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457A -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457A
KR20200044457A KR1020180125250A KR20180125250A KR20200044457A KR 20200044457 A KR20200044457 A KR 20200044457A KR 1020180125250 A KR1020180125250 A KR 1020180125250A KR 20180125250 A KR20180125250 A KR 20180125250A KR 20200044457 A KR20200044457 A KR 20200044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verter
diode
igb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353B9 (ko
KR102145353B1 (ko
Inventor
정재헌
Original Assignee
(주)효성파워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성파워택 filed Critical (주)효성파워택
Priority to KR102018012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3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353B1/ko
Publication of KR10214535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35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고효율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된 교류전압을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전압으로 다운시키는 강압변환회로로 동작하며, 부하 전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소자의 듀티를 제어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AC/DC 컨버터; 상기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AC/DC 컨버터에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역률을 제어하고,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파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Power backup device for high voltage switch in switchboard}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고효율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 각종 전기 장치들이 구비된 공장, 빌딩, 병원, 아파트 단지 등의 각종 시설에는 발전소로부터 송전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전기장치들의 정격에 맞도록 저압 및 정격 용량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수배전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압·특고압 수배전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수배전판 시스템 중 고압반 및 특고압반은 1000V 이상의 전압을 수전받아 220V 혹은 380V로 변환하여 수용가에 배전하는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BS와 VCB라는 고전압 스위치가 구성된다.
LBS(Load Break Switch, 부하 개폐기)는 전로의 정격전류를 개폐하는 장치로, 단락전류로 규정된 시간통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LBS는 스위치를 온(ON)하기 위해 직류 110V나 220V 혹은 교류전원을 사용하며, 전원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수동으로 스위치를 온(ON)할 수 있는 돌림장치(원운동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닫음)를 이용한다.
VCB(Vacuum Circuit Breaker, 진공 차단기)는 고진공의 유리관 등 속에 전로의 전류 차단을 실시되는 것으로, 절연 내력이 좋으며 아크도 소호하기 쉽고 접점의 손모가 적고 개폐수명이 길다.
이러한 VCB는 다양한 직류전원과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온(ON)/오프(OFF)할 수 있으며, 수동조작은 불가능하다.
한편,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혹은 정전과 같은 이상 또는 비정상 작동을 하는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원인 분석 및 응급조치를 취하기 위해 LBS와 VCB를 오프(OFF)시켜야 하는데, LBS와 VCB 자체적으로는 스위치를 닫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여 110V 직류 제어전원을 위한 정류기반과 배터리반이 수배전반에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직류 100V를 만들기 위해 12V 배터리 9개를 직렬연결하고, 60Hz의 교류전원을 변압기를 사용하여 다운시킨 다음 직류로 만들기 위한 정류기의 부피가 크게 차지한다.
즉, 종래기술은 정류기반과 배터리반을 필요로 하므로 대략 2400 * 1000 * 1800 (mm) 정도의 부피를 차지하므로 수배전반의 설치에 제약이 따르고, 고장이나 정전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작업의 편의 및 작업의 안정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39564 B1 KR 10-10985727 B1 KR 10-1064631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공간에 제약이 따르는 수배전반 내의 협소한 여유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 또는 정전사고와 같은 이상 상황 발생시 수리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또는 정전 사고 발생시 고압 스위치를 개폐하기 위한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교류전압을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전압으로 다운시키는 강압변환회로로 동작하며, 부하 전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소자의 듀티를 제어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AC/DC 컨버터; 상기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AC/DC 컨버터에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역률을 제어하고,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파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C/DC 컨버터는, 교류전압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다이오드 정류기에서 정류된 전압을 스위칭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와, 상기 IGBT가 턴온(TURN ON)되면 전류를 충전하고 상기 IGBT가 턴오프(TURN OFF)되면 전류를 출력측으로 전달하는 인덕터와, 상기 IGBT가 턴온(TURN ON)되면 역방향 바이어스로 연결되고 상기 IGBT가 턴오프(TURN OFF)되면 상기 인덕터 전류가 출력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IGBT를 통해 일정 듀티로 스위칭된 전압을 평탄화시키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다이오드 정류기는, 상기 교류전압 입력단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 및 제4다이오드와, 상기 교류전압 입력단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 및 제3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교류전압이 양(+)인 구간에서는 상기 제1다이오드 및 상기 제2다이오드가 온(ON) 되고, 상기 교류전압이 음(-)인 구간에서는 상기 제3다이오드 및 상기 제4다이오드가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DC/DC 컨버터는, 변압기의 1차측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모듈과,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모듈과, 상기 변압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모듈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은 1차측의 제1전압과 2차측의 제2전압을 일정하게 조합하여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트랜지스터모듈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은 복수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IGBT에는 역병렬로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제품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배전반 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차후 유지 보수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전력변환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고, 시스템 성능 및 신뢰도를 향상시켜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AC/DC 컨버터와 DC/DC 컨버터의 복합 구동시 고효율 고역률 동작이 가능하고, 보조장치들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 출력 용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12V 배터리 하나로 제어전원의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압·특고압 수배전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AC/DC 컨버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GBT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에 따른 전력변환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에 따른 전력변환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에 따른 D1-L1-C1의 회로도이고,
도10은 도8의 그래프에서 VD 파형을 참조하여 V0, VL, iL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에 따른 입력전류 iS와 전압 VS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DC/DC 컨버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DC/DC 컨버터에 따른 전류 상승 구간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DC/DC 컨버터에 따른 에너지 전달 구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압변환회로로 동작하는 AC/DC 컨버터(200)와, 상기 AC/DC 컨버터(20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400), 및 상기 AC/DC 컨버터(200)에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역률을 제어하고 상기 DC/DC 컨버터(400)의 출력 파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도3을 참조하면, iD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iDpeak를 구하고 여기서 출력전류 i0의 값을 뺀 값을 DC/DC 컨버터(400)의 출력전류 최대값으로 결정한다(정격×0.5 ~ 정격). 그리고 출력부하의 평균값을 iD의 최대값으로 결정한다(무부하 ~ 정격×0.5).
먼저, 상기 AC/DC 컨버터(200)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전압으로 다운시키는 강압변환회로로 동작하며, 부하 전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소자의 듀티를 제어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AC/DC 컨버터(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압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정류기(210)와, 상기 다이오드 정류기(210)에서 정류된 전압을 스위칭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230)와, 상기 IGBT(230)가 턴온(TURN ON)되면 전류를 충전하고 상기 IGBT(230)가 턴오프(TURN OFF)되면 전류를 출력측으로 전달하는 인덕터(250)와, 상기 IGBT(230)가 턴온(TURN ON)되면 역방향 바이어스로 연결되고 상기 IGBT(230)가 턴오프(TURN OFF)되면 상기 인덕터(250) 전류가 출력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다이오드(270), 및 상기 IGBT(230)를 통해 일정 듀티로 스위칭된 전압을 평탄화시키는 커패시터(2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전압 VS는 교류 220V, 60Hz이고, 사인파 전압 VS가 다이오드 정류기(210) 통과하면 정류된 전압 Vsr은 도5의 그래프와 같다.
상기 다이오드 정류기(210)는 상기 교류전압 입력단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1) 및 제4다이오드(D4)와, 상기 교류전압 입력단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D2) 및 제3다이오드(D3)를 포함하며, 상기 교류전압이 양(+)인 구간에서는 상기 제1다이오드(D1) 및 상기 제2다이오드(D2)가 온(ON) 되고, 상기 교류전압이 음(-)인 구간에서는 상기 제3다이오드(D3) 및 상기 제4다이오드(D4)가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출력 커패시터(290, C1)에 충전된 전압 V0는 시스템의 정격 출력이 DC 110V이므로 110V로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상기 IGBT(230)의 동작원리를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GBT(230)의 G단자 및 E단자에 펄스를 인가할 때 펄스의 1번 구간에서는 스위치가 온(ON)되고, 2번 구간에서는 스위치가 오프(OFF)된다. 이와 같이 상기 IGBT(230)의 G단자 및 E단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스위치를 턴온하거나 턴오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GBT(230)의 정격전압 및 정격전류에 따라 VGE 인가 펄스의 턴온레벨(Ton_level)과 턴오프레벨(TOff_level)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00V 미만의 정격을 가진 IGBT(230)의 턴온레벨은 5, 10, 12, 15 등이 있고, 턴오프레벨은 0, -5, -10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DC 컨버터(200)는 Vsr의 전압을 IGBT(230)의 턴온, 턴오프를 이용하여 VD 전압의 평균값을 제어한다. .
상세하게는, Vsr과 VIGBT, D1의 등가회로는 도7과 같다.
도7에서 스위치(S)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VD는 0이고, VIGBT는 Vsr이다. 그리고 스위치(S)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VIGBT는 0이고, Vsr은 VD가 되는데, VGE·Vsr·VD의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8과 같다.
도8의 실시예에서는 듀티(Duty)가 0.5인 펄스파형 VGE를 IGBT의 G와 E에 인가한 경우이며, VGE의 스위칭주파수는 6Hz이고 Vs는 1Hz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IGBT(230)의 온(ON) 시간 동안 듀티를 1로 인가하게 되면 VD = Vsr이 되고, IGBT(230)의 오프(OFF) 시간 동안 듀티를 0으로 인가하면 VD = 0이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AC/DC 컨버터에 따른 D1-L1-C1의 회로도이며, 이때 V0는 DC 110V로 가정한다.
도8에서의 VD 파형을 참조하여 V0, VL, iL의 파형을 나타내면 도10과 같다.
도10을 참조하면 'VL = VD - 110'이지만,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턴온할 수 없기 때문에 음의 전압 인가시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은 0V이다.
따라서, 입력전류 iS, 전압 VS 파형은 도11과 같다.
다음으로, DC/DC 컨버터(400)는 상기 AC/DC 컨버터(20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DC/DC 컨버터(400)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430)의 1차측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모듈(420)과, 상기 변압기(430)의 2차측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모듈(440)과, 상기 변압기(430)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440)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4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모듈(420)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440)은 1차측의 제1전압과 2차측의 제2전압을 일정하게 조합하여 상기 인덕터(45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트랜지스터모듈(420)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440)은 복수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422,442)로 이루어지며, 상기 IGBT(422,442)에는 역병렬로 다이오드(424,444)가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AC/DC 컨버터(200)의 IGBT(422,442)는 온(ON)시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고, 오프(OFF)시에는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
그리고 도12를 참조하면, DC/DC 컨버터(400)의 제1,2트랜지스터모듈(420,440)은 온(ON)시에는 i1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고, 오프(OFF)시에는 i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상기 DC/DC 컨버터(400)의 방전 동작은 크게 전류 상승 구간과 에너지 전달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류의 흐름과 스위치 상태는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다.
도13은 전류 상승 구간을 나타낸 것으로, 적색 ○와 청색 △로 표시된 트랜지스터모듈은 상보적 스위칭 동작을 한다. 즉, 적색 ○로 표시된 트랜지스터모듈이 ON이면 청색 △로 표시된 트랜지스터모듈은 OFF된다. 반대로 적색 ○로 표시된 트랜지스터모듈이 OFF이면 청색 △로 표시된 트랜지스터모듈은 ON된다.
이때, 'V1 = V2 = 0V'이기 때문에 전류는 녹색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면서 증가한다.
도14는 에너지 전달 구간을 나타낸 것으로, 인덕터 L에 저장된 에너지는 1차측 스위칭을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에너지가 전달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제품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배전반 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차후 유지 보수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전력변환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고, 시스템 성능 및 신뢰도를 향상시켜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AC/DC 컨버터와 DC/DC 컨버터의 복합 구동시 고효율 고역률 동작이 가능하고, 보조장치들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 출력 용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12V 배터리 하나로 제어전원의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AC/DC 컨버터
210: 다이오드 정류기
230: IGBT
250: 인덕터
270: 다이오드
290: 커패시터
400: DC/DC 컨버터
420: 제1트랜지스터모듈
422, 442: IGBT
424, 444: 다이오드
430: 변압기
440: 제2트랜지스터모듈
450: 인덕터
600: 컨트롤러

Claims (5)

  1.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또는 정전 사고 발생시 고압 스위치를 개폐하기 위한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교류전압을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전압으로 다운시키는 강압변환회로로 동작하며, 부하 전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소자의 듀티를 제어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AC/DC 컨버터;
    상기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AC/DC 컨버터에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역률을 제어하고,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파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는,
    교류전압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정류기와,
    상기 다이오드 정류기에서 정류된 전압을 스위칭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와,
    상기 IGBT가 턴온(TURN ON)되면 전류를 충전하고 상기 IGBT가 턴오프(TURN OFF)되면 전류를 출력측으로 전달하는 인덕터와,
    상기 IGBT가 턴온(TURN ON)되면 역방향 바이어스로 연결되고 상기 IGBT가 턴오프(TURN OFF)되면 상기 인덕터 전류가 출력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IGBT를 통해 일정 듀티로 스위칭된 전압을 평탄화시키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정류기는,
    상기 교류전압 입력단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 및 제4다이오드와,
    상기 교류전압 입력단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 및 제3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교류전압이 양(+)인 구간에서는 상기 제1다이오드 및 상기 제2다이오드가 온(ON) 되고,
    상기 교류전압이 음(-)인 구간에서는 상기 제3다이오드 및 상기 제4다이오드가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변압기의 1차측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모듈과,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모듈과,
    상기 변압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모듈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은 1차측의 제1전압과 2차측의 제2전압을 일정하게 조합하여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모듈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모듈은 복수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IGBT에는 역병렬로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KR1020180125250A 2018-10-19 2018-10-19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KR102145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250A KR102145353B1 (ko) 2018-10-19 2018-10-19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250A KR102145353B1 (ko) 2018-10-19 2018-10-19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457A true KR20200044457A (ko) 2020-04-29
KR102145353B1 KR102145353B1 (ko) 2020-08-18
KR102145353B9 KR102145353B9 (ko) 2022-06-16

Family

ID=7046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250A KR102145353B1 (ko) 2018-10-19 2018-10-19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35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105B2 (ja) * 2006-03-28 2010-06-30 富士通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KR20100114177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064631B1 (ko) 2009-06-05 2011-09-16 김광춘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20150002967A (ko) * 2013-06-27 2015-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150006530A (ko) * 2013-07-08 2015-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160118580A (ko) * 2015-04-02 2016-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전기
KR101742600B1 (ko) * 2016-08-26 2017-06-01 주식회사 주왕산업 무정전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KR101739564B1 (ko) 2016-08-02 2017-06-08 (주)가람이앤씨 비상전원 복구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985727B1 (ko) 2016-06-13 2019-06-04 기초과학연구원 금속 밀폐에 의한 에어 실린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105B2 (ja) * 2006-03-28 2010-06-30 富士通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KR20100114177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064631B1 (ko) 2009-06-05 2011-09-16 김광춘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20150002967A (ko) * 2013-06-27 2015-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150006530A (ko) * 2013-07-08 2015-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160118580A (ko) * 2015-04-02 2016-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전기
KR101985727B1 (ko) 2016-06-13 2019-06-04 기초과학연구원 금속 밀폐에 의한 에어 실린더
KR101739564B1 (ko) 2016-08-02 2017-06-08 (주)가람이앤씨 비상전원 복구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742600B1 (ko) * 2016-08-26 2017-06-01 주식회사 주왕산업 무정전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353B9 (ko) 2022-06-16
KR102145353B1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8517C (en) Dc-dc converter circuit for high input-to-output voltage conversion
EP2846436B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ircuit
KR101364913B1 (ko) 교류 및 직류 양용 스위치
CN105632727B (zh) 变压器有载调压分接开关及有载调压变压器
US86983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DC-AC power conversion
US10014718B2 (en) Uninterruptible power source
EP2945254A1 (en) High-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control device
CN109842973B (zh) 电力分配系统
CN109039081B (zh) 电力电子变压器、双向直流变换器及其控制方法
KR20130109879A (ko) 직류배전용 전자식 스위치
KR20160109366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US11223291B2 (en) Bipolar bidirectional 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therefor
KR102145353B1 (ko) 수배전반의 고전압 스위치용 전원백업장치
Iwata et al. Isolated bidirectional single-phase AC/DC converter using a soft-switching technique
CN113839370A (zh) 一种电压调控式振荡型直流断路器及其控制方法
US11309803B2 (en) Power converter for trasmitting power between networks
CA2964715A1 (en) Gas tube-switched high voltage dc power converter
CN215897281U (zh) 一种电压调控式振荡型直流断路器
JP6459130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US11121645B2 (en) Power transmission via a bipolar high-voltage DC transmission link
CN212909336U (zh) 一种高压断路器工作电源模块
CN220510966U (zh) 直流负载的电源系统及直流用电系统
KR102356661B1 (ko) 송전 시스템
CN206878709U (zh) 一种变压器初级串联次级整流串联反激式推杆电源转换器
CN105471268A (zh) 直流-直流变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