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022A - 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022A
KR20200041022A KR1020180120906A KR20180120906A KR20200041022A KR 20200041022 A KR20200041022 A KR 20200041022A KR 1020180120906 A KR1020180120906 A KR 1020180120906A KR 20180120906 A KR20180120906 A KR 20180120906A KR 20200041022 A KR20200041022 A KR 20200041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rtical bar
workbench
build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동호
Original Assignee
박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호 filed Critical 박동호
Priority to KR102018012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022A/en
Publication of KR2020004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0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platform for building construction, which includes: an upper work platform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of which every portion is plated with zinc; a lower work platform which is arrang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work platform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work platform at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of which every portion is plated with the zinc; and a work platform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upper work platform and the lower work platform and plated with the zinc,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Description

건물 공사용 작업대{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물 공사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과 달리 아연 도금 제품을 사용해서 제작하기 때문에 후(後)도장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more specifically, since it is manufactured using a galvanized product unlike the existing one, a post-painting process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time. It relates to a work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건물(building)을 신축하거나 유지보수할 때는 작업자의 작업 또는 이동을 위하여 건물 공사용 작업대를 사용한다.When constructing or maintaining a building, a work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is used for worker's work or movement.

건물의 크기, 용도, 위치 등이 다르기 때문에 건물 공사용 작업대가 정연화된 것은 없으며, 대게 현장에서 조립되어 사용된다. 즉 현존하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의 경우, 가로/세로 프레임을 건물의 외벽에 고정하면서 연결시킨 후, 족장판 등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정도로 현장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Because the size, use, and location of buildings are different, there are no regularized work benches for building, and they are usually assembled and used in the field. That is, in the case of an existing work table for building construction, it is generally produced on-site to the extent that the horizontal / vertical frame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and then installed and used with a patriarch.

한편, 건물 공사용 작업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공사가 완료되면 건물 공사용 작업대를 철거해서 재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용접보다는 볼트에 의해 가로/세로 프레임이 연결되는 방식을 취하는 게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work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it is common to take a method in which horizontal / vertical frames are connected by bolts rather than welding because the work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must be demolished and reused.

그런데, 현존하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의 경우에는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의 대다수가 철 재질로 제작되어 왔기 때문에 부식에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도장 작업을 진행한 후에 사용해야만 했다는 점에서 많은 로스(loss) 발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work benches for building construction, most of the frames that make up the frame have been made of iron, so they are inevitably vulnerable to corrosion, and this causes a lot of loss in that it has to be used after paint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08920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2-0008920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과 달리 아연 도금 제품을 사용해서 제작하기 때문에 후(後)도장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ike the existing, because it is manufactured using a galvanized product, there is no need for a post-coating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s well as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work table for building construction.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은, 건물의 외벽 상부에 결합되되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되는 상부 작업대; 상기 건물의 외벽에서 상기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작업대와 연결되며,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되는 하부 작업대; 및 상기 상부 작업대와 상기 하부 작업대를 연결하되 아연 도금처리되는 작업대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upper worktop where all parts are galvanized; A lower workbench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orkbench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upper workbench, wherein all parts are galvanized; And a workbench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upper workbench and the lower workbench but being galvanized.

상기 상부 작업대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한편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세로 바아; 상기 상부 세로 바아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 결합부; 작업자가 딛는 소정의 작업 발판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세로 바아에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세로 바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상기 상부 가로 바아를 연결하는 상부 교차 연결부;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의 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더미 바아; 상기 상부 더미 바아에 연결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상부 더미 바아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이격 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 더미 바아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는 다수의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work table,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ba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being arranged lo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upp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where a predetermined reinforcement frame is coupled; A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which form a place in which a predetermined working scaffold on which an operator steps, but which are arranged to intersect the upper vertical bars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s; An upper cross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an inters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to connect the upper vertical bar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An upper dummy ba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vertical bar and coupl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A plurality of spacing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dummy bar to support the upper dummy ba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plurality of anchors inserted toward the upper dummy bar and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상기 하부 작업대는,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 결합부;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직선 구간부와, 상기 직선 구간부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와, 상기 경사 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직선 구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접면되는 접면 구간부를 구비하는 하부 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사이에서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를 연결하며, 작업자가 딛는 소정의 작업 발판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및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및 상기 하부 가로 바아를 해당하는 것끼리 연결하는 하부 교차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workbench may include a lower rear vertical bar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vertical bar; A plurality of low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where the reinforcing frames are coupled; A straight sec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and parallel to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 inclined section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at a lower end of the straight section portion, and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disposed parallel to the straight section portion at an end of the inclined section portion A lower front vertical bar having a contact section that faces the; A plurality of lower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between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in which a predetermined working footrest on which an operator steps is placed; And a lower cross connection part disposed at an intersection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to connect the lower rear vertical bar,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to each other. It can contain.

한편, 상기 목적은, 건물의 외벽 상부에 결합되되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되는 상부 작업대; 상기 건물의 외벽에서 상기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작업대와 연결되며,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되는 하부 작업대; 상기 상부 작업대와 상기 하부 작업대를 연결하되 아연 도금처리되는 작업대 연결유닛; 및 상기 상부 작업대와 상기 하부 작업대에 설치되되 작업자가 딛는 발판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작업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작업대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한편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세로 바아; 상기 상부 세로 바아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 결합부; 상기 기능성 작업 발판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세로 바아에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세로 바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상기 상부 가로 바아를 연결하는 상부 교차 연결부;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의 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더미 바아; 상기 상부 더미 바아에 연결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상부 더미 바아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이격 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 더미 바아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는 다수의 앵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작업대는,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 결합부;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직선 구간부와, 상기 직선 구간부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와, 상기 경사 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직선 구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접면되는 접면 구간부를 구비하는 하부 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사이에서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를 연결하며, 상기 기능성 작업 발판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및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및 상기 하부 가로 바아를 해당하는 것끼리 연결하는 하부 교차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작업 발판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안착되는 고정 발판 플레이트;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발판 플레이트;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가 회전될 때, 이웃된 철 재질의 구조물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용 자석부재;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힌지;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부;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 상에 매입되는 다수의 시트형 자석부재;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며,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부; 및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에 이웃되게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에 형성되되 작업자의 발이 배치될 수 있게끔 홈 형태로 가공되는 함몰 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기능성 작업 발판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upper work table where all parts are galvanized; A lower workbench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orkbench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upper workbench, wherein all parts are galvanized; A workbench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upper workbench and the lower workbench but being galvanized; And a functional work scaffold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work table and the lower work table and is used as a platform for the operator to step on, and the upper work table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bars tha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being dispos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upp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where a predetermined reinforcement frame is coupled; A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forming a place in which the functional work scaffolding is arranged, and arranged to intersect the upper vertical bars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s; An upper cross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an inters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to connect the upper vertical bar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An upper dummy ba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vertical bar and coupl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A plurality of spacing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dummy bar to support the upper dummy ba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plurality of anchors inserted toward the upper dummy bar and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rein the lower worktable comprises: a lower rear vertical bar arranged parallel to the upper vertical bar; A plurality of low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where the reinforcing frames are coupled; A straight sec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and parallel to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 inclined section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at a lower end of the straight section portion, and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disposed parallel to the straight section portion at an end of the inclined section portion A lower front vertical bar having a contact section that faces the; A plurality of lower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between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in which the functional work scaffold is disposed; And a lower cross connection part disposed at an intersection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to connect the lower rear vertical bar,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to each other. Included, the functional work scaffolding, a fixed scaffolding plate seated on any one of the upper horizont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A rotating scaffold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xed scaffold plate; An attachment magnet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caffold plate and magnetically attached to an adjacent iron structure when the rotating scaffold plate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caffold plate; A hinge provi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and the rotating scaffold plate; A plurality of through parts formed to penetrate the fixed scaffold plate and the rotating scaffold plate; A plurality of sheet-shaped magnet members embed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A non-slip pad portion provi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to prevent slipping; And it is form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adjacent to the rotating scaffold plate, but includes a recessed part processed in a groove shape so that an operator's foot can be arranged, and any one of the upper horizont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includes the functional work scaffolding. It is also achieved by a work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arrangement groove portion is disposed while being partially inserted.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과 달리 아연 도금 제품을 사용해서 제작하기 때문에 후(後)도장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manufactured using a galvanized product unlike the existing one, a post-coating process is not necessary, and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s well as improve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공사용 작업대가 시공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물 공사용 작업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작업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부 작업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작업 발판이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공사용 작업대에서 작업 발판이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회전 발판 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8 및 도 9의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work tabl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work table of Figure 1;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 2.
4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A of FIG. 1.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worktable shown in FIG. 3.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work table shown in FIG. 3.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scaffold.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work scaffold is placed on a work tabl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of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in FIG. 8;
10 and 11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8 and 9,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terms (mentione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components and actions (actions) referred to as 'include (or hav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ac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that ar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공사용 작업대가 시공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건물 공사용 작업대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작업대의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부 작업대의 확대도, 그리고 도 7은 작업 발판이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construction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building work table of Figure 1, Figure 3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of Figure 1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work table shown in FIG. 3,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work table shown in FIG. 3,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where the work footrest is disposed.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공사용 작업대(100)는 기존과 달리 아연 도금 제품을 사용해서 제작하기 때문에 후(後)도장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building construction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require a post-painting process because it is manufactured using a galvanized product unlike the existing ones,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time. Of course, it is to help improve productivity.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공사용 작업대(100)는 상부 작업대(110), 하부 작업대(130), 작업대 연결유닛(150), 그리고 작업 발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table 100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pable of providing such an effect may include an upper work table 110, a lower work table 130, a work table connection unit 150, and a work scaffold 160.

상부 작업대(110)는 건물의 외벽(W)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건물의 외벽(W) 상부 영역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끔 한다.The upper work table 110 is a structu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work on the upper area of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작업대(110)는 아래와 같은 다수의 부속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부속들, 다시 말해 상부 작업대(110)를 이루는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된 상태로 제작된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upper work tabl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as follows, such parts, that is, all parts constituting the upper work table 110 are manufactured in a galvanized state.

따라서 기존처럼 후(後)도장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 post-coating process is not required as in the prior art,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nd to improve productivity.

이러한 상부 작업대(110)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한편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세로 바아(111)를 포함한다. 상부 세로 바아(111)의 길이는 현자 상황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The upper worktabl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bars 111 that are arranged lo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upper vertical bar 111 can be adjusted to suit the sage situation.

상부 세로 바아(111)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소정의 보강 프레임(미도시), 예컨대 보강 파이프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 결합부(112)가 마련된다. 상부 프레임 결합부(112)는 해당 위치에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bar 111, a plurality of upper frame coupling parts 112 ar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reinforcement frame (not shown), for example, a place where the reinforcement pipes are coupled. The upper frame coupling part 112 may be joined by welding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부 세로 바아(111)에는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113)가 결합된다. 상부 가로 바아(113)들은 작업 발판(160)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부 세로 바아(111)에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부 세로 바아(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된다.A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113 are coupled to the upper vertical bar 111. The upper horizontal bars 113 form a place in which the working scaffold 160 is disposed, but are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upper vertical bars 111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s 111.

이때, 상부 세로 바아(111)와 상부 가로 바아(113)의 교차지점에는 상부 세로 바아(111)와 상부 가로 바아(113)를 연결하는 상부 교차 연결부(114)가 연결된다. 상부 세로 바아(111)와 상부 가로 바아(113)의 분해 조립을 위하여 상부 교차 연결부(114)는 볼트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an upper crossing connection portion 114 connecting the upper vertical bar 111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113 is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 111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113. For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upper vertical bar 111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113, the upper cross connection 114 may have a bolted structure.

상부 가로 바아(113)들의 단부에는 상부 더미 바아(115)가 결합된다. 상부 더미 바아(115)는 상부 세로 바아(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부 더미 바아(115)에는 건물의 외벽(W)으로부터 상부 더미 바아(115)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이격 지지부재(116)가 마련된다.The upper dummy bar 115 is coupled to the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bars 113. The upper dummy bar 115 is a structu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vertical bar 111. The upper dummy bar 11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support members 116 that support the upper dummy bar 115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위와 같은 구성들을 갖는 상부 작업대(110)는 다수의 앵커(117)에 의해 해당 위치에 결합된다. 즉 다수의 앵커(117)는 상부 더미 바아(115) 쪽으로 삽입되어 건물의 외벽(W)에 결합된다.The upper work table 1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s is couple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by a plurality of anchors 117. That is, a plurality of anchors 117 are inserted toward the upper dummy bar 115 and coupled to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하부 작업대(130)는 건물의 외벽(W) 하부, 즉 상부 작업대(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건물의 외벽(W) 하부 영역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끔 한다.The lower work table 130 is a structur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ork table 110,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work on the lower area of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작업대(130) 역시, 아래와 같은 다수의 부속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부속들, 다시 말해 하부 작업대(130)를 이루는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된 상태로 제작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work table 130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as described below, such parts, that is, all parts constituting the lower work table 130 are manufactured in a galvanized state.

따라서 기존처럼 후(後)도장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 post-coating process is not required as in the prior art,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nd to improve productivity.

이러한 하부 작업대(130)는 상부 작업대(110)와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즉 하부 작업대(130)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와 하부 전방 세로 바아(133) 사이를 다수의 하부 가로 바아(134)가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lower work table 130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upper work table 110. That is, the lower work table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ower horizontal bars 134 connect between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133.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는 상부 세로 바아(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강성이 있는 구조물이다.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is a rigid structur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vertical bar 111.

이러한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의 내면에는 보강 프레임(미도시), 예컨대 보강 파이프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 결합부(132)가 마련된다. 하부 프레임 결합부(132)들은 용접에 의해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rame coupling portions 132 forming a place where a reinforcement frame (not shown), for example, a reinforcement pipe is coupled. The lower frame coupling portions 132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by welding.

하부 전방 세로 바아(133)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하부 전방 세로 바아(133)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와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직선 구간부(133a)와, 직선 구간부(133a)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133b)와, 경사 구간부(133b)의 단부에서 직선 구간부(133a)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건물의 외벽(W)에 접면되는 접면 구간부(133c)를 포함한다.The lower front vertical bar 133 is a structure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133 is separated from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by a straight section 133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inclined section 133b formed inclined at the lower end of the straight section 133a. , At the end of the inclined section (133b)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traight section (133a) and includes a contact section (133c) that faces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하부 가로 바아(134)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와 하부 전방 세로 바아(133) 사이에서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와 하부 전방 세로 바아(133)를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하부 가로 바아(134) 상에 작업 발판(160)이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horizontal bar 134 is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133 between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133. The working footrest 16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horizontal bar 134.

그리고 하부 작업대(130)를 이루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 하부 전방 세로 바아(133) 및 하부 가로 바아(134)의 교차지점에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 하부 전방 세로 바아(133) 및 하부 가로 바아(134)를 해당하는 것끼리 연결하는 하부 교차 연결부(135)가 마련된다. 하부 교차 연결부(135) 역시, 상부 교차 연결부(114)와 마찬가지로 볼트 결합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An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133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134 constituting the lower working table 130,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133, and A lower cross connection portion 135 is provided to connect the lower horizontal bars 134 to each other. The lower cross connection 135 may also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cross connection 114 in a bolted structure.

이상 설명한 구조를 갖는 하부 작업대(130)는 작업대 연결유닛(150)에 의해 상부 작업대(110)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작업대 연결유닛(150)을 사용하면서도 상부 작업대(110)와 마찬가지로 앵커(117)를 더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ower work table 1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work table 110 by a work table connection unit 15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anchor 117, like the upper work table 110, while using the work table connection unit 150.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o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작업대 연결유닛(150)은 상부 작업대(110)와 하부 작업대(130)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작업대 연결유닛(150)을 사용하게 되면 상부 작업대(110)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117)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orkbench connection unit 150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upper workbench 110 and the lower workbench 130. When the work table connection unit 150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 of the anchor 117 for fixing the upper work table 110 can be excluded.

이러한 작업대 연결유닛(150)은 단순한 와이어(wire)일 수도 있고, 아니면 클램프일 수도 있는데, 어떠한 것이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다만, 작업대 연결유닛(150)을 적용함에 있어서 작업대 연결유닛(150) 역시, 미리 아연 도금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orktable connection unit 150 may be a simple wire or a clamp, and it does not matter what is applied. However, in applying the worktable connection unit 150, the worktable connection unit 150 is also preferably pre-galvanized.

작업 발판(1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로 바아(113)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34)의 상부에 배치되며, 작업자가 밟고 딛는 장소를 이룬다.As shown in FIG. 7, the work scaffold 160 is disposed on the upper horizontal bar 113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134, and forms a place for the operator to step on and step on.

작업 발판(160) 역시, 미리 아연 도금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용화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작업 발판(160)은 상부 가로 바아(113)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34)의 상에 그대로 놓인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와이어(162)에 의해 상부 가로 바아(113)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134)에 엮이면서 고정될 수도 있다.The work scaffold 160 is also preferably pre-galvanized, but commercially available ones may be used as it is. At this time, the working scaffold 160 may be disposed as it is on the upper horizontal bar 113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134, or the upper horizontal bar 113 and the lower by the wire 162 It may be fixed while being intertwined with the horizontal bar (134).

이에, 상부 작업대(110)와 하부 작업대(130)를 조립하고 앵커(117)로 상부 작업대(110)를 결합시킨 후, 작업대 연결유닛(150)으로 상부 작업대(110)와 하부 작업대(130)를 연결시키고, 해당 위치에 작업 발판(160)을 안착시킴으로써 도 1과 같이 건물 공사용 작업대(100)를 건물의 외벽(W)에 설치할 수 있다.Thus, after assembling the upper work table 110 and the lower work table 130 and combining the upper work table 110 with an anchor 117, the upper work table 110 and the lower work table 130 are connected to the work table connection unit 150. By connecting and seating the work scaffold 16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work table 100 for building construction can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1.

특히, 빌라와 같이 작은 건물의 경우에는 빌라 벽면의 외벽(W)에 건물 공사용 작업대(100)를 완전히 둘러싸게 배치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건물에 대한 각종 설치 작업 혹은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 building such as a villa, the building construction work table 100 may be completely enclosed on the outer wall W of the villa wall, through which various installation or maintenance work for the building is safely and easily performed. You can proce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과 달리 아연 도금 제품을 사용해서 제작하기 때문에 후(後)도장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nd ac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it is manufactured using a galvanized product, a post-coating process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nd of course productivity. Will be able to improv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공사용 작업대에서 작업 발판이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회전 발판 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8 및 도 9의 부분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where the work scaffold is placed on a work tabl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of a state where the rotating scaffold plate is rotated in FIG. 8, and FIGS.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공사용 작업대(200) 역시, 상부 작업대(110), 하부 작업대(130), 작업대 연결유닛(150), 그리고 기능성 작업 발판(26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building work tab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include an upper work table 110, a lower work table 130, a work table connection unit 150, and a functional work platform 260. .

상부 작업대(110), 하부 작업대(130), 그리고 작업대 연결유닛(150)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술한 도 7의 단순한 작업 발판(160)이 아닌 각종 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작업 발판(260)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upper work table 110, the lower work table 130, and the work table connection unit 150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different in that the functional work scaffold 260 to which various functions are added is applied instead of the simple work scaffold 160 of FIG. 7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능성 작업 발판(260)은 상부 가로 바아(213)와 하부 가로 바아(234)의 상부에 안착되는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와,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를 포함한다.The functional work scaffolding 260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otatable at the ends of the fixed scaffolding plate 261 and the fixed scaffolding plate 261 that are seated on top of the upper transverse bar 213 and the lower transverse bar 234. It includes a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is connected to.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에 대하여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와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에는 힌지(264)가 마련된다.A hinge 264 is provi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261 and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so that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caffold plate 261.

도 8 및 도 10처럼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닫힌 경우,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는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와 함께 작업자가 밟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도 9 및 도 11처럼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열리면서 세워진 경우,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는 발끝막이 벽체 역할을 한다. 즉 고소(高所) 작업 중인 작업자의 발이 기능성 작업 발판(260)이 바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좀 더 안전한 상황을 부여할 수 있다.8 and 10, when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is closed,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is utilized as a part where the operator steps along with the fixed scaffolding plate 261. However, when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is erected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serves as a toe wall. That is, the operator's foot in the high working place prevents the functional work scaffold 260 from falling ou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ive the worker a safer situation.

이때, 도 9 및 도 11처럼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열리면서 세워진 경우,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임의로 다시 닫히면 곤란하다. 이를 위해,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의 단부에는 부착용 자석부재(263)가 마련된다.At this time, when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is erected while being opened as shown in FIGS. 9 and 11, it is difficult if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is arbitrarily closed again. To this end, a magnet member 263 for attachment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부착용 자석부재(263)는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의 단부에 마련되며,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에 대하여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회전될 때, 이웃된 철 재질의 구조물, 예컨대 상부 세로 바아(111) 또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131)의 구조물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부착용 자석부재(263)로 인해 도 9 및 도 11처럼 열려 세워진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임의로 다시 닫히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The attachment magnet member 26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and when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scaffold plate 261, adjacent iron structures, such as an upper vertical bar ( 111) or to b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structure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131. Due to the attachment of the magnet member 263,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losed again.

도 8 및 도 10과 같이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닫힌 상태에서 도 9 및 도 11처럼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를 세울 때, 손으로 작업해도 되지만 좀 더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에는 함몰 가공부(268)가 형성된다. 함몰 가공부(268)는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에 이웃되게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에 형성되되 작업자의 발이 배치될 수 있게끔 홈 형태로 가공되는 부분이다. 이에, 작업자는 자신의 발을 함몰 가공부(268)에 배치하고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를 경사지게 상측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8 및 도 10과 같이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가 닫힌 상태에서 도 9 및 도 11처럼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를 용이하게 세울 수 있다.When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is erected as shown in FIGS. 9 and 11 in a state where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2 is closed as shown in FIGS. 8 and 10, it may be operated by hand, but the fixed scaffolding plate 261 may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268. The recessed portion 268 is a portion formed on a fixed scaffold plate 261 adjacent to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but processed in a groove shape so that an operator's foot can be disposed. Thus, by placing the operator's feet in the recessed part 268 and pushing the rotating foot plate 262 upwards obliquely, as shown in FIGS. 8 and 10, the rotating foot plate plate 262 is closed in FIGS. 11,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can be easily erected.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와 회전 발판 플레이트(262)에는 다수의 관통부(265)가 형성된다. 관통부(265)들은 눈이나 이물질, 혹은 빗물이 쌓이지 않고 아래로 배출될 수 있게끔 한다.A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265 are form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261 and the rotating scaffold plate 262. The through parts 265 allow snow, foreign matter, or rainwater to be discharged downward without being accumulated.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 상에는 다수의 시트형 자석부재(266)가 매입된다. 시트형 자석부재(266)는 예컨대, 못이나 볼트, 혹은 공구가 기능성 작업 발판(260)에 놓였을 때, 이들을 자기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sheet-shaped magnet members 266 are embed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261. The sheet-shaped magnet member 266 serves to prevent falling downward by, for example, attaching them magnetically when nails, bolts, or tools are placed on the functional work stool 260.

그리고 고정 발판 플레이트(261) 상에는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부(237)가 마련된다. 미끄럼 방지용 패드부(237)로 인해 작업자는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 non-slip pad portion 237 for preventing slip is provi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261. Due to the non-slip pad portion 237, the worker can safely move.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기능성 작업 발판(260)은 상부 가로 바아(213)와 하부 가로 바아(234)에 배치되는데, 전술한 실시예처럼 그냥 단순히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 가로 바아(213)와 하부 가로 바아(234)에는 기능성 작업 발판(260)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269)가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클램핑 수단 없이도 상부 가로 바아(213)와 하부 가로 바아(234) 상에 기능성 작업 발판(260)이 임의로 이동되지 않고 용이하게 자리 배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al work footrest 260 is disposed on the upper horizontal bar 213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234, but not simply seat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upper horizontal bar 213 and the lower horizontal The bar 234 is formed with a seat arrangement groove 269 in which a seat is disposed while the functional work scaffold 260 is partially inser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unctional work scaffold 260 can be easily positioned without being moved arbitrarily on the upper horizontal bar 213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234 without separate clamping means.

이와 같은 구조의 기능성 작업 발판(260)이 적용되더라도 기존과 달리 아연 도금 제품을 사용해서 제작하기 때문에 후(後)도장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Even if the functional work scaffolding 26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since it is manufactured using a galvanized product unlike the existing one, a post-painting process is not necessary, and this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nd improve productivity as well. I can do i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건물 공사용 작업대 110 : 상부 작업대
111 : 상부 세로 바아 112 : 상부 프레임 결합부
113 : 상부 가로 바아 114 : 상부 교차 연결부
115 : 상부 더미 바아 116 : 이격 지지부재
117 : 앵커 130 : 하부 작업대
131 : 하부 후방 세로 바아 132 : 하부 프레임 결합부
133 : 하부 전방 세로 바아 133a : 직선 구간부
133b : 경사 구간부 133c : 접면 구간부
134 : 하부 가로 바아 135 : 하부 교차 연결부
150 : 작업대 연결유닛 260 : 기능성 작업 발판
261 : 고정 발판 플레이트 262 : 회전 발판 플레이트
263 : 부착용 자석부재 264 : 힌지
265 : 관통부 266 : 시트형 자석부재
267 : 미끄럼 방지용 패드부 268 : 함몰 가공부
269 : 자리 배치홈부
100: work 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110: upper work bench
111: upper vertical bar 112: upper frame engaging portion
113: upper horizontal bar 114: upper cross connection
115: upper dummy bar 116: spaced support member
117: anchor 130: lower workbench
131: lower rear vertical bar 132: lower frame coupling
133: lower front vertical bar 133a: straight section
133b: inclined section 133c: interface section
134: lower horizontal bar 135: lower cross connection
150: worktable connection unit 260: functional work scaffolding
261: fixed scaffolding plate 262: rotating scaffolding plate
263: attachment magnet member 264: hinge
265: penetrating portion 266: sheet-shaped magnet member
267: anti-skid pad portion 268: recessed processing portion
269: seat arrangement groove

Claims (4)

건물의 외벽 상부에 결합되되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되는 상부 작업대;
상기 건물의 외벽에서 상기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작업대와 연결되며,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되는 하부 작업대; 및
상기 상부 작업대와 상기 하부 작업대를 연결하되 아연 도금처리되는 작업대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
An upper workbench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ut all parts are galvanized;
A lower workbench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orkbench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upper workbench, wherein all parts are galvanized; And
A work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comprising a workbench connecting unit that connects the upper workbench and the lower workbench but is galvani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작업대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한편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세로 바아;
상기 상부 세로 바아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 결합부;
작업자가 딛는 소정의 작업 발판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세로 바아에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세로 바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상기 상부 가로 바아를 연결하는 상부 교차 연결부;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의 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더미 바아;
상기 상부 더미 바아에 연결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상부 더미 바아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이격 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 더미 바아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는 다수의 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work table,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bars arranged elong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upp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where a predetermined reinforcement frame is coupled;
A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which form a place in which a predetermined working scaffold on which an operator steps, but are arranged to intersect the upper vertical bars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s;
An upper cross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an inters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to connect the upper vertical bar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An upper dummy ba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vertical bar and coupl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A plurality of spacing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dummy bar to support the upper dummy ba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Worktable for building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anchors that are inserted into the upper dummy bar and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작업대는,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 결합부;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직선 구간부와, 상기 직선 구간부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와, 상기 경사 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직선 구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접면되는 접면 구간부를 구비하는 하부 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사이에서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를 연결하며, 작업자가 딛는 소정의 작업 발판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및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및 상기 하부 가로 바아를 해당하는 것끼리 연결하는 하부 교차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workbench,
A lower rear vertical bar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vertical bar;
A plurality of low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where the reinforcing frames are coupled;
A straight sec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and parallel to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 inclined section portion inclin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straight section portion, and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disposed parallel to the straight section portion at an end of the inclined section portion A lower front vertical bar having a contact section that faces the;
A plurality of lower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between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in which a predetermined working footrest on which an operator steps is placed; And
The lower rear vertical bar,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are dispos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lower horizontal bar, and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cross bar connecting the lower horizontal bar between the corresponding ones. Worktable for building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건물의 외벽 상부에 결합되되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되는 상부 작업대;
상기 건물의 외벽에서 상기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작업대와 연결되며, 모든 부분이 아연 도금처리되는 하부 작업대;
상기 상부 작업대와 상기 하부 작업대를 연결하되 아연 도금처리되는 작업대 연결유닛; 및
상기 상부 작업대와 상기 하부 작업대에 설치되되 작업자가 딛는 발판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작업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작업대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한편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세로 바아;
상기 상부 세로 바아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 결합부;
상기 기능성 작업 발판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세로 바아에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세로 바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상기 상부 가로 바아를 연결하는 상부 교차 연결부;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상부 가로 바아의 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더미 바아;
상기 상부 더미 바아에 연결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상부 더미 바아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이격 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 더미 바아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는 다수의 앵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작업대는,
상기 상부 세로 바아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 결합부;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직선 구간부와, 상기 직선 구간부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구간부와, 상기 경사 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직선 구간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접면되는 접면 구간부를 구비하는 하부 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사이에서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와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를 연결하며, 상기 기능성 작업 발판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하부 가로 바아; 및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및 상기 하부 가로 바아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후방 세로 바아, 상기 하부 전방 세로 바아 및 상기 하부 가로 바아를 해당하는 것끼리 연결하는 하부 교차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작업 발판은,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안착되는 고정 발판 플레이트;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발판 플레이트;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가 회전될 때, 이웃된 철 재질의 구조물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용 자석부재;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힌지;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부;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 상에 매입되는 다수의 시트형 자석부재;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며,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부; 및
상기 회전 발판 플레이트에 이웃되게 상기 고정 발판 플레이트에 형성되되 작업자의 발이 배치될 수 있게끔 홈 형태로 가공되는 함몰 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로 바아와 상기 하부 가로 바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기능성 작업 발판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공사용 작업대.
An upper workbench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ut all parts are galvanized;
A lower workbench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orkbench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upper workbench, wherein all parts are galvanized;
A workbench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upper workbench and the lower workbench but being galvanized; An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workbench and the lower workbench, but includes a functional work stool used as a stool for the operator to step on,
The upper work table,
A plurality of upper vertical bars arranged elong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upp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where a predetermined reinforcement frame is coupled;
A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which form a place where the functional work scaffold is disposed, and are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upper vertical bars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s;
An upper cross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an intersection of the upper vertical bar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to connect the upper vertical bar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An upper dummy ba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vertical bar and coupl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upper horizontal bars;
A plurality of spacing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dummy bar to support the upper dummy ba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anchors are inserted into the upper dummy bar and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lower workbench,
A lower rear vertical bar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vertical bar;
A plurality of lower frame coupling part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where the reinforcing frames are coupled;
A straight sec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and parallel to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 inclined section portion inclin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straight section portion, and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disposed parallel to the straight section portion at an end of the inclined section portion A lower front vertical bar having a contact section that faces the;
A plurality of lower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between the lower rear vertic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forming a place in which the functional work scaffold is disposed; And
The lower rear vertical bar,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the lower cross bar are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ower horizontal bar, and the lower front vertical bar, and the lower cross bar connecting the lower horizontal bar to the corresponding ones. And
The functional work scaffolding,
A fixed scaffolding plate seated on one of the upper horizont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A rotating scaffold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xed scaffold plate;
An attachment magnet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caffold plate and magnetically attached to an adjacent iron structure when the rotating scaffold plate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scaffold plate;
A hinge provi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and the rotating scaffold plate;
A plurality of through parts formed to penetrate the fixed scaffold plate and the rotating scaffold plate;
A plurality of sheet-shaped magnet members embed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A non-slip pad portion provided on the fixed scaffold plate to prevent slipping; And
It is formed on the fixed scaffolding plate adjacent to the rotating scaffolding plate, but includes a recessed part processed in a groove shape so that an operator's foot can be arranged,
A workbench for building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eat arrangement groove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horizontal bar and the lower horizontal bar, while the functional work scaffold is partially inserted.
KR1020180120906A 2018-10-11 2018-10-11 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KR202000410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06A KR20200041022A (en) 2018-10-11 2018-10-11 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06A KR20200041022A (en) 2018-10-11 2018-10-11 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22A true KR20200041022A (en) 2020-04-21

Family

ID=7045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906A KR20200041022A (en) 2018-10-11 2018-10-11 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0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746B2 (en) Clamp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use in erecting temporary guard rails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20180187437A1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0465399B2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6483B2 (en)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293194B2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200477928Y1 (en) The safty bar
KR20100123012A (en) Scaffolding for architecture
US9435131B2 (en) Portable and reusable connection device having secure anchor point
KR20160142928A (en) Built-up scaffold for construction field)
KR20200041022A (en) 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KR102157417B1 (en) Railing system
KR20090064921A (en) Device of connecting fence
US9945138B1 (en) Vertical reversible one piece guard rail post
KR101794305B1 (en) Apparatus for footholding safety for working height
KR100631322B1 (en) Install structure of net that prevent fall
CN203769301U (en) Steel frame template
US20160060885A1 (en) Support bracket and method for temporary guard railing
JP6470672B2 (en) Temporary scaffolding with overhanging platform
JP5430483B2 (en) Connecting bracket
WO2019126187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1832389B1 (en) A frame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KR200479334Y1 (en) Prefabricated Fence
KR20200004726A (en) Covering apparatus of scaffold g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