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417B1 - Railing system - Google Patents

Rai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417B1
KR102157417B1 KR1020180024607A KR20180024607A KR102157417B1 KR 102157417 B1 KR102157417 B1 KR 102157417B1 KR 1020180024607 A KR1020180024607 A KR 1020180024607A KR 20180024607 A KR20180024607 A KR 20180024607A KR 102157417 B1 KR102157417 B1 KR 102157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main frame
crossbar
fix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3771A (en
Inventor
이관궁
Original Assignee
이관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궁 filed Critical 이관궁
Priority to KR102018002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417B1/en
Publication of KR2019010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4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2017/1452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난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구축되어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난간지주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가로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Provide a rail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ing post built on the ground and arranged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railing posts, a cross bar installed between the railing posts, and a coupl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cross bar and the railing post, and changing the angle of the cross bar can do.

Description

난간시스템{RAILING SYSTEM}Railing system {RAILING SYSTEM}

본 발명은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ing system.

일반적으로 데크 및 목교는 교각 상단에 고정한 철제골조 위에 상판목을 얹어 시공되는 것으로서, H-빔(H-beam)으로 형성된 철제골조와 목재인 상판목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이를 연결 고정하기 위하여 철제골조와 상판목에 상호 일치되는 구멍을 뚫어 볼트로 체결하거나 또는 여러가지의 고정구를 사용하였었다.In general, decks and wooden bridges are constructed by placing a top board on a steel frame fixed at the top of a pier, and a steel frame to connect and fix them due to the difference in material between the steel frame formed of H-beam and the top timber, which is wood. Holes coincident with each other were drilled in the and upper planks and fastened with bolts or various fixtures were used.

하지만, 이러한 작업을 할 때 많은 공구와 부품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고, 세월이 흘러 상판목이 훼손되었을 경우 상판목을 보수하는데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many tools and parts are required when performing such wor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cumbersome to repair the top board when the top board is damaged over time.

또한, 금속의 철제골조와 목재인 상판목이 접한 부문에 상호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밀착되지 못하고 중간 중간에 틈새가 벌어지게 되어 상기 틈새로 목재를 갉아 먹는 해충이 기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목교가 쉽게 파손되고 목교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철제골조와 상판목이 접한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어 보이는 관계로 시각적으로 깔끔하지 못한 문제점이 생긴다.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material between the areas where the steel frame made of metal and the top board, which is woo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ce in material, a gap is opened in the middle, and pests that eat the wood through the gap may parasitize, and this can easily damage the wooden bridge. It is a problem that is not visually neat because the part where the steel fram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ooden bridge and the top board are exposed and visible.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경사진 지면에서도 난간의 설치가 용이한 난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s conceived based on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ling system that is easy to install the railing even on an inclined groun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구축되어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난간지주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가로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ing post built on the ground and arranged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railing posts, a cross bar installed between the railing posts, and a coupl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cross bar and the railing post, and changing the angle of the cross bar can do.

이때, 상기 난간지주는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측면부재, 상기 측면부재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ailing post may include a body frame having a hollow portion, a side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frame, and an auxiliary member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id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body frame through a connection member.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면부재와 맞닿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게 위치하고 상기 보조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frame may include a support part protruding outward of the main frame and in contact with the side member, and a protrusion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art and protruding toward the auxiliary member.

이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단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부재는 측면에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이 상기 끼움홀에 끼워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insertion holes are formed at the ends, and fitting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auxiliary member, so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side may be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내입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로대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crossbar and fastened to the fixing portion.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가로대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도변환홀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fastening unit therein and having an angle conversion hole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the crossbar, and a fixing unit connecting the receiving unit and the main frame.

이때, 상기 각도변환홀은, 원형 또는 U형으로 형성되는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gle conversion hol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 U shape.

이때,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각도변환홀의 상측에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into which the fastening portion is inserted above the angle conversion hole.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thereon.

이때, 상기 몸체부는 반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면 또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 다각형 형상의 보강편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semi-spherical shape, and a polygonal reinforcing piec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r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은 여러가지 각도로 가변이 가능한 결합부로 난간지주와 가로대 사이를 고정시킴으로써 경사진 지면에서도 난간지주와 가로대 사이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rai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railing post and the cross bar even on an inclined ground by fixing between the railing post and the cross bar with a coupling part that is variable at various angl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난간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acilitate installation of a railing without a separate to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로대와 결합된 난간지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V-V 선을 따라 결합부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 따른 체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hand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ailing post combined with the crossba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coupling portion shown in Figure 3 us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cut along the line VV shown in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pplied to FIG. 1.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Further,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above"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below"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below",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로대와 결합된 난간지주의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ai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ailing post combined with a crossbar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1000)은 난간지주(300), 가로대(400) 및 결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난간시스템(1000)이 호수 등에 설치될 경우 철제골조(100) 및 바닥데크(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난간시스템(1000)이 호수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1 and 2, a rail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ailing post 300, a cross bar 400, and a coupling part 5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iling system 1000 is installed in a lake or the like, the steel frame 100 and the floor deck 200 may be connected. Hereinafter, a railing system 1000 installed in a lak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철제골조(100)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철제골조(100)는 적어도 한 쌍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구축될 수 있다.The steel frame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teel frame 100 may be constructed from the ground by placing at least one pair at a constant interval.

바닥데크(200)는 한 쌍의 철제골조(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바닥데크(200)는 원통형의 목재가 판재 형상으로 가공 처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즉, 바닥데크(200)는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로드(road)를 형성할 수 있다.The floor deck 200 may be installed on a pair of steel frames 100. The floor deck 200 may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cylindrical wood into a plate shape. That is, the floor deck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standards, and a plurality of the floor decks 200 may be connected side by side in a lateral direction to form a road.

난간지주(300)는 지면으로부터 구축될 수 있으며 지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1000)은 호수The railing posts 300 may be constructed from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railing posts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ground. The rail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ke

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1000)의 난간지주(300)는 적어도 한 쌍이 바닥데크(200)의 양측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난간지주(300)는 바닥데크(200)의 규격 즉 길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난간지주(300)는 로드(road)가 형성된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installed in, at least one pair of railing posts 300 of the rail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loor deck 200. A pair of railing posts 30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the standard, that is, the length of the floor deck 200. The railing posts 30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in which a rod is formed.

이때, 난간지주(30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난간지주(300)는 철제와 목재가 접목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난간지주(300)는 자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난간시스템(1000)에 전달되는 큰 충격이나 힘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난간지주(300)는 외관이 목재로 자연환경에 어울리도록 설계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ailing post 3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ailing post 300 may be a combination of iron and wood. Through this, the railing post 300 may improve its own rigidity and sufficiently support a large impact or force transmitted to the railing system 1000. In addition, the railing post 300 may provide an environment-friendly aesthetic by designing the exterior of the wood to match the natural environment.

난간지주(300)는 중공부(320a)가 형성된 본체프레임(320),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측면부재(340), 측면부재(340)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보조부재(360) 및 연결부재(3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ailing post 300 includes a body frame 320 having a hollow portion 320a formed thereon, a side member 34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frame 320, and an auxiliary member 360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ide member 340 And a connecting member 380.

난간지주(300)의 골조를 이루는 본체프레임(320)은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321) 및 지지부(321)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1)는 본체프레임(320)과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측면부재(3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321)는 본체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되어 측면부재(340)에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321)는 측면부재(340)를 지지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측면부재(340)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21)는 복수개가 돌출될 수 있다.The main frame 320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railing post 300 may include a support 321 protruding outward and a protrusion 322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321. The support part 32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frame 320 and the side member 34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320. That is, the support part 321 may protrude from the main frame 32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member 340. Through this, the support part 321 supports the side member 340 so as to prevent the side member 340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21 may protrude.

돌출부(322)는 지지부(321)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보조부재(36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본체프레임(32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단부에 삽입홀(322a)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320)의 양측에 위치한 돌출부(322)에 의하여 돌출부(322)와 본체프레임(320)의 사이에 끼움홈(320b)이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322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321 and may protrude toward the auxiliary member 360. The protrusions 322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320, respectively. The protrusion 322 may have an insertion hole 322a formed at an end thereof. The protrusion 322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320. Fitting grooves 320b between the protrusions 322 and the main frame 320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320 by the protrusions 32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320.

측면부재(340)는 목재 재질이며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측면부재(340)는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321)와 맞닿을 수 있다. 측면부재(340)는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친환경적인 조화를 이룰 수 있다.The side member 340 is made of wood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320 and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320. That is, the side member 34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321 protruding outward of the body frame 320. The side member 340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320 to achieve an eco-friendly harmony.

한편, 측면부재(340)를 본체프레임(3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돌출부(322)의 내면에 복수개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에 피스가 끼워지게 되면서 측면부재(340)를 본체프레임(320)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스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측면부재(340)를 용접에 의하지 않고 피스로 고정시킴으로써 용접으로 인한 불량이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22 to fix the side member 340 to the body frame 320. As the piece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holes, the side member 340 may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frame 320. Therefore, the pie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defects or defects due to welding can be prevented by fixing the side member 340 with the piece rather than by welding.

본체프레임(320)에 측면부재(3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부재(340)와 수직한 위치에 형성된 끼움홈(320b)에 보조부재(360) 및 결합부(500)가 될 수 있다. 이때, 보조부재(360)의 폭은 측면부재(34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side member 340 is coupled to the body frame 320, the auxiliary member 360 and the coupling portion 500 may be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320b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member 340.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auxiliary member 36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ide member 340.

보조부재(360)는 목재 재질이며 끼움대(361) 및 끼움홀(36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재(360)는 '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끼움대(361)의 일측은 돌출부(322) 사이에 끼워지면서 본체프레임(320)과 맞닿을 수 있다.The auxiliary member 360 is made of wood and may include a fitting stand 361 and a fitting hole 362. The auxiliary member 360 may be formed in a'H' shap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320. One side of the fitting stand 361 may contact the body frame 320 while being fitted between the protrusions 322.

즉, 끼움대(361)는 끼움홈(320b)에 끼워지면서 끼움홀(362)의 위치는 돌출부(322)의 삽입부(322a)와 수직한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한편, 보조부재(360)은 본체프레임(320)과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연결부재(38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That is, while the mounting rod 361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0b, the position of the fitting hole 362 may be pl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portion 322a of the protrusion 322.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member 360 may be connected via a connection member 380 to securely fix the body frame 320.

연결부재(380)는 탄성 재질일 수 있으며 일측(381)이 본체프레임(320)의 삽입홀(322a)에 끼워지고 연결부재(380)의 타측(382)이 보조부재(360)의 끼움홀(36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80)의 일측(381)과 타측(382)은 서로 직교하며 본체프레임(32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8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side 38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2a of the main frame 320, and the other side 382 of the connecting member 380 is a fitting hole of the auxiliary member 360. 362) can be fitted and fixed. At this time, one side 381 and the other side 382 of the connection member 380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may be respectively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rame 320.

또한, 연결부재(380)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80)는 보조부재(360) 및 본체프레임(320)과 더욱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보조부재(360)와 본체프레임(320) 간의 고정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380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ccordingly, the connection member 380 may be further closely fixed to the auxiliary member 360 and the body frame 320, and the fixing strength between the auxiliary member 360 and the body frame 320 may be further increased.

가로대(40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목재일 수 있으며, 결합부(500)를 매개로 난간지주(300)의 골조인 본체프레임(320)과 연결되면서 난간시스템(1000)이 이뤄질 수 있다. 가로대(400)가 결합부(500)를 매개로 난간지주(300)와 연결될 때, 발생되는 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부가 절개될 수도 있다. 즉, 가로대(400)는 난간지주(300)를 중심으로 경사져 연결될 수 있으며 가로대(40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힘이 난간지주(300)에 전달될 수 있다.The crossbar 400 may be a cylindrical or square-shaped wood, and the railing system 1000 may be form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ain frame 320, which is a frame of the railing post 300, through the coupling part 500. When the crossbar 400 is connected to the railing post 300 via the coupling part 500, the end may be cut in order to minimize the generated gap. That is, the crossbar 400 may be connected to be inclined around the railing post 300, and an impact or force applied to the crossbar 400 may be transmitted to the railing post 300.

결합부(500)는 돌출부(322) 사이에 내입되어 본체프레임(32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결합부(500)는 끼움홈(320b)에 내입될 수 있으며, 끼움홈(320b)에 끼워진 보조부재(360)와 인접한 보조부재(36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부(500)는 끼움홈(320b)에 내입된 상태에서 보조부재(360)에 의하여 상하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결합부(5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coupling part 50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s 322 and connected to the main frame 320. That is, the coupling part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0b,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uxiliary member 360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320b and the adjacent auxiliary member 360. For this reason,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part 500 may be restricted by the auxiliary member 360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0b.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upling unit 5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V-V 선을 따라 결합부를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coupling portion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portion cut along the line V-V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부(500)는 돌출부(322) 사이에 내입되어 본체프레임(320)에 연결되는 고정부(510) 및 가로대(400)와 결합하여 고정부(510)에 체결되는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5, the coupling part 500 is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s 322 and combined with the fixing part 510 and the crossbar 400 connected to the main frame 320 to the fixing part 510. It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520 to be fastened.

이때, 고정부(510)는 고정대(511) 및 수용부(512)를 포함하며, 상술한 난간지주(300) 즉 본체프레임(320)의 끼움홈(320b)에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대(511)는 'U' 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U' 형 고정대(511)는 제1 고정대(511a) 및 제2 고정대(511b)로 나눠질 수 있으며 하측에 제3 고정대(511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320)에 고정대(511)를 피스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고정대(511a), 제2 고정대(511b) 및 제3 고정대(511c)에는 고정홀(h)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320)의 끼움홈(320b)에 고정대(511)를 내입시켜 고정시킬 때 제1 고정대(511a), 제2 고정대(511b) 및 제3 고정대(511c)에 의하여 힘이 분배되어 한쪽으로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다. 고정대(511)는 본체프레임(320)의 끼움홈(320b)에 내입되어 끼움홈(320b)의 내면에 피스로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510 includes a fixing table 511 and a receiving part 512,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bove-described railing post 300, that is, the fitting groove 320b of the main frame 320. In this case, the fixing table 511 may be formed in a'U'-shaped plate shape. The'U'-shaped fixing table 51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ixing table 511a and a second fixing table 511b, and a third fixing table 511c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side. Fixing holes h may be formed in the first fixing table 511a, the second fixing table 511b, and the third fixing table 511c, respectively, in order to fix the fixing table 511 to the body frame 320 with a piece. When inserting and fixing the fixture 511 in the fitting groove 320b of the main frame 320, the force is distributed by the first fixture 511a, the second fixture 511b and the third fixture 511c to one side. It can prevent sagging. The fixing table 511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0b of the body frame 320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320b as a piece.

한편, 고정부(510)는 체결부(520)를 수용하는 수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512)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대(51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xing part 510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512 accommodating the fastening part 520. For example, the receiving part 51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ase shape with an open top and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ixing table 511.

또 다른 예를 들면, 수용부(512)는 바닥부재(512a), 한 쌍의 판부재(512b) 및 전면부재(512c)를 포함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receiving part 512 may include a bottom member 512a, a pair of plate members 512b, and a front member 512c.

바닥부재(512a)는 판 형상으로 고정대(511)의 하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판부재(512b)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재(512a)의 양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bottom member 512a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table 511 in a plate shape. The pair of plate members 512b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om member 512a.

전면부재(512c)는 만곡진 면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바닥부재(512a)와 한 쌍의 판부재(512b)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A)의 전방을 감싸면서 바닥부재(512a) 및 한 쌍의 판부재(512b)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면부재(512c)의 중앙부에는 각도변환홀(513) 및 절개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member 512c may be formed of a curved surface, and surrounds the front of the receiving space A formed by the floor member 512a and a pair of plate members 512b. It may be connected to the plate member 512b. At this time, an angle conversion hole 513 and a cutout 514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member 512c.

각도변환홀(513)은 수용부(512)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각도변환홀(513)은 양측에는 수직하게 형성되되 아래측에는 만곡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U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ngle conversion hole 513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of the receiving part 512. For example, the angle conversion hole 513 may be formed vertically on both sides, but bent on the lower side, and may be formed in a U shape as a whole.

체결부(520)는 각도변환홀(51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체결부(520)는 각도변환홀(513)의 원주면과 맞닿게 되고 각도변환홀(513) 내에서 각도가 변환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520 may be rotated by the angle conversion hole 513. That is, the fastening part 520 may contac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gle conversion hole 513 and the angle may be converted within the angle conversion hole 513.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시스템(1000)은 여러가지 각도로 가변이 가능한 결합부(500)로 난간지주(300)와 가로대(400) 사이를 고정시킴으로써 경사진 지면에서도 난간지주(300)와 가로대(400) 사이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난간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rail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etween the railing posts 300 and the cross bars 400 with a coupling part 500 that can be varied at various angles, so that the railing posts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300) and the crossbar 400,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railing without a separate tool.

체결부(520)는 몸체부(521) 및 삽입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21)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대(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512)의 수용공간(A)에 수용될 수 있다. 삽입부(522)는 몸체부(52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나사산(522a)으로 이뤄질 수 있다. 삽입부(522)는 가로대(400)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520 may include a body portion 521 and an insertion portion 522. The body part 521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A of the receiving part 512 in a state coupled to the crossbar 400. The insertion portion 5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521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hreads 522a. The insertion part 522 may be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rossbar 400.

도 6은 도 1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 따른 체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pplied to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5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521')는 반 구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형 형상의 보강편(523)이 몸체부(52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강편(523)은 몸체부(521')와 삽입부(5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편(523)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체결부(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편(523)에 의해 체결부(50)는 가로대(40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체결부(50)의 보강편(523)은 펜치와 같은 공구에 의해 가로대(400)에 회전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fastening part 520"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shown in FIG. 6, the body part 521 ′ may be formed in a semi-spherical shape and reinforced in a polygonal shape. The piece 523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art 521 ′. As another example, the reinforcing piece 523 may be formed between the body part 521 ′ and the insertion part 522. The 523 may prevent the fastening part 50 from being damaged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50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crossbar 400 by the reinforcing piece 523. That is, the reinforcing piece 523 of the fastening portion 50 may be inserted while rotating to the crossbar 400 by a tool such as pliers.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

수용부(512)의 전면부재(512c)는 각도변환홀(513)이 형성되고, 각도변환홀(513)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도변환홀(513)의 상단에는 체결부(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514)는 각도변환홀(513)의 상측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member 512c of the receiving part 512 may have an angle conversion hole 513 formed therein, and the angle conversion hole 51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For example, a cutout 514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ngle conversion hole 513 so that the fastening part 50 can be fitted. That is, the cutout 514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upper side of the angle conversion hole 513.

절개부(514)를 통하여 고정부(510)는 체결부(52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절개부(514)의 폭(t1)은 후술할 체결부(520)의 삽입부(522) 폭(t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522)가 절개부(514)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512)에 수용된 체결부(520)가 수용부(5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절개부(514)는 고정부(510)가 외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벌어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fixing part 510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520 through the cutout part 514. At this time, the width t1 of the cutout 514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t2 of the insertion part 522 of the fastening part 5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sertion part 522 is inserted into the cutout 514. I ca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strain the movement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52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512 is not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512. On the other hand, the cutout 514 may alleviate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fixing portion 510 is constricted or opened by an external for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by changing, deleting, adding, etc., but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난간시스템
100: 철제골조 200: 바닥데크
300: 난간지주 320: 본체프레임
320a: 중공부 320b: 끼움홈
321: 지지부 322: 돌출부
322a: 삽입홀 340: 측면부재
360: 보조부재 361: 끼움대
362: 끼움홀 380: 연결부재
400: 가로대 500: 결합부
510: 고정부 511: 고정대
511a: 제1 고정대 511b: 제2 고정대
511c: 제3 고정대 512: 수용부
512a: 바닥부재 512b: 판부재
512c: 전면부재 513: 각도변환홀
514: 절개부 520,520": 체결부
521, 521': 몸체부 522: 삽입부
522a: 나사산 523: 보강편
1000: handrail system
100: steel frame 200: floor deck
300: railing post 320: body frame
320a: hollow part 320b: fitting groove
321: support 322: protrusion
322a: insertion hole 340: side member
360: auxiliary member 361: insert
362: fitting hole 380: connecting member
400: crossbar 500: coupling portion
510: fixing part 511: fixing rod
511a: first fixing rod 511b: second fixing rod
511c: third fixing rod 512: receiving portion
512a: bottom member 512b: plate member
512c: front member 513: angle conversion hole
514: cutout 520,520": fastening part
521, 521': body portion 522: insertion portion
522a: thread 523: reinforcement piece

Claims (10)

지면에 구축되어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와 상기 난간지주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가로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지주는,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측면부재;
상기 측면부재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면부재와 맞닿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게 위치하고 상기 보조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난간시스템.
Railing posts that are built on the ground and are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railing posts;
A crossbar installed between the railing posts; And
It connects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railing post, and includes a coupling portion for varying the angle of the crossbar,
The railing holder,
A body frame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 side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It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ide member and includes an auxiliary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frame via a connection member,
The body frame,
A support part protruding outward of the main frame and in contact with the side member;
A railing system comprising a protrusion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and protruding toward the auxiliary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단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부재는 측면에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이 상기 끼움홀에 끼워지는 난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sion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nd insertion holes are formed at the ends,
The auxiliary member has a fitting hole formed on the side,
A railing system in which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내입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로대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난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art,
A fixing part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Handrail system comprising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crossbar and fastened to the fixing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가로대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도변환홀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난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part,
A receiving part receiving the fastening part therein and having an angle conversion hole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the crossbar; And
Handrail system comprising a fixing bar 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main fr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환홀은,
원형 또는 U형으로 형성되는 난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ngle conversion hole,
Railing system formed in a circular or U sha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각도변환홀의 상측에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난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receiving part,
Handrail system in which a cutout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angle conversion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portion is inser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난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fastening part,
A body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A railing system including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there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반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보강편이 형성되는 난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body part
A railing system formed in a semi-spherical shape and having a reinforcing piec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art.
KR1020180024607A 2018-02-28 2018-02-28 Railing system KR1021574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07A KR102157417B1 (en) 2018-02-28 2018-02-28 Rai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07A KR102157417B1 (en) 2018-02-28 2018-02-28 Rai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71A KR20190103771A (en) 2019-09-05
KR102157417B1 true KR102157417B1 (en) 2020-09-17

Family

ID=6794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607A KR102157417B1 (en) 2018-02-28 2018-02-28 Rail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4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268B1 (en) * 2021-09-07 2022-09-01 주식회사 엘리스우드 expandtion type natural wood fence module with easy angle adjustment
KR102486824B1 (en) * 2021-12-03 2023-01-10 합자회사 세가온 Expandable natural wood railing system for easy installation on slop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27Y1 (en) * 2006-04-28 2006-07-14 더남마을 주식회사 Apparatus to mount the guard fence
KR200467788Y1 (en) * 2011-01-25 2013-07-05 동림지앤텍(주) Fixing device for handra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27Y1 (en) * 2006-04-28 2006-07-14 더남마을 주식회사 Apparatus to mount the guard fence
KR200467788Y1 (en) * 2011-01-25 2013-07-05 동림지앤텍(주) Fixing device for hand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71A (en)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733B1 (en) Deckroad guardrail assembly
KR102157417B1 (en) Railing system
KR101702348B1 (en) Structural system for floor deck
KR20150088123A (en) Fixing clip for deck plate
KR101385630B1 (en) Frame assembly for deck-road
CA3113196A1 (en) Support system for raised floors
KR101642110B1 (en) Stripping Deck Plate
KR20150134852A (en) Wood deck structure
US20060016637A1 (en) Elevated work platform
KR102459395B1 (en) Slide type nut holder using prefabricated truss
KR101663825B1 (en)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magnet
KR100642327B1 (en) Prefabricated artificial wall of rock
KR102626644B1 (en) Deck guardrail system with adjustable angle
KR102637555B1 (en) Joint device for euroform
JP5270950B2 (en) Stairs, tread mounting brackets for stairs
KR200152024Y1 (en) Frame in the farm culture
CN109563710A (en) Improved template component
CN210685039U (en) Wooden column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of ancient building
KR200346487Y1 (en) spare scaffold for a vessel bulkhead work
JP2005200907A (en) Joint sheet metal and beam-column joint method making use of the joint sheet metal
JP3174807U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racing of wooden buildings and fixing brackets for bracing intersections
KR200196679Y1 (en) Steel bar for suporting sheetings
KR101782027B1 (en) Pillar assembly for pergola
KR20200041022A (en) Working stand for construction
KR20200137683A (en) Handrail for landscape facilities and d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