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650A -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650A
KR20200040650A KR1020190070608A KR20190070608A KR20200040650A KR 20200040650 A KR20200040650 A KR 20200040650A KR 1020190070608 A KR1020190070608 A KR 1020190070608A KR 20190070608 A KR20190070608 A KR 20190070608A KR 20200040650 A KR20200040650 A KR 2020004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771B1 (ko
Inventor
고준용
박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어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어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어링크
Publication of KR2020004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Abstract

본 발명은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에서 기지국을 거쳐 중앙서버를 통해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는 구조가 아니라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주소록 및 연락처에 있는 상대 착신 단말기 중 동일 기지국내 존재하는 상대 착신 단말기와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하거나, 다른 기지국 구간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상대 착신 단말기의 경우 해당 기지국을 거쳐 중개 서버 없이 해당 상대 착신 단말기와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하여 상대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교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다양한 방식, 예컨대 발신자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예컨대, 상대방 단말기와의 직접 음성 통신 혹은 상대방 단말기로 SMS 패킷 발송과 같은 호 접속 행위)가 필요 없고,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기지국 등의 실질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으로 단말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D2D based system for confirming use statu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D2D(Device to Device)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통화상태 확인 서비스는 발신자의 버튼조작에 의한 통화 연결 시도를 통해서만 착신자의 상태를 알 수 있었기 때문에 발신자 입장에서는 반복적인 통화시도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반복적인 통화시도 과정에서는 기지국과 교환기 등 실제적인 통화 호발신 신호체계와 동일한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므로 통화 호연결을 위한 통신자원의 사용이 불가피하였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연락처' 기능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저장된 정보(예컨대, 통화기록 등)를 조회하여 제공하고, 특히 발신 단말기를 통해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은 발신자가 실제로 통화연결시도를 하는 방법이거나, SMS 패킷 등의 연결신호 발신행위를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연결을 통한 응답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었다.
예컨대,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특허문헌1에서는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같이 반드시 발신자의 통화 연결 시도로 기지국 교환기 등에서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인지하고 정보 제공 서버에서 발신단말기 쪽으로 SMS 메시지, 퀵 보이스를 이용해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통화 가능 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특허문헌2 또는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특허문헌3에서는 반드시 통화 연결 요청 이후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발신자의 조작(통화 연결 요청)이 필요하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에 관한 특허문헌4는 사용자로 하여금 SMS 패킷을 상대방에게 발송하는 방식을 이용한 통화 호연결을 위한 통신자원 사용과 상대 단말기 응답 착신까지의 응답시간이 소요되어야 했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의 상태 또한 실시간 상태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불편함이 컸다.
이처럼, 특허문헌1 내지 4에 게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착신 측 통화 가능 상태를 제공하는 기술들은 통화 연결 요청 이후로 통화 가능 상태가 제공되거나 상대방 단말기로 SMS 패킷을 발송하여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반드시 발신자의 조작(통화 연결 시도)이 필요하거나,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알게 되는 시점 또한 실시간이 아니기 때문에 응답대기시간이 필요하여 발신자의 반복적인 통화시도, 착신자의 통화불능 상태에 따른 장시간 대기, 전화 연결 실패로 인한 불필요한 자원 낭비들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를 광범위하게 제공하고,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울기 등의 상태까지 취합하여 상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특허문헌5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경우에도 각 기지국 사이에 존재하는 상태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취합하여 해당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 기지국의 도움없이 단말기간 직접 통신(D2D: Device to Device) 방식의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개발되고 있다. Wi-Fi Alliance에서 발표한 Wi-Fi Direct 와 퀄컴사의 FlashLinQ 와 같은 기술은 각 단말기가 기지국의 자원과 기존 호발신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전형적인 무선-유선 기지국 네트워크의 사용없이 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출원인(혹은 발명자)는 선행 특허문헌 1∼5 의 경우처럼 기지국을 거친이후 중개 서버를 통해 상태를 교환하는 것이 아닌 단말기간 직접 통신 방식을 이용한 단말기 사용상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소의 자원으로 상호 연결을 지원하고자 한다.
KR 10-2006-0120723 A KR 10-2012-0046368 A KR 10-2010-0102455 A KR 10-0595682 B1 KR 10-2010-0034424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 없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기능인 통화기록 또는 주소록 또는 등록된 연락처에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시도 혹은 통화상태, 인터넷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통화 및 인터넷 사용 등의 다양한 행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한 사용상태(예컨대, 통화가능, 통화 중, 전원 꺼짐, 회의 중, 통화가능 시간 등)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하되, 특히 상기한 특허문헌1∼5의 공통된 특징과 같이 단말기에서 기지국을 거쳐 중앙서버를 통해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는 구조가 아니라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주소록 및 연락처에 있는 상대 착신 단말기 중 동일 기지국내 존재하는 상대 착신 단말기와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하거나, 다른 기지국 구간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상대 착신 단말기의 경우 해당 기지국을 거쳐 중개 서버 없이 해당 상대 착신 단말기와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하여 상대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교환하도록 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회의, 운전 등의 이유로 통화 불가한 상황 또는 통화를 보류하고자 할 경우 임의로 사용상태를 변경하거나 알림 메시지를 설정하면 임의로 변경된 사용상태 또는 알림 메시지가 실시간 업데이트되어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바로 표시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한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동의한 공개수준으로 사용상태 공개에 동의한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최신 사용상태를 자동 표시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업데이트된 상대방의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직접 조회하여 상대방의 통화가능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메시징(예컨대, 문자전송)이나 채팅, 인터넷전화(VoIP) 통화를 시도할 수 있게 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현재 사용상태(예컨대, 통화가능, 통화 중, 전원 꺼짐, 회의 중, 통화가능 시간 등)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상태점검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 없이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전송장치로부터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사용상태를 조회하여 조회한 상대방 사용상태를 표시해주어 실시간으로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불가 상황 혹은 통화 보류 요구에 대응하는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상태입력장치; 및 상기 상태점검장치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업테이트받거나 상기 상태입력장치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의 조회 요구에 따라 상대방 사용상태를 전달하는 상태전송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점검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한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동의한 공개수준으로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전달하기 위해 자동 업데이트하고,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는 사용상태 공개에 동의한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최신 사용상태를 자동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기능인 통화기록 또는 주소록 또는 등록된 연락처에 상대방 사용상태를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는 자동으로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업데이트된 상대방의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원할 경우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상대방의 통화가능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메시징(예컨대, 문자전송)이나 채팅, 인터넷전화(VoIP) 통화를 시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점검장치로부 연결 및 통신 불가할 경우 연결불량 및 사용상태 미확인으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변경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다양한 방식, 예컨대 발신자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예컨대, 상대방 단말기와의 직접 음성 통신 혹은 상대방 단말기로 SMS 패킷 발송과 같은 호 접속 행위)가 필요 없고,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기지국 등의 실질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으로 단말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지국과 교환기 등 실제적인 통화 호발신 신호체계와 동일한 시스템을 이용할 때의 통화 호연결을 위한 통신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상대방 사용상태로부터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이동전화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현재 통화가능 상태 혹은 통화 희망시간 등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된 통화연결 시도 및 대기시간 등을 대폭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어 통화연결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크며, 통화연결 성공 확률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의 상태점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상태확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은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로 구별되는 이동통신단말기들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는 각각 내부에 상태점검장치(111,111')와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와 상태입력장치(113,113') 및 상태전송장치(114,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현재 사용상태(예컨대, 통화가능, 통화 중, 전원 꺼짐, 회의 중, 통화가능 시간 등)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상기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한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동의한 공개수준으로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전달하기 위해 자동 업데이트하고,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는 사용상태 공개에 동의한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최신 사용상태를 자동 표시한다.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 없이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전송장치(114,114')로부터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사용상태를 조회하여 조회한 상대방 사용상태를 표시해주어 실시간으로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기능인 통화기록 또는 주소록 또는 등록된 연락처에 상대방 사용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는 동일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상대방의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상대방의 통화가능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메시징(예컨대, 문자전송)이나 채팅, 인터넷전화(VoIP) 통화를 시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는 자동으로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업데이트된 상대방의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원할 경우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상대방의 통화가능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메시징(예컨대, 문자전송)이나 채팅, 인터넷전화(VoIP) 통화를 시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점검장치(111,111')로부 연결 및 통신 불가할 경우 연결불량 및 사용상태 미확인으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변경하여 알려준다.
상기 상태입력장치(113,113')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불가 상황 혹은 통화 보류 요구에 대응하는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상기 상태전송장치(114,114')는 상기 상태점검장치(111,111')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업테이트받거나 상기 상태입력장치(113,113')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의 조회 요구에 따라 상대방 사용상태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상태점검장치(111,111')는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의 가동 시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로 구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를 점검하는 프로그램(혹은 앱)을 수행하는 장치 혹은 모듈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2,112')는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의 가동 시 상기 상태전송장치(114,114')와 통신하여 업데이트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를 조회하는 프로그램(혹은 앱)을 수행하는 장치 혹은 모듈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상태입력장치(113,113')는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의 가동 시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로 구별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불가 상황 혹은 통화 보류 요구에 대응하는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프로그램(혹은 앱)을 수행하는 장치 혹은 모듈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태전송장치(114,114')는 본 발명에 의해 상태점검장치(112,112') 및 상태입력장치(113,113')에 의해 업데이트된 단말기 상태를 동일 네트워크상에서 상태를 요청한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원거리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중개 서버없이 직접 통신하는 프로그램(혹은 앱) 수행 장치 혹은 모듈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이 가동하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로 구별되는 이동통신단말기들은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부여하는 고유 식별기호를 통해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D2D 방식으로 서로 직접 통신한다.
이때, 발신자가 사용하는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자가 사용하는 착신 단말기(110')간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는 필요없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발신자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예컨대, 상대방 단말기와의 직접 음성 통신 혹은 상대방 단말기로 SMS 패킷 발송과 같은 호 접속 행위)가 필요 없기 때문에 기지국과 교환기 등 실제적인 통화 호발신 신호체계와 동일한 시스템을 이용할 때의 통화 호연결을 위한 통신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상대방 사용상태로부터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의 가동 시 상기 상태점검장치(111,111')의 작동 과정(S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이 가동하면(S110),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사용자(발신자 혹은 착신자)가 임의로 사용자의 통화 불가 상황 혹은 통화 보류 요구에 대응하는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예컨대, 알림내용과 통화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는지 점검한다(S120).
만약,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입력된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를 업데이트한다(S121).
이와 달리,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현재 음성통화가 이뤄지는지 점검한다(S130).
이때, 음성통화가 이뤄지고 있으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음성 통화중 상태를 업데이트한다(S131).
음성통화가 이뤄지고 있지 않으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사용자가 상태 공개에 대해 인터넷 사용과 같이 상세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까지 허용하기로 한 경우, 인터넷전화(VoIP)를 위한 인터넷 패킷 사용이 이뤄지고 있는지 점검한다(S140).
만약, 인터넷전화(VoIP)를 위한 인터넷 패킷의 사용 중인 경우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인터넷전화(VoIP) 사용상태를 업데이트한다(S141).
이와 달리, 인터넷전화(VoIP)를 위한 인터넷 패킷의 사용 중이 아닌 경우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끄려고 하는지, 즉 전원 오프 상태인지를 점검한다(S150).
만약,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이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S151).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입력상태, 음성통화, 패킷사용, 전원오프 등의 점검 결과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는 통화가능 상태를 업데이트한다(S16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의 가동 시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점검장치(111,111')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현재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동안, 혹은 업데이트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 즉 착신 단말기(110')와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 없이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전송장치(114')로부터 착신 단말기(110')의 현재 사용상태를 조회하여 조회한 착신 단말기(110')의 사용상태를 표시해주어 실시간으로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의 작동 과정(S200)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100)의 가동 시,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는 먼저 착신 단말기(111')와의 음성통화나 인터넷전화(VoIP) 통화, 메시징(예컨대, 문자전송)이나 채팅 등을 연결을 하기 위해 통화기록 또는 주소록 또는 등록된 연락처 등을 확인한다(S210).
이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는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착신 단말기(111')의 상태전송장치(114')로 현재 사용상태 조회를 요구한다(S220).
이때, 착신 단말기(111')의 현재 사용상태 변경이 있으면(S230)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는 상기 착신 단말기(111')의 상태전송장치(114')로부터 조회한 착신 단말기(111')의 변경된 사용상태를 표시해주어 실시간으로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한다(S240).
이와 달리, 착신 단말기(111')의 현재 사용상태 변경이 없으면(S230)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는 상기 착신 단말기(111')의 상태전송장치(114')로부터 직전에 조회한 착신 단말기(111')의 사용상태를 표시해주어 실시간으로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한다(S240).
참고로, 도 4는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가 해당 발신 단말기(110)에 표시해주는 상태확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의 (a)는 발신 단말기(110)의 연락처(혹은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예컨대, 홍길동)의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통화가능, 회의중, 통화중, 전원꺼짐, VoIP전화 등의 상태를 한눈에 알아보기 쉬운 아이콘 및 텍스트로 표시하고 있다.
도 4의 (b)는 발신 단말기(110)의 연락처(혹은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예컨대, 홍길동)을 검색창을 통해 검색한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통화가능, 회의중, 통화중, 전원꺼짐, VoIP전화 등의 상태를 한눈에 알아보기 쉬운 아이콘 및 텍스트로 표시하고 있다.
도 4의 (c)는 발신 단말기(110)의 연락처(혹은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예컨대, 홍길동)이 임의로 자신의 통화 불가 상황 혹은 통화 보류 요구에 대응하는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예컨대, 알림내용과 통화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하였을 경우 해당 착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오전부터 회의중"이라는 알림내용과 "통화가능 시간은 미정"이라는 알림메시지를 한눈에 알아보기 쉬운 아이콘 및 텍스트, 예컨대 손바닥에 바쁘다는 의미의 busy라는 영문자가 표시된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가 상기 착신 단말기(111')의 상태전송장치(114')로부터 조회한 착신 단말기(111')의 사용상태를 표시해주어 실시간으로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발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 단말기(111')와의 음성통화나 인터넷전화(VoIP) 통화, 메시징(예컨대, 문자전송)이나 채팅 등의 연결시도가 있는 경우(S250), 선택된 통화연결 혹은 메시징(예컨대, 문자전송)이나 채팅 등의 연결을 수행한다(S260).
만약,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 단말기(111')와의 음성통화나 인터넷전화(VoIP) 통화, 메시징(예컨대, 문자전송)이나 채팅 등의 연결시도가 없으면(S250)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는 상기한 통화기록 또는 주소록 또는 등록된 연락처 등을 확인하는 과정(S210)을 다시 수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111)를 통해서 상기 착신 단말기(111')의 상태전송장치(114')로부터 착신 단말기(110')의 현재 통화가능 상태 혹은 통화 희망시간 등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된 통화연결 시도 및 대기시간 등을 대폭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어 통화연결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크며, 통화연결 성공 확률을 향상할 수 있다.
100: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110: 발신 단말기 110': 착신 단말기
111,111': 상태점검장치 112,112':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
113,113': 상태입력장치 114,114': 상태전송장치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현재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상태점검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시도 또는 연결신호의 발신행위 없이 D2D 방식의 직접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전송장치로부터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사용상태를 조회하여 조회한 상대방 사용상태를 표시해주어 실시간으로 통화가능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불가 상황 혹은 통화 보류 요구에 대응하는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상태입력장치; 및
    상기 상태점검장치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업테이트받거나 상기 상태입력장치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 변경 혹은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의 조회 요구에 따라 상대방 사용상태를 전달하는 상태전송장치;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점검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확인한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동의한 공개수준으로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전달하기 위해 자동 업데이트하고,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는 사용상태 공개에 동의한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최신 사용상태를 자동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기능인 통화기록 또는 주소록 또는 등록된 연락처에 상대방 사용상태를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는 자동으로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업데이트된 상대방의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원할 경우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상대방의 통화가능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메시징이나 채팅, 인터넷전화(VoIP) 통화를 시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 인터페이스장치는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점검장치로부 연결 및 통신 불가할 경우 연결불량 및 사용상태 미확인으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변경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KR1020190070608A 2018-10-08 2019-06-14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KR102143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90 2018-10-08
KR20180119590 2018-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650A true KR20200040650A (ko) 2020-04-20
KR102143771B1 KR102143771B1 (ko) 2020-08-13

Family

ID=7046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608A KR102143771B1 (ko) 2018-10-08 2019-06-14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7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221A (ko) * 2002-01-31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KR100595682B1 (ko) 2004-10-25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20060120723A (ko) 2005-05-23 2006-11-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4424A (ko) 2008-09-24 2010-04-01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단말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02455A (ko)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46368A (ko) 2010-11-02 2012-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가능 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221A (ko) * 2002-01-31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KR100595682B1 (ko) 2004-10-25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20060120723A (ko) 2005-05-23 2006-11-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4424A (ko) 2008-09-24 2010-04-01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단말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02455A (ko)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46368A (ko) 2010-11-02 2012-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가능 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771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414B1 (ko) 사용자 이동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사서함의 서비스제공방법
JP2006094369A (ja) メッセージ自動通知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CN101208941A (zh) 利用出现检测执行自动联络分配的方法和系统
WO2016106737A1 (zh) 一种呼叫转移的方法和终端
JP2012530984A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
CN101326802A (zh) 用于在第二网络中建立连接的方法和网络单元
KR100420671B1 (ko)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143771B1 (ko)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KR101028487B1 (ko) 인터넷 전화연결방법
JP5003961B2 (ja) 携帯電話端末の状態通知システム
KR100526684B1 (ko) 번호 이동성 서비스에서 사업자 정보 제공방법
KR100673246B1 (ko)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자 정보 제공방법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KR1006368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문자답변시스템 및 방법
KR101254489B1 (ko) 통화데이터 저장서비스 시스템 및 통화데이터 저장서비스 방법
KR100620858B1 (ko) 외부 단문 메시지를 위한 가상 이동통신 번호 제공 방법및 장치
JP5480931B2 (ja) 通信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041386B1 (ko) 푸쉬서버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전화를 연결하도록 하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
KR100620855B1 (ko) 단문 메시지를 위한 가상 이동통신 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37535B1 (ko) 불완료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101207035B1 (ko)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972930B1 (ko) 호연결시 문자메시지 즉시 통보 방법
JP2006180372A (ja) 常時ip網に接続していない通信端末へのip電話発信システム及び呼制御サーバ
KR100954517B1 (ko) 매너 문자메시지 제공방법
KR20010093488A (ko) 인터넷폰 서비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