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22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229A
KR20200043229A KR1020180124091A KR20180124091A KR20200043229A KR 20200043229 A KR20200043229 A KR 20200043229A KR 1020180124091 A KR1020180124091 A KR 1020180124091A KR 20180124091 A KR20180124091 A KR 20180124091A KR 20200043229 A KR20200043229 A KR 20200043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afer
locking
elastic arm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곤
김보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3229A/ko
Publication of KR2020004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Abstract

케이블이 연결된 제1커넥터와, 제1커넥터가 장착되는 제2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케이블이 연결된 터미널, 상기 터미널이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탄성암, 상기 바디가 수용되어 장착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을 갖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이 연결된 제1커넥터와, 제1커넥터가 장착되는 제2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서로 결합 가능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제1커넥터에는 케이블이 연결된 터미널이 장착되며, 제1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커넥터에는 터미널에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핀이 마련된다.
단자핀과 터미널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터미널이 장착되는 제1커넥터가 단자핀이 마련된 제2커넥터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커넥터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제2커넥터에는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마련된다.
이때, 걸림돌기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암에 형성되며, 탄성암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리거나,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된다.
탄성암에는 외력에 의해 탄성암이 눌려질 수 있도록 누름돌기가 마련되고, 사용자는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누름돌기를 눌러주어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한다.
그러나, 누름돌기와 걸림돌기는 탄성암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누름돌기를 눌러주어도 걸림돌기가 제2커넥터의 걸림홈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로부터 분리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케이블이 연결된 제1커넥터와, 제1커넥터가 장착되는 제2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케이블이 연결된 터미널, 상기 터미널이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탄성암, 상기 바디가 수용되어 장착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을 갖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암은 상기 바디를 향하여 압축되거나, 압축이 해제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탄성암은 상기 탄성암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탄성암이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를 향하여 압축되도록 하는 누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는 누름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누름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웨이퍼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양 측단 상부의 좌우 방향 길이가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하부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상부의 좌우 방향 길이와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상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의 좌우 방향 길이를 합한 길이는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하부의 좌우 방향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웨이퍼에 수용되는 상기 탄성암과 먼저 접촉되는 제1부분과, 상기 탄성암이 상기 제1부분에 접촉된 후에 접촉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바디 및 탄성암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은 상기 걸림돌기의 눌림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부분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일직선의 형상의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디가 상기 웨이퍼 내부에 수용되기 전에는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바디가 상기 웨이퍼 내부로 수용될 때, 상기 탄성암이 상기 제1부분에 접촉된 후 상기 제2부분에 접촉되면서 상기 푸쉬부재는 탄성 변형되어 일부가 상기 웨이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바디가 상기 웨이퍼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부재를 눌러주면, 상기 탄성암이 상기 바디를 향해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케이블이 연결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탄성암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을 갖는 웨이퍼와,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웨이퍼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는 푸쉬부재를 포함하다.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는 누름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누름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 내부에 수용되기 전에는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암에 접촉되면서 상기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푸쉬부재의 일부가 상기 웨이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를 눌러주면, 상기 누름부에 의해 상기 탄성암이 상기 바디를 향해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케이블이 연결된 제1커넥터와, 제1커넥터가 장착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면”, “후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케이블(90)이 연결된 제1커넥터(10)와, 제1커넥터(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커넥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10)는 하우징(20)과, 케이블(90)이 연결되는 터미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제1커넥터(10)의 외관을 형성하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적어도 일부가 하기할 제2커넥터(60)의 수용부(71)에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부(7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바디(30)와, 바디(30)의 양 측에 각각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되는 탄성암(4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30)는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장착부(31)를 포함하며, 장착부(31)에는 케이블(90)이 연결된 터미널(5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탄성암(40)은 바디(30)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며, 바디(3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암(40)은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6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41)와, 탄성암(40)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암(40)이 탄성 변형되도록 하는 누름돌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60)에 장착시킬 때, 제1커넥터(10)는 탄성암(40)이 바디(30)를 향해 압축되면서 제2커넥터(6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60)의 내부로 깊숙히 수용되면, 탄성암(4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걸림돌기(41)가 하기할 제2커넥터(60)의 걸림홈(7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누름돌기(43)가 눌려지면, 탄성암(40)은 탄성 변형되어 바디(30)를 향해 압축될 수 있다.
탄성암(40)이 바디(30)를 향해 압축되면, 걸림돌기(41)가 걸림홈(73)으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6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돌기(41)와 누름돌기(43)는 탄성암(4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누름돌기(43)에 외력이 가해져 탄성암(40)이 탄성 변형되어도 걸림돌기(41)가 걸림홈(73)으로부터 용이하게 걸림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커넥터(60)에는 걸림돌기(41)가 걸림홈(73)으로부터 용이하게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41)와 직접 접촉되어 걸림돌기(41)를 눌러주는 푸쉬부재(100)가 마련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하도록 한다.
제2커넥터(60)는 제1커넥터(10)가 수용되는 웨이퍼(70)와, 제1커넥터(10)의 터미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80)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퍼(70)는 제2커넥터(60)의 몸체를 이루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70)는 제1커넥터(10)의 하우징(2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71)와, 제1커넥터(10)의 탄성암(40)에 마련된 걸림돌기(41)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73)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핀(80)은 수용부(71) 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커넥터(10)가 수용부(71)에 수용되어 장착되면, 제1커넥터(10)의 터미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자핀(80)은, 예를 들어, 한 열당 9개의 핀을 구비하고 두 열이 한 세트로 이루어진 총 18개의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는 탄성암(40)에 형성된 걸림돌기(41)가 제2커넥터(60)의 웨이퍼(70)에 형성된 걸림홈(73)에 걸림되어 제1커넥터(10)는 제2커넥터(6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커넥터(60)에 장착된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6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탄성암(40)에 형성된 누름돌기(43)를 눌러주어 탄성암(40)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돌기(41)가 걸림홈(73)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걸림돌기(41)와 누름돌기(43)는 탄성암(4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누름돌기(43)에 외력이 가해져 탄성암(40)이 탄성 변형되어도 걸림돌기(41)가 걸림홈(73)으로부터 용이하게 걸림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6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제2커넥터(60)에는 푸쉬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부재(100)는 웨이퍼(70)에 마련되며, 걸림돌기(41)를 푸쉬하여 걸림돌기(41)가 걸림홈(73)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푸쉬부재(100)는 웨이퍼(70)와 연결되는 연결부(110)와, 걸림돌기(41)에 직접 접촉되어 걸림돌기(41)를 푸쉬하는 누름부(120)와, 연결부(110)와 누름부(120)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0)는 웨이퍼(70)의 양 측단 상부에 각각 연결되며, 웨이퍼(70)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웨이퍼(70)는 푸쉬부재(100)의 연결부(110)가 연결되는 양 측단 상부의 좌우 방향 길이(L1)가 웨이퍼(70)의 양 측단 하부의 좌우 방향 길이(L2)보다 작을 수 있다.
웨이퍼(70)의 양 측단 상부의 좌우 방향 길이(L1)와 웨이퍼(70)의 양 측단 상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110)의 좌우 방향 길이를 합한 길이는 웨이퍼(70)의 양 측단 하부의 좌우 방향 길이(L2)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커넥터(60)는 양 측단 상부와 하부의 좌우 방향 길이가 동일하여 커넥터가 PCB에 실장 되었을 때, 커넥터가 차지하는 공간은 푸쉬부재(100)가 없을 때와 동일할 수 있다.
누름부(120)는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60)에 장착될 때, 제1커넥터(10)의 탄성암(40)과 먼저 접촉되도록 누름부(120)의 전단에 마련되는 제1부분(121)과, 탄성암(40)이 제1부분(121)과 접촉된 후 접촉되도록 누름부(120)의 후단에 마련되는 제2부분(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21)는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60)의 수용부(71)로 수용될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분(123)은 제2커넥터(60)로부터 제1커넥터(10)를 분리할 때, 걸림돌기(41)의 눌림이 용이하도록 제1부분(12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일직선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장착되고, 제2커넥터에 장착된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60)의 수용부(71)에 수용되기 전일 때, 푸쉬부재(100)는 제2커넥터(60)의 웨이퍼(70)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60)의 수용부(71)로 수용될 때, 탄성암(40)이 푸쉬부재(100)의 제1부분(121)에 접촉된 후, 제2부분(123)에 접촉되면서 푸쉬부재(100)는 탄성부(130)가 탄성 변형되어 일부가 웨이퍼(7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41)는 걸림홈(73)에 걸림되어 제1커넥터(10)는 제2커넥터(6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60)의 수용부(71)에 수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웨이퍼(70) 외부로 노출된 푸쉬부재(100)의 누름부(120)를 눌러주면, 탄성암(40)이 바디(30)를 향해 압축되면서 걸림돌기(41)가 걸림홈(73)으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걸림돌기(41)가 걸림홈(73)으로 걸림 해제되면,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6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커넥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커넥터
20 : 하우징
30 : 바디 31 : 장착부
40 : 탄성암 41 : 걸림돌기
43 : 누름돌기
50 : 터미널
60 : 제2커넥터
70 : 웨이퍼 71 : 수용부
73 : 걸림홈
80 : 단자핀
90 : 케이블
100 : 푸쉬부재
110 : 연결부
120 : 누름부 121 : 제1부분
123 : 제2부분
130 : 탄성부
L1 : 웨이퍼 양 측면 상단의 좌우 방향 길이
L2 : 웨이퍼 양 측면 하단의 좌우 방향 길이

Claims (20)

  1. 케이블이 연결된 터미널;
    상기 터미널이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탄성암;
    상기 바디가 수용되어 장착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을 갖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부재;
    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상기 바디를 향하여 압축되거나, 압축이 해제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상기 탄성암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탄성암이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를 향하여 압축되도록 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에 일체로 마련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는 누름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누름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양 측단 상부의 좌우 방향 길이가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하부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작은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상부의 좌우 방향 길이와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상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의 좌우 방향 길이를 합한 길이는 상기 웨이퍼의 양 측단 하부의 좌우 방향 길이와 동일한 커넥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웨이퍼에 수용되는 상기 탄성암과 먼저 접촉되는 제1부분과, 상기 탄성암이 상기 제1부분에 접촉된 후에 접촉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바디 및 탄성암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걸림돌기의 눌림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부분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일직선의 형상의 갖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상기 웨이퍼 내부에 수용되기 전에는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상기 웨이퍼 내부로 수용될 때, 상기 탄성암이 상기 제1부분에 접촉된 후 상기 제2부분에 접촉되면서 상기 푸쉬부재는 탄성 변형되어 일부가 상기 웨이퍼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상기 웨이퍼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부재를 눌러주면, 상기 탄성암이 상기 바디를 향해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커넥터.
  16. 케이블이 연결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탄성암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을 갖는 웨이퍼와,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웨이퍼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는 푸쉬부재;
    를 포함하는 커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푸쉬하는 누름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누름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 내부에 수용되기 전에는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웨이퍼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커넥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암에 접촉되면서 상기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푸쉬부재의 일부가 상기 웨이퍼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를 눌러주면, 상기 누름부에 의해 상기 탄성암이 상기 바디를 향해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커넥터.
KR1020180124091A 2018-10-17 2018-10-17 커넥터 KR20200043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091A KR20200043229A (ko) 2018-10-17 2018-10-1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091A KR20200043229A (ko) 2018-10-17 2018-10-17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229A true KR20200043229A (ko) 2020-04-27

Family

ID=7046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091A KR20200043229A (ko) 2018-10-17 2018-10-1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32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281B1 (ko) 커넥터의 로크 구조
CN109119785B (zh) 电源连接器
US8215976B2 (en) Power adapter with replaceable plug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6984143B2 (en) Lockable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ion
US107708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020046947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10116076B2 (en) CPU retainer mounted upon PCB
US2017019474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42311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US10714862B1 (en) Electrical socket
KR20080088710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0994298B (zh) 同轴开关
JP2017103160A (ja) コネクタ
US2022027145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200043229A (ko) 커넥터
KR101315018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US8808022B2 (en) Connector structure
US20230101670A1 (en) Connector
KR101702430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1378702B1 (ko) 전기 커넥터
CN110783767B (zh) 连接器
US20220344866A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switch for improving contact reliability
US20220344846A1 (en) Board mounted connector
KR101828818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