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591A -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591A
KR20200044591A KR1020180125568A KR20180125568A KR20200044591A KR 20200044591 A KR20200044591 A KR 20200044591A KR 1020180125568 A KR1020180125568 A KR 1020180125568A KR 20180125568 A KR20180125568 A KR 20180125568A KR 20200044591 A KR20200044591 A KR 2020004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witches
short circuit
circuit current
semiconductor
current lim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414B1 (ko
Inventor
최형규
백관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4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와 배전반 사이를 연결하는 축전지회로차단장치를 배제하고, 반도체 스위치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를 이용하여 단락전류제한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축전지회로차단장치의 단락사고 발생 시 전류차단 역할(한류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는 IGTB를 적용함에 따라 협소한 잠수함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SHORT CIRCUIT CURRENT LIMIT APPPARATUS USING IGBT}
본 발명은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전지와 배전반 사이를 연결하는 축전지회로차단장치를 배제하고, 반도체 스위치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를 이용하여 단락전류제한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축전지회로차단장치의 단락사고 발생 시 전류차단 역할(한류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는 IGTB를 적용함에 따라 협소한 잠수함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급(ABS, DNV) 규정에 따르면, 잠수함의 전력계통에서 단락사고 보호를 위해서는 축전지 근처에 단락보호 차단기를 설치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축전지와 배전반 사이의 케이블에 단락사고가 발생 했을 경우, 축전지의 손상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최대한 축전지 근처에 차단기를 설치하여 단락사고 발생 가능지점(차단기~축전지 간 거리)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기존의 납축전지가 설치된 잠수함의 경우, 축전지와 배전반 사이에 '축전지회로차단장치'를 설치하여 배전반과 축전지사이의 단락사고 발생 시 단락전류를 차단하고 있다.
최근에는 차세대 잠수함의 주축전지로 고려되는 '리튬전지'는 기존의 납축전지대비 내부저항이 약 1/10로 감소하여 단락전류도 10배이상 높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전기계통에서 허용 할 수 있는 단락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단락전류제한장치를 설치 하거나, 충분히 높은 단락전류를 버틸 수 있는 계통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회로차단장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소형 잠수함과 같이 함 내 공간이 협소한 경우 회로차단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상당하여 함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512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축전지와 배전반 사이를 연결하는 축전지회로차단장치를 배제하고, 반도체 스위치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를 이용하여 단락전류제한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축전지회로차단장치의 단락사고 발생 시 전류차단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는 IGTB를 적용함에 따라 협소한 잠수함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는 전력공급원과 주배전반(MSBD) 사이에 마련되며,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 서로 직렬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와는 병렬 연결된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공급원의 충방전 시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중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 전류 도통이 진행되고, 단락사고 발생 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가 선개방(OPEN)된 후 기 연결된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가 특정 시간 경과 후 후개방(OPEN)됨에 따라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락사고 발생 시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를 통한 전류 도통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가 모두 개방(OPEN)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 사이에는 저항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는 서로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는 서로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축전지와 배전반 사이를 연결하는 축전지회로차단장치를 배제하고, 반도체 스위치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를 이용하여 단락전류제한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는 IGTB를 적용함에 따라 협소한 잠수함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시간이 지나도 사고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사고전류차단까지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축전지회로차단장치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래의 축전지 대비 단락전류가 10배 이상 높은 리튬전지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100)는 크게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110, 120, 130, 140)와,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 사이에 마련되는 저항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110, 120)는 전력공급원(예컨대, 리튬전지와 같은 이차전지)와 주배전반(MSBD) 사이에 마련되며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130, 140)는 마찬가지로 전력공급원과 주배전반(MSBD) 사이에 마련되며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110, 120)와,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130, 140)는 서로 병렬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력공급원의 충방전 시에는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110, 120, 130, 140)가 모두 연결(CLOSE)되어 있으며, 이때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130, 140) 사이에 마련된 저항체(150)에 의해 충방전 전류는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110, 120)를 통해 흐르게 된다.
단락사고 발생 시에는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110, 120)가 개방(OPEN)되고 기 연결된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130, 140)를 통해 사고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일정시간(예컨대, 5초 등)이 경과한 경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130, 140)도 개방(OPEN)되면서 축전지와 배전반 사이의 차단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110, 120, 130, 140)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110, 120)는 서로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130, 140)는 서로 반대 방향을 극성을 가지도록 반대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전력공급원과 주배전반(MSBD) 사이에 마련되며,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 및
    서로 직렬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와는 병렬 연결된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공급원의 충방전 시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 중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 전류 도통이 진행되고, 단락사고 발생 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가 선개방(OPEN)된 후 기 연결된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가 특정 시간 경과 후 후개방(OPEN)됨에 따라 전류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사고 발생 시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를 통한 전류 도통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가 모두 개방(OPE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 사이에는 저항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반도체 스위치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스위치는 서로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는 서로 반대 방향의 극성을 가지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KR1020180125568A 2018-10-19 2018-10-19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KR10261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568A KR102614414B1 (ko) 2018-10-19 2018-10-19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568A KR102614414B1 (ko) 2018-10-19 2018-10-19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591A true KR20200044591A (ko) 2020-04-29
KR102614414B1 KR102614414B1 (ko) 2023-12-14

Family

ID=7046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568A KR102614414B1 (ko) 2018-10-19 2018-10-19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4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122A (ja) * 2000-12-21 2002-07-05 Kokusan Denki Co Ltd 直流負荷駆動装置
KR20130011818A (ko) * 2011-07-22 2013-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한류기
JP2016201920A (ja) * 2015-04-10 2016-12-01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KR20180046084A (ko) * 2016-10-27 2018-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단락전류 제한장치 및 방법
KR20180049899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기연구원 고장전류 저감회로를 포함하는 집합전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122A (ja) * 2000-12-21 2002-07-05 Kokusan Denki Co Ltd 直流負荷駆動装置
KR20130011818A (ko) * 2011-07-22 2013-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한류기
JP2016201920A (ja) * 2015-04-10 2016-12-01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
KR20180046084A (ko) * 2016-10-27 2018-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단락전류 제한장치 및 방법
KR101895124B1 (ko) 2016-10-27 2018-09-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용 단락전류 제한장치 및 방법
KR20180049899A (ko) * 2016-11-04 2018-05-14 한국전기연구원 고장전류 저감회로를 포함하는 집합전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414B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1626B1 (en) High-voltage dc circuit breaker
KR101521545B1 (ko) 고압 직류 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US9337640B2 (en)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US10170903B2 (en) High voltage DC circuit breaker
US20160322177A1 (en) Bidirectional direct current circuit breaker
US10176939B2 (en) High-voltage DC circuit breaker for blocking current flowing through DC lines
US10063046B2 (en) Direct current circuit breaker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0476255B2 (en) DC circuit breaker
KR102558677B1 (ko) 전류 차단기
KR102108780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9893057B2 (en) Monolithically integrated semiconductor switch, particularly circuit breaker
US10418210B2 (en) DC circuit breaker
JP2020013656A (ja) 直流電流遮断装置
KR102530250B1 (ko) 잠수함의 온보드 네트워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60037098A (ko) 2차 전지 보호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20160036506A (ko)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
KR102059096B1 (ko) 직류계통의 차단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44591A (ko)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단락전류제한장치
JP2005168215A (ja) 電池パック及び電気装置
JP2016181382A (ja) 直流遮断装置および直流遮断方法
EP4160843A1 (en) Solid insulated switch
KR20150098849A (ko) 배터리의 0v 배터리 충전방지 제어회로
US10298041B2 (en) Electronic connect/disconnect device and method for a high voltage battery
KR20200045175A (ko) 션트 트립 코일을 이용한 잠수함용 차단기 보호협조방법
US20180269704A1 (en)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