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203A -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203A
KR20200039203A KR1020180118837A KR20180118837A KR20200039203A KR 20200039203 A KR20200039203 A KR 20200039203A KR 1020180118837 A KR1020180118837 A KR 1020180118837A KR 20180118837 A KR20180118837 A KR 20180118837A KR 20200039203 A KR20200039203 A KR 20200039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brew
brew coffee
coffee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헌
Original Assignee
이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헌 filed Critical 이길헌
Priority to KR102018011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9203A/ko
Publication of KR2020003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2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0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23F5/208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by extraction of the beans with water, aqueous solutions without organic or inorganic solvents, or aqueous coffee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은, (a)공급된 물을 이온 제공부에 의하여 1차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하는 단계와; (b)미네랄 필터에 의하여 알칼리 이온수를 여과하고 2차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하는 단계와; (c)미네랄 필터로부터 물 공급관에 의하여 공급된 알칼리 이온수를 커피 저장탱크에 주입하여 콜드브루 커피와 혼합하여 콜드브루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d)추출된 콜드브루 커피 원액을 저장하는 단계와; 그리고 (e) 상기 물공급관에 배치된 알칼리 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연동하여 알칼리 이온수의 알칼리도를 감지하고, (c)단계에서 커피 저장탱크의 수위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연동하여 알칼리 이온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콜드브루 커피의 농도를 기준값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How to make cold brew coffee}
본 발명은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 이온수에 의하여 콜드브루를 추출 할 수있고, 또한 알칼리 이온수의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드브루 커피는 현재 가장 많이 애용되고 활용되는 기호식품으로서 콜드브루 나무 열매의 종자인 콜드브루 원두를 원료로 하여 정제, 볶음, 배합, 분쇄 및 추출의 과정을 거쳐 제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콜드브루 커피는 쓴맛, 떫은맛, 신맛, 구수한 맛 등이 조화를 이루어 미묘한 쾌감을 주는 기호 음료로서 피로감을 없애고 특유의 맛과 향이 있어서 널리 애호되고 있다.
특히, 콜드브루 커피는 일반적인 커피와는 달리 뜨거운 물이 아닌 차가운 물을 부어 추출한 커피를 말한다.
이러한 콜드브루 커피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8-10시간 이상의 장시간 동안 추출하므로 대략 70℃의 온도부터 추출되는 카페인이 거의 추출되지 않지만 콜드브루 커피 특유의 쓴맛이 많이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콜드브루 커피는 가정용 수도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바, 수도물에 잔류하는 염소 등으로 인하여 위생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또한 콜드브루 커피맛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콜드브루 커피머신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수도물에 함유되어 있을 수도 있는 중금속 혹은 이물질로 인하여 콜드브루 커피머신 내부에 배치된 배관의 내측에 스케일이 침적됨으로써 배관이 막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알칼리 이온수에 의하여 콜드브루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건강에 이로운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알칼리 이온수에 의하여 콜드브루 커피를 제조하는 경우 알칼리 이온수의 농도 및 양을 감지하고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수준의 알칼리도를 유지할 수 있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알칼리 이온수를 공급함으로써 배관 내부에 스케일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을 높일 수 있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은, (a)공급된 물을 이온 제공부에 의하여 1차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하는 단계와 (b)미네랄 필터에 의하여 알칼리 이온수를 여과하고 2차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하는 단계와 (c)미네랄 필터로부터 물 공급관에 의하여 공급된 알칼리 이온수를 커피 저장탱크에 주입하여 콜드브루 커피와 혼합하여 콜드브루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콜드브루 커피 원액을 저장하는 단계와 그리고 (e) 상기 물공급관에 배치된 알칼리 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연동하여 알칼리 이온수의 알칼리도를 감지하고, (c)단계에서 커피 저장탱크의 수위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연동하여 알칼리 이온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콜드브루 커피의 농도를 기준값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수도물 등의 원수를 대신하여 알칼리 이온수에 의하여 콜드브루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건강에 이로운 장점이 있다. 둘째, 1차적으로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기구에 공급되는 알칼리 이온수의 농도를 감지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2차적으로는 알칼리 이온수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커피와 혼합되는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콜드브루 커피의 맛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알칼리 이온수를 사용함으로써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의 배관내부에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넷째, 필터수단을 보일러 및 헤드부와 동일한 공간 내에 배치함으로써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관리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은 알칼리 이온수를 제조하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장치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콜드브루 커피제조장치(1)는 케이스(Case;3)와; 케이스(3)의 내측에 배치되며 물 배관(L)에 배치되어 알칼리 이온수를 제조하는 필터수단(Filter portion;5)과; 분쇄된 커피가 저장되며 필터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알칼리 이온수에 커피가 용해됨으로써 콜드브루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커피 저장탱크(7)와; 커피 저장탱크(7)의 커피 원액이 저장되는 추출원액 저장탱크(9)와; 추출원액 저장탱크(9)에 장착되어 콜드브루 커피를 배출하는 배출구(11)와; 콜드브루 커피 제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장치에 있어서, 케이스(3)는 필터수단(5)과, 커피 저장탱크(7)와, 추출원액저장탱크(9)와, 케이스(3)를 감쌈으로써 이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동일 공간내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3)에는 수도관 등에 연결된 물 배관(L)이 연결되고, 이 물 배관(L)은 필터수단(5)에 연결된다.
이러한 필터수단(5)은 이온 제공부(15)와 미네랄 필터(17)가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물 배관(L)에서 공급된 원수를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필터수단(5)은 물 배관(L)에 연결되어 알칼리 이온수를 1차적으로 제조하는 이온 제공부(15)와; 이온 제공부(15)를 통과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2차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를 제조하는 미네랄 필터(17)를 포함한다. 상기한 이온 제공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에 금속관(34)이 배치되며, 이 금속관(34)의 내부에전자 방출부재(35)가 배치된다.
상기 금속관(34)은 다양한 재질의 금속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BS 4874, CZ121과 같은 황동재질일 수 있다. 또 한 외주면에는 니켈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방출부재(35)는 전위차에 의하여 전자를 방출할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칼륨(K),칼슘(Ca), 나트륨(N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그리고 아연(Zn)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방출부재(35)의 재질로서 아연을 선택하였는 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배관이 주로 철(Fe) 재질이므로, 철 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재질, 즉 아연이 적합한 재질로 판단된다. 이러한 전자 방출부재(35)는 외부의 황동재질의 금속관(34)과 전기적으로 접촉됨으로써 갈바닉 효과로 인하여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금속관(34)과 전자 방출부재(35)는 이종 금속이므로,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이종 금속간에 갈바닉 효과, 즉 금속들의 이온화 경향 차이로 인하여 전위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금속관(34)과 전자 방출부재(35) 사이에 발생한 전위차로 인하여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고, 이 전기 에너지가 전자 방출부재(35)로부터 아연의 이온화를 촉진시켜 아연 이온이 지속적으로 물에 용해될 수 있도록 한
다. 그리고, 전자 방출부재(35)는 내부에 다수개의 세관(14)을 형성함으로써 물 배관(L)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 세관(14)을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방출된 전자(아연이온)가 물에 용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가 용해된 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의 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관 내부에 스케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37)는 전자 방출부재(35)의 출측에 금속관(34)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전자 방출부재(35)를
통과한 물이 유전체(37)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때, 유전체(37)는 부도체로서 플라스틱 재질이나, 세라믹 재질, 또는 기타 부도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는 가공성, 정전기적 성질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을 적용하였으며, 예를 들면, 테프론으로 잘 알려진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방출부재(35)를 통과한 물은 유전체(37)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마찰로 인하여 물은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유전체(37)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전자 방출부재(35)로부터 방출된 아연이온의 이온결합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유체(물)가 이온 제공부(15)를 통과하면서 전자 방출부재(35)로부터 아연이온(Zn²+)이 방출되어 물속에 용해함으로써 아연이온에 물 분자가 결합되고, 이때 유전체(37)로부터 발생된 정전기에 의하여 이온간의 결합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아연이온 주위로 음전하의 이온구름을 형성하게 되고 다시 이 음이온 덩어리가 칼슘(Ca²+), 마그네슘(Mg
²+)등의 양이온을 응집함으로써 정전수축을 형성(침상구조가 구상구조로 변형)하게 되고 물의 연수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온 제공부(15)에서 발생된 아연이온은 배관(L1)을 따라 커피 저장탱크(7)와, 추출원액 저장탱크(6)의 내부로 흘러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아연이온에 물 분자가 결합되고, OH- 이온이 결합되어 강력한 활성화 착물을 형성하게 되고, 이 활성화 착물에는 물과 배관에 생성된 미생물과 무기물에 의한 스케일이 결합한다.
이에 용존 이산화탄소가 스케일과 반응하여 스케일의 생성을 막아주고 이미 [0046]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아연이온은 배관내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도 있는 바, 철(Fe) 재질의 배관에 비하여 아연(Zn)의 부식속도가 더 빠르게 진행되므로, 아연과 철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경우(Galvanic Coupling),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아연은 양극으로 작용하여 이온상태로 되고 이때 발생하는 전자는 철 표면에서 일어나는 음극반응에서 소모된다. 결국, 양극의 아연은 부식이 촉진되는 반면, 철은 음극보호를 받아서 부식의 발생이 매우 제한적이 된다. 이러한 스케일(S)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L1)의 내측에 상당량 적층될 수 있으며, 이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보다 많은 스케일(S)이 적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온 제공부(15)를 통과한 물은 아연이온이 용해된 상태에서 커피 저장탱크(7)와, 추출원액 저장탱
크의 내부배관으로 흘러가면서 이러한 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이는 콜드브루 커피와 고온의 물을 취급하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의 특성상 배관의 내벽에 적층되기 쉬운 스케일의 제거에 효율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온 제공부(15)를 통과한 물은 미네랄 필터(17)로 공급됨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미네랄 필터(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구조로서 물을 순차적으로 여과함으로써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2차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를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미네랄 필터(17)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물이 유입/유출되는 유입관(41) 및 배출관(42)이 연결된 본체(40)와; 본체(4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 1광석층(50)과; 제 1광석층(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자석층(48)과; 자석층(48)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광석층(46)과; 제 2광석층(46)의 상부에 배치되는 활성탄층(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입관(41)을 통하여 본체(4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활성탄층(44)과, 제 2광석층(46)과,자석층(48)과, 제 1광석층(50)의 순서로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활성탄층(44)은 통상적으로 목재,갈탄,이탄(泥炭)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
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만든다.

Claims (1)

  1. (a)공급된 물을 이온 제공부에 의하여 1차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하는 단계와;
    (b)미네랄 필터에 의하여 알칼리 이온수를 여과하고 2차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하는 단계와;
    (c)미네랄 필터로부터 물 공급관에 의하여 공급된 알칼리 이온수를 커피 저장탱크에 주입하여 콜드브루 커피와 혼합하여 콜드브루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d)추출된 콜드브루 커피 원액을 저장하는 단계와; 그리고
    (e) 상기 물공급관에 배치된 알칼리 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연동하여 알칼리 이온수의 알칼리도를 감지하고, (c)단계에서 커피 저장탱크의 수위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연동하여 알칼리 이온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콜드브루 커피의 농도를 기준값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드브루 커피 제조방법.
KR1020180118837A 2018-10-05 2018-10-05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 KR20200039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837A KR20200039203A (ko) 2018-10-05 2018-10-05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837A KR20200039203A (ko) 2018-10-05 2018-10-05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203A true KR20200039203A (ko) 2020-04-16

Family

ID=7045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837A KR20200039203A (ko) 2018-10-05 2018-10-05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92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2B1 (ko) *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더치커피의 농도편차를 줄이기 위한 물 공급 구조 개선형 더치커피 추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2B1 (ko) *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더치커피의 농도편차를 줄이기 위한 물 공급 구조 개선형 더치커피 추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94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aste of coffee, and a coffee maker comprising the apparatus
US201602078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ing Water
RU2566846C2 (ru) Предотвращение или уменьшение образования накипи на нагревательном элементе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я
KR20200039203A (ko) 콜드브루 커피 제조 방법
KR20110134432A (ko) 전기 온수 시스템
WO1996028390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s
KR101852650B1 (ko) 미네랄 침전 방지 또는 저감용 워터 컨디셔너
US10722067B2 (en) Filtration system
KR101374187B1 (ko) 인덕션히팅코일을 이용한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150120130A (ko) 더치커피 제조장치
CN104080741A (zh) 将水饮料矿化的设备和方法
CN208328131U (zh) 可提高反应速率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CN208328133U (zh) 可降低盐耗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US20210315415A1 (en) Active system for monitoring and filtering the water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and associated espresso coffee machine
KR20150120131A (ko) 더치커피 제조방법
JPH055555B2 (ko)
KR20200012582A (ko) 커피제조장치시스템
KR20150116586A (ko) 커피 제조장치
KR20100129210A (ko) 수소의 제조방법
JP2006167301A (ja) 飲料供給装置
JP2021020215A (ja) 給水器中のチョーク堆積物の形成を低減する水硬度低減装置
CN102502977B (zh) 一种阻垢制品以及阻止水垢生成的方法
JP2011026182A (ja) 水素の製造方法
CN104773841A (zh) 智能纳米电水壶及纳米净水装置
DE10353924A1 (de) Verfahren zum Bereiten von Heißgetränken und Maschine hierz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