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757A -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757A
KR20200041757A KR1020180126909A KR20180126909A KR20200041757A KR 20200041757 A KR20200041757 A KR 20200041757A KR 1020180126909 A KR1020180126909 A KR 1020180126909A KR 20180126909 A KR20180126909 A KR 20180126909A KR 20200041757 A KR20200041757 A KR 20200041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mining
community
prof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희
최훈민
Original Assignee
김명희
최훈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희, 최훈민 filed Critical 김명희
Publication of KR2020004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06Q30/0216Investment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커뮤니티 페이지에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콘텐츠를 업로드한 작성자 단말과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해 업로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에 의해 투표가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과 투표시점을 매핑하는 단계, 및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작성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RYPTOCURRENCY MINING TYPE COMMUNITY SERIVCE SHARING PROFIT TO PROVIDER AND VOTER}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 제공자와 플랫폼 간의 수익을 정당하게 나눔과 동시에 콘텐츠의 가치에 투표한 투표자와도 콘텐츠의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미디어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콘텐츠를 유통하는 플랫폼의 다변화에서 시작되었고, 기술의 변화에 따라 유통이 모바일로도 확대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 서비스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과 더불어 큰 행태의 변화는 콘텐츠를 소통, 즉 소셜과 더불어 소비한다는 것이다. 소비자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규모의 경제가 만들어 지고, 매스미디어에 견줄만한 영향력을 키워가게 되었다. 이러한 소셜미디어의 사업구조는 제작한 콘텐츠의 조회수가 증가하게 되면 광고주로부터 지불되는 광고비를 크리에이터와 플랫폼 제공자가 나누게 되나, 크리에이터에게 분배되는 수익은 영상에 비해 현저히 낮아서 여전히 플랫폼 제공자가 독점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때, 소셜미디어 내에서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상호 운용될 수 있도록 수익을 배분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5684호(2010년04월06일 공개)에는, 소셜미디어의 수익을 분배하기 위해,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따라 수익배분율을 결정하고, 커뮤니티 운영자 및 플랫폼 제공자에게 기 설정된 비율로 수익을 배분하며, 소셜미디어의 플랫폼에서는 친구정보와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공유되고 콘텐츠가 커뮤니티 간에 추적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다만, 수익을 배분한다고 할지라도 여전히 플랫폼 제공자가 압도적인 수입을 가져가는 것이 현실이며, 좋은 콘텐츠라고 할지라도 사람들의 반응이 없어 사장되는 경우도 많아서 좋은 콘텐츠가 아닌 사람들의 반응을 쉽게 이끌어 낼 수 있는 단순히 흥미나 자극위주의 콘텐츠가 다수 생성되어 주류를 점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결과적으로 양화가 악화를 구축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당한 수익을 배분함과 동시에 초기에 콘텐츠의 가치를 알아보고 투표를 한 투표자에게까지 콘텐츠가 수익을 올리는 경우 함께 수익을 배분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소비자가 서로 상생하는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수익은 가상화폐로 부여하여 커뮤니티 내의 가상화폐의 채굴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타트업 회사에서 커뮤니티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 스타트업 단계에서부터 거래소 상장까지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뮤니티 페이지에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콘텐츠를 업로드한 작성자 단말과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해 업로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에 의해 투표가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과 투표시점을 매핑하는 단계, 및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작성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당한 수익을 배분함과 동시에 초기에 콘텐츠의 가치를 알아보고 투표를 한 투표자에게까지 콘텐츠가 수익을 올리는 경우 함께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소비자가 서로 상생하는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수익은 가상화폐로 부여하여 커뮤니티 내의 가상화폐의 채굴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타트업 회사에서 커뮤니티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 스타트업 단계에서부터 거래소 상장까지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은,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커뮤니티에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은, 커뮤니티 페이지에 글을 올림으로써 수익을 기 지정된 가상화폐로 배분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은 수익증가 아이템을 채굴코인으로 구매하고, 콘텐츠를 업로드한 수익을 더 증가시키도록 게이지를 조절하여 수익증가 아이템을 콘텐츠에 적용시키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람들이 글을 올리고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고, 공유된 글에 많은 투표가 이루어질수록 글의 가치를 증가시켜 가상화폐로 그 수익을 배분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가 업로드된 초기에 글을 포함한 콘텐츠의 가치를 알아보고 투표를 한 투표자에게도 수익이 배분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타트업 회사에서 커뮤니티를 생성 및 운영하는 것도 지원하는데, 스타트업 회사에서 발행한 고유화폐, 총량, 로드맵 등의 정보를 스타트업 단말(500)로부터 수신하여 커뮤니티 생성 등록을 받고, 커뮤니티에서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상술한 구성이 그대로 적용되어 가상화폐로 수익을 배분하도록 한다. 따라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커뮤니티의 생성을 지원하고, 그 중 하나의 커뮤니티가 스타트업 회사의 스타트업 커뮤니티일 수 있으며, 커뮤니티의 선호도 등을 가리는 투표를 통하여 선정된 스타트업 커뮤니티는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거래된 가상화폐를 스타트업 회사에서 발행한 고유화폐로 전환시킴으로써 거래소에 상장되도록 하고, 고유화폐로 전환된 가상화폐는 소각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글을 작성하는 작성자 단말(100)에서 보유한 채굴코인으로 수익증가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작성자 단말(100)에서 글을 올리고 난 후 투표로 가치가 증가할 때, 그 가치증대율을 더 높게 증가시켜주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익 및 가치가 증가하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글과 함께 게재하고, 지급된 가상화폐의 수량도 함께 게재함으로써 작성자의 글쓰기 및 콘텐츠 제공을 유도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글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와 동일한 용어로 정의한다.
여기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은,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투표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투표의 의미는 작성자가 글을 올린 것이 마음에 들거나, 좋다고 평가하는 등의 선호도의 표시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은 콘텐츠가 업로드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 예를들어 콘텐츠가 업로드된 후 일주일 이내에 투표를 한 경우, 콘텐츠의 가치가 증가하여 수익이 배분되면 이를 함께 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은,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빠르게 투표를 한 단말일수록, 즉 콘텐츠의 가치를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알아낼수록 더 많은 수익을 배분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콘텐츠의 가치를 먼저 발견한 사람은 인기가 있는 콘텐츠를 자신도 좋아하는 사람과는 구분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콘텐츠를 보는 안목과 콘텐츠의 가치를 판단하려는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기 설정된 기간 이후에 투표한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로는 수익 분배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미 인기가 있어서 가치가 올라간 콘텐츠의 수익을 투표한 모든 사람에게 배분하는 경우, 이미 가치가 인정된 콘텐츠에 무조건 투표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투표자는 자신의 투표권을 행사함으로써 콘텐츠를 발굴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은,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타트업 회사의 커뮤니티를 생성 및 운영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은 운영에 드는 비용을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지불할 수 있고, 투표자 단말(400)의 투표로 스타트업 회사에서 발행한 고유화폐를 거래소에 상장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고유화폐가 거래소에 상장되는 경우, 스타트업 커뮤니티에 거래되던 가상화폐는 고유화폐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는 복수의 커뮤니티가 존재하고, 그 중 하나는 스타트업 커뮤니티일 수 있는데, 다른 커뮤니티와 구분하기 위하여 스타트업 커뮤니티로 명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매핑부(320), 지급부(330), 적립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로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은,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작성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커뮤니티 페이지에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콘텐츠를 업로드한 작성자 단말(100)과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커뮤니티 페이지는,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플랫폼 내의 복수의 커뮤니티 내의 페이지일 수도 있고, 커뮤니티 플랫폼 자체에 존재하는 페이지일 수도 있다. 즉, 커뮤니티에 가입하지 않아도 글을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다. 물론, 커뮤니티 내에서 작성하여 공유하는 것도 포함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콘텐츠는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미지 또는 동영상만으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며, 각 구성요소 모든 조합 및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부(310)에서 커뮤니티 페이지에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콘텐츠를 업로드한 작성자 단말(100)과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할 때, 작성자 단말(100)에서 보유한 채굴코인으로 구매한 수익증가 아이템이 장착되어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작성자 단말(100)에서 수익증가 아이템의 게이지를 조절하는 경우, 조절된 게이지의 퍼센트를 반영할 수 있다. 이때, 수익증가 아이템이 장착된 콘텐츠는 수익증가 아이템이 장착되지 않은 콘텐츠보다 높은 비율의 가상화폐를 획득하고, 수익증가 아이템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익증가 아이템을 작성자 단말(100)에서 콘텐츠에 장착하는 경우, 게이지가 출력되면서 %로 그 퍼센트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작성자가 130%로 설정했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콘텐츠를 업로드했을 때보다 많은 양의 채굴(가상화폐 보상)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성자가 자신이 업로드한 콘텐츠가 인기가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는 경우 수익증가 아이템을 장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수익증가 아이템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채굴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다시 채굴코인으로 구매를 해야하기 때문이고, 인기가 없는 글을 올릴 때 수익증가 아이템을 장착했다고 가정하면 아이템의 구매비용이 수익보다 커서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인기가 없을 것이라고 확신이 드는 콘텐츠에 작성자가 수익증가 아이템을 장착하는 구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익증가 아이템이 1 만원이고, 1 만원 당 가상화폐는 1 개의 수량과 동일하고, 4 주간 사용가능하다고 가정하며 2 주마다 수익증가 아이템의 게이지는 반감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A는 B 동영상을 업로드하면서 수익증가 아이템을 장착했고, 140%로 설정하여 채굴량을 40% 더 증가시켰으며, A가 콘텐츠 + 수익증가 아이템을 업로드한 후 초기 2주동안 10만원의 순수익(플랫폼, 투표자 제외한 순수 작성자 몫)을 올렸다고 가정한다. 이때, 10만원의 순수익에 40%를 더한 140%가 자신의 채굴코인량이 된다. 이에 따라, 1 만원 당 가상화폐 1 개의 시세를 적용하면, 14개의 가상화폐를 얻을 수 있다. 즉, 만 원을 투자하여 4 만원의 이득을 본 셈이다. 그리고, 2주가 지난 경우 140%였던 게이지는 반감기를 거치면서 120%로 줄게되었고, 3주차 및 4주차에 동일한 수익을 올린다고 가정해도 10만원의 순수익에 20%를 더한 12만원, 즉 가상화폐 12개의 수익 밖에 얻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반감기를 거쳐서 게이지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5주차에는 120%였던 게이지는 100%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소멸했다(게이지 100%는 아이템 적용안한 것과 동일한 효과). 이때, 작성자는 해당 콘텐츠가 계속해서 인기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경우에는 다시 수익증가 아이템을 구매 및 장착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익증가 아이템을 구매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채굴량(콘텐츠의 보상으로 받는 가상화폐)은 작성자의 아이템 구매 및 장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게이지의 최대량이 높을수록 수익증가 아이템의 가격은 증가할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한다. 그리고, 수익증가 아이템을 판매하는 경우, 작성자와 투표자가 가진 채굴코인(콘텐츠의 보상으로 받는 가상화폐, 가상화폐와 동일한 용어로 정의한다)의 소모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매핑부(320)는,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해 업로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에 의해 투표가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과 투표시점을 매핑할 수 있다. 이때, 투표시점을 매핑하는 이유는, 기 설정된 기간 내에 더 빨리 투표한 사람이 더 많은 수익을 배분받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 설정된 기간은 1주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인기가 있는 콘텐츠가 피드로 더 많이 퍼져나가는 시스템이라면, 초기에 인기가 없는, 즉 투표수가 없거나 적은 콘텐츠는, 초기에 많은 구독자나 사용자에게 피드되지 않거나 낮은 비율로 피드가 되는데, 초기에 이러한 콘텐츠를 발견하고 가치를 인정해준 이용자에게는 해당 콘텐츠가 인기가 많아진 후에도 수익을 배분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논리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초기 콘텐츠 발견 시도가 없다면 어떠한 콘텐츠가 좋은 것인지를 알 수가 없으며, 모든 콘텐츠를 시스템상에서 또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레이팅(Rating)을 해야하기 때문에 공정하지도 않고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을 많이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글 작성자, 즉 콘텐츠 제공자 뿐만 아니라, 해당 콘텐츠의 가치를 인정해준 투표자에게도 수익을 분배하되, 콘텐츠가 업로드된 후 초기에 투표한 투표자만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수익을 분배받는 조건에 기 설정된 기간을 선정한 이유는, 인기있는 콘텐츠에 무조건적으로 투표함으로써 수익을 분배받고자 하는 사용자를 제한함으로써, 콘텐츠의 가치훼손 또는 거품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지급부(330)는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작성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수익이 100이라면, 그 중 50%는 커뮤니티 플랫폼을 제공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나머지 50% 중 30%는 작성자 단말(100)로, 나머지 20%는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로 배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가 모두 동등하게 배분받는 것이 아니라, 먼저 투표를 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배분을 가져가게 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은 일주일이고, 일주일 내에 A-B-C-D-E순으로 투표를 진행했다고 가정하면, A는 나머지 20%의 50%, B는 30%, C는 10%, D는 6%, E는 4%와 같이 등록된 순서에 따라 차등을 둘 수 있다. 덧붙여서, 무조건 처음 투표하는 투표자에게 수익배분이 발생하여 콘텐츠가 등록된 후 기 설정된 기간에 무조건 투표하는 사람을 방지하기 위해서 투표수를 제한, 예를 들어, 하루에 10개 투표가능과 같이 투표수를 제한할 수도 있다. 물론, 제한하지 않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정리하면, 지급부(330)는,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작성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할 때, 작성자 단말(100)에 지급되는 비율이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로 지급되는 비율보다 높도록 배분하고,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의 투표시점이 빠를수록 높은 비율을 가지도록 배분할 수 있다.
또한, 지급부(330)는,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작성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할 때, 콘텐츠의 소비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을 가상화폐로 환산한 실시간 가격을 업로드된 콘텐츠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작성자 단말(100)로 지급된 가상화폐의 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어느 콘텐츠가 어느 만큼의 가치를 인정받았고, 해당 가치를 가상화폐로 환산하면 어느 정도인지, 어느 정도 지급을 받았는지를 실시간으로 게재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콘텐츠 작성 및 공유를 유도할 수 있고, 동기를 자극시킬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가상화폐는,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발행한 자체 가상화폐일 수도 있고, 시중에서 거래되는 가상화폐일 수도 있으며 그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적립부(340)는, 지급부(330)에서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작성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한 후, 작성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이 획득한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쇼핑몰 페이지에서 상품구매를 하는 경우, 상품가격의 기 설정된 퍼센트에 해당하는 가상화폐를 적립금으로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성자 단말(100)이 콘텐츠를 작성 및 공유하여 가상화폐 10개를 보유하고 있고,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도 투표를 열심히 하여 가상화폐 10개(채굴코인)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 채굴코인은 작성자 및 투표자가 콘텐츠 작성 및 콘텐츠에 투표로 보상받은 가상화폐로 정의하며, 동의어로 쓰일 수 있다. 물론, 가상화폐를 법정화폐로 구매한 사람들도 존재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보상을 받은, 즉 채굴을 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며, 이에 따라 가상화폐와 채굴코인을 동의어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때, 작성자와 투표자는 스타벅스 텀블러를 구매하고자 할 때, 가상화폐 또는 법정화폐로 구매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적립금은 다시 가상화폐로 지급이 됨으로써 커뮤니티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때, 쇼핑몰은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쇼핑몰일 수도 있고, 타사 또는 타 플랫폼의 쇼핑몰일 수도 있다.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5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가 발행한 고유화폐의 이름, 화폐의 총량, 및 로드맵을 포함한 스타트업 데이터를 입력하여 스타트업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경우, 스타트업 커뮤니티에 대한 투표로 인하여 기 설정된 거래소 상장조건을 만족하면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거래된 가상화폐를 고유화폐로 지급받고 가상화폐를 소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스타트업 회사가 B 고유화폐를 발행하여 유통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B 고유화폐에 대한 설명인 로드맵, 총 발행량 등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해야 구매자가 B 고유화폐를 인지하고 구매할 것인지를 고민할 수 있다. 따라서, A 스타트업 회사가 B 고유화폐를 구매자에게 소개하고, B 고유화폐가 어떠한 플랫폼을 가지고 통용되며, 어떠한 장점이 있는지, B 고유화폐는 어떻게 사용하고 거래해야 하는지를 소비자에게 설명해야 한다. 물론, 컨퍼런스나 밋업 또는 고객센터 등을 통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설명을 할 수는 있겠지만, B 고유화폐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 간의 소통채널 및 A 스타트업 회사의 설명과 도움 등이 결합된 커뮤니티가 존재하는 경우, B 고유화폐는 더 많이 거래 및 유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커뮤니티 플랫폼을 스타트업 회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운영비용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스타트업 회사가 자신이 발행한 고유화폐를 일반인에게 소개하고 거래소에 상장까지 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때, 고유화폐는, 스타트업 회사가 발행한 암호화화폐 또는 가상화폐(이때의 가상화폐는 채굴코인을 뜻하는 것이 아님, 일반적인 가상화폐의 의미로 정의함)로 정의한다.
이때, 상장이 되는 방법은, 복수의 스타트업 커뮤니티 중 투표를 많이 받거나, 기 설정된 거래소 상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등 다양할 수 있는데, 이렇게 상장 조건을 만족하는 스타트업 회사는,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거래된 가상화폐의 수 만큼 고유화폐를 지급하게 되고,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화폐를 소각하게 된다. 또는, 거래소 등록에 대한 일정 지분을 확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신규 코인, 즉 고유화폐가 탄생할 때 거래소 상장은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운영하는 유통물량의 감소로 고유화폐의 가치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물론, 스타트업 커뮤니티에도 콘텐츠를 작성 및 공유하고, 투표함에 따른 수익을 분배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고, 작성 및 투표에 따른 프로세스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중복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스타트업 커뮤니티의 목적은 스타트업 회사에서 본인의 화폐, 즉 고유화폐를 만들고 상장을 원하는 경우, 채굴형 커뮤니티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 회사가 처음 스타트업 단계에서부터 성장하여 거래소 상장까지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작성자 단말(100)에서 콘텐츠를 작성하고 수익증가 아이템을 장착한 경우, 수익증가 아이템에서 설정된 게이지 퍼센트, 콘텐츠를 매핑하여 커뮤니티 페이지에 게재한다. (b)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에서 업로드된 콘텐츠를 소비하고 투표하여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게이지에 비례하도록 수익을 증가시키고 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커뮤니티 페이지에 공개한다. 한편, (c)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에서 해당 콘텐츠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즉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투표를 받은 콘텐츠의 수익이 발생하면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로도 수익을 배분하되, 투표자가 투표를 한 시점이 빠를수록 더 많은 수익을 배분받도록 한다.
(d) 한편,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작성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400)이 쇼핑몰 페이지에서 상품구매를 하는 경우, 상품구매를 가상화폐로 구매가능하도록 하고, 적립금이나 마일리지도 가상화폐로 지급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e) 그리고,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타트업 커뮤니티가 생성되는 경우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에 따른 서비스 비용을 스타트업 단말(500)로 청구할 수 있고, (f) 기 설정된 거래소 상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거래소 상장을 할 때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거래된 가상화폐 만큼 고유화폐의 금액을 지급받고 그 가상화폐를 소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작성자 단말(100)로부터 수익증가 아이템을 구매하는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S4100), 채굴코인으로 결제를 받고 수익증가 아이템을 제공한다(S4200). 그리고,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작성자 단말(100)에서 콘텐츠 업로드가 이루어지는 경우(S4300), 투표자 단말(400)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해 투표를 하는지를 확인하여(S4400)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투표가 이루어지는 경우(S4500) 투표시점과 투표자를 저장하고(S4600) 수익이 발생된 경우(S4700) 가상화폐의 수익을 작성자 및 투표자에게 배분한다(S4800).
한편,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타트업 단말(500)에서 스타트업 커뮤니티 생성이 요청되면(S4810), 스타트업 회사 및 고유화폐에 대한 정보를 스타트업 단말(500)로 요청하고(S4820) 그 피드백을 수신하여 정보를 등록한다(S4830). 그리고, 조회 및 투표가 이루어지는 경우(S4840),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조건을 스타트업 커뮤니티가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S4900),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거래된 가상화폐와 고유화폐를 전환하여 가상화폐를 소각한다(S4910, 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커뮤니티 페이지에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콘텐츠를 업로드한 작성자 단말과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해 업로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에 의해 투표가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과 투표시점을 매핑한다(S5200).
마지막으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작성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한다(S5300).
이와 같은 도 5의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커뮤니티 페이지에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업로드한 작성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해 상기 업로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에 의해 투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과 투표시점을 매핑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상기 작성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상기 작성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작성자 단말에 지급되는 비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지급되는 비율보다 높도록 배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의 투표시점이 빠를수록 높은 비율을 가지도록 배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상기 작성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소비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을 상기 가상화폐로 환산한 실시간 가격을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작성자 단말로 지급된 가상화폐의 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페이지에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업로드한 작성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작성자 단말에서 보유한 채굴코인으로 구매한 수익증가 아이템이 장착되어 상기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단계;
    상기 작성자 단말에서 상기 수익증가 아이템의 게이지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조절된 게이지의 퍼센트를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증가 아이템이 장착된 콘텐츠는 수익증가 아이템이 장착되지 않은 콘텐츠보다 높은 비율의 가상화폐를 획득하고, 상기 수익증가 아이템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상기 작성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작성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이 획득한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쇼핑몰 페이지에서 상품구매를 하는 경우, 상품가격의 기 설정된 퍼센트에 해당하는 가상화폐를 적립금으로 지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가 발행한 고유화폐의 이름, 화폐의 총량, 및 로드맵을 포함한 스타트업 데이터를 입력하여 스타트업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스타트업 커뮤니티에 대한 투표로 인하여 기 설정된 거래소 상장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스타트업 커뮤니티에서 거래된 상기 가상화폐를 상기 고유화폐로 지급받고 상기 가상화폐를 소각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26909A 2018-10-12 2018-10-23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41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39 2018-10-12
KR20180121639 2018-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757A true KR20200041757A (ko) 2020-04-22

Family

ID=7047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909A KR20200041757A (ko) 2018-10-12 2018-10-23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7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0316A (zh) * 2022-07-21 2022-10-25 安世亚太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知识管理的链式投票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0316A (zh) * 2022-07-21 2022-10-25 安世亚太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知识管理的链式投票方法及装置
CN115240316B (zh) * 2022-07-21 2024-04-30 安世亚太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知识管理的链式投票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115B2 (en) Mashup delivery community portal market manager
KR10036303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자료공유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00076863A1 (en) Hosting platform
CN105122284A (zh) 便于计算系统的动态和定向广告的机制
CN101523377A (zh) 将设备连接到媒体共享服务
CN101523870A (zh) 媒体共享服务中的订阅管理
CN102226916A (zh) 管理应用程序的平台、方法及设备
US91830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dget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
CN105190664A (zh) 报告移动应用的动作
US20140208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computing resource
CN109146572A (zh) 一种广告投放系统、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401887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and Using an Electronic Network-Based Voluntary Contribution System
WO2016116599A1 (en) User controlled profiles
CN106471541A (zh) 与自动生成的私人社区相关的方法和系统
KR100812045B1 (ko)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1757A (ko)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064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홈페이지 및 쇼핑몰 생성 및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6872269B2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KR20060001014A (ko) 인터넷쇼핑몰과 블로그 커뮤니티간의 쇼핑정보전송을 통한 광고 및 수익 분배모델
CN103080934A (zh) 具备灵活且动态定义的用户间关系的应用程序商城系统
KR20120113407A (ko) 소셜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상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2822854A (zh) 用于发布合成数据以便于提供作为服务的信息的系统和方法
KR20080008677A (ko) 개방형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10077488A (ko) 인터넷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102481283B1 (ko) 팬덤 활동에 대한 보상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