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134A -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134A
KR20200040134A KR1020180120043A KR20180120043A KR20200040134A KR 20200040134 A KR20200040134 A KR 20200040134A KR 1020180120043 A KR1020180120043 A KR 1020180120043A KR 20180120043 A KR20180120043 A KR 20180120043A KR 20200040134 A KR20200040134 A KR 20200040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packet
recommended
user pla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0152B1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152B1/en
Publication of KR2020004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dapting protocols for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to wireless environment, e.g. adapt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alculating a recommended size of a packet performed by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size information of a user plane packet; calculating a recommended size for the user plane packet based on the received size information of the user plane packet; and controlling the calculated recommended size to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Description

트래픽 사이즈 산출 방법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Traffic size calculation method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본 발명은 트래픽 사이즈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alculating traffic size.

LTE 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LTE 주파수 증설 및 5G 시스템으로의 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As the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and transmission request speeds in the LTE system are diversified, LTE frequency expansion and evolution to 5G systems are actively progressing.

이와 같이 빠르게 진화되고 있는 5G 시스템은, 한정된 무선자원을 기반으로 최대한 많은 수의 단말을 수용하면서,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대규모 기계형 통신),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고도의 신뢰도와 낮은 지연 시간 통신)의 시나리오를 지원하고 있다.This rapidly evolving 5G system accommodates as many terminals as possible based on limited radio resources, while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scenarios are supported.

5G 시스템에서는, 단말, 기지국(액세스), 코어 및 서버를 End to End로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으며, 기존 LTE(4G)에서 단일 노드(예: S-GW, P-GW 등)가 복합적으로 수행하던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분리하여, 제어 시그널링 기능의 영역(또는 제어 영역)(Control Plane)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의 영역(또는 사용자 영역)(User Plane)을 구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In the 5G system, a network structure is defined to support the terminal, base station (access), core, and server from end to end, and a single node (eg, S-GW, P-GW, etc.) in the existing LTE (4G) is defined. By separating the functions of control signaling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hich have been performed in a complex manner,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control signaling function area (or control area) (Control Plane)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rea (or user area) is divided is separated. Is defined.

이때, 제어 평면에는 다양한 노드들이 포함된다. 예컨대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Policy Control Function),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외부 망과의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At this time, various nodes are included in the control plane. For example, AMF (Access and Mobility Function) that controls access to a wireless section of a terminal, PCF (Policy Control Function) that manages / controls policies such as terminal information, subscription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and billing, and sessions for data service usage for each terminal Examples include the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that manages / controls, and the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external networks.

아울러, 사용자 평면에는 UPF와 같은 것들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plane may include things such as UPF.

PCT 특허공개공보, 2018-008944호 (2018.01.11. 공개)PCT Patent Publication, 2018-008944 (released on January 11, 2018)

일반적으로 패킷 사이즈가 클수록 전달 효율은 좋아지는 반면 레이턴시(latency)가 길어지고, 반대로 패킷 사이즈가 작을수록 전달 효율은 떨어지는 반면 레이턴시는 짧아진다.In general, the larger the packet size, the better the delivery efficiency while the longer the latency, whereas the smaller the packet size, the lower the delivery efficiency while the shorter the latency.

고신뢰-저지연(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 5G 시스템에서는, 패킷 전달에 있어서 전달 효율과 레이턴시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패킷 사이즈의 산출이 중요하다. In a 5G system supporting a high-reliability-low-latency (URLLC) service, it is important to calculate a packet size capable of meeting delivery efficiency and latency above a certain level in packet delivery.

이에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5G 시스템에서 전달 효율과 레이턴시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패킷 사이즈를 산출한 뒤, 단말로 하여금 이러한 패킷 사이즈에 따라 패킷을 설정하고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lculate a packet size that satisfies a certain level of delivery efficiency and latency in a 5G system, and then allow a terminal to set and transmit a packet according to the packet size. Is to provide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not to be solv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장치(session management function)가 수행하는 패킷의 추천 사이즈 산출 방법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 패킷의 사이즈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수신받은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평면 패킷에 대한 추천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추천 사이즈가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A method for calculating a recommended size of a packet performed by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based on receiving size information of a user plane packet and based on siz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plane packet. And calculating the recommended size for the user flat packet, and controlling the calculated recommended siz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수행하는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은 사용자 평면 패킷의 추천 사이즈를 수신받는 단계와, 사용자 평면 패킷이 상기 수신받은 추천 사이즈를 갖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천 사이즈를 갖도록 설정된 사용자 평면 패킷을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The method for setting the size of a user plane packet performed by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recommended size of a user plane packet, setting a user plane packet to have the received recommended size, and having the recommended size. And transmitting the set user plane packet to the base st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스스로 패킷 사이즈를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은 패킷을 새로이 송신하고자 할 때 뿐만 아니라 또는 이미 패킷을 송신하는 중이라도 전술한 패킷 사이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may dynamically set the packet size itself. In addition, the terminal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packet size setting not only when a packet is newly transmitted, or even when a packet is already being transmitted.

또한, 단말은 패킷 별, 플로우 별 또는 세션 별로 패킷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지연 서비스가 필요한 패킷이 있다면 해당 패킷을 선별하여서 패킷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y set the packet size for each packet, for each flow, or for each session. Accordingly, if there is a packet requiring a low-latency servic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packet and set the packet siz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세션과 플로우 및 플로우에 포함된 패킷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SMF에서 관리하는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단말이 패킷 사이즈를 설정할 때 이용하는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사이즈 산출 방법의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1 exemplarily illustrates an architecture of a 5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exemplarily show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Figure 3 shows the session and the flow and the packets included in the flow.
4 exemplarily shows a table managed by the SMF.
5 exemplarily shows a table used when the terminal sets the packet size.
6 exemplarily shows a procedure of a traffic size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 '패킷'과 '트래픽'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Hereinafter, 'packet' and 'traffic' ar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의 아키텍처(1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1 exemplarily illustrates an architecture 10 of a 5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의 아키텍처(10)가 나타내고 있는 5G 시스템 자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5G 시스템은 4세대 LTE 이동통신 기술로부터 진보된 기술이다. 이러한 5G 시스템은 기존 이동통신망 구조의 개선(Evolution) 혹은 클린-스테이트(Clean-state) 구조를 통해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LTE(Long Tern Evolution)의 확장된 기술이며, eLTE(extended LTE), non-3GPP 액세스 등을 지원한다.The 5G system itself shown in the architecture 10 of FIG. 1 will be described. 5G system is an advanced technology from 4G LT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is 5G system is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Evolution) or a clean-state structure throug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RAT), an extended technology of Long Tern Evolution (LTE), and eLTE. (extended LTE), non-3GPP access, etc. are supported.

다만, 도 1에 도시된 아키텍처(10)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1에 도시된 아키텍처(10)에만 한정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이 5G 시스템에만 한정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도 아니다.However, since the architecture 10 shown in FIG. 1 is merely exemplar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rchitecture 10 shown in FIG. 1,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5G system. It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아키텍처(10)에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즉,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architecture 1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ie, a network function (NF)). Hereinafter, thes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인증 서버 기능(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Cor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230), 세션 관리 기능(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220), 정책 제어 기능(PCF: Policy Control function), 어플리케이션 기능(AF: Application Function), 통합된 데이터 관리(UDM: Unified Data Management), 데이터 네트워크(DN: Data network)(500), 사용자 평면 기능(UPF: User plane Function)(100),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 또는 기지국)(400) 및 단말(UE: User Equipment)(300) 등이 도시되어 있다.1, the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Cor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230,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220 ), Policy Control Function (PCF), Application Function (AF), Unified Data Management (UDM), Data Network (DN) 500, User Plane Function ( UPF: User plane function (100), (wireless) access network ((R) AN: (Radio) access network, or base station) 400 and UE (User Equipment) 300 are illustrated.

이 중, UPF(100)는 5G 시스템에서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속한 구성요소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평면 장치(100) 또는 UPF(100)라고 지칭될 수 있다. Among them, the UPF 100 is a component belonging to a user plane in a 5G system, and may be referred to as the user plane device 100 or the UPF 100 in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SMF(220), AMF(230), AUSF, NSSF, NEF, NRF, PCF, UDM 및 AF는 각각 사용자 평면과는 분리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속한 구성요소이며, 이들 각각은 제어 평면 장치(control plane function, CPF)라고 지칭될 수 있다.In addition, SMF 220, AMF 230, AUSF, NSSF, NEF, NRF, PCF, UDM and AF are components belonging to a control plane separate from the user plane, each of which is a control plane. It may be referred to as a device (control plane function, CPF).

한편, UPF(100), SMF(220), AMF(230), AUSF, NSSF, NEF, NRF, PCF, UDM 및 AF가 결합된 것은 이하에서 코어 네트워크 망(200)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UPF (100), SMF (220), AMF (230), AUSF, NSSF, NEF, NRF, PCF, UDM and AF are combined will be referred to hereinafter as the core network network (200).

코어 네트워크 망(200)에 속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SBI(service based interface, SBI)(210)에 의해 연결된다. 아울러, SMF(220)와 UPF(100) 간은 N4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고, AMF(230)와 UE(300) 간은 N1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며, AMF(230)와 기지국(400) 간은 N2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고, 기지국(400)과 UPF(100) 간은 N3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된다.Some of the components belonging to the core network network 200 are connected by a service based interface (SBI) 210. In addition, the SMF 220 and the UPF 100 are connected by an N4 interface, the AMF 230 and the UE 300 are connected by an N1 interface, and the AMF 230 and the base station 400 are N2. It is connected by an interface, and the base station 400 and the UPF 100 are connected by an N3 interfac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는 단말(300), 기지국(400), 코어 네트워크 망(200) 및 데이터 네트워크(500)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300)이 기지국(400)으로 보낸 패킷은 코어 네트워크 망(200)을 거쳐 데이터 네트워크(500) 등으로 전달될 수 있고, 반대로 데이터 네트워크(500)로부터의 패킷은 코어 네트워크(200)에서 처리되어서 기지국(400)을 통해 단말(30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패킷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단말(300)은 세션(session)이라고 지칭되는 소정의 서비스, 예컨대 URLLC, eMBB, mMTC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FIG. 2 exemplarily show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2 shows a terminal 300, a base station 400, a core network network 200, and a data network 500. Packets sent from the terminal 300 to the base station 400 may be delivered to the data network 500 through the core network network 200, and conversely, packets from the data network 500 are processed by the core network 20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base station 40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acket, the terminal 3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ervices, such as a session, called URLLC, eMBB, mMTC.

여기서, 전술한 단말(300)과 데이터 네트워크(500) 사이에서 전달되는 패킷은 '사용자 평면 패킷(user plane packet)'이라고 지칭되며, 본 명세서에서 '패킷'은 사용자 평면 패킷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Here, the packet transmitt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terminal 300 and the data network 500 is referred to as a 'user plane packet', and in this specification, the 'packet' refers to a user plane packe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300)에 세션이 제공될 때 이러한 세션과 관련된 패킷(사용자 평면 패킷)은 UPF(100)를 통과한다. UPF(100)는 자신을 통과하는 패킷의 패킷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패킷 별, 플로우 별 또는 세션 별로 획득한다. SMF(220)는 UPF(100)로부터 이러한 패킷 사이즈 정보를 수신받는다. 수신받은 패킷 사이즈 정보를 기초로 SMF(220)는 패킷의 추천 사이즈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패킷의 추천 사이즈는 단말(300)에게 전달된다. 추천 사이즈를 전달받은 단말(300)은 패킷 사이즈를 이러한 추천 사이즈에 맞게 설정(변경)한다. 이 경우 단말(300)은 패킷 별, 플로우 별 또는 세션 별로 패킷 사이즈를 설정(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sess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300, a packet (user plane packet) associated with the session passes through the UPF 100. The UPF 100 acquires information about the packet size of a packet passing through it per packet, per flow, or per session. The SMF 220 receives this packet size information from the UPF 100. Based on the received packet size information, the SMF 220 calculates the recommended size of the packet. The recommended size of the packet thus calculated is delivered to the terminal 300. Upon receiving the recommended size, the terminal 300 sets (changes) the packet size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size. In this case, the terminal 300 may set (change) the packet size for each packet, for each flow, or for each session.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에 맞게 설정하는 주체는 단말(300)이다. 아울러, 이러한 단말(300)은 예컨대 패킷을 새로이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이미 패킷을 송신하고 있는 도중이라도 언제든지 패킷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300)은 패킷 사이즈를 동적으로 설정(변경)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300 that sets the packet size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size is the terminal 300. In addition, the terminal 300 may set the packet size to the recommended size at any time, for example, when a new packet is to be transmitted or while the packet is already being transmitted.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300 may dynamically set (change) the packet size.

또한, 단말(300)은 패킷 별, 플로우 별 또는 세션 별로 패킷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지연 서비스가 필요한 패킷이 있다면 해당 패킷을 선별하여서 패킷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lso, the terminal 300 may set a packet size for each packet, for each flow, or for each session. Accordingly, if there is a packet requiring a low-latency servic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packet and set the packet size.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technical id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단말(300)에 세션이 제공되면, 이러한 세션과 관련된 패킷(사용자 평면 패킷)은 UPF(100)를 통과한다. 도 3은 UPF(100)를 통과하는 패킷(311 내지 316), 플로우(310 내지 330) 및 세션(301) 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세션(301)은 복수 개의 플로우(flow)(310 내지 330)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플로우(310 내지 330) 각각에는 적어도 한 개의 패킷(311 내지 316)이 포함된다(도 3에는 플로우(310)에만 패킷이 포함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플로우(320 및 330)에도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포함될 수 있다).When a sess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300, a packet (user plane packet) associated with the session passes through the UPF 100. 3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packets 311 to 316, flows 310 to 330, and session 301 passing through UPF 100. Referring to FIG. 3, the session 30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ows 310 to 330. Each of the plurality of flows 310 to 330 includes at least one packet 311 to 316 (FIG. 3 shows that only the packet is included in the flow 310, but at least one packet is included in other flows 320 and 330). This may be included).

플로우(310 내지 330)에는 서로 패킷 사이즈가 동일한 패킷들이 포함되기도 하고 서로 패킷 사이즈가 상이한 패킷들이 포함되기도 한다. 예컨대 도 3을 살펴보면, 제1 플로우(310)의 경우 식별번호 311, 312, 314 및 315로 표시된 패킷들은 서로 패킷 사이즈가 동일한 패킷을 나타내고, 식별번호 313 및 316으로 표시된 패킷들 또한 서로 패킷 사이즈가 동일한 패킷을 나타낸다. 반면, 식별번호 311, 312, 314, 315로 표시된 패킷들의 패킷 사이즈는 식별번호 313 및 316으로 표시된 패킷들의 패킷 사이즈와 서로 상이하다. 이는 제2 플로우(320) 및 제3 플로우(330)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In the flows 310 to 330, packets having the same packet size may be included, or packets having different packet sizes from each other may be includ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in the case of the first flow 310, packets marked with IDs 311, 312, 314, and 315 indicate packets having the same packet size, and packets marked with IDs 313 and 316 also have packet sizes with each other. Represents the same packet. On the other hand, the packet size of the packets indicated by the identification numbers 311, 312, 314, 315 is different from the packet size of the packets indicated by the identification numbers 313 and 316. This is applicable to the second flow 320 and the third flow 330 as well.

UPF(100)는 자신을 통과하는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측정한다. 이 때 패킷의 헤더(Outer Header 및 Inner Header)는 측정 대상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The UPF 100 measures the packet size of packets passing through it. At this time, the header of the packet (Outer Header and Inner Header) may or may not be included in the measurement target.

한편, 패킷 사이즈는 패킷 별로 측정될 수 있는데, 패킷 별 측정 시 패킷은 n-tuple(소스 IP, 목적지 IP,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및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인 패킷 사이즈는 이러한 n-tuple과 매칭되어서 패킷 별로 저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acket size can be measured for each packet. When measuring for each packet, the packet can be identified using n-tuple (source IP, destination IP,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and protocol), and the packet size as a result of measurement is Matching with this n-tuple, it can be stored for each packet.

물론, 패킷 사이즈는 패킷 뿐 아니라 플로우 별 또는 세션 별로 측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로우 별로 측정한다는 것은 플로우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취합한다는 의미이고, 세션 별로 측정한다는 것은 세션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취합한다는 의미이다.Of course, the packet size may be measured per flow or per session as well as packets. Here, measuring per flow means collecting packet sizes of at least one packet included in a flow, and measuring per session means collecting packet sizes of at least one packet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flows constituting a session. to be.

UPF(100)는 측정된 패킷 사이즈에 대한 분포도 또는 통계값을 산출한다. 예컨대, UPF(100)는 측정된 패킷 사이즈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를 복수 개의 구간으로 분할한 뒤, 각 구간에 해당하는 패킷 사이즈의 개수를 측정함으로써 구간별 개수에 대한 분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UPF(100)는 통계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UPF(100)는 전술한 각 구간 중에서 패킷 사이즈의 개수가 가장 많은 구간(max), 가장 적은 구간(min), 평균값(average) 또는 4분위값(quartile)을 산출하여서 통계값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The UPF 100 calculates a distribution value or statistical value for the measured packet size. For example, the UPF 100 may calculate a distribution chart for the number of sections by divid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measured packet siz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n measuring the number of packet sizes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Alternatively, the UPF 100 may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For example, the UPF 100 may calculate and store as a statistical value by calculating a section (max), a section (min), an average value (average), or a quartile (quartile)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packet sizes among each section described above. have.

UPF(100)가 측정한 이러한 결과는 SMF(220)에게 송신된다. These results, measured by the UPF 100, are transmitted to the SMF 220.

SMF(220)는 UPF(100)로부터 패킷 사이즈에 대한 측정 결과를 수신받는다. 이렇게 수신받은 측정 결과는 패킷마다 각각 측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수신받은 측정 결과는 소정의 플로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의 사이즈 정보가 취합된 것이거나 또는 소정의 세션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패킷의 사이즈 정보가 취합된 것일 수 있다.The SMF 220 receives the measurement result for the packet size from the UPF 100. The received measurement results may be measured for each packe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eived measurement result is a collection of siz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acket included in a predetermined flow, or the size of at least one packet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flows constituting a predetermined session. Th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UPF(100)로부터 수신받은 전술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SMF(220)는 추천 사이즈를 적어도 한 개 산출한다. 산출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 결과에는 구간 별 패킷 사이즈의 개수에 대한 분포도가 포함될 수 있는데, SMF(220)는 전술한 각 구간 중에서 패킷 사이즈의 개수가 가장 적은 구간(min)에서의 패킷 사이즈, 평균인 패킷 사이즈 또는 가장 많은 구간(max)에서의 패킷 사이즈를 각각 추천 사이즈로 산출할 수 있다. Based on the above-mentioned measurement result received from the UPF 100, the SMF 220 calculates at least one recommended size. There can be several methods of calculation. Let's take one of them as an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result may include a distribution chart for the number of packet sizes for each section. The SMF 220 is the average packet size and the packet size in the section min having the smallest number of packet sizes among each section. The size or the packet size in the largest section (max) can be calculated as the recommended size, respectively.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추천 사이즈는 플로우 별로 또는 세션 별로 산출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ommended size may be calculated for each flow or for each session.

SMF(220)는 추천 사이즈가 단말(3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신 방식에는 예컨대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를 거쳐서 단말(300)에게 송신되는 방식 또는 세션 관리 장치(220) 내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300)에게 송신되는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MF 220 may control the recommended siz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e transmission method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hod tha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an AMF (Access and Mobility Function) or a method tha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session management device 2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한편, SMF(220)는 이렇게 산출된 추천 사이즈를 도 4에 도시된 테이블의 형태로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첫번 째 행은 테이블이 어떠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 지를 나타낸다. 그 중 Flow ID는 해당 패킷이 속한 플로우의 ID를 나타내고, Flow Information Description은 해당 패킷의 n-tuple(소스 IP, 목적지 IP,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및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Service(Slice ID Description은 해당 패킷이 어떤 서비스에 관한 것인지를 나타내고, Latency 분포도(Min, Avg, Max)는 해당 패킷의 전송에 소요되는, 사전에 측정된 바 있는 레이턴시의 최소/평균/최대값을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패킷 분포도(Min, Avg, Max)는 패킷 사이즈의 최소/평균/최대값을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설정 방식은 도 4의 테이블에 저장 및 관리된 이러한 정보가 단말(300)에게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내는데, 예컨대 3GPP는 AMF(230)를 통해 추천 사이즈가 단말(300)에게 전달되는 방식, Non-3GPP(App 설정)는 SMF(220)에 포함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추천 사이즈가 NEF 또는 AF 등을 통해 단말(300)에게 전달되는 방식 등을 나타낸다.Meanwhile, the SMF 220 may store and manage the calculated recommended size as a table shown in FIG. 4.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row indicates what items the table contains. Among them, Flow ID indicates the ID of the flow to which the packet belongs, and Flow Information Description indicates the n-tuple (source IP, destination IP,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and protocol) of the packet. Service (Slice ID Description) indicates what service the packet is related to, and the Latency distribution (Min, Avg, Max) is the minimum / average / maximum value of the latency measured in advance for transmission of the packet. The packet distribution diagram (Min, Avg, Max) sequentially represents the minimum / average / maximum value of the packet size.The setting method is that the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in the table of Fig. 4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For example, 3GPP is a method in which the recommended siz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AMF 230, and Non-3GPP (App setting) has a recommended size of NEF or a predetermined size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MF 220. It shows a metho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AF or the like.

여기서, 레이턴시는 플로우 별, 세션 별 또는 슬라이스 ID 별로 측정될 수 있다. 아울러, 레이턴시는 단방향(unidirectional) 또는 양방향(bidirectional)일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은 통상적으로 RTT(round trip time)를 의미할 수 있는데, 여기서의 RTT는 예컨대 어느 한 지점을 업링크 패킷이 지나간 시점부터 다운링크 패킷이 지나간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를 의미한다. 즉, RTT는 유/무선 컨디션 및 단말/종단에 따른 패킷 오류, 타임아웃 또는 재전송 등을 포함해서 산출되는 값일 수 있다.Here, latency can be measured per flow, per session, or per slice ID. In addition, latency can be unidirectional or bidirectional. Here, 'bidirectional' may generally mean a round trip time (RTT), where RTT means, for example, a time difference between a point when an uplink packet passes and a point when a downlink packet passes. That is, the RTT may be a value calculated by including a packet error, timeout or retransmission according to wire / wireless condition and terminal / termination.

두번 째 행부터는 각각이 패킷 및 해당 패킷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두번 째 행의 패킷부터 살펴보면, 해당 패킷은 플로우 ID가 0xF0212인 플로우에 포함되고, 서비스 ID는 mMTC이며, 레이턴시 분포도는 (1ms, 2ms, 4ms)이고, 패킷 분포도는 (30,35,100)이다. 이러한 두번 째 패킷은 3GPP 방식을 통해, 즉 AMF(230)를 통해 단말(300)에게 전달된다.From the second row, each represents a packet and information about the packet. Looking at the packet in the second row, the packet is included in the flow with the flow ID of 0xF0212, the service ID is mMTC, the latency distribution is (1ms, 2ms, 4ms), and the packet distribution is (30,35,100). The second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3GPP method, that is, through the AMF 230.

다음으로 AMF(23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AMF(230)는 SMF(220)로부터 특정 패킷에 대한 추천 사이즈를 전달받아서 단말(300)에게 NAS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특정 플로우에 대한 추천 사이즈 또는 특정 세션에 대한 추천 사이즈를 전달받아서 단말(300)에게 NAS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할 수도 있다.Next, the AMF 230 will be described. The AMF 230 may receive the recommended size for a specific packet from the SMF 220 and deliver it to the terminal 300 through NAS signaling, and in some cases, a recommended size for a specific flow or a recommended size for a specific session It may be received and deliver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NAS signaling.

다음으로, 단말(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단말(300)은 패킷에 대한 추천 사이즈 및 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는다. 단말(300)에게 추천 사이즈와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소스가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또는 SMF(220) 내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Next, the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The terminal 300 receives the recommended size and information about the packet.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source providing the recommended size and information on the terminal 300 i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Access and Mobility Function (AMF) or SMF 220.

단말(300)은 이렇게 수신받은 추천 사이즈 및 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데, 도 5에는 단말(300)에 의해 관리되는 추천 사이즈 및 이에 관한 정보가 테이블의 형태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첫번 째 행은 테이블이 어떠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 지를 나타낸다. 그 중 Flow/Wildcard는 해당 패킷의 n-tuple(소스 IP, 목적지 IP,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및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슬라이스/Description은 해당 패킷이 어떤 서비스에 관한 것인지를 나타낸다. 데이터 사이즈 세트는 해당 패킷에 대한 추천 사이즈의 후보값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후보값은 SMF(220)에서 작성한 패킷 분포도의 최소/평균/최대값을 기초로 산출된 것일 수 있다. 사이즈 변경 설정은 임계 레이턴시를 나타내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terminal 300 stores and manages the received recommendation size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In FIG. 5, the recommended size managed by the terminal 300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are exemplarily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table.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row indicates what items the table contains. Among them, Flow / Wildcard indicates the n-tuple (source IP, destination IP,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and protocol) of the corresponding packet. Slice / Description indicates which service the packet relates to. The data size set represents a candidate value of a recommended size for a corresponding packet, and the candidate value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minimum / average / maximum value of a packet distribution diagram created by the SMF 220. The size change setting indicates the critical latenc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두번 째 행부터는 각각이 패킷 및 해당 패킷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두번 째 행의 패킷부터 살펴보면, 해당 패킷은 목적지 IP가 11.121.88.41이고 목적지 포트가 443을 가지며, URLLC 서비스 방식으로 주식거래 서버에게 전달되는 패킷이다. 추천 사이즈는 4개이며, 40,50,80,90이다. 아울러 임계 레이턴시는 2ms이다.From the second row, each represents a packet and information about the packet. Looking at the packet in the second row, the packet has a destination IP of 11.121.88.41, a destination port of 443, and is a packet delivered to the stock trading server by URLLC service. The recommended size is 4, and 40,50,80,90. In addition, the critical latency is 2ms.

단말(300)은 이렇게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패킷의 사이즈를 설정한다. 설정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두번 째 행에 있는 패킷에 대해 예를 들어 살펴보면, 먼저 데이터 사이즈 세트 중 가장 낮은 값을 갖는 추천 사이즈인 '40'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400)에게 송신될 패킷의 패킷 사이즈는 '40'으로 설정된다. 단말(300)은 패킷 사이즈 40인 패킷이 기지국(400)으로 송신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레이턴시를 획득한다. 만약 레이턴시가 소정의 기간 동안 2ms 이내에 있는 경우 단말(300)은 패킷 사이즈를 40보다 큰 값, 예컨대 50으로 변경 설정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400)에게 송신되는 패킷의 패킷 사이즈는 '50'이 된다. 그러나 레이턴시가 소정의 기간 동안 2ms를 초과할 경우 단말(300)은 패킷 사이즈를 40으로 유지하거나 그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 설정한다.The terminal 300 sets the packet size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There can be various types of settings, and one of them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Looking at the packet in the second row as an example, first, select '40', the recommended size having the lowest value among the data size sets. Accordingly, the packet size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400 is set to '40'. The terminal 300 acquires the latency requir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packet with a packet size of 40 to the base station 400. If the latency is within 2 m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terminal 300 changes the packet size to a value greater than 40, for example, 50. Accordingly, the packet size of the packet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400 is '50'. However, when the latency exceeds 2 m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terminal 300 maintains the packet size at 40 or sets it to a value smaller than that.

만약 레이턴시가 소정의 기간 동안 2ms 이내에 있어서 패킷 사이즈가 50이 된 경우, 단말(300)은 다시 레이턴시를 획득한다. 만약 레이턴시가 소정의 기간 동안 2ms 이내에 있는 경우 단말(300)은 다시 한번 패킷 사이즈를 50보다 큰 값, 예컨대 80으로 변경 설정하지만, 만약 레이턴시가 소정의 기간 동안 2ms를 초과한다면 패킷 사이즈를 그대로 두거나 또는 50에서 40으로 낮춘다.If the latency is within 2m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packet size is 50, the terminal 300 acquires latency again. If the latency is within 2m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terminal 300 once again sets the packet size to a value greater than 50, for example, 80, but if the latency exceeds 2ms for a predetermined period, leave the packet size as it is, or Lower it from 50 to 40.

단말(300)이 패킷의 추천 사이즈를 설정하는 전술한 절차는 예컨대 핸드오버가 수행되거나, NAS 시그널링이 수행되거나, 단말(300)이 이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이 변경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procedure in which the terminal 300 sets the recommended size of the packet is performed when, for example, handover is performed, NAS signaling is performed, or radio access technology (RAT) used by the terminal 300 is changed. It can be, but is not limited to.

즉, 일 실시예에서 단말(300)은 패킷 사이즈를 설정할 때 레이턴시를 고려해서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 효율과 레이턴시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패킷 사이즈가 산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저지연에 대한 조건과 전달 효율이라는 두가지 사항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300 may dynamically set the packet size in consideration of latency. Accordingly, a packet size capable of satisfying transmission efficiency and latency above a certain level can be calculat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atisfy two conditions of low-latency conditions and delivery efficiency.

한편, 지금까지는 단말(300)이 패킷 별로 추천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단말(300)은 플로우 별로 또는 세션 별로 추천 사이즈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플로우 별로 설정하거나 세션 별로 설정할 때에도 레이턴시를 고려해서 추천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so far, only the terminal 300 sets a recommended size for each packet,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300 may set a different recommended size for each flow or for each session, and may set the recommended size in consideration of latency even when setting for each flow or for each session.

한편, 단말(300)은 패킷을 보내기 전에 패킷의 추천 사이즈를 설정할 수도 있지만, 패킷을 보내는 중간에도 언제든지 패킷의 추천 사이즈를 설정(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통신 상황이 급변한 경우,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서 패킷의 추천 사이즈를 설정(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300 may set the recommended size of the packet before sending the packet, but may set (change) the recommended size of the packet at any time in the middle of sending the packet. Therefore, whe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changes rapid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set (change) the recommended size of the packet to reflect this situation.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사이즈 산출 방법의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6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6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6 exemplarily shows a procedure of a traffic size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However, since FIG. 6 is merely exemplar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illustrated in FIG. 6.

도 6을 참조하면, 단말(300)은 데이터 네트워크(500)와 PDU 세션을 통해 소정의 패킷 사이즈를 갖는 패킷을 주고받는다(S100).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300 exchanges packets with a predetermined packet size through the PDU session with the data network 500 (S100).

단계 S100이 수행되는 중에 SMF(220)는 UPF(100)에게 패킷 사이즈에 대한 측정 요청을 송신한다(S200). During step S100, the SMF 220 transmits a request for measuring the packet size to the UPF 100 (S200).

그러면 UPF(100)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패킷 사이즈를 측정한다(S210). Then, the UPF 100 measures the packet size according to the request (S210).

UPF(100)는 패킷 별로 패킷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패킷 별 측정 시 패킷은 n-tuple(소스 IP, 목적지 IP,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및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인 패킷 사이즈는 이러한 n-tuple과 매칭되어서 패킷 별로 저장될 수 있다. 물론, 패킷 사이즈는 패킷 뿐 아니라 플로우 별 또는 세션 별로 측정할 수도 있는데, 플로우 별로 측정한다는 것은 플로우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취합한다는 의미이고, 세션 별로 측정한다는 것은 세션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취합한다는 의미이다.The UPF 100 may measure the packet size for each packet. When measuring for each packet, the packet can be identified using n-tuple (source IP, destination IP,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and protocol), and the packet size as a result of measurement can be stored for each packet by matching this n-tuple. have. Of course, the packet size may be measured per flow or per session as well as per packet. Measuring per flow means collecting packet sizes of at least one packet included in a flow, and measuring per session is a plurality of sessions. This means that the packet sizes of at least one packet included in each of the four flows are collected.

UPF(100)는 측정된 패킷 사이즈에 대한 분포도 또는 통계값을 산출한다. 예컨대, UPF(100)는 측정된 패킷 사이즈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를 복수 개의 구간으로 분할한 뒤, 각 구간에 해당하는 패킷 사이즈의 개수를 측정함으로써 구간별 개수에 대한 분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UPF(100)는 통계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UPF(100)는 전술한 각 구간 중에서 패킷 사이즈의 개수가 가장 많은 구간(max), 가장 적은 구간(min), 평균값(average) 또는 4분위값(quartile)을 산출하여서 통계값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The UPF 100 calculates a distribution value or statistical value for the measured packet size. For example, the UPF 100 may calculate a distribution chart for the number of sections by divid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measured packet siz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n measuring the number of packet sizes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Alternatively, the UPF 100 may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For example, the UPF 100 may calculate and store as a statistical value by calculating a section (max), a section (min), an average value (average), or a quartile (quartile)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packet sizes among each section described above. have.

UPF(100)는 이렇게 측정한 결과를 SMF(220)에게 송신한다(S220). The UPF 100 transmits the measured result to the SMF 220 (S220).

단계 S220에 따라 수신받은 측정 결과를 기초로, SMF(220)는 추천 사이즈를 패킷 별로 적어도 한 개 산출한다(S230). 산출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received in step S220, the SMF 220 calculates at least one recommended size for each packet (S230). There can be a variety of calculation methods. Since this has already been describe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SMF(220)는 단계 S230에서 산출된 추천 사이즈가 단말(3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SMF(22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를 거쳐서 단말(3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SMF(220) 내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300)에게 직접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SMF 220 may control the recommended size calculated in step S230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SMF 220 may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an Access and Mobility Function (AMF) as shown in FIG. 6, and unlike the one shown in FIG. 6,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SMF 220 may be used. It may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terminal 300 through.

AMF(230)는 단계 S240에 따라 전달받은 결과를 단말(300)에게 NAS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한다(S250). The AMF 230 delivers the result received according to step S240 to the terminal 300 through NAS signaling (S250).

단말(300)은 패킷에 대한 추천 사이즈 및 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는다(S300). 이 때 단말(300)이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또는 SMF(220) 내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 사이즈를 수신받을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terminal 300 receives the recommended size and information about the packet (S30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300 can receive the recommended siz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Access and Mobility Function (AMF) or SMF 220.

단말(300)은 단계 S30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400)에게 송신될 패킷이 추천 사이즈를 갖도록 설정한다. 설정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erminal 300 sets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400 to have a recommended siz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300. Since the setting metho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추천 사이즈로 설정이 완료되면 단말(300)은 AMF(230)에게 설정 완료되었음을 응답하고(S310), 이후부터 AMF(230) 및 SMF(220)가 순차적으로 응답을 한다(S320, S330).When the setting of the recommended size is completed, the terminal 300 responds to the AMF 230 that the setting is completed (S310), and thereafter the AMF 230 and the SMF 220 sequentially respond (S320, S330).

이 후 단말(300)은 데이터 네트워크(500)와 PDU 세션을 통해 추천 사이즈를 갖는 패킷을 주고받는다(S400).Thereafter, the terminal 300 exchanges a packet having a recommended size through the PDU session with the data network 500 (S400).

여기서, 도 6에는 단말(300)이 데이터 네트워크(500)와 PDU 세션을 통해 패킷을 주고받는 중간에 패킷 사이즈가 추천 사이즈로 설정(변경)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패킷을 송신하고 있는 도중이라도 언제든지 패킷 사이즈를 추천 사이즈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Here, FIG. 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packet size is set (changed) to the recommended size while the terminal 300 exchanges packets with the data network 500 through a PDU session.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may set the packet size to the recommended size at any time even while transmitting the packet.

아울러, 단말은 패킷 별, 플로우 별 또는 세션 별로 패킷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지연 서비스가 필요한 패킷이 있다면 해당 패킷을 선별하여서 패킷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y set the packet size per packet, per flow, or per session. Accordingly, if there is a packet requiring a low-latency servic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packet and set the packet size.

한편, 전술한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은, 해당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형태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해당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setting the size of the above-described packet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the step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신뢰-저지연(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 5G 시스템에서, 패킷 전달에 있어서 전달 효율과 레이턴시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패킷 사이즈가 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5G system supporting a high-reliability-low-delay (URLLC) service, a packet size capable of satisfying delivery efficiency and latency in a packet delivery to a certain level or more may be calculated.

100: 사용자 평면 장치100: user flat device

Claims (13)

세션 관리 장치(session management function)가 수행하는 패킷의 추천 사이즈 산출 방법으로서,
사용자 평면(user plane) 패킷의 사이즈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수신받은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평면 패킷에 대해 추천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추천 사이즈가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의 추천 사이즈 산출 방법.
A method for calculating a recommended size of a packet performed by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Receiving size information of a user plane packet;
Calculating a recommended size for the user plane packet based on the received size information of the user plane packet;
And controlling the calculated recommended siz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How to calculate the recommended packet siz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받은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정보는,
소정의 플로우(flow)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정보가 취합된 것이거나 또는 소정의 세션(session)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정보가 취합된 것인
패킷의 추천 사이즈 산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ed user plane packet size information,
The siz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user plane packet included in a given flow is aggregated, or the siz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user plane packet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flows constituting a given session is included. Aggregated
How to calculate the recommended packet siz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플로우에 설정될 추천 사이즈를 플로우 별로 상이하게 설정하거나 또는 세션에 설정될 추천 사이즈를 세션 별로 상이하게 설정하는
패킷의 추천 사이즈 산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alculating step,
The recommended size to be set in the flow is set differently for each flow, or the recommended size to be set in the session is set differently for each session.
How to calculate the recommended packet siz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받은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에 대한 분포 또는 통계에 기초하여서 상기 추천 사이즈를 산출하는
패킷의 추천 사이즈 산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alculating step,
Calculating the recommended size based on the distribution or statistics of the received user plane packet size
How to calculate the recommended packet siz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추천 사이즈가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를 거쳐서 상기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세션 관리 장치 내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패킷의 추천 사이즈 산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ing step,
The calculated recommended size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an AMF (Access and Mobility Function) or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session management device
How to calculate the recommended packet size.
단말이 수행하는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으로서,
사용자 평면 패킷의 추천 사이즈를 수신받는 단계와,
사용자 평면 패킷이 상기 수신받은 추천 사이즈를 갖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천 사이즈를 갖도록 설정된 사용자 평면 패킷을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
As a method for setting the size of a user plane packet performed by the terminal,
Receiving a recommended size of the user plane packet,
Setting a user plane packet to have the received recommended size,
And transmitting a user plane packet set to have the recommended size to a base station.
How to set the size of user plane packet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받은 추천 사이즈는,
AMF로부터 수신받은 것이거나 또는 세션 관리 장치 내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세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것인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recommended size received above,
It is received from the AMF or received from the session management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session management device.
How to set the size of user plane packet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플로우에 설정될 추천 사이즈를 플로우 별로 상이하게 설정하거나 또는 세션에 설정될 추천 사이즈를 세션 별로 상이하게 설정하는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etting step,
The recommended size to be set in the flow is set differently for each flow, or the recommended size to be set in the session is set differently for each session.
How to set the size of user plane packet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받은 추천 사이즈는,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 개를 포함하는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recommended size received above,
Containing a plurality of different values
How to set the size of user plane packet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추천 사이즈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사이즈를 갖도록 설정된 사용자 평면 패킷이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될 때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레이턴시가 기준 범위 내에 있으면, 사용자 평면 패킷마다 각각 상기 어느 하나의 추천 사이즈가 아닌 다른 하나의 추천 사이즈를 갖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abov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the latency when the user plane packet is set to hav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sizes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e setting step,
If the measured latency is within a reference range, each user plane packet is set to have a recommendation size other than the one recommendation size.
How to set the size of user plane packets.
제 9 항에 있어서,
핸드오버가 수행되거나, NAS 시그널링이 수행되거나,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이 변경되면, 상기 복수 개의 추천 사이즈 중 사용자 평면 패킷 각각에 설정된 추천 사이즈가 상기 복수 개의 추천 사이즈에 포함된 다른 추천 사이즈로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평면 패킷의 사이즈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n handover is performed, NAS signaling is performed, or when a radio access technology (RAT) used by the terminal is changed, a recommended size set for each of the user plane packets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sizes is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siz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to another recommended size included in
How to set the size of user plane packets.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programmed to perform each step of the method of claim 1.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including each step of the method of claim 1.
KR1020180120043A 2018-10-08 2018-10-08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KR102450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43A KR102450152B1 (en) 2018-10-08 2018-10-08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043A KR102450152B1 (en) 2018-10-08 2018-10-08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134A true KR20200040134A (en) 2020-04-17
KR102450152B1 KR102450152B1 (en) 2022-10-04

Family

ID=7046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043A KR102450152B1 (en) 2018-10-08 2018-10-08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1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32A1 (en) * 2020-12-11 2022-06-16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having upf for processing packet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6418A (en) * 2010-02-09 2011-08-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throughput,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for the same
KR20130073699A (en) *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quality data to be used for measuring quality in service transfer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KR20130093756A (en) * 2011-12-27 2013-08-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Data ttaffic loa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8008944A1 (en) 2016-07-04 2018-01-11 엘지전자(주)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WO2018093168A1 (en) * 2016-11-18 2018-05-24 엘지전자(주)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6418A (en) * 2010-02-09 2011-08-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throughput,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for the same
KR20130073699A (en) *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quality data to be used for measuring quality in service transfer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KR20130093756A (en) * 2011-12-27 2013-08-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Data ttaffic loa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8008944A1 (en) 2016-07-04 2018-01-11 엘지전자(주)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WO2018093168A1 (en) * 2016-11-18 2018-05-24 엘지전자(주)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ingping Xing et al, 'Multi-RAT Architecture,' wireless research forum, (2013.11.0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32A1 (en) * 2020-12-11 2022-06-16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having upf for processing packet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152B1 (en)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4742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7511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network route for data communications for IoT devices
US10805841B2 (en) Policy enforcem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background data transfers involving multiple UEs
US202203692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to user device by using network slice in communication system
EP2999261B1 (en) Policy and charging rules entity,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230060074A1 (en) Intelligent allocation of network resources
US11042408B2 (en) Device, system,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TWI531186B (en) Multiple-interface network device and selection method for transmitting network packets
CN113543219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220417785A1 (en) QoS MAPPING
CN112953748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2450152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US202200609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ining topology of a distributed unit mesh in a radio access network
JP6781272B2 (en) Information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CN115734282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ervice quality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06735A1 (en) Network device and packet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JP2018098699A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9158034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1794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mission control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KR102366709B1 (en) Method for monitoring process of traffic
KR102084144B1 (en) Control plan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plane message using the same
US20220070736A1 (en) Traffic steering device
CN113906783A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6800685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000343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