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252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252A
KR20200045252A KR1020180126087A KR20180126087A KR20200045252A KR 20200045252 A KR20200045252 A KR 20200045252A KR 1020180126087 A KR1020180126087 A KR 1020180126087A KR 20180126087 A KR20180126087 A KR 20180126087A KR 20200045252 A KR20200045252 A KR 2020004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us bar
disposed
coupling portion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5252A/ko
Priority to CN201980069555.2A priority patent/CN113615052A/zh
Priority to EP19876706.3A priority patent/EP3872968A4/en
Priority to JP2021547024A priority patent/JP7474267B2/ja
Priority to PCT/KR2019/013851 priority patent/WO2020085744A1/ko
Priority to US17/286,559 priority patent/US20210344251A1/en
Publication of KR2020004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몸체와, 상기 버스바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몸체와, 상기 터미널 몸체에 배치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미널의 제1 단부와 상기 제2 터미널의 제2 단부는 접촉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몸체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로터는 샤프트와 결합한다. 로터가 회전하면 샤프트가 연동하여 회전한다. 스테이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된 코일은 버스바에 의해 연결되다. 버스바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터미널부와 연결된다. 버스바와 터미널부는 일체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터미널부의 길이가 길면, 사출에 의한 성형이 어렵고, 터미널부의 위치를 정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스바의 터미널과 터미널부 터미널이 일체이면 터미널의 성형과정에서 스크랩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버스바와 연결되는 터미널부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고, 터미널 제조에서 스크랩의 발생양을 줄이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몸체와, 상기 버스바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몸체와, 상기 터미널 몸체에 배치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미널의 제1 단부와 상기 제2 터미널의 제2 단부는 접촉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몸체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부는 홀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끼워맞춤되는 돌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몸체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4 결합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단부의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사이의 홀일 수 있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몸체와, 상기 버스바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몸체와, 상기 터미널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미널의 제1 단부와 상기 제2 터미널의 제2 단부는 접촉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와 상기 터미널 몸체는 축방향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 몸체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에 끼워맞춤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내부에 상기 제1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에는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사이에는 홀이 배치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홀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몸체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4 결합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부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배치 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의 터미널과 터미널부의 터미널을 별개로 성형하여 터미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스크랩을 크게 줄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와 터미널부의 조립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와 터미널부의 결합력이 높은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버스바와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버스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결합부로서, 홀을 포함하는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터미널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터미널 제2 단부와. 터미널 몸체의 홈과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버스바와 터미널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하우징(400), 샤프트(100), 로터(200) 및 스테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 내에 스테이터(300)이 배치되고, 스테이터(300) 내에 로터(200)이 배치된다, 또한, 로터(200)은 샤프트(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내측이라 함은 모터의 샤프트(1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외측이라 함은 샤프트(100)에서 하우징(400)의 방향인 내측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샤프트(100)는 차량의 제동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로터코어와 로터코어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로터(200)의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스테이터 코어는 티스를 포함할 수 있다. 티스에는 코일이 감긴다.
하우징(400)은 내부에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를 수용한다.
버스바(500)는 스테이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버스바(500)는 스테이터(300)에 코일들을 연결한다.
터미널부(600)는 버스바(500)와 연결된다. 그리고 터미널부(600)는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도 2는 버스바와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버스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스바(500)는 버스바 몸체(510)와 제1 터미널(520)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몸체(510)는 환형 부재일 수 있다. 제1 터미널(520)은 버스바 몸체(510)에 배치된다. 제1 터미널(520)은 상터미널일 수 있다.
터미널부(600)는 터미널 몸체(610)와 터미널 몸체(610)에 배치되는 제2 터미널(6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터미널(520)은 복수개가 배치 될 수 있으며U, V, W 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세 개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제1 터미널(520) 각각은 제1 단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부(521)는 각각의 제1 터미널(520) 중, 제2 터미널(620)과 접촉하기 위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터미널(520)의 단부를 칭한다. 또한, 제2 터미널(620) 역시 제1 터미널(520)과 대응하여 U, V, W 상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세 개로 형성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 터미널(620)은 제2 단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부(621)는 제1 단부(521)와 접촉하는 제2 터미널(620)의 단부를 칭한다.
버스바(500)와 터미널부(600)은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500)와 터미널부(600)은 제3 결합부와 제4 결합부의 결합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축방향으로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와 제4 결합부는 체결부재(7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 결합부로서, 홀을 포함하는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버스바 몸체(510)는 제1 결합부로서, 홀(530)을 포함할 수 있다. 홀(530)은 가이드(540)와 가이드(540) 사이에 위치한다. 홀(530)은 가이드(540)와 가이드(540) 사이의 공간에 해당한다. 홀(530)은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이드(540)는 버스바 몸체(5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터미널(520)의 제1 단부(5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 단부(521)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1 단부(521)의 끝단은 제2 단부(621)와 연결을 위해 노출된다.
버스바(500)의 중심(C)을 기준하여 원주 방향으로, 홀(530)은 제1 단부(521)와 제1 단부(5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제1 단부(521)가 배치되고, 홀(530)은 제1 단부(521)와 제1 단부(521) 사이에 각각 1개씩 모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540)는 제1 파트(541)와 제2 파트(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541)는 버스바 몸체(51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2 파트(542)는 제1 파트(541)에서 버스바(500)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542)와 제2 파트(542)의 사이에 형성된 홀(540)에 배치되도록 터미널 몸체(610)의 제2 결합부가 끼워 맞춤된다. 버스바 몸체(510)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몸체(510)는 제3 결합부로서, 체결홀이 구비된 제1 보스(550)를 포함할 수 있디. 제1 보스(550)는 가이드(54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스(550)는 버스바 몸체(51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은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터미널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터미널부(600)는 터미널 몸체(610)와 제2 터미널(62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몸체(6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미널(620)은 터미널 몸체(610)에 배치된다. 제2 터미널(62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미널(620)의 제2 단부(621)의 끝단은 터미널 몸체(610) 밖으로 노출된다. 이는 제1 단부(521)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터미널 몸체(610)는 제3 결합부로서, 돌기(630)를 포함한다. 돌기(630)는 홈(640)에 배치된다. 홈(640)은 터미널 몸체(610)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홈(640)에는 버스바 몸체(510)의 가이드(540)가 끼워맞춤된다. 돌기(630)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돌기(630)의 개수는 홀(530)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돌기(630)는 버스바 몸체(510)의 홀(530)에 끼워맞춤된다.
도 9는 제2 터미널의 제2 단부와, 터미널 몸체의 홈과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원주 방향으로, 돌기(630)는 제2 단부(621)와 제2 단부(6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몸체(510)와 터미널 몸체(6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기(630)는 제1 단부(521)와 제1 단부(5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몸체(510)와 터미널 몸체(6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홈(530)는 제2 단부(621)와 제2 단부(6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630)가 버스바 몸체(510)의 홀(530)에 끼워맞춤되면, 돌기(630)와 홈(640)은 원주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그리고 돌기(630)가 버스바 몸체(510)의 홀(530)에 끼워맞춤되면, 제2 단부(621)는 제1 단부(521)와 맞닿는다. 터미널 몸체(610)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몸체(610)는 제4 결합부로서, 체결홀이 포함된 제2 보스(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스(650)는 홈(64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버스바와 터미널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버스바 몸체(510)와 터미널 몸체(610)는 축방향으로 끼워맞춤된다. 돌기(630)는 가이드(540) 사이의 홀(530)으로 진입한다. 버스바 몸체(510)와 터미널 몸체(610)가 별물이지만, 끼워 맞춤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다. 그리고, 제1 단부(521)를 포함하는 가이드(540)의 측벽을 따라 돌기(630)가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제2 터미널(620)의 위치 정렬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홀(530)이 제1 단부(521)와 제1 단부(521) 사이에 배치되고, 돌기(630)가 제2 단부(621)와 제2 단부(621)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제1 단부(521)와 복수 개의 제2 단부(621)를 각각 정확히 맞닿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홀(530)에 돌기(6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보스(550)의 체결홀과 제2 보스(650)의 체결홀은 정렬된다.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700)를 통해 제1 보스(550)와 제2 보스(650)가 체결된다. 제1 보스(550)와 제2 보스(650)가 결합되어, 버스바(500)와 터미널부(600)의 결합력을 높인다. 터미널부(600)가 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제1 보스(550)와 제2 보스(650)가 체결되는 것은 터미널부(6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위치를 정렬시키는데 유리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400: 하우징
500: 버스바
510: 버스바 몸체
520: 제1 터미널
600: 터미널부
610: 터미널 몸체
620: 제2 터미널
700: 체결부재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몸체와, 상기 버스바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몸체와, 상기 터미널 몸체에 배치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미널의 제1 단부와 상기 제2 터미널의 제2 단부는 접촉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몸체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몸체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터미널의 일부를 감싸는 복수개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각각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홀인 모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몸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돌기인 모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몸체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몸체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4 결합부는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하는 모터.
  6.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몸체와, 상기 버스바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몸체와, 상기 터미널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미널의 제1 단부와 상기 제2 터미널의 제2 단부는 접촉하고,
    상기 버스바 몸체와 상기 터미널 몸체는 축방향으로 끼워맞춤되는 모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단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 몸체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단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스와 상기 제2 보스는 상기 샤프트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모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스 및 상기 제2 보스는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스와 상기 제2 보스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
KR1020180126087A 2018-10-22 2018-10-22 모터 KR20200045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087A KR20200045252A (ko) 2018-10-22 2018-10-22 모터
CN201980069555.2A CN113615052A (zh) 2018-10-22 2019-10-22 马达
EP19876706.3A EP3872968A4 (en) 2018-10-22 2019-10-22 ENGINE
JP2021547024A JP7474267B2 (ja) 2018-10-22 2019-10-22 モータ
PCT/KR2019/013851 WO2020085744A1 (ko) 2018-10-22 2019-10-22 모터
US17/286,559 US20210344251A1 (en) 2018-10-22 2019-10-22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087A KR20200045252A (ko) 2018-10-22 2018-10-22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252A true KR20200045252A (ko) 2020-05-04

Family

ID=7073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087A KR20200045252A (ko) 2018-10-22 2018-10-22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52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2761B3 (de) 2021-02-05 2022-08-04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Bürstenloser Elektromotor mit Sammelschieneneinhe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2761B3 (de) 2021-02-05 2022-08-04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Bürstenloser Elektromotor mit Sammelschieneneinhe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916B1 (ko) 터미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8760027B2 (en) Stator
US10892659B2 (en) Stator unit, rotary electric machine including stator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unit
US11411468B2 (en) Motor
US20200244141A1 (en) Motor
JPWO2015097753A1 (ja) 回転電機
WO2018150964A1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KR20200071472A (ko) 모터
CN107404172B (zh) 电动机的绝缘部件
US20180316242A1 (en) Brushless motor
US10348149B2 (en) Sta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including the stator
KR20200045252A (ko) 모터
JP5980259B2 (ja) 固定子の接続端子および固定子
KR101146440B1 (ko) 작업성이 개선된 모터의 버스바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코일의 결선 방법
EP4037157A1 (en) Stator of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machine
US20230031486A1 (en) Motor
KR20150085636A (ko) 모터 및 그 제조방법
CN113615052A (zh) 马达
JP5852513B2 (ja) モータ
KR102329944B1 (ko) 모터
KR102325880B1 (ko) 차량 구동모터 터미널 장치
KR20200080715A (ko) 모터
US20240088738A1 (en) Motor
KR20160118058A (ko) 모터
KR20230095701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