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540A -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 Google Patents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540A
KR20200041540A KR1020180121688A KR20180121688A KR20200041540A KR 20200041540 A KR20200041540 A KR 20200041540A KR 1020180121688 A KR1020180121688 A KR 1020180121688A KR 20180121688 A KR20180121688 A KR 20180121688A KR 20200041540 A KR20200041540 A KR 20200041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ve ion
pad
sample pad
ion permeation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922B1 (ko
Inventor
이정훈
한성일
김천중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1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9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45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샘플 패드를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에 침지하고 열처리하여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분석물의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고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는 이온 결핍 영역 및 농축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Lateral Flow Assay Strip for Preconcentration Fabricated by Infiltration Process}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 의학은 단순하게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강수명의 연장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미래의학은 치료의학 중심이 아니라,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예측의학(Predictive Medicine),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의 3P를 구현하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조기발견 및 조기 치료 등이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바이오마커(Biomarker)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마커는 정상이나 병적인 상태를 구분할 수 있거나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표지자를 말한다. 바이오마커에는 핵산(DNA, RNA), 단백질, 지방질, 대사물질 등과 그 패턴의 변화 등이 이용되고 있다. 즉, 당뇨병의 진단을 위한 혈중 포도당 같은 간단한 물질부터 글리벡의 치료 타겟인 만성골수성백혈병의 BCR-ABL 유전자 융합 같은 유전자 등이 모두 바이오마커에 해당하며 임상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바이오마커이다.
핵산 또는 단백질을 분석하여 질병의 발현 및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단백질 분석을 위한 기술 및 소자들은 나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소자의 제작이 어렵고 비교적 고가이어서 보급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백질 분석 장치에 고감도의 센서가 필요하거나 적은 양의 샘플로는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핵산 또는 단백질을 검출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크로마토그래피 방식을 이용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이다. 이러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은 임신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임신 진단 키트는 융모선 성선자극호르몬(HCG)에 결합하는 단일 클론 항체를 이용한다. HCG에만 반응하는 단일 클론 항체인 HCG 항체에 발색 물질을 부착한다. 소변 속의 HCG가 임신 진단 키트의 HCG 항체와 결합한 후 이동하다가 임신 표시 창에서는 HCG 복합체 및 HCG에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하여 붉은색 띠가 나타나고, 검사 종료 창에서는 발색 물질을 부착된 HCG 항체 및 HCG 항체에 결합하는 항체가 결합하여 붉은 색 띠가 나타난다.
HCG는 보통 농도가 높아서 감지가 용이하나, 다른 바이오마커들은 농도가 낮아서 검출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도 1은 샘플 패드에 선택적 이온 투과막이 부착된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샘플 패드에 부착된 선택적 이온 투과막에 전계를 인가한 상태를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샘플 패드(120)의 상단에 선택적 이온 교환막(130, 131, 132)을 접촉한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이온 농도 분극(Ion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 및 이온 결핍(depletion) 현상이 선택적 이온 교환막(130)과 샘플 패드(120)의 접촉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샘플 패드(120)의 두께 전체를 커버할 만큼의 결핍층(135, 136)이 형성되지 않아서 샘플 패드(120) 내에서 형성되는 농축 영역(138)의 크기가 작고 분석물을 고농도로 농축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정 분석물을 농축하는 과정에서 샘플 내에 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가 ICP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분석물을 고농도로 농축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6342호 (2018.05.2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택적 이온 투과막을 샘플 패드에 부착하는 방식이 아닌 샘플 패드를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에 침지하고 열처리하여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분석물의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고 샘플 패드의 상하 전체에서 분석물이 이동하고,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는 이온 결핍 영역 및 농축 영역을 형성하는 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샘플 내의 분석물을 측정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이용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에 있어서, 샘플 패드를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에 침지하고 열처리하여 상기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샘플 패드에 상기 샘플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샘플 패드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분석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샘플 패드에 복합 패드 또는 테스트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농축된 분석물을 상기 복합 패드 또는 상기 테스트 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샘플 내의 분석물을 측정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있어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샘플을 수용하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샘플 패드,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분석물을 포획하는 포획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패드 및 상기 테스트 패드 간의 상기 분석물의 유동 경로가 차단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샘플 패드는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는 이온 결핍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샘플 내의 분석물을 측정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있어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샘플을 수용하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샘플 패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분석물을 포획하는 포획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패드, 상기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 상기 샘플 패드, 상기 테스트 패드, 또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샘플 패드 및 상기 테스트 패드 간의 상기 분석물의 유동 경로를 차단 또는 연결하는 상태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패드는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는 이온 결핍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선택적 이온 투과막을 샘플 패드에 부착하는 방식이 아닌 샘플 패드를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에 침지하고 열처리하여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분석물의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고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는 이온 결핍 영역 및 농축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샘플 패드에 선택적 이온 투과막이 부착된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샘플 패드에 부착된 선택적 이온 투과막에 전계를 인가한 상태를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패드의 측면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갖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의 샘플 패드의 측면에 형성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전계를 인가한 상태를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의 샘플 패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의 상태 전환부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이용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이용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에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이용하여 분석물을 농축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샘플 패드의 측면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갖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의 샘플 패드의 측면에 형성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전계를 인가한 상태를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은 샘플 패드(120), 복합 패드(150), 테스트 패드(160), 및 흡수 패드(170)를 포함한다.
지지대(110)에 샘플 패드(120), 테스트 패드(160), 및 흡수 패드(170)가 고정될 수 있고, 테스트 패드(160)가 지지대(110)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샘플 패드(120)는 검출하려는 샘플을 주입하는 패드이다.
복합 패드(150)는 발색 물질에 결합된 탐지자를 포함하는 패드이다. 탐지자는 샘플 내의 분석물과 결합한다.
테스트 패드(160)는 검출 영역(162) 및 대조 영역(164)을 포함하며, 샘플 내에 분석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 샘플이 이동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흡수 패드(170)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샘플을 흡수하는 패드이다.
패드들은 모세관 현상에 반응하는 다공성 매질로 구현될 수 있다. 매질은 측방 유동에 사용될 수 있는 셀룰로스, 나이트로셀룰로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 나일론,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질은 단독 또는 다른 물질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100)은 농도가 낮은 바이오마커를 농축하기 위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를 포함한다.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에 전극이 부착될 수 있다. 샘플을 농축시키기 위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은 나피온(Nafion),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styrene Sulfonate, PSS) 또는 폴리아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은 전원에 연결된다.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박막 전극이 구비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 122)에는 와이어를 통해서 음전극, 양전극 또는 그라운드가 연결되어 양단에 전위차가 발생된다.
샘플 패드(110)는 채널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이 형성된 채널은 양성자(Proton)를 선택하여 투과시키는 일종의 나노 필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선택적 이온 투과 물질이 나피온(Nafion)인 경우 나피온의 화학 구조 중 SO3- 로 인해서 H+ 이온이 호핑(Hopping) 및 이동 메커니즘(Vehicle Mechanism)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빠르게 투과되도록 한다. 따라서, 나피온과 같은 선택적 이온 투과 물질을 통해서 채널의 특정 영역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단백질 물질들을 매우 빠른 시간에 효율적으로 농축할 수 있게 된다.
샘플 키트는 미세 기공성 물질(예컨대, hydrogel 등)을 이용하여 ICP 현상을 발생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천연 물질 또는 인공 물질로 된 미세 기공성 투과 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기공은 pore diameter>10nm, pore volume>0.6 mL/g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현되는 설계에 따라 적합한 사이즈의 미세 기공이 사용될 수 있다.
미세 기공성 물질(예컨대, nafion 등)을 샘플 패드에 침투(infiltration)시킨다. 액체 상태의 미세 기공성 물질을 샘플 패드(예컨대, 종이 등)에 침투시키고 열처리하는 방식으로 샘플 패드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의 샘플 패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두 개의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한 샘플 패드를 도시하고, 도 6은 하나의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한 샘플 패드에 선택적 이온 투과막을 부착한 샘플 패드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서 발생하는 디클리션 힘(depletion force)과 샘플 패드로부터 흡수 패드로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분석물을 농축한다.
샘플패드, 즉, 채널은 수동 모세관력(Passive Capillary Force)을 형성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물질로도 다공성 멤브레인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 122)이 측면에서 두 개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샘플 패드(120)는 샘플 패드의 일단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 및 샘플 패드의 타단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2)을 포함한다.
샘플 패드(120)에서,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 및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2)이 대향하여 위치하며,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 및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2)이 이온 결핍 영역(125, 126)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이때 양단에 배치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 122)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압차가 발생하면, 전압차에 따른 전계에 의해 유체 내에 존재하는 이온들이 각 이온의 전기적 성질과 반대인 전극 쪽으로 이끌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이온들이 전기적 성질에 따라 채널 내에서 움직이면서 점성력에 의해 유체 입자들을 같이 이끌고 가게 된다. 전체적인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유체의 이동현상을 전기삼투(Electro-Osmosis Flow, EOF)라고 하고, 이온의 움직임을 전기영동(electrophoresis, EP)이라 한다.
이러한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 및 전기삼투(Electro-Osmosis)의 특성은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으로 구현된 채널 근처에서 그 특성이 달라져, 이온 농도 분극(Ion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이 발생한다. 따라서, 채널의 반응 영역에서 음극 쪽에는 이온 결핍(Depletion)이 발생하고, 양극 쪽에서는 이온 농축(Enrichment)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결핍된 낮은 이온농도와 그에 따른 높은 전계에 의해 결핍 영역(Depletion Zone, 125, 126)이 전하(Charge)를 띈 분석물에 대해 일종의 전기적 장벽(Electric Barrier)으로 작용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분석물은 결핍 영역을 통과하지 못하고 그 앞에 농축된다. 분석물이 채널 내의 결핍 영역 앞에 매우 빠른 시간에 농축된다. 이온 농도 분극에 의한 결핍 영역의 크기는 시료의 이온 농도 분극이 진행됨에 따라 확장되므로, 분석물은 채널의 가운데 영역에 농축 영역(128)을 형성한다.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은 항체-항원 반응에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결합부위(리간드)는 다양한 분석물에 있어서 단백질 리간드 (Ligand), 핵산(DNA 또는 RNA) 분자 서열의 결합 부위 등을 포함하고, 특이적 결합물질은 결합부위에 선택적,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바이러스 파아지, 핵산분자 앱타머(Aptamer), 합텐(Hapten, DNP) 등을 포함하는 생체분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나아가 기재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 122)은 채널을 가로지르도록 샘플 패드(120)의 양단에 형성된다.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선택적 이온 투과 물질은 특정한 이온과는 잘 결합하고 서로 끌어들이지만, 다른 이온과는 잘 결합하지 않고 끌어들이지 않는 특성을 가진 물질을 말한다. 선택적 이온 투과 물질은 예를 들어 나피온(nafion)이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단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121)을 형성한 샘플 패드는 샘플 패드의 일면에 부착된 선택적 이온 투과막(123) 및 선택적 이온 투과막에 연결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의 상태 전환부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은 (i) 샘플 패드 및 테스트 패드 간에 분석물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지 않는 제1 상태에서 (ii) 샘플 패드 및 테스트 패드 간에 분석물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 전환부를 포함한다. 상태 전환부는 복합 패드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태 전환부는 분석물을 농축할 때 복합 패드 또는 테스트 패드를 분리하거나, 분석물을 검출할 때 복합 패드 또는 테스트 패드를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태 전환부는 누름(Push), 슬라이드(Slide), 회전(Turn), 시소(Seesaw), 차단막 제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동작된다.
도 7의 (a), (b), (c)는 샘플 패드에 복합 패드 또는 테스트 패드를 연결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도 7의 (d)는 누름 방식으로 동작하는 상태 전환부를 예시하고, 도 7의 (e), (f)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상태 전환부를 예시하고, 도 7의 (g)는 회전 또는 시소 방식으로 동작하는 상태 전환부를 예시하고, 도 7의 (h)는 차단막 제거 방식으로 동작하는 상태 전환부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샘플 패드는 지지대에 연결되며, 샘플을 수용한다. 샘플 패드에 형성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전원을 인가하면, 샘플 패드의 가운데에 농축 영역(222a)이 형성된다. 테스트 패드는 지지대에 연결되며, 분석물을 포획하는 포획자를 포함한다. 흡수 패드는 테스트 패드에 연결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샘플을 흡수한다. 흡수 패드의 형상, 재질 등에 따라 샘플의 이동 속도가 상이하게 된다. 흡수 패드는 길이 또는 흡수 용량을 조절하여 제작된다. 상태 전환부는 샘플 패드에 접촉되지 않도록 샘플 패드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태 전환부는 테스트 패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태 전환부는 지지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은 지지대, 샘플 패드, 테스트 패드, 상태 변환부, 및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샘플 패드는 지지대에 연결되어, 샘플을 수용하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다. 테스트 패드는 지지대에 연결되어, 분석물을 포획하는 포획자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태 변환부는 지지대, 샘플 패드, 테스트 패드, 또는 케이스에 연결되며 샘플 패드 및 테스트 패드 간의 분석물의 유동 경로를 차단 또는 연결한다.
상태 변환부는 케이스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부착 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태 변환부는 케이스에 부착시키고 케이스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상태 변환부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샘플 패드는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전계를 인가하여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는 이온 결핍 영역을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태 변환부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제1 상태는 샘플 패드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샘플 패드에 접촉하여 샘플 패드 및 테스트 패드 간에 분석물의 유동 경로를 형성한 상태이다. 상태 변환부는 샘플 패드의 농축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농축된 분석물은 상태 변환부를 거쳐 테스트 패드로 이동한다.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은 복합 패드를 포함한다. 복합 패드는 테스트 패드에 연결되며, 분석물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탐지자 및 표시자를 결합시킨 결합체를 포함한다. 복합 패드 및 상태 변환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자는 육안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이다. 표시자는 발색 물질일 수 있으며, 예컨대, 금 나노 파티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현되는 설계에 따라 적합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테스트 패드는 검출 영역 및 대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검출 영역은 복합체를 포획하는 제1 포획자를 포함한다. 즉, 검출 영역은 샘플에 분석물이 존재하는 여부를 검출한다. 대조 영역은 복합체를 형성하지 못한 결합체 또는 탐지자를 포획하는 제2 포획자를 포함한다. 즉, 대조 영역은 분석물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샘플이 이동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복합 패드에서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테스트 패드에서 포획하는 반응은 물리적 반응, 화학적 반응, 생물학적 반응,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항원-항체 반응일 수 있다.
복합 패드에서는 표시자-탐지자 결합체가 위치하고, 분석물이 복합 패드를 통과하면서 표시자-탐지자-분석물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동한 표시자-탐지자-분석물 복합체는 검출 영역에서 제1 포획자에 의해 포획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이용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9는 측방 유동 분석 방법에서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제조 과정은 제조 장치에 의하여 수행된다고 가정한다.
샘플 내의 분석물을 측정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이용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은 샘플 패드를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에 침지하고 열처리하여 상기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11), 상기 샘플 패드에 상기 샘플을 주입하는 단계(S12), 상기 샘플 패드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분석물을 농축하는 단계(S13) 및 상기 샘플 패드에 복합 패드 또는 테스트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농축된 분석물을 상기 복합 패드 또는 상기 테스트 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11)는,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레진)을 샘플 패드의 일단에 흡수시켜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고,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을 샘플 패드의 타단에 흡수시켜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S11)는,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5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열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이용하여 분석물을 농축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샘플 패드에 선택적 이온 투과막이 부착된 구조에서 분석물을 농축한 결과이고, 도 11은 샘플 패드의 일측면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갖는 샘플 패드에서 분석물을 농축한 결과이고, 도 11 및 도 12는 샘플 패드의 일측면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갖는 샘플 패드와 샘플 패드의 양측면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갖는 샘플 패드에서 분석물을 농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나피온과 샘플 패드의 접촉면에서만 국부적으로 ICP, depletion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즉, 나피온과 샘플 패드를 부착한 방식으로 구현된 구조는 샘플 패드의 두께 전체에 걸쳐서 결핍 영역 및 농축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샘플 패드의 상단에 나피온이 부착된 구조는 상하좌우 4방향 중에서 1방향에만 복수의 나피온이 이격 설치되어 분석물에 가해지는 힘이 'U' 모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힘이 분산되고 샘플 패드의 두께 전체를 커버하기 곤란하며, 농축비에 한계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샘플 패드의 일측면에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의 두께를 갖도록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여, ICP, depletion 현상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1%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버퍼를 이용했을 때 1X PBS 조건에서도 약 10배에 가까운 농축비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한 샘플 패드는 상하좌우 4방향 중에서 가까운 2방향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과 투과막이 이격 설치되어 가해지는 힘이 'L' 모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샘플 패드의 일측면의 두께 전체를 커버할 수 있고, 이동 경로를 직선화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농축된 분석물의 이동 경로를 참조하면, 나피온을 샘플 패드의 전계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에 습윤(infiltration)시켜 전계를 인가하면 샘플 패드의 일단에 습윤시켰을 때보다 농축비 및 이온 농도 분극(ion concentration polarization) 현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하좌우 4방향 중에서 대향하는 2방향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이격 형성하여 가해지는 힘이 '-' 모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힘의 분산없이 샘플 패드의 양측면의 두께 전체에 걸쳐 힘을 집중할 수 있고, 분석물의 이동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압, 전계, 간격 등에 관한 매칭표를 구성하여, 분석물에 따라 적절하게 농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Voltage - 100 V, Sample buffer - 1X PBS with 1% (v/v ration) Tween 20, Time - 10 min, Sample volume - 30 uL, Detection time - conjugate pad 연결 후 3분 이내, Electrode - Ag/AgCl electrode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분석물인 바이오마커를 이온 농도 분극(Ion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을 통해 분리하고 분석물을 몇 배 이상 농축함으로써, 일반 스트립에서 검출되지 않는 바이오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이오마커는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 등의 hormone 뿐만 아니라 Protein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심근경색 바이오마커 - troponin, 알츠하이머 바이오마커 - amyloid beta, 유방암 바이오마커 - HER2 등 많은 바이오마커를 농축하여 민감도(sensitivity)를 향상할 수 있다.
비색분석(colorimetric)을 이용하여 분석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 후 휴대폰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이용한 색깔의 분석 및 정량화할 수 있다. 이미지 내의 색상의 선명도(intensity)를 측정하거나 수치(hue value)로 표현할 수 있다. 형광 분석, 즉 키트 내에 형광을 발하는 물질을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지지대 120: 샘플 패드
121: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122: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125, 126: 결핍 영역 128: 농축 영역
150: 복합 패드 160: 테스트 패드
162: 검출 영역 164: 대조 영역
170: 흡수 패드

Claims (15)

  1. 샘플 내의 분석물을 측정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이용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에 있어서,
    샘플 패드를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에 침지하고 열처리하여 상기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샘플 패드에 상기 샘플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샘플 패드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분석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샘플 패드에 복합 패드 또는 테스트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농축된 분석물을 상기 복합 패드 또는 상기 테스트 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방 유동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을 상기 샘플 패드의 일단에 흡수시켜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적 이온 투과 용액을 상기 샘플 패드의 타단에 흡수시켜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의 일부에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5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방법.
  4. 샘플 내의 분석물을 측정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있어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샘플을 수용하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샘플 패드;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분석물을 포획하는 포획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패드 및 상기 테스트 패드 간의 상기 분석물의 유동 경로가 차단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샘플 패드는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는 이온 결핍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의 상기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부착된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는 상기 샘플 패드의 일단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상기 샘플 패드의 타단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는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이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은 상기 이온 결핍 영역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의 일면에 부착된 선택적 이온 투과막 및 상기 선택적 이온 투과막에 연결된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9. 제4항에 있어서,
    (i) 상기 샘플 패드 및 상기 테스트 패드 간에 상기 분석물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지 않는 제1 상태에서 (ii) 상기 샘플 패드 및 상기 테스트 패드 간에 상기 분석물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 전환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전환부는 누름(Push), 슬라이드(Slide), 회전(Turn), 시소(Seesaw), 차단막 제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분석물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탐지자 및 표시자를 결합시킨 결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패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패드는, (i) 상기 복합체를 포획하는 제1 포획자를 포함하는 검출 영역 및/또는 (ii) 상기 복합체를 형성하지 못한 상기 결합체 또는 상기 탐지자를 포획하는 제2 포획자를 포함하는 대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패드에 연결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샘플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13. 샘플 내의 분석물을 측정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에 있어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샘플을 수용하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샘플 패드;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분석물을 포획하는 포획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패드;
    상기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 상기 샘플 패드, 상기 테스트 패드, 또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샘플 패드 및 상기 테스트 패드 간의 상기 분석물의 유동 경로를 차단 또는 연결하는 상태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패드는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에 전계를 인가하여 상기 샘플 패드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는 이온 결핍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는 상기 샘플 패드의 일단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상기 샘플 패드의 타단의 두께만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드는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이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선택적 이온 투과 영역은 상기 이온 결핍 영역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KR1020180121688A 2018-10-12 2018-10-12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KR10218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88A KR102185922B1 (ko) 2018-10-12 2018-10-12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88A KR102185922B1 (ko) 2018-10-12 2018-10-12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40A true KR20200041540A (ko) 2020-04-22
KR102185922B1 KR102185922B1 (ko) 2020-12-02

Family

ID=7047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688A KR102185922B1 (ko) 2018-10-12 2018-10-12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30A (ko) * 2021-06-17 2022-12-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이온 농도 변화에 강인하고 이온 농도 분극을 이용하여 샘플을 농축 및 검출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4811A1 (en) * 2005-12-13 2007-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ering technique for lateral flow assay devices
KR20150083722A (ko) * 2014-01-10 2015-07-2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세관을 이용한 단백질 농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0661A (ko) * 2015-01-22 2016-08-0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세관을 이용한 단백질 농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축 방법
KR20180056342A (ko)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켈스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용 농축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4811A1 (en) * 2005-12-13 2007-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ering technique for lateral flow assay devices
KR20150083722A (ko) * 2014-01-10 2015-07-2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세관을 이용한 단백질 농축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0661A (ko) * 2015-01-22 2016-08-0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세관을 이용한 단백질 농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축 방법
KR20180056342A (ko)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켈스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용 농축 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ab on a Chip, vol 16, pp. 2219-2227 (2016.05.05.)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30A (ko) * 2021-06-17 2022-12-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이온 농도 변화에 강인하고 이온 농도 분극을 이용하여 샘플을 농축 및 검출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922B1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4128B (zh) 侧流分析条用浓缩试剂盒
US9523684B2 (en)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and detecting constituents in a fluid sample
US9744532B2 (en) Multi-directional microfluidic devices comprising a pan-capture binding reg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6067572B2 (ja) タンパク質再生マイクロ流体デバイス、及びそれを製造して使用する方法
KR102207848B1 (ko) 마이크로채널내의 생체 시료 속도 및 위치제어를 통한 샘플 농축 및 분리 장치
CN111468196B (zh) 诊断套件、用于侧流测定装置的插入物及检测方法
Yang et al. Microdevices integrating affinity columns and capillary electrophoresis for multibiomarker analysis in human serum
US20170184543A1 (en) Isotachophoretic device and methods
KR102185922B1 (ko)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KR101270512B1 (ko) 정량분석이 가능한 측방 유동 검정 스트립
KR102125414B1 (ko) 대용량 생체 시료 농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3771908A1 (en) Lateral-electrophoretic bioassay
KR102556347B1 (ko) 수소 이온 농도 변화에 강인하고 이온 농도 분극을 이용하여 샘플을 농축 및 검출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WO2018093175A1 (ko)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용 농축 키트
US10073092B2 (en) Apparatus for assay strip(s) with specimen loading to multiple zones and related methods
WO2023178416A1 (en) Paper-based microfluidic chip for measurement of cystatin c in plasma and serum (cys-c paper chip)
KR101760425B1 (ko) 혈액 샘플 분석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리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