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374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374A
KR20200045374A KR1020180126362A KR20180126362A KR20200045374A KR 20200045374 A KR20200045374 A KR 20200045374A KR 1020180126362 A KR1020180126362 A KR 1020180126362A KR 20180126362 A KR20180126362 A KR 20180126362A KR 20200045374 A KR20200045374 A KR 2020004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inner cap
main body
cosmetic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670B1 (ko
Inventor
김소연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2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6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휘발성이 있는 화장료를 저장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캡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뚜껑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내캡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내캡의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입술을 건강하게 보호하거나, 입술을 아름답게 표현할 목적으로 립스틱이 사용되고 있다. 립스틱은 여러 가지 용기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일반적인 립스틱 용기는 뚜껑에 의해 개폐되고, 고형의 화장료가 승강 작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립스틱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발색 및 착색 효과 향상을 위해 휘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립스틱도 출시되어 있다.
이러한 립스틱 용기는 뚜껑에 의해 내부가 차폐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휘발성을 갖는 화장료가 일정 수준 이상 증발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 상태나 보관 상태에 따라 립스틱 용기의 뚜껑이 의도치 않게 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제대로 닫히지 않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에 따라, 화장료가 휘발되는 양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결국 화장료의 감량 및 발림성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립스틱뿐만 아니라 휘발성을 갖고 있는 화장료를 채택하고 있는 다른 종류의 화장품에 있어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4424호 (2015.12.10.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뚜껑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뚜껑이 제대로 닫히지 않은 상태로 화장품 용기가 보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료의 과도한 감량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료의 특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휘발성이 있는 화장료를 저장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캡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뚜껑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내캡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내캡의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캡은 상기 외캡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내캡은 하강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의 내측면 및 상기 내캡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내캡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내캡 가이드 돌기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내캡 가이드 돌기가 끼워지는 내캡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뚜껑이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내캡은 하방 이동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화장료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캡은 상기 외캡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 및 상기 내캡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 및 상기 내캡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 상기 걸림홈과 연통되고, 상기 걸림홈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고정홈; 상기 걸림홈과 상기 고정홈을 연결하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고정홈의 연결 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과 상기 제1 가이드는 복수 개가 제공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가이드는 연결되어 하방으로 뾰족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렸을 때, 상기 내캡은 상기 실링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위치될 때, 상기 내캡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의 하단부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뚜껑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외캡의 하단부 및 상기 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뚜껑 고정부가 제공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에 제공된 상기 뚜껑 결합돌기 또는 상기 뚜껑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장료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이며, 상기 내캡의 하단부는 상기 뚜껑 결합돌기 또는 상기 뚜껑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내캡의 하단부가 상기 뚜껑 결합돌기 또는 상기 뚜껑 고정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뚜껑 결합돌기가 상기 뚜껑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캡의 하단부가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휘발성이 있는 화장료를 저장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외관을 형성하고,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내측에 제공되고, 압력 차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내캡; 및 상기 내캡과 상기 본체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내캡 내부에 체적이 변화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화장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내캡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실링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캡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를 둘러쌀 수 있는 링 형태이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결합 및 분리 시 상기 수용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에 제공된 뚜껑 고정부에 결합되는 뚜껑 결합돌기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는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결합 시에는 바깥쪽으로 변형되어 개방되고,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분리 시에는 안쪽으로 변형되어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입술 화장을 위한 고형의 화장료로서, 상기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인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다른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뚜껑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이 제대로 닫히지 않은 상태로 화장품 용기가 보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료의 과도한 감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장료의 특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본체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내캡의 내측면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본체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캡의 내측면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휘발성이 있는 화장료(120)를 저장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결합되어 화장료(1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뚜껑(200)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캡(210), 및 외캡(210)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캡(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 및 뚜껑(200) 중 하나 이상에는 내캡(220)에 의해 가압되어 뚜껑(200)의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14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품 용기(10)는 립스틱 용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화장품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품 용기(10)는 휘발성을 갖는 화장료를 저장하는 임의의 화장품 용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휘발성을 갖는 화장료를 사용하는 아이라이너 용기, 립틴트 용기 등일 수 있다.
화장료(120)는 입술 화장을 위해 고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휘발성을 갖는다. 화장료(12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성분이 증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뚜껑(200)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분리됨으로써 화장료(120)의 증발이 가속되거나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임의의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가 원통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0)는 화장료(120)를 지지하는 베이스(110)와, 화장료(1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베이스(110)에 지지되는 수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120)와 수용부(130)는 뚜껑(200)과 본체(100)의 결합 시, 내캡(220)의 내측에 형성된 화장료 수용 공간(224)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화장료(120)가 제공되는 공간이 뚜껑(20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수용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11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화장료(120)는 승하강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성은 립스틱에 일반적으로 적용된 공지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뚜껑(200)은 본체(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본체(100)에 결합 시 화장료(120)가 수용되는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200)은 화장료(120)가 과도하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뚜껑(200)은 본체(100)에 완벽하게 밀착되어, 화장료(120)가 제공되는 공간, 일 예로, 뚜껑(200) 내측의 화장료 수용 공간(224)이 완전하게 밀폐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장료(120)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있는 성분이 증발하여 화장료 수용 공간(224) 내에서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더 이상의 증발되지 않으므로, 화장료(120)의 감량을 막고 성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뚜껑(200)은 본체(100)에 대응되는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뚜껑(200)의 측면과 본체(100)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200)도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베이스(110)에는 실링부재(140)가 제공된다. 실링부재(140)는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본체(100)의 일 구성요소와 뚜껑(200)의 일 구성요소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내캡 수용 공간(214)을 밀폐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실링부재(140)는 뚜껑(200)의 결합 시 내캡(220)에 눌려 압축 변형 가능한 고무 소재일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수용부(130)와 베이스(110)의 경계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10)의 상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110)는 수용부(130)를 둘러쌀 수 있도록 수용부(130)의 외형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베이스(110) 상면 및 수용부(130)의 둘레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는 화장료 수용 공간(224)의 완전한 밀폐를 위해, 수용부(130)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걸림돌기(150)는 내캡(220)의 내측면에 끼워져 본체(100)와 뚜껑(200)을 서로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내캡(220)에 형성된 고정홈(228)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는 임의의 입체적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50)가 사각형 형태의 돌출된 돌기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걸림돌기(150)의 하나의 꼭지점 부근이 후술할 걸림턱(229)에 걸릴 수 있도록 제공된다.
걸림돌기(150)는 수용부(130)의 둘레에 임의의 높이에 복수 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2개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뚜껑(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캡(210)과, 외캡(2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승강 가능한 내캡(2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캡(220)의 승강에 의해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실링부재(140)가 탄성 변형되며 가압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내캡(220)의 내측 공간인 화장료 수용 공간(224)이 밀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캡(210)은 내캡(22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내캡 수용 공간(214)과, 내캡 수용 공간(214)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내캡(220)을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내캡 가이드 돌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캡 가이드 돌기(2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태일 수 있으며, 내캡(22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내캡 가이드 돌기(212)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한편, 내캡 가이드 돌기(212)는 외캡(210)의 회전력을 내캡(220)에 전달하는 기능도 한다. 구체적으로, 내캡 가이드 돌기(212)와 내캡(220)에 제공된 내캡 가이드 홈(222)의 결합에 의해, 외캡(210)의 회전력은 내캡(22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캡(210)을 돌리게 되면 내캡(22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내캡(220)은 외캡(210)의 내캡 수용 공간(214)에 삽입되며, 내캡 가이드 돌기(21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화장료 수용 공간(224)은 내캡(220)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화장료(120) 및 수용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실링부재(140) 및 내캡(220)의 밀착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내캡(220)의 외주면은 외캡(21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내캡(220)의 내주면은 화장료(120) 및 수용부(130)가 화장료 수용 공간(224)으로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내캡(220)의 내주면은 수용부(130)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돌기(150)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225), 걸림홈(226), 제2 가이드(227), 고정홈(228)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내캡(220)의 내경은 수용부(130)의 외경보다 크고, 걸림돌기(150)의 돌출된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캡(220)은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에 위치되었을 때 내캡(220)의 하단부가 실링부재(140)에 접촉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캡(220)이 하방 이동되면, 내캡(220)의 하단부가 실링부재(140)를 가압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캡(220)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150)가 1차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홈(226)과, 걸림홈(226)보다 높은 위치에서 걸림돌기(150)가 2차적으로 걸리게 되는 고정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높은 위치는 도면을 기준으로 더 높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내캡(220)에 있어서 내측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걸림홈(226)은 뚜껑(200)과 본체(100)의 결합 시, 걸림돌기(150)가 걸리게 되어 뚜껑(200)의 이동을 1차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홈(226)은 걸림돌기(150)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걸림돌기(150)의 하방으로부터의 인입을 위해 하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홈(226)은 걸림돌기(150)가 고정홈(228)으로 이동하거나, 고정홈(228)으로부터 이동되어 올 수 있도록 고정홈(228)이 제공되어 있는 방향으로도 개방되어 있다.
고정홈(228)은 1차적으로 걸림홈(226)에 걸린 걸림돌기(150)가 이동되어 뚜껑(200)과 본체(100)의 결합 시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지점으로서, 걸림홈(226)과 마찬가지로 걸림돌기(150)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고정홈(228)은 걸림돌기(150)의 이동을 위해 걸림홈(226)이 제공되어 있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때, 고정홈(228)은 걸림홈(226)에 걸림돌기(150)가 걸린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걸림돌기(150)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홈(226)의 걸림 위치와, 고정홈(228)의 걸림 위치가 D1의 높이 차이를 갖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높이 차이에 의해,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으로부터 고정홈(228)으로 이동되면 내캡(220)이 전체적으로 하강할 수 있고, 걸림돌기(150)가 고정홈(228)으로부터 걸림홈(226)으로 이동되면 내캡(220)이 전체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홈(228)은 걸림홈(226)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고정홈(228)과 걸림홈(226)이 이격된 거리는 뚜껑(200)의 고정을 위한 회전 각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150)가 1차적으로 걸림홈(226)에 걸린 후 뚜껑(200)의 회전에 의해 고정홈(228)으로 이동하여 고정됨으로써 뚜껑(200)이 본체(100)에 고정되는데,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으로부터 고정홈(228)까지 이동하는 둘레 방향 거리가 뚜껑(200)의 회전 각도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30도의 회전에 의해 뚜껑(2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28)이 걸림홈(226)으로부터 전체 둘레의 약 1/12 길이만큼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홈(228)은 걸림홈(226)의 일측에만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고정홈(228)은 걸림홈(226)의 양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뚜껑(200)을 결합한 후 임의의 방향으로 뚜껑(200)을 돌림으로써, 뚜껑(200)을 본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홈(226) 및 고정홈(228)은 적어도 걸림돌기(150)의 개수와 같거나 많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50)와 마찬가지로 각각 2개가 둘레 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제1 가이드(225)는 뚜껑(200)과 본체(100)의 결합 시, 걸림돌기(150)를 걸림홈(226)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225)는 걸림홈(226)의 양측 단부와 내캡(22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경사면들 사이의 공간은 걸림돌기(150)가 끼워질 수 있는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림홈(226)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225)의 단부가 서로 이어져 하방으로 뾰족한 볼록부(225a)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뚜껑(200)의 결합 방향에 무관하게, 2개의 걸림돌기(150)는 항상 2개의 걸림홈(226)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걸림홈(226)과 고정홈(228)은 제2 가이드(227)에 의해 연결되며, 걸림돌기(150)는 걸림홈(226)과 고정홈(228) 사이의 이동 시 제2 가이드(227)를 통과한다. 제2 가이드(227)는 걸림홈(226)의 개방측과 고정홈(228)의 개방측을 연결하되, 상술한 것처럼 고정홈(228)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고정홈(228)을 향해 상방 경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27)도 걸림돌기(15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걸림홈(226) 및 고정홈(228)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27)와 고정홈(228)의 연결 지점에는 걸림돌기(150)를 고정홈(228)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229)이 제공될 수 있다.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으로부터 제2 가이드(227)를 따라 고정홈(228)으로 이동될 때, 사용자가 소정의 외력을 가해야 걸림돌기(150)는 걸림턱(229)을 통과하여 고정홈(228)에 진입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50)가 고정홈(228)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걸림돌기(150)가 걸림턱(229)을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외력을 가해야 한다. 이러한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걸림돌기(150)는 고정홈(228) 내측에서 걸림턱(229)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뚜껑(200)이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대응된다.
걸림턱(229)은 제2 가이드(227)와 고정홈(228)의 연결지점의 임의의 위치에 제공되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없을 때 걸림돌기(150)를 고정홈(228) 방향 또는 제2 가이드(227) 방향으로 통과시키지 않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걸림돌기(150) 또는 걸림턱(229)의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턱(229)이 제2 가이드(227)와 고정홈(228)의 연결 지점의 하측에 제공되되, 걸림돌기(150)가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뚜껑(200)과 본체(100)를 분리하여 화장을 하고, 뚜껑(200)을 본체(100)에 결합시켜 화장품 용기(10)를 보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뚜껑(200)과 본체(100)의 결합을 위해, 본체(100)를 뚜껑(200) 내측으로 끼운 후, 뚜껑(20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뚜껑(200)과 본체(100)의 분리를 위해 뚜껑(20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킨 후, 본체(100)를 뚜껑(200)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결합 시 회전에 의해 화장품 용기(10)는 도 4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 전환되고, 분리 시 회전에 의해 화장품 용기(10)는 도 4의 (b) 상태에서 (a)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결합 과정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사용자는 뚜껑(200)의 내측 공간으로 본체(100)의 화장료(120), 수용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100)를 뚜껑(200)에 끼운다. 이때, 사용자는 임의의 방향으로 뚜껑(200)과 본체(100)를 결합할 수 있다. 임의의 방향에서 뚜껑(200)이 본체(100)에 결합되더라도, 걸림돌기(150)는 제1 가이드(225)를 따라 미끄러지게 되고, 걸림홈(226)으로 안내될 수 있다. 걸림돌기(150)가 제1 가이드(225)를 따라 미끄러짐에 따라 내캡(220)은 회전될 수 있고, 내캡(220)의 회전은 내캡 가이드 돌기(212)와 내캡 가이드 홈(222)의 결합에 의해 외캡(210)에 전달되는 바, 외캡(210)이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캡(210)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외캡(210)이 제 자리를 찾아 결합되어 가는 것을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에 걸리는 순간, 내캡(220)은 실링부재(140)에 접촉될 수 있다. 내캡(220)의 하단부가 실링부재(140)에 접촉되면, 내캡(220)의 내측 공간인 화장료 수용 공간(224)은 밀폐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캡(220)은 실링부재(14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으나, 이때 이격된 거리는 D1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에 의해, 내캡(220)의 하방 이동에 따라 실링부재(140)가 가압되고,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에 걸릴 때, 외캡(210)의 하단면도 베이스(11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뚜껑(200)을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는 것을 시각적,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본체(100)를 뚜껑(200)에 끝까지 끼웠을 때, 걸림돌기(150)는 걸림홈(226)에 위치될 수 있다.
본체(100)와 뚜껑(200)이 결합되어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에 걸리기 전까지, 외캡(210)과 내캡(220)의 둘레 방향의 상대 위치는 내캡 가이드 돌기(212)와 내캡 가이드 홈(222)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캡(210)과 내캡(220)의 상하 방향의 상대 위치가 유지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뚜껑(20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나 스토퍼 등 외캡(210)과 내캡(220)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추가의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캡(210)이 일정 수준 내캡(220)의 내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약한 강도로 내캡(220)과 형합되되, 걸림돌기(150)와 걸림홈(226), 고정홈(228)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이 경우, 내캡(220)은 소정 수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캡(21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4의 예에서는, 외캡(2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자는 외캡(2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외캡(2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내캡 가이드 돌기(212) 및 내캡 가이드 홈(222)의 결합에 의해 내캡(220)도 회전되고, 걸림돌기(150)는 걸림홈(226)을 빠져나와 제2 가이드(227)를 따라 고정홈(228)을 향해 이동된다. 이때, 고정홈(228)은 제2 가이드(227)보다 D1만큼 높은 위치에 위치되고, 제2 가이드(227)는 고정홈(228)을 향해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150)의 위치는 수용부(1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캡(220)은 제2 가이드(227) 내에서의 걸림돌기(150)의 이동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에 의해, 내캡(220)의 하단부는 실링부재(140)를 점점 더 가압하게 되며, 화장료 수용 공간(224)의 밀폐력은 향상된다.
외캡(210)의 회전에 의해, 걸림돌기(150)는 점점 더 고정홈(228) 방향으로 이동되며, 걸림턱(229)을 타고 넘어감으로써 고정홈(228)에 고정된다. 걸림돌기(150)가 걸림턱(229)을 타고 넘어가기 위해 사용자는 외캡(210)을 단순 회전시키는 것보다 큰 힘을 가해야 하며, 이때 걸림돌기(150)가 걸림턱(229)을 타고 넘어가 걸리는 느낌에 의해 사용자는 뚜껑(200)이 최종적으로 고정됨을 촉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 실링부재(140)는 내캡(220)의 단부에 의해 더욱 가압되고 밀폐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걸림돌기(150)가 고정홈(228)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는, 사용자가 외캡(210)을 소정의 외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으며, 화장료 수용 공간(224)은 실링부재(140)와 내캡(220)의 접촉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휘발성을 갖는 화장료(120)가 증발되더라도, 증발된 화장료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화장료 수용 공간(224)의 내압이 높아지더라도 일정 수준까지는 뚜껑(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는 뚜껑(200)을 반시계 방향으로 본체(100)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뚜껑(200)과 본체(10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외캡(210)이 회전됨에 따라 내캡 가이드 돌기(212)와 내캡 가이드 홈(222)의 결합에 의해 내캡(220)도 회전되고, 그에 의해 걸림돌기(150)가 걸림턱(229)을 넘어 제2 가이드(227)로 진입되고, 제2 가이드(227)를 따라 걸림홈(226)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 의해 내캡(220)은 상방으로 이동되고, 실링부재(140)와 내캡(220)의 결합은 약해지게 된다. 걸림돌기(150)가 걸림홈(226)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뚜껑(200)을 상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본체(100)와 뚜껑(200)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외캡(210)을 회전시키는 특수한 동작을 취해야만 뚜껑(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뚜껑(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뚜껑(200)이 제대로 닫히지 않은 상태로 화장품 용기(10)가 보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장료(120)의 과도한 감량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장료(120)의 특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캡(210)을 회전시키되, 나사 결합과 같이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걸림돌기(150)가 걸림턱(229)을 타고 넘을 수 있는 수준의 1회의 외력을 가함으로써 뚜껑(200)과 본체(100)의 분리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50)가 본체(100)에 제공되고, 걸림홈(226), 고정홈(228) 등의 구성요소가 내캡(220)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걸림돌기(150)가 내캡(220)에 제공되고, 걸림홈(226), 고정홈(228) 등의 구성요소가 본체(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캡(220)이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이동되어 실링부재(140)를 탄성 변형 시킴으로써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5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뚜껑이 상하 방향 이동만으로 본체에 결합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a)는 외캡(210a)과, 외캡(210a)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캡(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캡(220a)은 외캡(210a)과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내캡(220a)의 단부는 외캡(210a)의 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내캡(220a)의 단부는 외캡(210a)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외캡(210a)의 단부에는 외캡(210a)을 본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뚜껑 결합돌기(216)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내캡(220a)의 단부는 뚜껑 결합돌기(216)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내캡(220a)의 단부와 뚜껑 결합돌기(216)의 이격된 거리는 실링부재(140a)의 변형 전 높이와 뚜껑 결합홈(162)을 형성하는 돌기 부분(163)의 높이를 더한 것보다 짧게 형성된다.
내캡(220a)의 하단부는 결합 과정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뚜껑 결합돌기(216)가 실링부재(140a)를 거쳐 뚜껑 결합부(160)의 뚜껑 결합홈(162)에 끼워질 수 있다.
뚜껑 결합돌기(216)의 고정을 위해 본체(100a)에는 뚜껑 결합부(160)가 제공될 수 있다. 뚜껑 결합부(160)는 수용부(130)를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뚜껑 결합돌기(216)가 끼워질 수 있는 뚜껑 결합홈(16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캡(210a)에 돌기가 형성되고, 뚜껑 결합부(160)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실시예에 따라 돌기와 홈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 결합돌기(216)가 뚜껑 결합홈(162)에 끼워졌을 때 외캡(210a)의 단부가 베이스(110)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하방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뚜껑 결합돌기(216)가 뚜껑 결합홈(162)에 끼워졌을 때, 외캡(210a)의 단부는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한편, 뚜껑 결합부(160)의 상부에는 실링부재(140a)가 제공된다. 실링부재(140a)는 뚜껑(200a)의 결합 시 내캡(220a)에 의해 가압되어, 화장료 수용 공간(224a)을 밀폐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일정 수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a)는 수용부(130)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화장료 수용 공간(224a)이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a)는 변형되기 전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내캡(220a)에 의해 가압되어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2만큼 실링부재(140a)가 압축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a)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뚜껑(200a)과 본체(100a)를 분리하여 화장을 하고, 뚜껑(200a)을 본체(100a)에 결합시켜 화장품 용기(10a)를 보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뚜껑(200a)을 본체(100a)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a)는 결합 전 또는 분리 후의 상태를 보여주고, (b)는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먼저, 결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는 뚜껑(200a)의 내측 공간으로 본체(100a)의 화장료(120), 수용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100a)를 뚜껑(200a)에 끼운다. 이 과정에서 뚜껑 결합돌기(216)는 먼저 실링부재(140a)에 접촉되고, 뚜껑(200a)이 하방 이동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실링부재(140a) 및 뚜껑 결합홈(162)을 형성하는 돌기 부분(163)을 타고 넘어가 뚜껑 결합홈(162)에 끼워진다.
이때, 뚜껑 결합돌기(216)와 내캡(220a)의 하단부가 이격된 거리는 실링부재(140a)의 높이와 돌기 부분(163)의 높이를 합한 것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뚜껑 결합돌기(216)가 뚜껑 결합홈(162)에 끼워졌을 때, 실링부재(140a)는 소정 길이(D2)만큼 변형되고, 그에 따라 화장료 수용 공간(224a)은 보다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다.
분리 과정 시에는, 사용자가 뚜껑(200a)을 본체(100a)로부터 잡아당기게 되고, 뚜껑 결합돌기(216)는 탄성 변형되어 돌기 부분(163)과 실링부재(140a)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 뚜껑 결합홈(162)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에 의해 실링부재(140a)는 원상태로 복귀되고, 뚜껑(200a)은 본체(10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200a)을 본체(100a)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는 동작 없이도, 뚜껑(200a)과 본체(100a)를 결합, 분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6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밸브 및 배출구가 제공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b)는 본체(100b)와 뚜껑(200b)을 포함하고, 뚜껑(200b)은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배출구(218)를 포함하는 외캡(210b)과, 외캡(210b)의 내측에 제공되고 압력 차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배출구(218)를 개방할 수 있는 밸브(230)를 포함하는 내캡(22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부재(140b)는 내캡(220b)과 본체(100b)의 사이에 제공되고, 본체(100b)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내캡(220b) 내부에 체적이 변화되는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140b)는 내캡(220b)의 내측면 또는 수용부(130)의 외주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뚜껑(200b)의 결합 시 내캡(220b)의 내측 공간에 밀폐된 챔버(C)를 형성한 후 챔버(C)의 체적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부재(140b)가 내캡(220b)의 내측면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140b)는 내캡(220b) 내에 수용부(130)에 접촉된 후 수용부(13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140b)는 수용부(130)에 접촉되었을 때, 실링부재(140b)의 상측 공간이 완전히 밀폐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내캡(220b)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된 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140b)는 마찰력에 의해 내캡(220b)을 수용부(13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뚜껑(200b)과 본체(100b)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뚜껑 결합돌기(216)와 뚜껑 결합홈(162)의 결합 및 실링부재(140b)의 마찰력에 의해 뚜껑(200b)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내캡(220b)에는 실링부재(140b)보다 높은 지점에 밸브(230)가 형성된다. 밸브(230)는 주변의 압력 차이에 따라 배출구(218)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밸브(230)는 양측의 압력이 대기압인 경우 구멍을 개방하지 않으나, 어느 한쪽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어 배출구(218)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밸브(230)의 작동 압력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일정 크기의 차이가 발생된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230)는 뚜껑(200b)과 본체(100b)의 결합 시 챔버(C)의 압력 상승에 의해 바깥쪽으로 변형되어 개방될 수 있고, 밸브(230)는 뚜껑(200b)과 본체(100b)의 분리 시 챔버(C)의 압력 강하에 의해 안쪽으로 변형되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밸브(230)의 작동 압력은 챔버(C)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120)가 증발되면 챔버(C)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고, 이 압력이 일정 수준이 되면 밸브(230)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화장료(120) 증발에 따른 뚜껑(200b)의 분리 문제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뚜껑(200b)이 하방 이동됨에 따라 실링부재(140b)가 수용부(130)에 접촉되고, 뚜껑(200b)의 하방 이동이 지속됨에 따라 챔버(C)의 체적은 작아지게 되며 챔버(C) 내부 압력은 상승된다. 밸브(230)는 이 상승된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밸브(230)가 개방되면 챔버(C)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뚜껑(200b)이 상방 이동됨에 따라 챔버(C)의 체적이 커지게 되면 챔버(C) 내부의 압력이 작아지게 되는 경우, 밸브(230)는 대기압과 이 작아진 압력의 차이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밸브(230)가 개방되면 외부의 공기가 챔버(C)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캡(210b)에는 밸브(2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출구(218)가 제공될 수 있다. 배출구(218)는 챔버(C)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통로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b)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뚜껑(200b)을 본체(100b)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a)는 결합 전 또는 분리 후의 상태를 보여주고, (b)는 결합 및 분리 도중의 상태를 보여주며, (c)는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먼저, 결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는 뚜껑(200b)의 내측 공간으로 본체(100b)의 화장료(120), 수용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100b)를 뚜껑(200b)에 끼운다. 이 과정에서 실링부재(140b)가 수용부(130)에 먼저 접촉되어 챔버(C)가 형성된다. 하방 이동이 계속됨에 따라 챔버(C)의 압력은 상승되고, 기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밸브(230)가 개방되어 챔버(C) 내부의 공기가 밸브(230) 및 배출구(2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뚜껑(200b)의 하방 이동이 계속됨에 따라 압력 변화가 수반되며, 상기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뚜껑(200b)의 하방 이동은 뚜껑 결합돌기(216)가 뚜껑 결합홈(162)에 걸릴 때까지 계속되고, 뚜껑 결합돌기(216)가 뚜껑 결합홈(162)에 걸리게 됨으로써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뚜껑(200b)의 결합 상태는 실링부재(140b)의 마찰력에 의해서도 유지될 수 있다.
분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뚜껑(200b)을 잡아 당김에 따라 뚜껑 결합돌기(216)와 뚜껑 결합홈(162)의 걸림이 해제되고, 챔버(C)의 체적은 커지게 되며, 그에 따라 챔버(C)의 압력은 낮아진다. 대기압과의 차이가 기 설정된 수준에 도달하면 밸브(230)는 개방되고, 외부의 공기가 배출구(218)를 통해 챔버(C)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뚜껑(200b)이 상승함에 따라 실링부재(140b)와 수용부(130)의 접촉이 해제되면 챔버(C)는 완전히 개방된 공간이 되고, 본체(100b)와 뚜껑(200b)의 결합은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b)와 뚜껑(200b)이 결합된 상태에서 화장료(120)의 증발에 의해 압력이 높아져 뚜껑(200b)이 개방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수용 공간(224b)의 압력이 뚜껑(200b)을 분리할 수 있는 수준까지 높아지기 전에,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밸브(230)가 개방되어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휘발성이 있는 화장료를 저장하는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어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뚜껑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캡; 및 외캡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캡을 포함하고, 본체 및 뚜껑 중 하나 이상에는, 내캡에 의해 가압되어 내캡의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2는, 내캡은 외캡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내캡은 하강되어 실링부재를 가압하도록 제공되는 항목 1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3은, 외캡의 내측면 및 내캡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내캡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내캡 가이드 돌기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내캡 가이드 돌기가 끼워지는 내캡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4는, 실링부재는 본체에 제공되고, 뚜껑이 본체에 결합될 때 내캡은 하방 이동되어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5는, 본체는, 화장료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지지되고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실링부재는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4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6은, 내캡은 외캡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수용부의 외주면 및 내캡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수용부의 외주면 및 내캡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 걸림돌기를 걸림홈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 걸림홈과 연통되고, 걸림홈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고정홈; 걸림홈과 고정홈을 연결하는 제2 가이드; 및 제2 가이드와 고정홈의 연결 지점에 제공되어 걸림돌기를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5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7은, 걸림홈과 제1 가이드는 복수 개가 제공되고, 서로 인접한 제1 가이드는 연결되어 하방으로 뾰족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6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8은,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렸을 때, 내캡은 실링부재에 접촉되고, 걸림돌기가 고정홈에 위치될 때, 내캡은 하방으로 이동되어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7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9는, 외캡의 하단부 및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뚜껑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외캡의 하단부 및 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뚜껑 고정부가 제공되며, 실링부재는 본체에 제공된 뚜껑 결합돌기 또는 뚜껑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8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0은,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화장료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실링부재는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이며, 내캡의 하단부는 뚜껑 결합돌기 또는 뚜껑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내캡의 하단부가 뚜껑 결합돌기 또는 뚜껑 고정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뚜껑 결합돌기가 뚜껑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내캡의 하단부가 실링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9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1은, 휘발성이 있는 화장료를 저장하는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어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뚜껑은, 외관을 형성하고,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외캡; 및 외캡의 내측에 제공되고, 압력 차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배출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내캡; 및 내캡과 본체 사이에 제공되고, 본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내캡 내부에 체적이 변화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또는 항목 1 내지 항목 10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2는, 본체는, 화장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수용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실링부재는 수용부 및 내캡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밸브는 실링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1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3은, 수용부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실링부재는 내캡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수용부를 둘러쌀 수 있는 링 형태이고, 실링부재는 뚜껑과 본체의 결합 및 분리 시 수용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수용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2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4는, 외캡의 하단부에는 본체에 제공된 뚜껑 고정부에 결합되는 뚜껑 결합돌기가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5는, 밸브는 뚜껑과 본체의 결합 시에는 바깥쪽으로 변형되어 개방되고, 뚜껑과 본체의 분리 시에는 안쪽으로 변형되어 개방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4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6은, 화장료는 입술 화장을 위한 고형의 화장료로서,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인 항목 1 내지 항목 15의 화장품 용기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화장품 용기 100: 본체
110: 베이스 120: 화장료
130: 수용부 140: 실링부재
150: 걸림돌기 160: 뚜껑 고정부
200: 뚜껑 210: 외캡
216: 뚜껑 결합돌기 218: 배출구
220: 내캡 226: 걸림홈
228: 고정홈 229: 걸림턱
230: 밸브

Claims (16)

  1. 휘발성이 있는 화장료를 저장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캡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뚜껑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내캡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내캡의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외캡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내캡은 하강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의 내측면 및 상기 내캡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내캡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내캡 가이드 돌기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내캡 가이드 돌기가 끼워지는 내캡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뚜껑이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내캡은 하방 이동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화장품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화장료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외캡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 및 상기 내캡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 및 상기 내캡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
    상기 걸림홈과 연통되고, 상기 걸림홈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고정홈;
    상기 걸림홈과 상기 고정홈을 연결하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고정홈의 연결 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과 상기 제1 가이드는 복수 개가 제공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가이드는 연결되어 하방으로 뾰족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화장품 용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렸을 때, 상기 내캡은 상기 실링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위치될 때, 상기 내캡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화장품 용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의 하단부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뚜껑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외캡의 하단부 및 상기 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뚜껑 고정부가 제공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에 제공된 상기 뚜껑 결합돌기 또는 상기 뚜껑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장료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링 형상이며,
    상기 내캡의 하단부는 상기 뚜껑 결합돌기 또는 상기 뚜껑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내캡의 하단부가 상기 뚜껑 결합돌기 또는 상기 뚜껑 고정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뚜껑 결합돌기가 상기 뚜껑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캡의 하단부가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화장품 용기.
  11. 휘발성이 있는 화장료를 저장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외관을 형성하고,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내측에 제공되고, 압력 차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내캡; 및
    상기 내캡과 상기 본체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내캡 내부에 체적이 변화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화장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내캡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실링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내캡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를 둘러쌀 수 있는 링 형태이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결합 및 분리 시 상기 수용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에 제공된 뚜껑 고정부에 결합되는 뚜껑 결합돌기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결합 시에는 바깥쪽으로 변형되어 개방되고,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분리 시에는 안쪽으로 변형되어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입술 화장을 위한 고형의 화장료로서, 상기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인 화장품 용기.

KR1020180126362A 2018-10-22 2018-10-22 화장품 용기 KR10253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362A KR102530670B1 (ko) 2018-10-22 2018-10-2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362A KR102530670B1 (ko) 2018-10-22 2018-10-2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74A true KR20200045374A (ko) 2020-05-04
KR102530670B1 KR102530670B1 (ko) 2023-05-09

Family

ID=7073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362A KR102530670B1 (ko) 2018-10-22 2018-10-2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6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219A (ja) * 1995-11-10 1997-05-20 Yoshida Kogyo Kk <Ykk> 気密棒状化粧料容器
KR101192821B1 (ko) * 2004-02-27 2012-10-17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봉 형상 화장용 재료 조출용기
KR101355364B1 (ko) * 2013-10-15 2014-01-23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20150004424U (ko) 2014-05-30 2015-12-10 우창산업 주식회사 립스틱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KR20160073675A (ko) * 2014-12-17 2016-06-27 양형택 미용용 케이싱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219A (ja) * 1995-11-10 1997-05-20 Yoshida Kogyo Kk <Ykk> 気密棒状化粧料容器
KR101192821B1 (ko) * 2004-02-27 2012-10-17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봉 형상 화장용 재료 조출용기
KR101355364B1 (ko) * 2013-10-15 2014-01-23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20150004424U (ko) 2014-05-30 2015-12-10 우창산업 주식회사 립스틱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KR20160073675A (ko) * 2014-12-17 2016-06-27 양형택 미용용 케이싱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670B1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820B1 (ko) 화장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보호 장치
KR100560039B1 (ko) 기밀식 용기
KR101566803B1 (ko) 표면을 녹여 양음각을 형성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US20170181525A1 (en) Cosmetic container
KR101859186B1 (ko) 이종 내용물이 저장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150001786U (ko) 겔상 내용물의 잔량 방지가 용이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160000067U (ko) 금속 재질의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10050865A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1048412B1 (ko) 화장품 용기
KR102196810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AP671A (en) A disc shaped container.
KR200488290Y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45374A (ko) 화장품 용기
KR102140240B1 (ko) 화장품 용기
KR102508278B1 (ko) 화장품 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101208870B1 (ko) 화장품 용기
KR102272642B1 (ko)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79842Y1 (ko) 겔상 내용물의 잔량 방지가 용이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2039471B1 (ko)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00036654A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2666606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137629A (ko) 립스틱 용기
KR102587424B1 (ko) 이중 단부형 스틱 메커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