanostec Corp Nasal insert having one or more sensors
US20180064892A1 (en) * 2016-09-04 2018-03-08 Daniel D. Nelson Intra-nasal cli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3275A2 (en) 2020-04-29
IL269974A (en) 2020-04-30
EP3643275A3 (en) 2020-07-22
JP7396631B2 (ja) 2023-12-12
IL269974B (en) 2022-11-01
CN111068152A (zh) 2020-04-28
AU2019240648A1 (en) 2020-05-07
JP2020065926A (ja) 2020-04-30
US20190054263A1 (en) 2019-02-21
AU2019240648B2 (en) 2024-01-04
CA3059758A1 (en) 2020-04-22
IL269974B2 (en) 2023-03-01
US10413686B2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5399A (ko) 방향성 물질용 비주 코 클립/확장기
JP5930479B2 (ja) 鼻栓
US9526809B2 (en) Aromatherapy device
US7108198B2 (en) Nasal aromatherapy dispenser clip
CA3062970C (en) Nasal device
US20120046607A1 (en) Plug to be introduced into a passage such as a nasal passage or ear canal
KR20200113318A (ko)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US7837649B1 (en) Nasal clip for aromatic substances
KR101882741B1 (ko) 호흡기 기능 강화용 마스크
KR101389739B1 (ko) 다용도 코걸이
NZ757805A (en) Columella Nasal Clip / Dilator for Aromatic Substances
KR200485587Y1 (ko) 비강 삽입형 마스크
US20200376212A1 (en) Oil-infused elastomeric therapeutic device
WO2004110541A1 (en) A fragrant mask
KR200326336Y1 (ko) 아로마테라피 고무를 겸비한 기능성 안면 마스크
KR20220007474A (ko) 휴대용 아로마 발향장치 및 마스크
KR200375681Y1 (ko) 기능성 향기 패드를 부착한 향기 요법 치료용 마스크
KR200265459Y1 (ko) 코마개
KR20220073210A (ko) 패치가 포함된 마스크
KR200369892Y1 (ko) 건강 헤어밴드
RU2188673C1 (ru) Карманный ингалятор
CA3200610A1 (en) Plug for insertion into the nose or ear of a subject for administering a fluid therapeutic agent
WO2019070205A1 (en) MASK HAVING INHALATION HOUSING FOR STIMULATING A BODY
WO2020044271A2 (en) A delivery system for dispensing oils
JP2019131897A (ja) 認知症予防方法及び認知症予防に用いるマス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