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15B1 -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 Google Patents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15B1
KR102520915B1 KR1020220160671A KR20220160671A KR102520915B1 KR 102520915 B1 KR102520915 B1 KR 102520915B1 KR 1020220160671 A KR1020220160671 A KR 1020220160671A KR 20220160671 A KR20220160671 A KR 20220160671A KR 102520915 B1 KR102520915 B1 KR 102520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headset
ear
protector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지호
이강재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트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트글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트글라스
Priority to KR102022016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셋의 밴드부에 글라스 보호구가 구비되고, 글라스의 다리부 끝단이 헤드셋의 이어부에 고정되고, 글라스가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되, 사용자 눈의 정면으로 내려지거나, 밴드부로 올려지면 글라스 보호구에 삽입되는,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글라스와 상기 글라스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구성되는 글라스 모듈; 사람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사람의 귀를 감싸거나 사람의 귀 위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 이어부; 상기 이어부 또는 상기 이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밴드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보호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헤드셋의 밴드부에 글라스 보호구를 구비함으로써,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때 글라스를 회전시켜 보호구에 삽입하여 글라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 A headset type glass device with glass shield }
본 발명은 헤드셋의 밴드부에 글라스 보호구가 구비되고, 글라스의 다리부 끝단이 헤드셋의 이어부에 고정되고, 글라스가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되, 사용자 눈의 정면으로 내려지거나, 밴드부로 올려지면 글라스 보호구에 삽입되는,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다리는 귀에 걸치게 되어 있고, 이렇게 귀에 걸치는 안경다리만으로는 안경을 완전하게 얼굴에 지지할 수가 없기 때문에, 안경알의 내측 선단에 속칭 '코다리'라 하는 보조 다리를 설치하여, 안경에서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가는 안경알을 콧등에 지지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안경은 안경알을 지지하는 코다리가 콧등의 윗부분을 누르기 때문에, 콧등 부분이 피로하여 심하면 두통도 따르고 눈이 피로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은 눈이 피곤할 때 간헐적으로 안경알을 들어올려서 코다리가 콧등에서 떨어지게 함으로써, 콧등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피로를 줄이게 한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코다리가 콧등에서 벗어나면 안경알의 초점이 맞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안경의 착용상태가 이상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코다리를 제거하면 안경알을 제대로 얼굴에 지지할 수가 없기 때문에 안경을 정확하게 착용할 수가 없고, 안경알을 지탱할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 밴드를 형성하고 헤드 밴드에 안경 다리를 고정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헤드폰 등 음향 기기와 해당 기기에 안경을 장착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3,4].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안경 등 글라스를 보호하는 구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안경 등 글라스는 유리로 구성되므로 깨지기 쉽고 기스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안경 등 글라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안경집 등 보관함에 넣어 보관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안경 등 글라스가 헤드 밴드에 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글라스만 별도로 보관함에 넣어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43149호 (2020.04.27.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2093933호 (2020.03.26.공고)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181945호 (2017.10.05.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37023호 (2021.11.17.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셋의 밴드부에 글라스 보호구가 구비되고, 글라스의 다리부 끝단이 헤드셋의 이어부에 고정되고, 글라스가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되, 사용자 눈의 정면으로 내려지거나, 밴드부로 올려지면 글라스 보호구에 삽입되는,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의 다리부를 고정하는 회전모듈에 대하여, 회전모듈이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여, 각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회전모듈을 전후로 조정하게 하고, 조정되더라도 글라스를 회전시켜 글라스 보호구에 삽입하게 하는,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글라스와 상기 글라스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구성되는 글라스 모듈; 사람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사람의 귀를 감싸거나 사람의 귀 위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 이어부; 상기 이어부 또는 상기 이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밴드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보호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횡단면이 채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채널의 전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의 내부 높이는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되는 높이 d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1]
Figure 112022126643639-pat00001
단, h는 글라스의 높이이고, H는 다리부의 길이이고, D는 슬라이딩 가이드의 길이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의하면, 헤드셋의 밴드부에 글라스 보호구를 구비함으로써,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때 글라스를 회전시켜 보호구에 삽입하여 글라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의하면, 글라스 다리부를 고정하는 회전모듈을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각자의 얼굴 크기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조절된 상태에서도 글라스를 회전시켜 바로 보호구에 삽입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글라스를 항상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대한 정면도로서, 글라스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대한 정면도로서, 글라스를 보호구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글라스 장치의 회전모듈을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글라스 장치의 회전모듈을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의 높이를 산출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글라스 장치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헤드셋 글라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헤드셋 글라스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헤드셋 글라스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5와 도 6은 헤드셋 글라스 장치의 회전모듈을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는 글라스 모듈(10), 헤드셋 모듈(20), 보호구(30), 및, 고정부(40)로 구성된다.
먼저, 글라스 모듈(10)은 안경 등 글라스(11)와, 글라스(11)를 지지하는 다리부(12)로 구성된다.
글라스(11)는 안경, 또는, 스마트 글라스 등이다. 즉, 글라스(11)는 통상의 안경일 수 있다. 또한, 글라스(11)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글라스일 수 있다.
또한, 글라스(11)는 양쪽 눈 모두를 위해, 글라스 모듈(10)의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1개의 눈만을 위해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리부(12)는 글라스(11)를 지지하는 다리로서, 그 끝단은 고정부(4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헤드셋 모듈(20)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부(21), 사용자의 귀를 감싸거나 사용자의 귀 위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 이어부(22), 및, 밴드부(21)와 이어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로 구성된다.
밴드부(21)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밴드부(21)는 탄력성을 가진 재료(금속, 플라스틱 등)로 구성되고 통상의 사람의 머리 보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밴드부(21)를 머리에 장착할 때, 밴드부(21)를 벌려 머리에 장착한다. 그리고 밴드부(21)의 안쪽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밴드부(21)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된다.
또한, 밴드부(21)의 양측 끝단에는 2개의 연결부(23) 및 이어부(22)가 연결된다. 특히, 연결부(23)는 일단이 밴드부(21)와 연결되고, 타단이 이어부(22)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양측의 연결부(23) 각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연결부(23) 각각에 이어부(22)가 연결된다. 즉, 이어부(22)도 밴드부(21)의 양측 방향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이어부(22)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거나 사용자의 귀 위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이어부(22)는 사용자의 귀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이어부(22)는 사용자의 귀의 윗부분만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부(21)가 사용자의 머리에 안착되고 아래 부분에서 이어부(22)가 압착되어, 헤드셋 모듈(20)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밴드부(21)의 안쪽 방향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이어부(22)가 사용자의 귀 또는 귀 윗부분을 압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어부(22)는 사용자의 귀에 다양한 레벨들의 편안함/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가죽, 플라스틱 등)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귀에 오디오를 전달하기 위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미도시)들이 양측의 이어부(22)에 각각 통합될 수 있다. 오디오는 다양한 연결들(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오디오 스피커들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스피커 모듈은 이어부(22)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특허문헌 3]. 또한, 이어부(22)가 사용자의 귀의 윗부분만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스피커 모듈은 이어폰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이어폰 형태의 스피커 모듈을 귀 구멍에 끼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호구(30)는 밴드부(21)의 상단에 구비되고, 보호구(30)의 길이 방향이 밴드부(21)의 길이 방향과 같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특히, 보호구(30)는 횡단면이 채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채널의 전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채널은 그 횡단면이 ㄷ자형으로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유선형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글라스 모듈(10)이 머리 윗 방향으로 회전되어, 글라스(11)가 보호구(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보호구(30)의 개방된 전방 방향으로 글라스(11)가 들어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보호구(30)는 글라스(11)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플라스틱 등)로 구성된다.
또한, 보호구(30)의 너비는 글라스(11)의 높이(또는 안경 높이)로 형성되거나, 이보다 약간 크도록(사전에 정해진 여유 길이 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정부(40)는 이어부(22) 또는 이어부(22)의 상부에 장착되고, 글라스 모듈(10)의 다리부(1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40)는 양측 이어부(22)(또는 그 상부)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글라스(11)가 한 측에만 형성되는 경우, 글라스(11)가 형성된 일측 방향의 이어부(22)(또는 그 상부)에만 고정부(4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40)는 다리부(12)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회전모듈(41), 및, 회전모듈(41)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42)로 구성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모듈(41)은 다리부(12)를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고정된 부분 또는 회전모듈(41)이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회전모듈(41)은 수직 방향에서 전방 수평 방향까지 사이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평 방향이나 수직 방향에서 사전에 정해진 오차(또는 조정각) 이내로 조정할 수 있도록 회전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모듈(41)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면, 수평 방향에서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면 조정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 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40)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42)를 구비하고, 회전모듈(41)이 슬라이딩 가이드(42)를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모듈(41)을 슬라이딩 가이드(42)를 따라 이동시키면, 해당 위치에서 회전모듈(41)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는 회전모듈(41)을 이동시킨 후,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회전모듈(41)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모듈(4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회전모듈(41)에서 보호구(30)까지의 높이는 항상 일정하므로, 글라스 모듈(10)은 회전되면 항상 보호구(3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런데,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얇은 경우, 회전모듈(41)이 전방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 글라스(11)가 사용자의 눈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모듈(41)을 슬라이딩 가이드(42)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글라스(11)를 사용자의 눈 직전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두꺼운 경우, 회전모듈(41)이 전방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 글라스(11)가 사용자의 얼굴 안쪽으로 들어와, 사실상 글라스(11)를 내릴 수 없는 상태이다. 이 경우,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모듈(41)을 슬라이딩 가이드(42)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글라스(11)를 사용자의 눈 직전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각 사용자의 얼굴에 맞게 회전모듈(4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켜놓으면, 각 사용자는 회전모듈(41)에 고정된 글라스 모듈(10)을 회전시켜, 언제라도 글라스(11)를 눈 직전에 위치시켜 사용하거나, 글라스(11)를 보호구(30)에 삽입하여 보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구(30)의 채널 높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회전모듈(41)을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시켰을 경우 글라스 모듈(10)이 보호구(40)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다리부(12)가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와, 글라스(11)가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는 θ로서 동일하다.
따라서 도 7(a)에서 위의 sinθ 와 아래의 sinθ는 동일하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2126643639-pat00002
여기서, h는 글라스의 높이이고, H는 글라스 다리부의 길이이다. 또한, d는 보호구 내에서 기울어진 글라스의 최대 높이이고, D는 슬라이딩 가이드의 길이(또는 회전모듈의 최대 이동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앞서 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2126643639-pat00003
여기서, d는 보호구 내에서 글라스가 최대로 기울어졌을 때의 높이, 즉, 기울어진 글라스의 최대 높이다. 따라서 보호구의 내부 높이는 적어도 d로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수학식 2를 보면, 보호구의 높이 d는 슬라이딩 가이드의 길이 D에서, 다리부의 길이 대비 글라스의 높이의 비율 만큼의 크기이다. 다리부의 길이 대비 글라스의 높이의 비율은 약 1/3 정도 되므로, 보호구의 높이 d는 사실상 그리 크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글라스 장치는 보호구(30)를 구비하므로, 글라스(11)를 사용하지 않을 때 글라스(11)를 보호구(30)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글라스(11)가 보호구(30)에 삽입되어 안전한 상태이므로, 헤드셋 글라스 장치를 안전하게 목에 걸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글라스 모듈 11 : 글라스
12 : 다리부
20 : 헤드셋 모듈 21 : 밴드부
22 : 이어부 23 : 연결부
30 : 보호구
40 : 고정부 41 : 회전모듈
42 : 슬라이딩 가이드

Claims (5)

  1.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에 있어서,
    글라스와 상기 글라스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구성되는 글라스 모듈;
    사람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사람의 귀를 감싸거나 사람의 귀 위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 이어부;
    상기 이어부 또는 상기 이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밴드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보호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구는 횡단면이 채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채널의 전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의 내부 높이는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되는 높이 d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수식 1]
    Figure 112022126643639-pat00004

    단, h는 글라스의 높이이고, H는 다리부의 길이이고, D는 슬라이딩 가이드의 길이임.
KR1020220160671A 2022-11-25 2022-11-25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KR10252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671A KR102520915B1 (ko) 2022-11-25 2022-11-25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671A KR102520915B1 (ko) 2022-11-25 2022-11-25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915B1 true KR102520915B1 (ko) 2023-04-12

Family

ID=8598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671A KR102520915B1 (ko) 2022-11-25 2022-11-25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506A (ko) * 2009-07-20 2011-01-27 윤철기 선그라스가 구비된 헤드셋
JP2017181945A (ja)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および眼鏡装着用アタッチメント
KR102093933B1 (ko) 2019-12-02 2020-03-26 (주)자이언 이어폰을 안경테에 장착하는 기구
KR20200043149A (ko) 2018-10-17 2020-04-27 허은희 안경다리 고정 장치
KR20210137023A (ko) 2019-02-06 2021-11-17 제이콥 야샤 그루벤 변환가능한 헤드폰/시각적 체험 장치
KR102406626B1 (ko) * 2021-04-28 2022-07-05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506A (ko) * 2009-07-20 2011-01-27 윤철기 선그라스가 구비된 헤드셋
JP2017181945A (ja)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および眼鏡装着用アタッチメント
KR20200043149A (ko) 2018-10-17 2020-04-27 허은희 안경다리 고정 장치
KR20210137023A (ko) 2019-02-06 2021-11-17 제이콥 야샤 그루벤 변환가능한 헤드폰/시각적 체험 장치
KR102093933B1 (ko) 2019-12-02 2020-03-26 (주)자이언 이어폰을 안경테에 장착하는 기구
KR102406626B1 (ko) * 2021-04-28 2022-07-05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6089A (en) Combined eye covering and ear covering assembly
US6176576B1 (en) Eyewear supported by a wearer's concha of an ear
US5278999A (en) Combined ear and eye protection device
EP1853129B1 (en) Safety eyewear
US5892564A (en) Eyeglass headphone combination
US8286269B2 (en) Hard hat with attached safety glasses
AU742354B2 (en) Eyesight protection apparatus with attached earplugs
US9168176B2 (en) Combination ear and eye prote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US5579400A (en) Headphones
US20110209273A1 (en) Safety Apparatus
US20070253588A1 (en) Eyewear device with signal communicative members
US11446183B2 (en) Ear cover assembly
US20180292674A1 (en) Eyeglass cushioning device and method
CN211061803U (zh) 智能眼镜
US10420678B2 (en) Safety glasses
JP2020520574A5 (ko)
JP5876531B2 (ja) 眼鏡曇り防止器具
KR102520915B1 (ko) 보호구가 구비된 헤드셋형 글라스 장치
US5850637A (en) Pliable eyeglass attachment for deflecting wind around the ear
GB2209923A (en) A combined ear and eye protector unit
TWM553618U (zh) 耳罩組件
US7407282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CA2101231A1 (en) Pilot/safety glasses
JP4307372B2 (ja) ヘッドホン
GB2343263A (en) Eyewear with ear support and spread adjustment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