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443A -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443A
KR20200040443A KR1020180120369A KR20180120369A KR20200040443A KR 20200040443 A KR20200040443 A KR 20200040443A KR 1020180120369 A KR1020180120369 A KR 1020180120369A KR 20180120369 A KR20180120369 A KR 20180120369A KR 20200040443 A KR20200040443 A KR 2020004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power generation
supply
power
polarit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호
Original Assignee
윤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호 filed Critical 윤재호
Priority to KR102018012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0443A/ko
Publication of KR2020004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2K99/10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력 공급장치는 제1 극성 단자와 제2 극성 단자를 가지며,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는 공급 계자 및 상기 직류 전원부와 상기 공급 계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상태를 제공하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Power Supplying Apparatus, Power Generating Apparatus, Power Generating System and Power Gen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류 전원을 활용하는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를 발전시키는 방법으로는 자기장 내에 전기자를 회전 운동하고, 상기 회전 운동으로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유도 기전력에 방향에 따라, 유도 기전력에 방향이 일정 주기로 변환되는 교류 발전 방법이 있다. 교류 발전 방법은 대용량의 전력 생산에 유리하고, 송전에 손실이 적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교류 발전 방법은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요한 전력 발전 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전기자를 사용하지 않아 소음이 저감되는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발전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발전 효율이 우수한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 발전하는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공급장치는 제1 극성 단자와 제2 극성 단자를 가지며,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는 공급 계자 및 상기 직류 전원부와 상기 공급 계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상태를 제공하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공급장치의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비 인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공급장치의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2 스위치,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4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ON 시키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4 스위치를OFF 시키고,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및 상기 제4 스위치를 ON 시키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OFF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공급장치는 발전 계자를 포함하는 전력 발전장치가 상기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공급 계자가, 상기 직류 전원부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가 교번하여 전환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발전 계자에 유도 전류가 발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공급장치의 상기 전력 발전장치는, 상기 공급 계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전력 발전장치 및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의 발전 계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전력 발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계자,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의 제1 발전 계자, 상기 제2 전력 발전장치의 제2 발전 계자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공급장치의 상기 전력 발전장치는, 상기 공급 계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발전장치는 발전 계자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 계자는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공급 계자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와 직류 전원부의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상태를 교번하여 가지며, 상기 발전 계자는, 상기 공급 계자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의 교번 전환에 따라 발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발전장치의 상기 발전 계자는 상기 공급 계자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교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전 계자에 유입되는 자성의 방향이 변하며, 상기 자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발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은 제1 극성 단자와 제2 극성 단자를 가지며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는 공급 계자, 및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상태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발전 계자를 가지는 전력 발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 계자는, 상기 공급 계자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의 반복적인 교번 전환에 따라 발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발전 방법은 공급 계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 전원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발전 계자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직류 전원부의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에 제1 방향으로 공급하는 제1 공급 단계와,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공급하는 제2 공급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급 단계와 상기 제2 공급 단계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단계에 의하여 상기 발전 계자에는 전류가 발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은, 직류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직류 전류의 방향을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공급하여 상기 자기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 전류를 발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은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ESS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해야 하는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나아가 전기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기자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CO2 등 오염물질을 배출시키지 않아 무소음 무공해 발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 중 전력 공급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계 S130에 대한 상세 순서도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3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3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 계자에 공급되는 전류 및 발전 계자에서 유도된 유도 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1 상태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2 상태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은 전력 공급장치(100) 및 전력 발전장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는 후술할 직류 전원부(110)에서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장치(100)는 직류 전원부(110), 공급 계자(120), 전류 제어부(미도시), 제1 스위치(130a), 제2 스위치(140a), 제3 스위치(130b), 제4 스위치(140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류 전원부(110)는 직류 전력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대상물에 상기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직류 전원부(110)의 양단에는 상기 직류 전원부(110)의 전극의 역할을 하는 제1 극성 단자(111) 및 제2 극성 단자(1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극성 단자(111)는 외부로 직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는 양극(positive electrod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극성 단자(111)는 상기 직류 전원부(1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극성 단자(113)는 외부에서 제공된 직류 전류를 받을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는 음극(negative electrod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극성 단자(113)는 상기 직류 전원부(1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극성 단자(111) 및 상기 제2 극성 단자(113)는 도전성 재질로 제공되며 예를 들어 구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급 계자(120)는 상기 직류 전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직류 전원부(110)에서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급 계자(120)는 권선(121) 및 철심(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계자(120)의 양단에는 제1 단부(125)와 제2 단부(127)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단부는 상기 철심(123)의 일 단에 위치하는 권선(121)을 지칭하고, 제2 단부는 상기 철심(123)의 타 단에 위치하는 권선(121)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권선(121)은 소정 길이를 갖는 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권선(121)은 도전성 재질로 제공되며,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금(Au), 은(Ag), 백금(Pt) 및 구리(Cu) 등의 금속을 인발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철심(12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철심(123)의 외면에는 상기 권선(121)이 일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철심(123)은 상기 공급 계자(120)의 프레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직류 전원부(110)와 상기 공급 계자(12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직류 전원부(110)와 상기 공급 계자(120)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직류 전원부(110)의 상기 제1 단부(111)와 상기 공급 계자(120)의 상기 제1 극성 단자(12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직류 전원부(110)의 상기 제2 단부(113)와 상기 공급 계자(120)의 상기 제2 극성 단자(127)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직류 전원부(110)의 상기 제1 단부(111)와 상기 공급 계자(120)의 상기 제2 극성 단자(127)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직류 전원부(110)의 상기 제2 단부(113)와 상기 공급 계자(120)의 상기 제1 극성 단자(12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단부(111)가 제1 극성 단자(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113)가 상기 제2 극성 단자(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제1 상태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부(111)가 상기 제2 극성 단자(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113)가 상기 제1 극성 단자(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제2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상기 공급 계자(12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제어부가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를 반복적으로 교번하는 과정은 도 8 내지 도 10을 통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직류 전원부(110)와 상기 공급 계자(120)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부(111)와 상기 제2 극성 단자(127)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113)와 상기 제1 극성 단자(125)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부(111)와 상기 제1 극성 단자(125)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113)와 상기 제2 극성 단자(127)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류 제어부는 제1 스위치(130a), 제2 스위치(140a), 제3 스위치(130b) 및 제4 스위치(140b)를 포함하되, 이 들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 상태 및 제2 상태간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130a)는 상기 제1 극성 단자(111)와 상기 제1 단부(12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130a)는 ON 또는 OFF상태를 전환하며, 상기 제1 극성 단자(111)와 상기 제1 단부(125)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위치(130a)가 ON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극성 단자(111)와 상기 제1 단부(125)를 통전(通電)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130b)가 OFF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극성 단자(111)와 상기 제1 단부(125)를 단전(斷電)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140a)는 상기 제1 극성 단자(111)와 상기 제2 단부(127)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140a)는 상기 제1 스위치(130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ON 또는 OFF상태를 전환하며, 상기 제1 극성 단자(111)와 상기 제2 단부(127)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130b)는 상기 제2 극성 단자(113)와 상기 제2 단부(127)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130b)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스위치(130a, 140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ON 또는 OFF상태를 전환하며, 상기 제2 극성 단자(113)와 상기 제2 단부(127)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4 스위치(140b)는 상기 제2 극성 단자(113)와 상기 제1 단부(12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4 스위치(140b)는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치(130a, 140a, 130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ON 또는 OFF상태를 전환하며, 상기 제2 극성 단자(113)와 상기 제1 단부(125)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류 제어부는 전력 공급장치(100)가 제1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130a) 및 상기 제3 스위치(130b)를 ON 상태로, 상기 제2 스위치(140a) 및 상기 제4 스위치(140b)를 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류 제어부는 전력 공급장치(100)가 제2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140a) 및 상기 제4 스위치(140b)를 ON 상태로, 상기 제1 스위치(130a) 및 상기 제3 스위치(130b)를 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발전장치(200)는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의 교번 전환에 따라 발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발전장치(200)는 상기 공급 계자(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장치(200)는 발전 계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계자(220)는 상기 공급 계자(120)의 자성 변화에 따라 발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전 계자(220)는 상기 공급 계자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교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전 계자에 유입되는 자성의 방향이 변하며, 상기 자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발전 전류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발전 계자(220)는 권선(221) 및 철심(2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전 계자(220)의 양단에는 제3 단부(225)와 제4 단부(22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전 계자(220)의 상기 권선(221), 철심(223), 제3 단부(225) 및 제4 단부(227)은 상술한 공급 계자(120)의 권선(121), 철심(123), 제1 단부(225) 및 제2 단부(227)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문서에서 상기 전력 발전장치(200)는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충전 장치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통하여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 중 전력 공급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단계 S130에 대한 상세 순서도의 일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3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3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공급 계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 전원부를 준비하는 단계(S110), 상기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발전 계자를 위치시키는 단계(S120) 및 제1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제2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 공급하는 공급 단계(S130)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 계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 전원부(110)가 준비될 수 있다(S110). 상기 공급 계자(120)와 상기 직류 전원부(110)는 상기 제1 스위치(130a), 제2 스위치(140a), 제3 스위치(130b) 및 제4 스위치(140b)로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12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발전 계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 계자(220)는 상기 공급 계자(1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발전 계자(220)는 상기 공급 계자(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단계 S13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제2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 공급하는 공급 단계(S130)는 상기 직류 전원부(110)의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120)에 교번하여 공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30은 직류 전원부의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에 제1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S131) 및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S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3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직류 전원부의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에 제1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S131)에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를 제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130a)및 상기 제3 스위치(130b)를 ON 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140a)및 상기 제4 스위치(140b)를OFF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직류 전원부(110)는 상기 제1 스위치(130a) 및 상기 제3 스위치(130b)를 통하여 상기 공급 계자(120)로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제1 상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직류 전류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직류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를 제1 공급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직류 전원으로 인해 상기 제1 단부(125)는 양극(positive electrode, P)으로 대전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부(127)는 음극(negative electrode, N)으로 대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직류 전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공급되면 상기 제1 단부(125)는 S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부(127)는 N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단계 S133
도 7을 참조하면, 및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S133) 에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를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스위치(140a)및 상기 제4 스위치(140b)를 ON 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130a) 및 상기 제3 스위치(130b)를OFF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직류 전원부(110)는 상기 제2 스위치(140a) 및 상기 제4 스위치(140b)를 통하여 상기 공급 계자(120)로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제2 상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직류 전류의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직류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를 제2 공급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직류 전원으로 인해 상기 제1 단부(125)는 음극(N)으로 대전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부(127)는 양극(P)으로 대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직류 전류가 상기 제2 방향으로 공급되면 상기 제1 단부(125)는 N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부(127)는 S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단계S131과 상기 단계 S133을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통하여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발전장치(200)에 전력이 생성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 계자에 공급되는 전류 및 발전 계자에서 유도된 유도 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1 상태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2 상태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 계자(120)에 공급되는 직류 전류의 방향이 양(P)과 음(N) 사이에서 소정 시간(t)를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공급 계자(120)에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직류 전류가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공급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단계 S131에 의한 제1 공급 단계와 단계 S133에서의 제2 공급 단계가 교번하여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점 t0과 시점 t1 사이에서는 상술한 단계 S131에 따라 상기 직류 전류가 상기 제1 방향인 상기 제1 단부(125)에서 제2 단부(127)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후, 단계 S131에서 단계 S133으로 변환되는 시점 t1을 기점으로 상기 직류 전류의 방향이 변환되어, 시점 t1과 시점 t2 사이에서는 상술한 단계 S133에 따라 상기 직류 전류가 상기 제2 방향인 상기 제2 단부(127)에서 상기 제1 단부(125)로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공급 계자(120)은 단계 S131과 단계 S133의 반복에 의하여 전류의 방향이 바뀔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 계자(120)에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류의 방향이 변환될 때, 상기 발전 계자(220)에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공급 계자(120)에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류의 방향이 변환되는 t1 시점에서의 발전과,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공급 계자(120)에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류의 방향이 변환되는 t2 시점에서의 발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시점 t1에서 상기 제1 단부(125)는 양극(P)에서 음극(N)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2 단부(127)은 음극(N)에서 양극(P)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부(125)에 생성되는 자성은 S극에서 N극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2 단부(127)에서 생성되는 자성은 N극에서 S극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자성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발전 계자(220)에는 상기 자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향(I1)으로 유도 전류가 발전될 수 있다. 상기 유도 전류는 상기 제3 단부(225) 에서 상기 제4 단부(227)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점 t2에서 상기 제1 단부(125)는 음극(N)에서 양극(P)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2 단부(127)은 양극(P)에서 음극(N)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부(125)에 생성되는 자성은 N극에서 S극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2 단부(127)에서 생성되는 자성은 S극에서 N극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자성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발전 계자(220)에는 상기 자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향(I2)으로 유도 전류가 발전될 수 있다. 상기 유도 전류는 상기 제4 단부(227)에서 상기 제3 단부(225)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시점 t1 및 시점 t2에서의 발전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t3, t4, t5 … tn에서도 상기 시점 t1 또는 시점 t2와 같은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발전장치(200)에 전력이 생성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전력 발전 시스템(1000)에서는 하나의 전력 공급장치(100)와 하나의 전력 발전장치(200)를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2를 통하여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의 실시 예와는 달리,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은 둘 이상의 전력 발전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기 공급 계자(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전력 발전장치(200a) 및 제3 전력 발전장치(20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계자(1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전력 발전장치(200b) 및 제4 전력 발전장치(20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200a), 상기 제2 전력 발전장치(200b), 상기 제3 전력 발전장치(200c) 및 상기 제4 전력 발전장치(200d)는 상기 공급 계자(12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은 하나의 전력 공급 장치(100)에서 복수의 전력 발전 장치(200a, 200b, 200c, 200d)를 발전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은 복수의 전력 공급장치(100a, 100b, 100c, 100d … 100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계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전력 발전장치(200') 및 제2 전력 발전장치(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장치(100a, 100b, 100c, 100d … 100n; 100)는 상기 제1 전력 공급장치(100a)의 공급 계자(120a)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200')은 복수의 전력 발전장치(200'a, 200'b, 200'c, 200'd … 200'n)가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 장치(10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력 발전장치(200'')은 복수의 전력 발전장치(200''a, 200''b, 200''c, 200''d … 200''n)가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 장치(10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장치(100),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200'), 및 상기 제2 전력 발전장치(200'')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a), 제1 전력 발전장치(200a') 및 제2 전력 발전장치(200a'')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전력 공급장치(100b), 제1 전력 발전장치(200b') 및 제2 전력 발전장치(200b'')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전력 공급장치(100c), 제1 전력 발전장치(200c') 및 제2 전력 발전장치(200c'')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전력 공급장치(100d), 제1 전력 발전장치(200d') 및 제2 전력 발전장치(200d'')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전력 공급장치(100)에 의하여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200')에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200')가 발전 함에 따라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200')의 발전 계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변환되므로, 상기 제2 전력 발전장치(200'')에도 발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제1 전력 발전장치(200')의 발전 계자가 공급 계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전력 발전 장치를 집적화 시킬 수 있으므로,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전력 공급장치(100),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200'), 상기 제2 전력 발전장치(200'')의 수가 복수 개인 것을 상정하였으나, 그 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은 상기 공급 계자(12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 전류의 방향을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공급하여 상기 자기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전 계자(220)에서 유도 전류를 발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은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ESS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해야 하는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을 충전 장치에 적용하여 무선 충전기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력 발전 시스템(1000)은 전기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기자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CO2 등 오염물질을 배출시키지 않아 무소음 무공해 발전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0: 전력 발전 시스템
100: 전력 공급장치
110: 직류 전원부
120: 공급 계자
130a: 제1 스위치
130b: 제3 스위치
140a: 제2 스위치
140b: 제4 스위치
200: 전력 발전장치
220: 발전 계자

Claims (10)

  1. 제1 극성 단자와 제2 극성 단자를 가지며,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는 공급 계자; 및
    상기 직류 전원부와 상기 공급 계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상태를 제공하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비 인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전력 공급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2 스위치,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4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ON 시키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4 스위치를OFF 시키고,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및 상기 제4 스위치를 ON 시키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OFF 시키는, 전력 공급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발전 계자를 포함하는 전력 발전장치가 상기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공급 계자가, 상기 직류 전원부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가 교번하여 전환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발전 계자에 유도 전류가 발전되는, 전력 공급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전장치는, 상기 공급 계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전력 발전장치 및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의 발전 계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전력 발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계자, 상기 제1 전력 발전장치의 제1 발전 계자, 상기 제2 전력 발전장치의 제2 발전 계자 순서로 배치되는, 전력 공급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전장치는, 상기 공급 계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전력 공급장치.
  7. 발전 계자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 계자는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공급 계자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와 직류 전원부의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상태를 교번하여 가지며,
    상기 발전 계자는, 상기 공급 계자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의 교번 전환에 따라 발전 전류를 생성하는, 전력 발전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계자는 상기 공급 계자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교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전 계자에 유입되는 자성의 방향이 변하며, 상기 자성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발전되는 전력 발전장치.
  9. 제1 극성 단자와 제2 극성 단자를 가지며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는 공급 계자, 및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상태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발전 계자를 가지는 전력 발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 계자는, 상기 공급 계자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의 반복적인 교번 전환에 따라 발전 전류를 생성하는, 전력 발전 시스템.
  10. 공급 계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류 전원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공급 계자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발전 계자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직류 전원부의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에 제1 방향으로 공급하는 제1 공급 단계와,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공급 계자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공급하는 제2 공급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급 단계와 상기 제2 공급 단계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전환 공급하는 공급 단계;
    상기 공급 단계에 의하여 상기 발전 계자에는 전류가 발전되는, 전력 발전 방법.
KR1020180120369A 2018-10-10 2018-10-10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 KR20200040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69A KR20200040443A (ko) 2018-10-10 2018-10-10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69A KR20200040443A (ko) 2018-10-10 2018-10-10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443A true KR20200040443A (ko) 2020-04-20

Family

ID=7046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369A KR20200040443A (ko) 2018-10-10 2018-10-10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04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03B1 (ko) * 2020-06-25 2020-09-10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의 제어 회로
WO2023003299A1 (ko) * 2021-07-19 2023-01-26 박배억 영구자석을 이용한 전기 에너지 변환 장치
KR20230054787A (ko) * 2021-10-17 2023-04-25 김하정 투자율 조절장치를 갖는 자기 코어 및 자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03B1 (ko) * 2020-06-25 2020-09-10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의 제어 회로
WO2021261665A1 (ko) * 2020-06-25 2021-12-30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의 제어 회로
WO2023003299A1 (ko) * 2021-07-19 2023-01-26 박배억 영구자석을 이용한 전기 에너지 변환 장치
KR20230054787A (ko) * 2021-10-17 2023-04-25 김하정 투자율 조절장치를 갖는 자기 코어 및 자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0443A (ko) 전력 공급장치, 전력 발전장치, 전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발전 방법
CN101322304B (zh) 使用降低的交流电压的可再充电真空装置
US10305408B2 (en) Hybrid surface magnet machine
JP2019092372A (ja) 電力変換装置、電力系統、および電力系統を制御する方法
US20110114397A1 (en) Power modu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883799B1 (ko) 코어형 배터리를 갖춘 발전기
CN103794331B (zh) 摆动式双保持电磁铁
CN107026559B (zh) 延中心线和垂直中心线磁场生成方法及磁枢电机
CN102214536A (zh) 一种节能交流接触器
CN201689828U (zh) 一种节能交流接触器
US10199914B2 (en) Closed loop leveraging electromagnetic motor
KR20030072999A (ko) 다기종 다수 배터리의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1841446B1 (ko) 배터리 일체형 모터
CN201312152Y (zh) 马达定子装置
KR20200099774A (ko) 전동기
CN212796555U (zh) 授流结构、取流结构、充电结构及车辆
CN203942474U (zh) 交直流两用电机控制系统及家用电器
KR20230141293A (ko) 다선원리를 이용한 스위칭 엑추에이터
CN110047663B (zh) 一种电磁开关
KR101804255B1 (ko) 자동 절체 스위치
JP2015501067A (ja) スタンバイシャットダウンを有する電流回路配置中の検出器配置
US20130234569A1 (en) Direct current motor
JP2006149148A (ja) 発電機
CN205753611U (zh) 应急电源电路
CN2189351Y (zh) 一种永磁式工作无能耗磁力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