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432A -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432A
KR20200042432A KR1020190127570A KR20190127570A KR20200042432A KR 20200042432 A KR20200042432 A KR 20200042432A KR 1020190127570 A KR1020190127570 A KR 1020190127570A KR 20190127570 A KR20190127570 A KR 20190127570A KR 20200042432 A KR20200042432 A KR 20200042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adjustment
wire
adjus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100B1 (ko
Inventor
문성혁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9/0135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80792A1/ko
Publication of KR20200042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3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안구의 외안근(외직근, 내직근, 상사근, 하사근)을 중앙에 두고, 상하 또는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며, 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으로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중공에 구비되고, 일측단이 시술안구와 외안근을 묶은 조정사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편에서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어, 상기 조정사와 연결된 와이어의 장력 조정으로, 시술안구 중 조정사가 묶인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시술안구 중 조정사가 묶인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정밀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assist device for adjustment surgery}
본 발명은 사시를 교정하기 위한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정 봉합술에 의해 시술안구 및 외안근을 묶은 조정사(실)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시술안구 중 조정사가 묶인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정밀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시(strabismus) 수술의 기본 원리는 안구에 붙어있는 외안근의 힘을 변화시켜 안구의 정렬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외안근의 힘을 변화시키는 수술적 대표적인 방법은 외안근을 원부착부에서 떼어낸 뒤 후전된 위치에 다시 붙여 힘을 약화시키거나, 외안근의 일부를 잘라낸 뒤 다시 원부착부에 붙여 힘을 강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사시를 약화시키거나 강화시키기 위한 수술량을 정할 때는 사시각에 따른 수술자의 경험과 가이드 테이블을 이용하게 된다.
대부분의 사시는 이를 통해서 큰 오차 없이 수술의 성공을 이룰 수 있으나, 하지만 마비 사시, 갑상선안병증과 관련된 사시, 근무력증과 같은 근육의 힘이 일정하지 않는 사시에서는 정해진 수술량에 따른 수술결과가 일치하지 않아서 성인이나, 협조가 좋은 아이들에서는 수술 후, 깨어난 뒤 일정 시간 안에 사시각을 재어서 다시 조정을 하는 조정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다.
흔히 사용하는 조정 봉합술의 방법으로는 슬라이딩 루즈 텍닉(sliding loose technique)과, 볼-타이 텍닉(bow-tie technique)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조정봉합을 위해서는 프리즘 교대 가림 검사를 통해 사시각을 재어 수술이 강하거나 약함을 파악하고, 수술 중 조정봉합술로 묶어놓은 실(조정사)을 이용하여 적당량 조정 봉합을 하게 된다.
이런 조정봉합 단계는 수술자의 감으로 조정을 하게 되어 여러 차례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게 되어 환자 및 수술자에게는 시술의 번거로움이 따르며, 시간도 많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자신의 증상 (복시 등등)이 없어질 때까지 자기가 조정을 하거나, 수술자가 간편하게 조정봉합을 시행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8-0037565호(2018.04.12)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시를 교정하기 위한 조정 봉합술에 의해 시술안구 및 외안근을 묶은 조정사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조정사의 장력 조절로 시술안구 중 조정사가 묶인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일정 간격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는 시술안구의 외안근을 중앙에 두고, 상하 또는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며, 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으로 형성된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중공에 구비되고, 일측단이 외안근의 일단과 연결된 조정사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편에서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어 조정사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외안근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내관은 시술안구의 위 눈꺼풀 및 아래 눈꺼풀을 벌려 개안하는 지지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는 한 쌍으로, 그 일측단이 위 눈꺼풀의 테두리 및 아래 눈꺼풀의 테두리에 각각 접하면서 이격시켜 시술안구가 개안되도록 하고, 그 타측단은 시술안구의 외측방향을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들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격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이어의 일측단에는 상기 조정사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정사가 일단이 상기 외안근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실은 서로 묶여 교차되어 상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내관은 그 일측단이 조정사의 묶인 교차지점을 향하게 절곡 형성되고, 시술안구의 눈동자를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서 사각형의 모서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안내관의 일측단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안내관에서 나온 와이어를 상기 조정사의 교차지점으로 수직형태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정수단은 원통형으로 사용자가 조작하면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하부에 결합되고, 원통형의 수용공간 내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다이얼의 축과 연결되고, 상기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릴과,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다이얼의 축과 연결되고, 주변에 돌출 형성된 래칫를 상기 케이스의 톱니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래칫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정수단은 원판형으로 하우징 내부에 일측편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편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구비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다이얼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릴과, 상기 다이얼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다이얼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톱니들을 형성한 래칫휠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 버튼이 돌출되고, 상기 래칫휠을 향해 돌출 형성된 래칫은 상기 래칫휠의 톱니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회전방지부재와, 상기 다이얼의 축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이 회전하면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와이어를 이용한 조정사의 장력 조절로 시술안구 중 조정사의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어, 조정 봉합 시, 사시각을 재는 단계와, 안구를 조정하는 단계를 하나의 단계로 실시되어, 시술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환자가 직접 다이얼을 조작하여 와이어를 이용한 조정사의 장력 조절로 시술안구 중 조정사가 묶인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쉽고 빠르게 조절 가능해, 주관적인 복시를 가진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셋째, 다이얼의 회전 정도(클릭)를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쉽고 빠르게 안구 정렬을 할 수 있고 정량적으로 정밀하게 안구 정렬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를 이용한 조정 봉합술의 실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관의 다른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하직근의 조정 봉합술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사용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의 조정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정수단을 상측에서 본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조정 봉합술에 의해 시술안구 및 외안근을 묶은 조정사(실)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시술안구 중 조정사가 묶인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정밀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는 한 쌍의 지지대(100)와, 안내관(120)과, 와이어(20)와, 조정수단(300)을 포함하는데,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는 시술안구의 위 눈꺼풀 및 아래 눈꺼풀 각각의 테두리에 일측단을 면접하고, 타측단은 시술안구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0)들의 일측단에는 눈꺼풀의 테두리가 수용되도록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접촉편(101)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00)들의 타측단은 서로 교접하면서 힌지(110)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110)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 방향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지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오므려진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각각의 접촉편(101)을 시술안구의 위 눈꺼풀 및 아래 눈꺼풀 각각의 테두리에 배치한 후, 힌지(110)의 축을 기준으로 한 쌍의 지지대(100)를 서로 벌려 시술안구가 개안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힌지(110)에는 토션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지지대(100)들의 타측에서 한 쌍의 지지대(100)가 서로 대향진 방향으로 항시 벌어지도록 각각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는 이격조절수단(200)을 구비하는데, 상기 이격조절수단(200)은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00)들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 후 유지시켜, 시술안구가 개안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이격조절수단(200)은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이송스크류(201) 방식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이송스크류가 직교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대(100)들 내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201)와 나사체결되는 너트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이송스크류의 선택적인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들의 이격 거리가 조절된다.
또한, 다른 예로 랙피니언 방식은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100)에 직교하게 배치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대(100)에는 상기 랙의 톱니와 상응하는 피니언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선택적인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들의 이격 거리가 조절된다.
이외에도 상기 이격조절수단(200)으로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각각의 일측에는 내부 중공을 통해 와이어(20)를 조정수단(300)으로 안내하는 안내관(120)을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관(120)은 내부가 중공을 이루는 관체로, 시술안구의 외안근(외직근, 내직근, 상사근, 하사근)을 중앙에 두고,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각각의 일측단 중, 위 눈꺼풀 및 아래 눈꺼풀 각각의 테두리가 수용되는 접촉편(101)들에 형성한다.
조정사(10)는 일단이 상기 외안근 일단의 상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실은 서로 묶여 교차되어 상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120)은 시술안구 중 조정사(10)의 묶인 교차지점으로 와이어(20)가 향하게 그 전단이 교차지점으로 향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교차지점의 상하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관(120)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00)들의 접촉편(101)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시술안구의 눈동자를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서 사각형의 모서리로 배치되어, 시술안구의 외안근 중 상직근 및 하직근, 외직근 및 내직근에 각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120)은 일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안내관(120)의 전, 후단을 통하지 않고, 상기 안내관(120)의 측방향으로부터 상기 안내관(120)의 내부 중공으로 상기 와이어(20)가 용이하게 입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안내관(120)의 일측단에는 가이드수단(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130)은 상기 안내관(120)의 일측단에서 결합지점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내관(120)에서 나온 와이어(20)를 시술안구 중 조정사의 교차지점의 상하측에서 상기 교차지점으로 수직형태로 안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수단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상기 교차지점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통상 조정 봉합술에 의해 시술안구에 묶이는 조정사(10)는 두 가닥으로 준비되는데, 시술안구 중 조정사(10)가 묶인 교차지점에서 두 가닥의 조정사(10)가 상하 수직방향이 아닌 눈동자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후술할 권취수단이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경우, 조정사의 교차지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조정 후 근육과 위치가 고정되는 조정사의 교차지점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교차지점의 상하측 수직방향에서 안내하도록 하여 권취수단이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경우 상기 외안근과 상기 조정사의 교차지점간의 거리만이 변경되고, 상기 교차지점의 위치 변화는 없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와이어(20)의 타측은 조정수단(300)의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데, 상기 조정수단(300)이 내부에 권취된 와이어(20)를 선택적으로 풀거나 감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20)의 장력이 조절되어, 상기 와이어(20)와 연결된 조정사(10) 역시 그 장력 조정에 연동하여 조정되어 시술안구의 정렬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내관(120)에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20)의 일측단에는 클램프(21)가 구비되어, 시술안구와 외안근에 묶은 조정사(10)가 클램핑되는데, 상기 클램프(21)는 일반적인 집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조정사(1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방식이면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정수단(300)은 한 쌍의 지지대(100)들의 타측편에 구비되는데, 상기 조정사(10)와 연결된 와이어(20)의 장력을 조정하여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수단(300)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들의 타측편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클립과 같은 체결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장착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수단(30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정수단(300)은 다이얼(310)과, 케이스(320)와, 권취릴(330)과, 래칫부재(34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다이얼(310)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들의 타측편에 배치되는 조정수단(300)의 케이스(320)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다이얼(310)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다이얼과 같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310)의 하부에는 케이스(320)를 결합하는데, 상기 케이스(320)는 그 하부에 상기 지지대(100)들과 체결되는 체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310)과 면접하는 중앙에는 원통형의 수용공간(32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321)은 그 상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일측면에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각각 권취릴(330)에 권취되는 상기 와이어(20)가 관통하여 입출되며, 상기 수용공간(321)은 그 내주면을 따라 톱니(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20)의 수용공간(321) 외측에는 상기 와이어(20)를 안내하는 돌기 또는 풀리 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320)의 수용공간(321)에는 권취릴(330) 및 래칫부재(340)를 수용하는데, 상기 권취릴(330)은 상기 케이스(320)의 수용공간(321)에 수용되면서 상기 다이얼(310)의 축과 연결되고, 상기 다이얼(310)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20)를 감거나 푸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20)의 장력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20)의 수용공간(321)에는 상기 권취릴(330)과 함께 다이얼(310)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부재(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래칫부재(340)는 수평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래칫(341)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다이얼(310)의 하부에서 수용공간(32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 사이에 래칫(341)가 위치되어, 상기 다이얼(310) 및 권취릴(330)의 회전을 단속한다.
상기 래칫부재(340)의 래칫(341)는 절개부에 의한 탄성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에는 굴복하여 상기 권취릴(330)이 회전되도록 하나, 상기 와이어(20)의 장력에는 저항할 수 있어 상기 다이얼(310)의 회전을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310)의 회전각도를 톱니 사이에 대응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한데, 이때 상기 다이얼(310)의 톱니와 톱니 사이를 한 클릭이라 하고, 톱니와 톱니 사이의 거리를 1mm로 형성하면, 상기 다이얼(310)은 한 클릭 당 1mm씩 조정사의 장력이 조절되어 정밀한 길이(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조정수단(300)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다이얼을 수평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는데, 도 7 및 도 8을 참조한 상기 조정수단(300)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조정수단(300)이 다이얼(310)과, 권취릴(330)과, 래칫휠(360)과, 회전방지부재(370) 및 복귀스프링(38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이얼(310)은 원판형으로 하우징(350) 내부에 일측편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편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상기 하우징(35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구비된 상기 다이얼(310)의 축(31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50)의 상면에는 상기 다이얼(310)의 일측편이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공(35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350)의 정면에는 상기 와이어(20)들을 관통시키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와이어(20)의 입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댐퍼(22)를 구비하는데, 상기 가이드댐퍼(22)는 고무재질로 상기 와이어(20)와 하우징(350) 간에 접촉하지 않도록 안내하여, 마찰로 인한 상기 와이어(2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고무재질인 가이드댐퍼(22)와 상기 와이어(20)와의 마찰로 상기 와이어(20)가 장력을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릴(330)은 상기 다이얼(310)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다이얼(3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310)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20)를 감거나 푼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50)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다이얼(310)의 일측편을 조작하여 상기 다이얼(310)을 회전시키면, 상기 다이얼(310)과 동축을 이루는 상기 권취릴(330)이 상기 다이얼(3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20)를 감거나 푼다.
상기 다이얼(310)의 회전은 상기 래칫휠(360) 및 회전방지부재(370)에 의해 단속되는데, 상기 래칫휠(360)은 상기 다이얼(310)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다이얼(31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그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톱니들을 형성하는데, 톱니와 톱니 사이의 거리를 1mm로 형성하여, 상기 다이얼(310)과 동축을 이루는 상기 래칫휠(360)은 상기 다이얼(310)의 한 클릭 당 1mm씩 조정사(20)의 장력이 조절되어 정밀한 길이(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부재(370)는 상기 하우징(350)의 상면으로 버튼(372)이 돌출되고, 상기 래칫휠(360)을 향해 돌출 형성된 래칫(371)은 상기 래칫휠(360)의 톱니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다이얼(3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310)의 축(311)에는 복귀스프링(380)을 구비하는데, 상기 복귀스프링(380)은 상기 다이얼(310)이 회전하면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50)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다이얼(310)의 일측편을 조작하여 상기 다이얼(310)을 회전시키면, 상기 다이얼(310)과 동축을 이루는 상기 권취릴(330)이 상기 다이얼(3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20)를 감거나 푼다.
이때 상기 래칫휠(360) 및 회전방지부재(370)에 의해 상기 다이얼(310)의 회전이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단속되어, 상기 와이어(20)가 상기 권취릴(330)에 감기도록만 다이얼(310)의 조작할 수 있고, 다시 와이어(20)를 풀기 위해서는 회전방지부재(370)의 버튼(372)을 조작하여 회전방지부재(370)의 래칫(371)가 상기 래칫휠(360)의 톱니에서 이탈하게 하면, 복귀스프링(380)의 탄성으로 다이얼(310)이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회전하여 와이어(20)가 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310)의 회전과 회전방지부재(370)의 조작으로 시술 중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를 조정하여 외안근의 위치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의 조정에 의하여 외안근의 위치를 조정하며 시술자는 사시 정도를 판단한다. 시술자가 상기 외안근위 위치가 적정위치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하면, 시술자는 상기 조정사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조정사와 상기 와이어의 결합을 해제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에 의한 조정 봉합 시, 사시각을 재는 단계와,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하나의 단계로 실시되어, 시술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환자가 직접 다이얼을 조작하여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조정이 가능하여, 주관적인 복시를 가진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하고, 다이얼의 회전 정도(클릭)를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쉽고 빠르게 외안근을 견인하는 조정사의 길이를 조정을 할 수 있으며 정량적으로 정밀하게 안구 정렬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조정사
20: 와이어
100: 지지대
101: 접촉편
110: 힌지
120: 안내관
130: 장력조절수단
200: 이격조절수단
300: 조정수단
310: 다이얼
320: 케이스
330: 권취릴
340: 래칫부재
350: 하우징
360: 래칫휠
370: 회전방지부재
380: 복귀스프링

Claims (8)

  1. 시술안구의 외안근을 중앙에 두고, 상하 또는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며, 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으로 형성된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중공에 구비되고, 일측단이 외안근의 일단과 연결된 조정사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편에서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어 조정사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외안근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정 봉합술 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시술안구의 위 눈꺼풀 및 아래 눈꺼풀을 벌려 개안하는 지지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는 한 쌍으로, 그 일측단이 위 눈꺼풀의 테두리 및 아래 눈꺼풀의 테두리에 각각 접하면서 이격시켜 시술안구가 개안되도록 하고, 그 타측단은 시술안구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조정 봉합술 보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들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조정 봉합술 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측단에는
    상기 조정사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조정 봉합술 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사는 일단이 상기 외안근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실은 서로 묶여 교차되어 상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내관은
    그 일측단이 조정사의 묶인 교차지점을 향하게 절곡 형성되고, 시술안구의 눈동자를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서 사각형의 모서리로 배치되는 조정 봉합술 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일측단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안내관에서 나온 와이어를 상기 조정사의 교차지점으로 수직형태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조정 봉합술 보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원통형으로 사용자가 조작하면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하부에 결합되고, 원통형의 수용공간 내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다이얼의 축과 연결되고, 상기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릴과;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다이얼의 축과 연결되고, 주변에 돌출 형성된 래칫을 상기 케이스의 톱니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래칫부재;를 포함하는 조정 봉합술 보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원판형으로 하우징 내부에 일측편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노출된 일측편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구비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다이얼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릴과;
    상기 다이얼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다이얼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톱니들을 형성한 래칫휠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 버튼이 돌출되고, 상기 래칫휠을 향해 돌출 형성된 래칫은 상기 래칫휠의 톱니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회전방지부재와;
    상기 다이얼의 축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이 회전하면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조정 봉합술 보조장치.
KR1020190127570A 2018-10-15 2019-10-15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 KR10230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3505 WO2020080792A1 (ko) 2018-10-15 2019-10-15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578 2018-10-15
KR20180122578 2018-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432A true KR20200042432A (ko) 2020-04-23
KR102303100B1 KR102303100B1 (ko) 2021-09-17

Family

ID=7047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570A KR102303100B1 (ko) 2018-10-15 2019-10-15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9034A (zh) * 2023-07-10 2023-08-08 杭州锐健马斯汀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缝合线固定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0169A (en) * 1999-08-10 2000-06-27 Turtel; Lawrence Strabismus recession clamp
JP2002508985A (ja) * 1998-01-19 2002-03-26 ワイズバンヅ リミテッド 傷を縫い合わせるための縫合糸引締め装置およびその使用のための方法
US20050125015A1 (en) * 2003-12-04 2005-06-09 Mcnally-Heintzelman Karen M. Tissue-handl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070179346A1 (en) * 2002-01-22 2007-08-02 Foulkes Richard B Ophthalmic sulcus speculum
CN205515164U (zh) * 2015-12-11 2016-08-31 黄丽萍 一种调节式限位开睑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985A (ja) * 1998-01-19 2002-03-26 ワイズバンヅ リミテッド 傷を縫い合わせるための縫合糸引締め装置およびその使用のための方法
US6080169A (en) * 1999-08-10 2000-06-27 Turtel; Lawrence Strabismus recession clamp
US20070179346A1 (en) * 2002-01-22 2007-08-02 Foulkes Richard B Ophthalmic sulcus speculum
US20050125015A1 (en) * 2003-12-04 2005-06-09 Mcnally-Heintzelman Karen M. Tissue-handl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205515164U (zh) * 2015-12-11 2016-08-31 黄丽萍 一种调节式限位开睑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9034A (zh) * 2023-07-10 2023-08-08 杭州锐健马斯汀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缝合线固定器
CN116549034B (zh) * 2023-07-10 2023-10-10 杭州锐健马斯汀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缝合线固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100B1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9345B2 (en) Device for electrostimulation
WO2020080792A1 (ko)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
US6752810B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pulling and twisting a tie onto two separated items
US5009663A (en) Method for performing a surgical closure of a skin incision or wound and mean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ampolsky Current techniques of adjustable strabismus surgery
JP5457346B2 (ja) 外科用縫合糸装置、方法、およびそれと共に用いるツール
EP0592346A1 (en) Corrective device of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DE60017295T2 (de) Vorrichtung zum Einführen einer Intraocularlinse
JP2011015996A (ja) 縫合糸ループを備える医療用組織固定デバイス
CA2000360A1 (en) Ophthalmic staple and instruments for implementing use
BRPI0517428B1 (pt) instrumento de fixação para um grampo para retalho cranial
CA2625742A1 (en) Cable and crimp for bone surgery
CN209270207U (zh) 一种耳鼻喉科诊治用头部防抖固定装置
KR20200042432A (ko) 조정 봉합술용 보조장치
US5290292A (en) Sutureless human eye globe rotation instrument
KR101442745B1 (ko) 안구 개방용 환자 고정기구
CN211094383U (zh) 泪槽沟脂肪固定缝合手术器械
CN214804943U (zh) 一种开内眼角减轻疤痕的手术器械
EP3263068B1 (en) Devices for tensioning grafts
CN215132833U (zh) 眼位训练器
KR200328695Y1 (ko) 골절치료용 와이어 고정 조임기
CN211094511U (zh) 眼部多功能剥离缝合器械
CN210078031U (zh) 一种实用性好的眼科缝合器
CN213940921U (zh) 多功能智能牵引装置
KR102639390B1 (ko) 두피 봉합용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