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314A -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air leak)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air leak)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314A
KR20200043314A KR1020197038813A KR20197038813A KR20200043314A KR 20200043314 A KR20200043314 A KR 20200043314A KR 1020197038813 A KR1020197038813 A KR 1020197038813A KR 20197038813 A KR20197038813 A KR 20197038813A KR 20200043314 A KR20200043314 A KR 20200043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member
cavity
space sid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913B1 (ko
Inventor
신스케 타루노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06Rigid containers in preformed flexi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flexible or elastic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과제] 사용시 이동체의 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 가능한 밸브부재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외각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 사이의 중간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에는 상기 중간공간과 상기 외부공간 사이의 에어의 유통을 조절하는 밸브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중간공간 측과 외부공간 측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공동부를 가지는 통체와, 상기 공동부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중간공간 측으로부터 상기 외부공간 측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이동체를 계지하고 상기 공동부를 통하는 에어의 유통을 차단하는 스톱퍼부를 가지며, 상기 통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외면에는 상기 공동부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개구에 인접하여 형성된 인접 영역과 그 인접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스톱퍼부에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상기 외기도입공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기 인접 영역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된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air leak) 검사 방법
본 발명은 밸브부재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측주머니가 외각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하는 용기본체와 외각과 내측주머니 사이의 중간공간과 용기본체의 외부공간의 사이의 에어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부재(체크 밸브)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용기는 외각에 형성된 외기도입공에 장착된 밸브부재가 공동부를 가지는 통체 및 통체의 내부를 이동 가능한 이동체를 구비하고 이동체가 외부공간 측을 향해 이동하면 공동부를 통한 에어의 유통이 차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2016-10464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밸브부재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를 제조할 때에는, 내측주머니에 구멍(핀홀(pinhole))이 뚫려있지 않은지 확인하기 위해 외부에 밸브부재를 장착한 후, 내측주머니에 에어를 취입(吹入)하여 밸브부재에서 에어의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이동체가 공동부를 통한 에어의 유통을 차단하지 않도록 중간공간 측으로부터의 내압에 대항하여 이동체를 중간공간 측에 남겨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외부공간 측으로부터 이동체를 밀어 넣은 상태에서 내측주머니 내에 에어를 취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관점으로부터 이동체는 통체에 대해 외부공간 측에 노출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체가 통체로부터 외부공간 측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하면 용기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이동체를 건드려 버리거나 또는, 용기 외부에 수축 라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동체의 동작이 수축 라벨에 의해 방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관점으로부터 이동체는 통체로부터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실시한 것이며 핀홀 검사시에는 이동체의 이동을 간단하게 규정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에는 이동체의 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 가능한 밸브부재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외각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 사이의 중간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에는 상기 중간공간과 상기 외부공간 사이의 에어의 유통을 조절하는 밸브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중간공간 측과 외부공간 측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공동부를 가지는 통체와, 상기 공동부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중간공간 측으로부터 상기 외부공간 측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이동체를 계지하고 상기 공동부를 통하는 에어의 유통을 차단하는 스톱퍼부를 가지며, 상기 통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외면에는 상기 공동부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개구에 인접하여 형성된 인접 영역과 그 인접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스톱퍼부에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외기도입공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기 인접 영역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된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체는 스톱퍼부에 계지된 상태에서는 인접 영역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 영역에서 외부공간 측으로부터 이동체의 동작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통체가 인접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시 이동체의 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하고 수축 라벨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박리용기는 해당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 사이의 중간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상기 외각에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에 장착된 에어의 유통을 조절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중간공간 측과 다른 외부공간 측을 연통시키도록 설치된 공동부를 가지는 통체와, 상기 공동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중간공간 측으로부터 상기 외부공간 측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이동체를 계지하고 상기 공동부를 통하는 에어의 유통을 차단하는 스톱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외면에는 상기 공동부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개구에 인접하여 형성된 인접 영역과 그 인접 영역보다 상기 개구에 대해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박리용기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스톱퍼부에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외기도입공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기 인접 영역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돌출 영역보다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기도입공에서 누설된 에어의 유량을 유량계를 구비한 검사봉으로 측정하는 에어 리크 검사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리크 검사 공정은 상기 검사봉에 설치된 이동 규제 수단이 상기 인접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실시되는 에어 리크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박리용기(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층박리용기(1)의 밸브부재(4)를 포함한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 3A는 도 2의 밸브부재(4)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같은 밸브부재(4)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 4A는 도 2의 밸브부재(4)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밸브부재(4)의 저면도이다.
도 5에서 도 5A는 도 4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도 6A는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의 C-C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A 및 도 5B의 D-D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도 7A는 밸브부재(4)를 외각(1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이동체(6)가 스톱퍼부(52s)에 당접하여 공동부(50)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도 8A ~ 도 8C는 도 1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서 도 9A ~ 도 9C는 도 1의 적층박리용기(1)의 도 8에 계속되는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에서 도 10A ~ 도 10E는 도 1의 적층박리용기(1)의 도 9에 계속되는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에서 도 11A는 에어 리크 검사 공정에서 사용되는 검사봉(83)의 측면도이고, 도 11B는 같은 검사봉(83)의 정면도이다.
도 12에서 도 12A ~ 도 12C는 에어 리크 검사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서 도 13A는 도 1의 적층박리용기(1)의 밸브부재(4)의 통체(5)의 윗면(52u)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3B ~ 도 13D는 각각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밸브부재(4)의 통체(5)의 윗면(52u)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중에서 나타내는 각종 특징사항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발명이 성립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캡(2), 용기본체(3)를 구비한다. 용기본체(3)는 밸브부재(4)와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7)와 수용부(7)에서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9)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캡(2)은 나사식이지만, 타전식으로 장착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3)는 수용부(7) 및 입구부(9)에서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하고 있고, 외층(11)에 의해 외각(12)이 구성되고 내층(13)에 의해 내측주머니(14)가 구성된다.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하여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떨어져 수축한다. 용기본체(3)의 층 구성에 대해 외층(11)은 복원성이 높아지도록 내층(13)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외층(11)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외층(11)은 복수층 구성이어도 된다. 내층(13)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외층과 접촉하는 층에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수지로 이루어지는 EVOH층을 사용하고, 내용물에 접촉하는 층에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내면층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EVOH층과 내면층 사이에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부재(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7)에 형성된 외기도입공(15)에 삽입되어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 사이의 중간공간(21)과 외부공간S 사이의 에어 출입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외기도입공(15)은 외각(12)에만 설치된 관통공이며, 내측주머니(14)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부재(4)는 중간공간(21)과 외부공간S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된 공동부(50)를 가지는 통체(5), 공동부(5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 대략 구형의 이동체(6)를 구비한다. 통체(5) 및 이동체(6)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통체(5)는 도 3A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 내에 배치되는 협경(狹徑)의 축부(51)와 축부(51)의 외부공간S 측에 설치되고 또한 통체(5)가 중간공간(21)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원반 형상의 계지부(52)와 축부(51)의 중간공간(21) 측에 설치되고 또한 통체(5)가 용기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뽑히는 것을 방지하는 팽경부(53)를 가진다. 계지부(52)의 윗면(52u)(즉 통체(5)의 외부공간S 측의 외면)에는 공동부(50)에 연결되는 개구(52o)가 형성되고, 개구(52o) 주위에는 인접 영역(52a)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 영역(52a)은 원형의 평탄한 영역이며, 후술하는 누설 검사 시에 검사봉(83)의 돌출부(83p)가 위치하는 영역이 된다. 또한 계지부(52)의 윗면(52u)의 인접 영역(52a)보다 외측에는 인접 영역(52a)에서 외부공간S 측으로 돌출되는 원형 고리 형상의 돌출 영역(52p)이 형성된다. 여기서, 인접 영역(52a)과 돌출 영역(52p)의 관계에 대해서는 돌출 영역(52p)을 기준으로 인접 영역(52a)을 돌출 영역(52p)보다도 함몰된 함몰 영역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공동부(50)는 통체(5)를 축 방향(외기도입공(15)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구형상의 이동체(6)를 수용하기 위해 축 방향의 중간공간(21) 측 및 외부공간S 측이 중앙 부분에 대하여 좁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동부(50)의 중간공간(21) 측의 계지부(52)의 내측에 대응되는 부분은 외부공간S 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대(圓錐臺) 형상으로 되어 있고, 둘레 방향에 걸쳐, 이동체(6)가 계지하여 에어의 유통을 차단하는 스톱퍼부(52s)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동부(50)의 중간공간(21) 측에는 대향하는 두 곳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공동부(50) 내에 수용된 이동체(6)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부(53p)가 형성된다(도 3B, 도 5A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 유지부(53p)는 외부공간S 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53p1)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사면(53p1)에 이동체(6)가 당접하여 이동체(6)가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공동부(50)의 횡단면 형상에 대하여 도 6A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부(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C-C 단면)은 외부공간S 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원형으로 된다. 또한 축부(5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D-D 단면)은 원의 대향하는 두 곳을 잘라내어 형성되는 것으로, 평행되는 한 쌍의 평면벽(51s)과 2개의 원호형상벽(51c)으로 이루어진 형상이 되고, 팽경부(5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E-E 단면)은 원의 대향하는 두 곳을 잘라내어 형성되는 것으로, 평행되는 한 쌍의 평면벽(53s)과 2개의 원호형상벽(53c)으로 이루어진 형상이 된다. 여기서, 평면벽(53s)은 경사면(53p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유지부(53p)가 외부공간S 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53p1)을 가지는 것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통체(5)를 형성할 때 통체(5)의 공동부(50)를 성형하는 코어 핀을 중간공간(21) 측으로부터 당길 때의 언더컷(undercut)이 되는 유지부(53p)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53p)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간공간(21) 측에도 해당 중간공간(21) 측에 경사진 경사면(53p2)을 가지고 있다.
통체(5)의 선단부(팽경부(53)의 단부)는 도 3B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의 평탄면(53e)이 되고, 원주 방향의 대향하는 두 곳에는 평탄면(53e)이 잘려 나간 노치(53n)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체(6)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형상의 통체(5)의 공동부(50)에 중간공간(21) 측(팽경부(53) 측)으로부터 도입된다. 여기서 통체(5)에는 유지부(53p)가 설치되어 있지만, 유지부(53p)는 경사면(53p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체(6)는 유지부(53p)를 넘어 공동부(50)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체(6)가 통체(5)의 공동부(50)에 수용된 상태에서 축부(5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D-D 단면)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평면벽(51s) 사이의 거리d1이 이동체(6)의 직경d2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동체(6)의 직경d2에 대한 한 쌍의 평면벽(51s) 사이의 거리d1의 비의 값(d1/d2)은 1.01 ~ 1.20이 바람직하다. 이 비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내이여도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d1/d2 = 1.09이다(d1 = 2.60mm, d2 = 2.38mm). 또한 이동체(6)의 직경d2에 대한 원호형상벽(51c)의 직경d3의 비의 값(d3/d2)은 1.02 ~ 1.60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02, 1.04, 1.06, 1.08, 1.10, 1.12, 1.14, 1.16, 1.18, 1.20, 1.22, 1.24, 1.26, 1.28, 1.30, 1.32, 1.34, 1.36, 1.38, 1.40, 1.42, 1.44, 1.46, 1.48, 1.50, 1.52, 1.54, 1.56, 1.58, 1.6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d3/d2 = 1.26이다(d3 = 3.00mm, d2 = 2.38mm). 직경d3은 거리d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수 관계에 의해 이동체(6)는 공동부(50) 내에서 상하 방향(축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원호형상벽(51c)과 이동체(6) 사이의 간극(50g)에 에어의 유통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팽경부(5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E-E 단면)에서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벽(53s) 사이의 거리d4가 이동체(6)의 직경d2보다도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체(6)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E-E 단면에서도 원호형상벽(53c)와 이동체(6) 사이에 간극(50g)이 형성되고, 그 간극(50g)을 통과하여 이동체(6)가 유지부(53p)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에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밸브부재(4)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경부(53)가 외기도입공(15)을 넓히면서 팽경부(53)를 중간공간(21) 내에 삽입하여 용기본체(3)에 장착할 수 있다. 밸브부재(4)는 계지부(52)가 외각(12)의 외면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밀어 넣어지면 축부(51)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가장자리에 밀착한 상태로 외각(12)에 유지된다. 축부(51)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가장자리에 밀착하여 용기본체(3)를 압축할 때에 중간공간(21) 내의 에어가 외기도입공(15)의 가장자리와 통체(5) 사이의 틈새에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통체(5)는 축부(51)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가장자리에 밀착하여 용기본체(3)에 장착되므로 팽경부(53)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다. 또한 통체(5)의 선단에 평탄면(53e)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부재(4)를 중간공간(21) 내에 밀어 넣었을 때, 밸브부재(4)의 선단이 내측주머니(14)에 충돌하여도 내측주머니(14)가 손상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톱퍼부(52s)가 축부(51)에서 외부공간S 측에 어긋난 계지부(5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도입공(15)의 가장자리에 의해 축부(51)가 가압되도 스톱퍼부(52s)가 변형되어 버리지 않고 적절하게 에어의 유통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중간공간(21)에 에어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외각(12)을 압축하면 중간공간(21) 내의 에어가 팽경부(53) 측으로부터 공동부(50)에 들어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6)를 밀어 올려 스톱퍼부(52s)에 당접시킨다. 이동체(6)가 스톱퍼부(52s)에 계지되면 공동부(50)를 통한 에어의 흐름이 차단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외각(12)을 더 압축하면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그 결과 내측주머니(14)가 압축되어 내측주머니(14) 내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또한 외각(12)에의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2)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 복원하려고 한다. 외각(12)의 복원에 따라 중간공간(21) 내부가 감압되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6)에 대해 용기 내측 방향의 힘F가 가해진다. 이에 따라 이동체(6)가 공동부(50)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여 도 7A에 나타낸 상태가 되어 이동체(6)와 공동부(50)를 형성하는 벽면의 틈새를 통해 중간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체(6)와 공동부(50)를 형성하는 원호형상벽(51c) 및 원호형상벽(53c) 사이에 간극(50g)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도 6B 및 도 6C 참조), 특히 내용물의 토출 후 외부 에어를 흡입하는 단면적이 증가하고 외각(12)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7)는 밸브부재(4)를 장착한 후에 수축 필름으로 덮는다. 이 때, 밸브부재(4)가 수축 필름에 간섭하지 않도록 밸브부재(4)는 수용부(7)에 설치된 밸브부재 장착 요부(7a)에 장착된다. 또한 밸브부재 장착 요부(7a)가 수축 필름에 밀폐되어 버리지 않도록 밸브부재 장착 요부(7a)에서 입구부(9)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기유통홈(7b)이 설치된다(도 1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밸브부재(4)는 통체(5)의 윗면(52u)의 인접 영역(52a)보다도 외측에 인접 영역(52a)으로부터 외부공간S 측으로 돌출되는 원형 고리 형상의 돌출 영역(52p)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축 필름이 돌출 영역(52p)에 접촉하는 것으로, 이동체(6)와 수축 필름이 접촉하여 이동체(6)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밸브부재(4)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6)가 스톱퍼부(52s)에 계지된 상태에서 이동체(6)의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외기도입공(15)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h1(여기에서는 통체(5)를 외각(1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외각(12)의 외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동일)이 통체(5)의 인접 영역(52a)의 높이 위치 h2보다 높게(h1 > h2) 되어 있다. 즉, 이동체(6)가 스톱퍼부(52s)에 계지된 상태에서 이동체(6)의 일부가 개구(62o)에서 튀어나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공동부(50)가 좁아도 이동체(6)의 이동량을 획득할 수 있게 되어 밸브부재의 소형화(박형(薄型)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체(6)가 스톱퍼부(52s)에 계지된 상태에서 이동체(6)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외기도입공(15)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h1은 돌출 영역(52p)의 높이 위치h3보다 더 낮아지도록(h1 < h3)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체(6)와 수축 필름의 접촉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A ~ 도 12C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용기본체(3)에 대응하는 적층구조(일례에서는, 용기 내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PE층/접착층/EVOH층/PP층/리플로우층/PP층의 적층구조)를 구비한 용융 상태의 적층 파리손을 압출하고, 이 용융 상태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성형용의 분할 금형에 설치하고 분할 금형을 닫는다.
다음,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3)의 입구부(9) 측의 개구부에 블로우 노즐을 삽입하고, 몰드 클램핑(mold clamping)을 실시한 상태에서 분할 금형의 캐비티 내에 에어를 취입한다.
다음,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금형을 열고 블로우 성형품을 꺼낸다. 분할 금형은 밸브부재 설치요부(7a), 공기유통홈(7b) 등의 용기본체(3)의 각종 형상이 블로우 성형품에 형성되도록 하는 캐비티 형상을 가진다. 또한, 분할 금형에는 용기본체(3)의 바닥에 대응하는 위치에 핀치 오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부분에 버(burr)가 형성되므로, 이것을 제거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를 가지는 용기본체(3)가 형성된다(용기본체 형성 공정).
다음, 임의의 천공(穿孔) 장치를 이용하여 용기본체(3)의 외각(12)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한다(외기도입공 형성 공정). 이하, 이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워(80, blower)를 이용하여 외기도입공(15)을 통하여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 사이에 에어를 취입함으로써 내측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예비 박리시킨다(예비박리 공정). 여기에서는, 외기도입공(15)을 통한 에어 누설이 없도록 하면서 규정량의 에어를 취입함으로써 내측주머니(14)의 예비박리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예비박리는 수용부(7)의 전체에 대해 실시해도 되고, 수용부(7)의 일부에 대해 실시해도 되지만, 예비박리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내측주머니(14)의 핀홀(pinhole)의 유무를 체크(에어 리크 검사)할 수 없기 때문에 수용부(7)의 대략 전체에서 내측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예비박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박리 공정을 실시한 후, 도 9B ~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도구(81)를 화살표X1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시켜 삽입도구(81)를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삽입도구(81)로 내측주머니(14)를 용기본체(3)의 내측에 밀어 넣음으로써 내측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분리시킨다(내측주머니 분리공정). 이 방법에 의하면, 내측주머니(14)를 국소적으로 외각(12)으로부터 크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0A ~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봇 암(82)으로 밸브부재(4)를 흡착한 상태에서 로봇 암(82)을 화살표X1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부재(4)를 외기도입공(15) 내에 밀어넣음으로써, 밸브부재(4)를 외각(12)에 장착한다(밸브부재 장착 공정). 팽경부(53)는 외기도입공(15)보다도 직경이 크기 때문에 팽경부(53)가 외기도입공(15)을 확대시키면서 외기도입공(15)을 통과한다. 그리고, 팽경부(53)가 외기도입공(15)을 통과한 직후에 팽경부(53)가 용기본체(3)의 내측을 향해 강하게 이동한다. 이 때 팽경부(53)가 내측주머니(14)에 충돌하면 내측주머니(14)에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주머니 분리공정에서 내측주머니(14)가 미리 외각(12)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팽경부(53)는 거의 또는 전혀 내측주머니(14)에 접촉하지 않아 내측주머니(14)가 손상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0C ~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리크 검사봉(83)을 사용하여 내측주머니(14)에 핀홀이 발생하였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에어 리크 검사를 실시한다(에어 리크 검사 공정). 이하, 에어 리크 검사 공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에어 리크 검사 공정에서 사용되는 검사봉(83)은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유량계(83f)를 구비한다. 또한 선단면(83e)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관찰 시, 대략 십자 형상의 돌출부(83p)와, 돌출부(83p)에서 변위된 4곳에, 검사봉(83) 내부에 에어를 도입하는 유통공(83h)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 리크 검사 공정에서는 우선, 도 12A ~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의 검사봉(83)의 선단면(83e)을 밸브부재(4)의 통체(5)의 윗면(52u)에 당접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때, 통체(5)의 돌출 영역(52p)과 검사봉(83)의 선단면(83e)이 돌출 영역(52p)의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한다. 그리고 통체(5)의 돌출 영역(52p)과 검사봉(83)의 선단면(83e)이 당접할 때, 검사봉(83)의 돌출부(83p)는 통체(5)의 개구(52o)의 바로 상방에 위치한다(도 12B 참조).
다음, 통체(5)의 돌출 영역(52p)과 검사봉(83)의 선단면(83e)을 당접시킨 상태에서,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9)에서 용기 내(내측주머니(14) 내)에 에어를 취입한다. 그러자 내측주머니(14)의 내압이 높아져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주머니 예비박리 공정 및 내측주머니 분리 공정에 의해 분리된 외기도입공(15) 근방의 내측주머니(14)와 외각(12)이 다시 밀착하고 내측주머니(14)는 장착된 밸브부재(4)와 밀착한다. 또한, 팽경부(53)의 단부는 평탄면(53e)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주머니(14)와 장착된 밸브부재(4)가 밀착하여도 내측주머니(14)가 손상되지 않고, 평탄면(53e)에는 노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부재(4)와 내측주머니(14)가 밀착하여도 에어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는다. 이 때, 내측주머니(14)에 핀홀이 발생하는 경우에, 내측주머니(14) 내에 취입된 에어는 중간공간(21)에 유출되어 중간공간(21)의 내압이 상승하여 에어가 밸브부재(4)의 통체(5)를 통해 검사봉(83)의 유통공(83h) 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통체(5)의 돌출 영역(52p)과 검사봉(83)의 선단면(83e)은 돌출 영역(52p)의 전체 둘레에 걸쳐 당접하여 있기 때문에 에어가 외부공간S로 유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에어의 유입을 검사봉(83) 내의 유량계(83f)가 검출하여 에어 리크, 즉 핀홀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에어 리크 검사 공정에서 내측주머니(14)에 핀홀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중간공간(21)의 내압에 의해 밸브부재(4)의 이동체(6)가 밀어 올려져 이동체(6)가 스톱퍼부(52s)에 계지되어 에어의 흐름이 차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도 12C의 점선으로 그려진 이동체 참조).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6)가 스톱퍼부(52s)에 계지된 상태에서 이동체(6)의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외기도입공(15)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h1이 통체(5)의 인접 영역(52a)의 높이 위치h2보다 높게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봉(83)의 돌출부(83p)가 통체(5)의 개구(52o)의 바로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공동부(50) 내의 이동체(6)는 스톱퍼부(52s)에 당접할 때까지 외부공간S까지 이동할 수 없으며, 검사봉(83)을 밸브부재(4)에 당접시키고 있는 한, 에어의 유통이 차단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검사봉(83)의 돌출부(83p)는 이동체(6)의 외부공간S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돌출부(83p)의 형상을 십자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검사봉(83)을 당접시키는 위치에 다소 오차가 생겨도 이동체(6)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통형상부(9a)를 절단한 다음, 내측주머니(14) 내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용기본체(3)의 입구부(9)에 캡(2)을 장착하고 수용부(7)를 수축 필름으로 덮는 것으로 제품이 완성된다.
또한, 여기에 제시된 각종 공정의 순서는 적절하게 교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부 통형상부(9a)를 절단하는 공정은 외기도입공(15)에 밸브부재(4)를 삽입하기 전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예비박리 공정이나 내측주머니 분리 공정 등 일부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통체(5)의 윗면(52u)에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영역(52p)이 인접 영역(5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원형 고리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돌출 영역(52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52o)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곳에 돌출 영역(52p)을 설치하거나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 영역(52a)의 주위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돌출 영역(52p)으로 하거나, 개구(52o)의 외측의 둘레 방향의 일부 영역을 인접 영역(52a)으로 하고, 나머지 부분을 돌출 영역(52p)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돌출 영역(52p)의 형상에 따라 에어 리크 검사 공정에 사용되는 검사봉(83)의 돌출부(83p)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도 13D의 경우, 검사봉(83)의 돌출부(83p)는 십자 형상이 아니라 I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6)가 스톱퍼부(52s)에 계지된 상태에서 이동체(6)의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외기도입공(15)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h1이 통체(5)의 인접 영역(52a)의 높이 위치h2보다 높게(h1>h2) 구성되어 있지만, 이동체(6)가 인접 영역(52a)에서 돌출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에어 리크 검사 공정에 사용되는 검사봉(83)의 돌출부(83p)를 통체(5)의 개구(52o)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이동체(6)는 중간공간(21) 측에서 공동부(50)에 도입되는 구성이지만 외부공간S 측으로부터 도입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1: 적층박리용기, 2: 캡, 3: 용기본체, 4: 밸브부재, 5: 통체, 5e: 개구부, 6: 이동체, 7: 수용부, 7a: 밸브부재 장착 요부, 7b: 공기유통홈, 9: 입구부, 9a: 상부 통형상부, 11: 외층, 12: 외각, 13: 내층, 14: 내측주머니, 15: 외기도입공, 21: 중간공간, 50: 공동부, 50g: 간극, 51: 축부, 51c: 원호형상벽, 51s: 평면벽, 52: 계지부, 52a: 인접 영역, 52o: 개구, 52p: 돌출 영역, 52s: 스톱퍼부, 52u: 상면, 53: 팽경부, 53c: 원호형상벽, 53e: 평탄면, 53n: 노치, 53p: 유지부, 53p1: 경사면, 53p2: 경사면, 53s: 평면벽, 80: 블로워, 81: 삽입도구, 82: 로봇 암, 83: 에어리크 검사봉, 83e: 선단면, 83f: 유량계, 83h: 유통공, 83p: 돌출부, S: 외부공간, d1, d4: 거리, d2, d3: 직경, h1 ~ h3: 높이 위치

Claims (2)

  1.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외각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 사이의 중간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에는 상기 중간공간과 상기 외부공간 사이의 에어의 유통을 조절하는 밸브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중간공간 측과 외부공간 측을 연통시키도록 설치된 공동부를 가지는 통체와, 상기 공동부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중간공간 측으로부터 상기 외부공간 측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이동체를 계지하고 상기 공동부를 통한 에어의 유통을 차단하는 스톱퍼부를 가지며,
    상기 통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외면에는 상기 공동부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개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인접 영역과 상기 인접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스톱퍼부에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상기 외기도입공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기 인접 영역의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구성된, 적층박리용기.
  2.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 검사 방법이며,
    상기 적층박리용기는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 사이의 중간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상기 외각에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외기도입공에 장착되어 에어의 유통을 조절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중간공간 측과 상기 외부공간 측을 연통시키도록 설치된 공동부를 가지는 통체와, 상기 공동부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중간공간 측으로부터 상기 외부공간 측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이동체를 계지하고 상기 공동부를 통한 에어의 유통을 차단하는 스톱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의 상기 외부공간측의 외면에는 상기 공동부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개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인접 영역과 상기 인접 영역보다 상기 개구에 대해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박리용기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스톱퍼부에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의 단부의 상기 외기도입공에 수직되는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기 인접 영역 높이보다 높고, 상기 돌출 영역보다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기도입공에서 누설된 에어의 유량을 유량계를 구비한 검사봉에 의해 측정하는 에어 리크 검사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리크 검사 공정은 상기 검사봉에 설치된 이동 규제 수단이 상기 인접 영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외부공간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실시되는 에어 리크 검사 방법.
KR1020197038813A 2017-08-21 2018-08-16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air leak) 검사 방법 KR102602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8874A JP7004898B2 (ja) 2017-08-21 2017-08-21 積層剥離容器及び積層剥離容器のエアリーク検査方法
JPJP-P-2017-158874 2017-08-21
PCT/JP2018/030404 WO2019039374A1 (ja) 2017-08-21 2018-08-16 積層剥離容器及び積層剥離容器のエアリーク検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314A true KR20200043314A (ko) 2020-04-27
KR102602913B1 KR102602913B1 (ko) 2023-11-15

Family

ID=6543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813A KR102602913B1 (ko) 2017-08-21 2018-08-16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air leak)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43262B2 (ko)
EP (1) EP3674224B1 (ko)
JP (1) JP7004898B2 (ko)
KR (1) KR102602913B1 (ko)
CN (1) CN110831864B (ko)
TW (1) TWI768101B (ko)
WO (1) WO2019039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299144T3 (da) * 2016-09-26 2020-02-03 Boehringer Ingelheim Int Fremgangsmåde til tæthedsprøvning af en pose indeni en beholder
EP3597562B1 (en) * 2017-03-15 2021-10-1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065A1 (fr) * 1999-07-14 2001-01-25 Yoshiya Kozono Dispositif de ventilation
JP2016104644A (ja) 2014-11-19 2016-06-0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KR20170055524A (ko) * 2014-10-07 2017-05-19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4510B2 (en) * 2001-06-29 2003-11-11 The Meyer Company Bag-in-box container and faucet
DE102004056270A1 (de) * 2004-11-22 2006-05-24 Basf Ag Seitenführung für die Vorhangbeschichtung
FR2889836A1 (fr) * 2005-08-18 2007-02-23 Raymond Castanet Procede et dispositif de conservation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fluide ou pateux
US10308389B2 (en) * 2013-11-27 2019-06-04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TR201808956T4 (tr) * 2013-11-27 2018-07-23 Kyoraku Co Ltd Tabakalara ayrılma kabı.
EP3075670B1 (en) * 2013-11-27 2019-04-24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US10723500B2 (en) 2014-12-09 2020-07-28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method for attaching cap to delamina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lamination container
CA2916290A1 (en) * 2014-12-30 2016-06-30 Dennis M. Yager Forage gas relief valve device
WO2016121578A1 (ja) * 2015-01-27 2016-08-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EP3369669B1 (en) * 2015-10-30 2022-02-2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US10822135B2 (en) 2015-12-03 2020-11-03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065A1 (fr) * 1999-07-14 2001-01-25 Yoshiya Kozono Dispositif de ventilation
KR20170055524A (ko) * 2014-10-07 2017-05-19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 검사 방법
JP2016104644A (ja) 2014-11-19 2016-06-0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0153A (zh) 2019-08-01
WO2019039374A1 (ja) 2019-02-28
EP3674224A1 (en) 2020-07-01
US20200172312A1 (en) 2020-06-04
EP3674224B1 (en) 2022-04-13
CN110831864A (zh) 2020-02-21
KR102602913B1 (ko) 2023-11-15
TWI768101B (zh) 2022-06-21
EP3674224A4 (en) 2020-09-23
CN110831864B (zh) 2022-04-12
US11643262B2 (en) 2023-05-09
JP7004898B2 (ja) 2022-02-10
JP2019034784A (ja)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8206B2 (ja) 積層剥離容器
EP3385181B1 (en) Lamination separable container
CN109071059B (zh) 层叠剥离容器
KR102093254B1 (ko) 적층박리용기
KR20200043314A (ko)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air leak) 검사 방법
US9546028B2 (en) Mouthpiece structure for pressure vessel
US11904331B2 (en) Dispenser container
JP6637292B2 (ja) 圧力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52572A (ja) 積層剥離容器のピンホールチェック方法
WO2016167034A1 (ja) 圧力容器
EP4098423A1 (en) Fuel tank
JP6810333B2 (ja) 積層剥離容器
JP7385102B2 (ja) 収容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008205A1 (ja) 燃料タンク
TWI827742B (zh) 帶蓋容器、雙重容器的洩漏檢查方法、層疊剝離容器及其製造方法
US20220410462A1 (en) Blow mol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liner for pressure vessel using the same
JP2024043069A (ja) タンク
WO2016080313A1 (ja) 積層剥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