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497A -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 Google Patents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497A
KR20200041497A KR1020180121595A KR20180121595A KR20200041497A KR 20200041497 A KR20200041497 A KR 20200041497A KR 1020180121595 A KR1020180121595 A KR 1020180121595A KR 20180121595 A KR20180121595 A KR 20180121595A KR 20200041497 A KR20200041497 A KR 20200041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led
latch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641B1 (ko
Inventor
곽주연
권오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8012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6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14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ligh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아웃렛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후방에 그립부가 마련된 바디와; 일단의 걸림부재가 상기 바디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단의 래치버튼이 상기 바디의 외면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일단이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래치와; 상기 바디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승강 이동하면 전원이 인가되어 빛이 점등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원래 위치로 하강 이동하면 전원의 인가가 중단되어 빛이 소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바디의 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아웃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CHARGING OUTLET HAVING LIGHTING PART}
본 발명은 충전 아웃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아웃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충전 아웃렛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후방에 그립부(11)가 마련된 바디(10)와, 일단이 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바디(10)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일단이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바디(10)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20)와, 래치(20)의 일단을 상기 충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바디(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래치 버튼(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디(10)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전방은 인렛(1)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10)의 후방에는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작업자가 충전 아웃렛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그립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래치(20)는 바디(10) 내측의 내부공간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바디(1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래치 버튼(30)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래치 버튼(30)을 누른 상태에서 타단이 하측으로 눌려짐으로써 상기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래치 버튼(30)은 바디(10)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래치 버튼(30)은 바디(10)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20)의 타단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래치 버튼(30)을 하강 이동시에 래치(20)의 타단을 눌러서 래치(20)의 일단부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충전 아웃렛에 있어서는, 어두운 곳에서 차량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 아웃렛을 충전 인렛 측으로 결합시에 시야를 확보하여 충전 인렛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차량을 충전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충전 아웃렛의 전방 일측에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가 충전 아웃렛의 래치의 동작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만 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억제하면서 충전 아웃렛을 용이하게 인렛과 결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후방에 그립부가 마련된 바디와; 일단의 걸림부재가 상기 바디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단의 래치버튼이 상기 바디의 외면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일단이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래치와; 상기 바디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승강 이동하면 전원이 인가되어 빛이 점등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원래 위치로 하강 이동하면 전원의 인가가 중단되어 빛이 소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바디의 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바디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엘이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를 제어하는 피씨비와, 상기 엘이디와 상기 피씨비를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와 상기 래치 사이에는 상기 엘이디가 상기 래치의 움직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별도의 연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상기 피씨비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상기 래치버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하강이동하여 가압되면 상기 걸림부재가 승강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가 점등되도록 하고, 상기 래치버튼이 승강이동하여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부재가 원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도록 하는 가압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충전 아웃렛의 전방 일측에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가 충전 아웃렛의 래치의 동작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만 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억제하면서 충전 아웃렛을 용이하게 인렛과 결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아웃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충전 아웃렛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후방에 그립부(110)가 마련된 바디(100)와; 일단의 걸림부재(210)가 상기 바디(10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단의 래치버튼(220)이 상기 바디(100)의 외면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바디(100)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100)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걸림부재(210)가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바디(100)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래치(200)와; 상기 바디(100)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210)가 승강 이동하면 전원이 인가되어 빛이 점등되고, 상기 걸림부재(210)가 원래 위치로 하강 이동하면 전원의 인가가 중단되어 빛이 소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바디(100)의 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디(100)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전방은 인렛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된 전면에는 외부와 차폐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버부재(미도시)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0)의 후방에는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작업자가 충전 아웃렛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그립부(110)가 구비되는데, 그립부(110)는 바디(1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립부(110)는 바디(100)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바디(10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가 그립부(110)를 손으로 감싼 상태에서 작업자의 엄지손가락이 닿는 그립부(110)의 외면 일측에는 별도의 홈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바디(100)가 전기자동차 충전부의 인렛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 충전부의 인렛에 형성된 래치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래치(200)가 구비되어 있다.
래치(200)는 바디(100) 내측의 내부공간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바디(10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단부에 걸림부재(210)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단은 바디(100)의 외면 일측으로 돌출되는 래치버튼(220)이 구비되어 래치버튼(220)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래치(200)가 일정 각도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래치버튼(220)이 눌려진 상태에서 걸림부재(210)는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충전 아웃렛을 인렛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 아웃렛을 인렛에 삽입완료한 상태에서 래치버튼(220)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 걸림부재(21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충전 아웃렛이 인렛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걸림부재(210)의 단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100)를 전기자동차 충전부의 인렛에 삽입시에 초기 접촉되는 접촉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래치버튼(220)을 별도로 누르지 않더라도 삽입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광부(300)는 어두운 장소에서 충전 아웃렛을 인렛 측으로 결합시에 시야를 확보하여 충전 아웃렛을 인렛에 정확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위를 위하여 발광부(300)는 바디(100)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210)가 승강 이동하면 전원이 인가되어 빛이 점등되고, 걸림부재(210)가 원래 위치로 하강 이동하면 전원의 인가가 중단되어 빛이 소등되어 선택적으로 바디(100)의 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광부(300)는 바디(10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엘이디(310)와, 바디(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310)를 제어하는 피씨비(320)와, 엘이디(310)와 피씨비(320)를 연결하는 전선(3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엘이디(310)는 바디(100)의 전방 일측에 단일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바디(100) 전방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피씨비(320)는 엘이디(310)의 점소등되도록 엘이디(31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엘이디(310) 측으로 적정한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어 엘이디(310)가 손상되지 않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전선(330)은 엘이디(310)와 피씨비(3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엘이디(31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엘이디(310)가 선택적으로 점소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엘이디(310)와 래치(200) 사이에는 엘이디(310)가 래치(200)의 동작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별도의 연동부(400)가 설치되는 것이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연동부(400)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의 경우에 연동부(400)는 피씨비(3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래치버튼(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래치버튼(220)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하강이동하여 가압되면 걸림부재(210)가 승강 이동함과 동시에 엘이디(310)가 점등되도록 하고, 래치버튼(220)이 승강이동하여 가압력이 해제되면 걸림부재(21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엘이디(310)가 소등되도록 하는 가압스위치(410)로 구성되어 있다.
연동부(400)를 구성하는 가압스위치(410)는 승하강 이동하는 래치버튼(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래치버튼(220)이 하강 이동하면 가압력이 작용하여 가압스위치(410)가 온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흘러 엘이디(31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엘이디(310)가 발광하게 된다.
반대로, 래치버튼(220)이 상승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 가압스위치(410) 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오프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엘이디(31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엘이디(310)가 소등되는 것이다.
래치버튼(220)의 누름 동작과 발광부(300)를 구성하는 엘이디(310)의 점소등이 연동되기 때문에 엘이디(31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충전 아웃렛을 인렛에 체결시에만 발광부(300)가 발광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이 작동하는 과정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어두운 곳에서 차량의 충전을 위해서 차량을 충전 아웃렛과 근접한 거리에 배치시킨 후에 인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를 개방시킨다.
그 후, 충전 아웃렛을 손으로 그립한 상태에서 래치버튼(220)을 누르면 래치버튼(220)의 하면이 가압스위치(410)를 가압하게 되어 가압스위치(210)가 온 상태가 되면 전류가 흘러 발광부(300)를 구성하는 엘이디(310)가 발광하여 인렛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야가 확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렛 측으로 충전 아웃렛을 이동시켜 충전 아웃렛을 인렛에 삽입한 후에 래치버튼(220)에서 손을 떼면 가압스위치(4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가압스위치(210)가 오프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엘이디(310)가 소등된 상태에서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래치버튼(220)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래치(200)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부재(210)가 인렛의 일측에 걸림되어 충전 아웃렛과 인렛이 체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4b 참고)
그 후,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충전 아웃렛을 손으로 그립하고 래치버튼(220)을 누르면 걸림부재(210)가 인렛의 일측에 걸림된 상태가 해제되고, 충전 아웃렛을 인렛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발광부(300)의 엘이디(310)가 발광하고 있으므로 시야를 확보하여 충전 아웃렛을 원래의 위치에 거치시킴으로써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4a 참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아웃렛은 충전 아웃렛의 전방 일측에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가 충전 아웃렛의 래치의 동작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만 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억제하면서 충전 아웃렛을 용이하게 인렛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바디 110 : 그립부
200 : 래치 210 : 일단
220 : 타단 300 : 발광부
310 : 엘이디 320 : 피씨비
330 : 전선 400 : 연동부
410 : 가압스위치

Claims (4)

  1.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후방에 그립부(110)가 마련된 바디(100)와;
    일단의 걸림부재(210)가 상기 바디(10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단의 래치버튼(220)이 상기 바디(100)의 외면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바디(100)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100)를 상기 충전부에 체결시에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걸림부재(210)가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바디(100)가 상기 충전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래치(200)와;
    상기 바디(100)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210)가 승강 이동하면 전원이 인가되어 빛이 점등되고, 상기 걸림부재(210)가 원래 위치로 하강 이동하면 전원의 인가가 중단되어 빛이 소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바디(100)의 전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300)는 상기 바디(10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엘이디(310)와, 상기 바디(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310)를 제어하는 피씨비(320)와, 상기 엘이디(310)와 상기 피씨비(320)를 연결하는 전선(3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310)와 상기 래치(200) 사이에는 상기 엘이디(310)가 상기 래치(200)의 움직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별도의 연동부(4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피씨비(3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상기 래치버튼(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버튼(220)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하강이동하여 가압되면 상기 걸림부재(210)가 승강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310)가 점등되도록 하고, 상기 래치버튼(220)이 승강이동하여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부재(21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310)가 소등되도록 하는 가압스위치(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KR1020180121595A 2018-10-12 2018-10-12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KR102123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95A KR102123641B1 (ko) 2018-10-12 2018-10-12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95A KR102123641B1 (ko) 2018-10-12 2018-10-12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97A true KR20200041497A (ko) 2020-04-22
KR102123641B1 KR102123641B1 (ko) 2020-06-16

Family

ID=7047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95A KR102123641B1 (ko) 2018-10-12 2018-10-12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6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2461A (ja) * 2009-02-03 2010-08-19 Toyota Motor Corp 充電用コネクタ
KR20120080132A (ko) * 2011-01-06 2012-07-16 제너럴 케이블 테크놀로지즈 코오포레이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라미노스 멀티-폴리머 고전류량 오버-몰드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2461A (ja) * 2009-02-03 2010-08-19 Toyota Motor Corp 充電用コネクタ
KR20120080132A (ko) * 2011-01-06 2012-07-16 제너럴 케이블 테크놀로지즈 코오포레이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라미노스 멀티-폴리머 고전류량 오버-몰드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641B1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1261B1 (en) Optical depilation apparatus
US8591561B2 (en) Hair-growth adjusting light emitting device
US8337035B2 (en) Illuminating device for a walking stick
KR20090082088A (ko)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US10976040B2 (en) Adaptor,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KR101591868B1 (ko) 집어등
US20100152718A1 (en) Optical depilation apparatus
CN103950411B (zh) 车用迎宾踏板结构
US20080034642A1 (en) Electric insect killer with built-in power generator
US20080034643A1 (en) Electric insect killer with illuminating capability
KR20170062001A (ko) 화살용 발광 낙
KR20200041497A (ko)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US8810433B1 (en) Garage door opener and parking guide combination
KR20190064905A (ko) 발광부를 구비한 충전 아웃렛
KR101416555B1 (ko)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사부를 갖는 집어등
ATE556340T1 (de) Optischer verbinder
CN106168342A (zh) 手电筒
JP3130091U (ja) ベイトガン
KR20130084921A (ko) 랜턴 겸용 플래시
JPWO2021070284A5 (ko)
KR102391165B1 (ko) 레저용 휴대형 조명장치
JP2009034240A (ja) 発毛調節光照射装置
KR200226195Y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낚시용 반지
JP2006064319A (ja) 玩具銃における電源兼用発光装置
KR200180382Y1 (ko) 발광 귀이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