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149A - 안경다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149A
KR20200043149A KR1020180123880A KR20180123880A KR20200043149A KR 20200043149 A KR20200043149 A KR 20200043149A KR 1020180123880 A KR1020180123880 A KR 1020180123880A KR 20180123880 A KR20180123880 A KR 20180123880A KR 20200043149 A KR20200043149 A KR 20200043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band
fixing
eyeglass leg
glasse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희
Original Assignee
허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은희 filed Critical 허은희
Priority to KR102018012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3149A/ko
Publication of KR2020004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을 착용하고 운동이나 기타 활동을 할 때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착용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착용상태 그대로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원형의 머리띠(100)가 형성되고, 그 머리띠의 하단에는 안경다리(300)와 고정 설치되어 안경다리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경다리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수단(20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경다리 고정 장치{Fixing equipment of spectacle frame}
본 발명은 안경을 착용하고 운동이나 기타 활동을 할 때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착용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착용상태 그대로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다리는 귀에 걸치게 되어 있고, 이렇게 귀에 걸치는 안경다리만으로는 안경을 완전하게 얼굴에 지지할 수가 없기 때문에, 안경알의 내측 선단에 속칭 '코다리'라 하는 보조 다리를 설치하여, 안경에서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가는 안경알을 콧등에 지지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안경은 안경알을 지지하는 코다리가 콧등의 윗부분을 누르기 때문에, 콧등 부분이 피로하여 심하면 두통도 따르고 눈이 피로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은 눈이 피곤할 때 간헐적으로 안경알을 들어올려서 코다리가 콧등에서 떨어지게 함으로써, 콧등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피로를 줄이게 한다.
한편,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코다리가 콧등에서 벗어나면 안경알의 초점이 맞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안경의 착용상태가 이상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코다리를 제거하면 안경알을 제대로 얼굴에 지지할 수가 없기 때문에 안경을 정확하게 착용할 수가 없고, 안경알을 지탱할 수가 없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실용신안공개 83-2059호와, 실용신안공개 93-20428호 및 실용신안공개 2010-3331호와 같은 고안들이 일찍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기존의 고안들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어서 현재까지 실용화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
예컨대, 실용신안공개 83-2059호의 고안은 "안경 보조 받침대"라는 명칭으로 안경의 다리에 철선을 철판으로 고정설치하고,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철선의 하단에 받침대를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안경 보조 받침대는 철선이 안경대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 크기와 얼굴 형태에 맞추어 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가 없고, 또 받침대가 얼굴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기 때문에 안경의 하중을 제대로 받쳐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실제 사용할 수가 없어 활용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실용신안공개 95-20428호의 고안은 "안경테"라는 명칭으로, 일반적인 안경다리에 하향 절곡된 지지부재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가 안경다리의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면 지지부재가 사용자의 얼굴 측면에 밀착되어 안경테를 지지하게 하게 되어 있으나, 이 고안 역시 상기 지지부재가 안경테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 형태나 체형에 맞추어 조절할 수가 없고, 상기 철선의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재가 얼굴에 편안하게 밀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안경테로 이루어진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가 없게 되므로 현재까지 실용화되지 못하다.
또, 실용신안공개 2010-3331호의 고안은 "콧등에 닿지 않는 안경"이라는 명칭으로 되어 있으면서, 안경다리에 고무흡착판으로 이루어진 고무받침대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고안은 안경 고무받침대가 안경다리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기는 하나, 다양한 굵기와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안경다리에 맞추어 고무 받침대를 이동할 수 있게 장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이 없어, 단순한 아이디어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얼굴에 밀착되는 부재가 고무받침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 받침대가 진공 흡착력으로 얼굴에 제대로 접착되어 있지 않게 되고, 또 일순간 밀착되어도 얼굴이나 몸을 움직이면 쉽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역시 실용화되기에는 여러 가지로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3331호 : 콧등에 닿지 않는 안경.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4769호 : 안경 다리 지지대
본 발명은 안경을 착용하고 운동이나 기타 활동을 할 때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착용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착용상태 그대로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안경착용자의 머리 크기, 콧날 높이, 귀에서 코까지의 거리 차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본인의 조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경다리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원형의 머리띠(100)가 형성되고, 그 머리띠의 하단에는 안경다리(300)와 고정 설치되어 안경다리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경다리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수단(20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경을 착용하고 운동이나 기타 활동을 할 때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착용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착용상태 그대로를 최대한 유지시키기 위해 안경착용자의 머리 크기, 콧날 높이, 귀에서 코까지의 거리 차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본인의 조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서 고정수단 발췌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서 고정수단 발췌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서 머리띠조절수단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서 머리띠조절수단 발췌 단면도.
본 발명은 안경을 착용하고 운동이나 기타 활동을 할 때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착용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착용상태 그대로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서 고정수단 발췌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서 고정수단 발췌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서 머리띠조절수단 발췌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에서 머리띠조절수단 발췌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머리형상과 부합하는 원형의 머리띠(100)가 형성되고, 그 머리띠(100)의 하단에는 안경다리(300)와 고정 설치되어 안경다리(30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경다리(300)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수단(20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띠(100)는 사람의 머리 상부에 착용하여 운동이나 기타 활동을 할 때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안경다리(3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고정수단(200)은 콧날 높이, 귀에서 코까지의 거리 차이에 관계없이 안경다리(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경 착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고정수단(200)의 일실시 예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띠(100)의 하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 홀(211)이 형성된 제1고정 편(210)과, 상기 안경다리(3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 홀(221)이 형성된 제2고정 편(220)과, 상기 각 관통 홀(211,221)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210,220)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210,220)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30)가 상기 각 관통 홀(211,221)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210,220)의 회전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2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210,220)을 고정하기 전에 안경다리(300)를 착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그 조절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210,22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부재(230)는, 해드부를 갖는 볼트이고, 상기 관통 홀(211,221)은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 홀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이고, 이와 같은 상기의 고정부재(230) 외에도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210,220)을 결합한 후 그 고정편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제2고정 편(220)에는 안경다리(300)가 관통하는 안경다리관통 홀(240)이 상기 제2고정 편(220)의 관통 홀(22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30)의 선단이 상기 안경다리관통 홀(240)을 관통하는 안경다리(300)의 일 측면과 접촉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길이 조절된 안경다리(300)가 그 조절 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 각각의 얼굴 크기 즉 귀에서 코까지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그 다른 거리를 조절하기 위함으로써, 그 조절방법은, 안경다리관통 홀(240)을 통하여 안경다리(300)를 밀거나 당겨 착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한 후 상기 고정부재(230)로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210,220)의 관통 홀(211,221)을 관통하며 고정하면 상기 고정부재(230)의 선단이 상기 안경다리관통 홀(240)을 관통하는 안경다리(300)의 일 측면과 긴밀히 접촉되어 상기 길이 조절된 안경다리(300)를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머리띠(100)도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하는 사람 각각의 얼굴 크기에 대응 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그 구성은, 머리띠(100)의 상부가 양분되게 형성되고, 그 양분된 머리띠(100)의 상부 일부를 상호 중첩시켜 고정한 후 상기 중첩된 부분을 고정 력을 조정하여 머리띠(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머리띠조절수단(110)이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머리띠조절수단(110)은, 머리띠(100)의 중첩된 부분을 수용하는 케이스(111)와, 그 케이스(111)의 내부 상/하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띠(100)의 중첩부분 반대 면에는 상기 결합부(112)와 결합되는 결합구(10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11)의 상부에는 상기 중첩된 머리띠(100)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구(120)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구(120)는 머리띠(100)의 중첩된 부분을 통하여 길이 조절한 후 그 조절된 머리띠(100)의 중첩부분에 가압구(120)를 통하여 가압함으로써 머리띠(100)의 길이 조절이 변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압구(120)는 볼트로써 그 볼트의 선단이 상기 머리띠(100)의 케이스(111)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머리띠(100)의 중첩부분을 누름으로써 고정 력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머리띠(1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양분되게 형성시켜 머리띠(100)의 착용감을 높임은 물론, 착용을 안정성을 기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경다리 고정 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경을 착용하고 운동이나 기타 활동을 할 때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착용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착용상태 그대로를 최대한 유지시켜 운동은 물론, 활동을 편하게 할 수 있고, 안경은 코걸이가 있는 안경이거나 코걸이가 없는 안경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머리띠 101 : 결합구
110 : 머리띠조절수단 111 : 케이스
112 : 결합부 120 : 가압구
200 ; 고정수단 210 : 제1고정 편
211 : 관통 홀 220 : 제2고정 편
211 : 관통 홀 230 : 고정부재
300 : 안경다리

Claims (6)

  1. 사람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원형의 머리띠(100)가 형성되고, 그 머리띠의 하단에는 안경다리(300)와 고정 설치되어 안경다리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경다리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수단(20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0)은, 머리띠(100)의 하단에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 홀(211)이 형성된 제1고정 편(210)과, 상기 안경다리의 후방에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 홀(221)이 형성된 제2고정 편(220)과, 상기 각 관통 홀(211,221)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편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부재(230)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 편(220)에는 안경다리(300)가 관통하는 안경다리관통 홀(240)이 상기 제2고정 편(220)의 관통 홀(22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30)의 선단이 상기 안경다리관통 홀(240)을 관통하는 안경다리(300)의 일 측면과 접촉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띠(100)는, 상부가 양분되게 형성되고, 그 양분된 머리띠의 상부 일부를 상호 중첩시켜 고정한 후 상기 중첩된 부분을 고정 력을 조정하여 머리띠의 길이를 조절하는 머리띠조절수단(1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띠조절수단(110)은, 머리띠의 중첩된 부분을 수용하는 케이스(111)와, 그 케이스의 내부 상/하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띠의 중첩부분 반대 면에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구(10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중첩된 머리띠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구(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띠는 하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양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고정 장치.
KR1020180123880A 2018-10-17 2018-10-17 안경다리 고정 장치 KR20200043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80A KR20200043149A (ko) 2018-10-17 2018-10-17 안경다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80A KR20200043149A (ko) 2018-10-17 2018-10-17 안경다리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149A true KR20200043149A (ko) 2020-04-27

Family

ID=7046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880A KR20200043149A (ko) 2018-10-17 2018-10-17 안경다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31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072U (ko) 2021-02-15 2022-08-24 최태호 마스크 착용기능을 갖는 안경다리
KR20220162449A (ko) 2021-06-01 2022-12-08 정재선 안경 착용 기구
KR102520915B1 (ko) 2022-11-25 2023-04-12 주식회사 사이트글라스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WO2023067299A1 (en) * 2021-10-20 2023-04-27 Gamlin Herbert Spectacles supporting headb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331U (ko) 2008-09-16 2010-03-25 이원준 콧등에 닿지 않는 안경
KR200454769Y1 (ko) 2010-10-19 2011-07-25 김명열 안경 다리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331U (ko) 2008-09-16 2010-03-25 이원준 콧등에 닿지 않는 안경
KR200454769Y1 (ko) 2010-10-19 2011-07-25 김명열 안경 다리 지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072U (ko) 2021-02-15 2022-08-24 최태호 마스크 착용기능을 갖는 안경다리
KR20220162449A (ko) 2021-06-01 2022-12-08 정재선 안경 착용 기구
WO2023067299A1 (en) * 2021-10-20 2023-04-27 Gamlin Herbert Spectacles supporting headband
KR102520915B1 (ko) 2022-11-25 2023-04-12 주식회사 사이트글라스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3149A (ko) 안경다리 고정 장치
US11474375B1 (en) Temple mounted eyeglass fram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3037616A1 (fr) Headrest device with elastic means for return to a nominal position
KR20180063726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200454769Y1 (ko) 안경 다리 지지대
CN106918912B (zh) 一种头戴设备
CN209821523U (zh) 一种眼镜鼻托装置
CA2850721C (en) Noninvasive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sleep-position related eye loads
CN211577585U (zh) 一种眼科护理眼部防护镜
CN206096626U (zh) 一种vr头盔
KR101562750B1 (ko) 머리고정형 안경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CN209044190U (zh) 一种安全舒适的vr眼镜
US3069511A (en) Mouthpiece positioning and mounting apparatus
KR20130010158A (ko) 안경다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
KR101288086B1 (ko) 안경다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테
CN208188510U (zh) 一种近视眼镜
WO2020019733A1 (zh) 一种眼镜
CN206339789U (zh) 一种vr眼镜的支撑构件
CN201017112Y (zh) 一种佩戴舒适的眼镜
KR1025626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CN220085185U (zh) 一种鼻托便于调节的眼镜结构
CN219108787U (zh) 一种可调节的头挂式医用防护口罩
CN205374909U (zh) 镜腿调整件
CN201047888Y (zh) 鞍式镜托眼镜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