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901A -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 Google Patents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901A
KR20200038901A KR1020200038733A KR20200038733A KR20200038901A KR 20200038901 A KR20200038901 A KR 20200038901A KR 1020200038733 A KR1020200038733 A KR 1020200038733A KR 20200038733 A KR20200038733 A KR 20200038733A KR 20200038901 A KR20200038901 A KR 2020003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amera
sensor
detection senso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964B1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20003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판이 적용된 입력장치에 있어서 자판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키보드 몸체의 세로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경사면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 회전몸체에 적용되어있어 마우스 없이도 대상물의 동작 인식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조작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A Keyboard with A Object Camera and A Object Sensor}
본 발명은 물리 키보드 자판이 적용된 입력장치에 있어서 자판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키보드 몸체의 세로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경사면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 회전몸체에 적용되어있어 마우스 및 터치패드 없이도 오브젝트 카메라가 구비된 물리 키보드를 이용한 대상물의 동작 인식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조작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탑 컴퓨터에 화상입력장치가 적용되기 시작한 이후 사용자의 화상 채팅화면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에 화상입력장치를 적용한 특허(대한민국 특허 10-2002-0062714)가 제시되었으나 보편화 되진 않았다.
현재도 널리 사용중인 노트북은 폴딩면의 일면에 키보드가 자체적으로 적용되어있음으로 인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휴대가 가능한 생산성도구로서 평가를 받고 있으나 형상 불변이라는 제한점으로 인해 한손 그립과 같은 높은 상태의 휴대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터치패드를 이용해도 마우스의 생산성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휴대성이 뛰어나고 인터넷 검색도 용이하며 촬영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로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이 출현한 후 사용자의 환경은 급격히 데스크탑 환경에서 모바일 환경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그러나 기존의 판상형 스마트폰은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편리하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달리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이 제한되어 생산성도구로서 사용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판상형태를 갖는 태블릿 장치 또한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태블릿 장치의 화면표시면을 덮는 일면에 키보드 기능을 적용시킨 탈부착 가능형의 커버를 적용한 투인원 제품이 출시되며 일부 키보드입력과 같은 문제점은 해소하였으나 한손으로 그립 할 수 없는 불편한 휴대성, 화면표시면의 키보드 접촉 긁힘 자국 발생 및 생산성 도구로서 중요한 마우스 입력장치의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7-0096694)는 영상표시장치에 탈부착 수납이 가능한 키보드를 적용함으로 인해 휴대성과 생산성 증대라는 목적을 이루었으나 자체적인 키보드의 적용으로 인해 영상표시장치의 베터리 적용공간 감소 및 탈부착 키보드에 적용된 카메라 모듈의 펼침 및 접힘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를 단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회전카메라가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제품 또는 일측 모서리에 카메라가 수납 및 돌출되는 형태의 제품이 일부 제조사에 의해 출시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 키보드를 입력장치로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고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된 물리 키보드만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한다.
둘째, 대상물의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물리 키보드가 상시 대기모드로 유지됨으로 인한 불필요한 자원소모를 줄이고 사용자가 수동적인 별도의 온오프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동작 인식 기능의 자동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자한다.
셋째, 물리 키보드를 이용한 자판 입력 활동과 동작 인식을 통한 네비게이션 조작 활동이 혼동되지 않도록 하고자한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는 자판 및 자판이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의 가로측에 비해 길이가 짧은 세로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 모서리에 자판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제1경사면, 제1경사면에 적용되어 제1경사면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제1경사면 또는 제1경사면 밖의 몸체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다.
제 1실시 예에서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키보드 몸체에 적용된 자판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한다.
제 1실시 예에서 키보드 몸체는 접힘 및 감김이 불가능한 판상형 몸체, 접힘축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몸체, 감김 상태 유지가 가능한 롤러블 몸체 및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제 1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실시 예는 자판 및 자판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의 가로측에 비해 길이가 짧은 세로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키보드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및 회전몸체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실시 예에서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회전몸체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 밖의 키보드 몸체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다.
제 2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는 물리 키보드의 가로측 모서리에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됨으로 인해 별도의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고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대상물의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물리 키보드에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수동적인 별도 온오프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퇴출하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오브젝트 카메라가 활성화 되도록 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원 소모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자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물리 키보드의 가로측 부분이 아닌 세로측 부분의 모서리에 오브젝트 카메라를 경사져서 배치하여 자판 입력영역과 동작 인식 영역을 분리함으로 인해 자판 입력 활동과 동작 인식 관련한 네비게이션 조작 활동이 혼동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자판이 적용된 물리 키보드에 동작 인식 수행을 위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의 동작인식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며,
도 3은 판상형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5는 완전 펼침 상태가 가능한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7은 도 5의 접힘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8은 도 7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9는 감김이 가능한 롤러블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11은 서피스 제품의 보호커버와 같이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4는 판상형 몸체가 적용된 제 2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회전몸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도 14의 회전몸체가 동작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8은 완전 펼침 상태가 가능한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제 2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회전몸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20은 도 18의 접힘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번호가 부여된 부호들 중에서 일부는 제시되는 도면들 상에 도시 생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을 이용한 문서생성 작업환경은 작업판, 물리 키보드,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가 요구된다.
이들 구성요소 들 중에서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는 데스크탑 및 노트북과는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별도로 휴대하여야하며 책상과 같은 작업판이 없는 허공의 공간에서는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화면 이동, 축소, 확대 및 더블클릭과 같은 네비게이션 조작은 주로 사용자 손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터치조작에 의해 수행되며 터치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화면표시면의 많은 부분을 가리는 단점과 함께 손가락이 화면표시장치 바깥면을 지속적으로 터치하는 과정동안 긁힘 발생과 더불어 스마트폰 및 손가락 모두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가상 키보드가 적용될 수 있는 테블릿에 전면 카메라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동작을 감지하는 용도로 적용할 경우 스마트폰과 달리 광각 영역에 대한 간섭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사용자의 손이 화면표시장치의 일부를 가리는 문제와 함께 전면 카메라가 항시 활성화되어 있어야하는 문제점은 동일하게 존재한다.
더불어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를 단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회전카메라가 판상형 스마트폰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에 특화된 제품으로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모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하는 불편함 및 손가락에 의해 카메라 렌즈에 지문 자국이 남는 문제점과 더불어 네비게이션 조작 용도의 영상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회전각을 매번 사용자가 설정해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상기의 사항과 달리 사용자의 화상 채팅화면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에 화상입력장치를 적용한 특허(대한민국 특허 10-2002-0062714)가 제시되었고 이러한 개념을 통해 마우스를 대체하는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방안도 고려 가능하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첫째, 키보드 몸체의 후면 가로측 중앙 부분에 위치되는 전면 카메라를 이용한 오브젝트의 동작 인식 수행시 전면 카메라의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광각 영역과 자판 입력을 수행하는 자판입력 영역이 겹치는 문제가 생긴다.
둘째, 전면 카메라가 오브젝트의 동작 인식 수행을 위해 항상 활성화 되어 있어야하는 문제가 존재하며 전면 카메라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단순 물리 스위치 또는 가상 스위치를 적용하여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하여도 사용자가 매번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새로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대안의 하나로서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7-0096694)가 출원되었으나 탈부착 키보드의 적용으로 인한 몸체의 베터리 적용공간 감소 및 카메라모듈의 접힘 및 펼침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되었다.
첫째, 가상 키보드가 아닌 물리 키보드를 입력장치로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고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된 물리 키보드만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한다.
둘째, 대상물의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물리 키보드가 상시 대기모드로 유지됨으로 인한 불필요한 자원소모를 줄이고 사용자가 수동적인 별도의 온오프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동작 인식 기능의 자동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자한다.
셋째, 물리 키보드를 이용한 자판 입력 활동과 동작 인식을 통한 네비게이션 조작 활동이 혼동되지 않도록 하고자한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부터 도 21의 예시된 도면들과 함께 키보드 몸체(110)에 제1경사면(120)이 적용되는 제 1실시 예와 키보드 몸체(110)에 회전몸체(150)가 적용되는 제 2실시 예들로 실시예를 대별하여 제시하며 각각의 실시 예에는 키보드 몸체(11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상세 실시예가 제시된다.
도 1은 자판이 적용된 물리 키보드에 동작 인식 수행을 위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의 동작인식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며, 도 3은 판상형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5는 완전 펼침 상태가 가능한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7은 도 5의 접힘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8은 도 7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9는 감김이 가능한 롤러블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며, 도 11은 서피스 제품의 보호커버와 같이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가 적용된 제 1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는 자판(101) 및 자판이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110)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110)의 가로측에 비해 길이가 짧은 세로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 모서리에 자판(101)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제1경사면(120), 제1경사면(120)에 적용되어 제1경사면(120)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제1경사면(120) 또는 제1경사면(120) 밖의 키보드 몸체(110)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40)가 적용되어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키보드 몸체(110)의 모서리에 제 1 실시 예의 구성 요소인 제1경사면(12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의 적용은 키보드 몸체(110)의 전면 가로측과 세로측 모서리에 고려 가능하다.
세로측의 모서리에 제1경사면(12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를 적용하는 경우는 자판(101)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입력 행동과 자판(101)을 벗어난 사용자의 동작 인식 행동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상호 간섭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키보드 몸체(110)의 전면 가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12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자판(101)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입력 행동과 사용자의 동작 인식 행동을 위한 영역이 상호간에 겹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동작 인식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서술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제1경사면(12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의 적용은 키보드 몸체(110)의 세로측에 적용되며 보조적으로 전면 가로측에 적용이 추가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또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오브젝트 카메라(130)를 이용한 제 1 실시 예의 동작 인식 대상은 제1경사면(120) 앞부분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이 될 수 있다.
도 4, 도 6, 도 8,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서 제1경사면(120)의 수직축과 키보드 몸체(110)에 적용된 자판(101)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한다.
키보드 몸체(110)의 모서리에 제1경사면(120)이 예각을 이루어 형성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책상과 같은 작업판이 없는 공간 및 작업판 위에서와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을 원활히 감지할 수 있어 마우스 없이도 마우스를 통해 수행하던 네비게이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만일 키보드 몸체(110)에 예각이 아닌 직각의 상태로 제1경사면(120)이 적용되면 작업판이 없는 공간의 상태에서는 문제가 크게 발생치 않으나 작업판 위 또는 무릅 위에 놓여지는 상황에서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카메라 광각 축(131)이 작업판 면 또는 무릅 면을 향하게 되는 관계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작업판 면 또는 무릅 면을 스치며 움직여야하는 불편함과 함께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카메라 광각 축(131)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광각 영역의 절반 부분은 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다른 경우로서 키보드 몸체(110)에 제1경사면(120)이 직각을 넘어 둔각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카메라 광각 축(131) 하단 부분에 대부분의 광각 영역이 적용됨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광각 영역 범위가 직각인 경우보다 더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서 키보드 몸체(110)는 접힘 및 감김이 불가능한 판상형 몸체, 접힘축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몸체, 감김 상태 유지가 가능한 롤러블 몸체 및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도 2, 도 3, 도 5, 도 7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경사면(120)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122)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부터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축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상기 제1경사면(120)이 형성되는 경우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적용두께 확보를 위해 제1경사면 돌출부(121)가 폴더블 몸체의 판상형 두께보다 일부분이 높게 돌출 형성되며, 제1경사면 돌출부(121)의 돌출 높이는 접힘 상태의 폴더블 몸체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다.
도 1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상기 제1경사면(120)이 형성되는 경우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적용두께 확보를 위해 제1경사면 돌출부(121)가 판상형의 키보드 몸체 두께보다 일부분이 높게 돌출 형성되며, 제1경사면 돌출부(121)는 키보드 몸체의 보호커버 기능 수행시 판상형 영상표시장치(10)에 간섭되지 않도록 영상표시장치의 둘레에 해당하는 키보드 몸체(110)의 둘레 밖 영역에 형성된다.
도 1부터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경사면(12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이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오브젝트 카메라(130)가 활성화 되어 촬영모드로 즉시 진입할 수 있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동작인식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1 실시 예에서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제1경사면(120)의 오브젝트 카메라(130) 인접 부위에 적용된다.
도 14는 판상형 몸체가 적용된 제 2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회전몸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도 14의 회전몸체가 동작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18은 완전 펼침 상태가 가능한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제 2 실시 예의 세로측 모서리에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회전몸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20은 도 18의 접힘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14부터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 실시 예는 자판(101) 및 자판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110)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110)의 가로측에 비해 길이가 짧은 세로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150), 키보드 몸체(110) 또는 회전몸체(150)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150)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52) 및 회전몸체(150)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 예의 제1경사면(120)에 해당하는 회전몸체(150) 또한 키보드 몸체(110)의 전면 가로측과 세로측 모서리에 고려 가능하다.
세로측의 모서리에 회전몸체(15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를 적용하는 경우는 자판(101)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입력 행동과 자판(101)을 벗어난 사용자의 동작 인식 행동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상호 간섭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도 1과 유사한 개념으로 키보드 몸체(110)의 전면 가로측 모서리에 회전몸체(15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자판(101)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입력 행동과 사용자의 동작 인식 행동을 위한 영역이 상호간에 겹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동작 인식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서술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 회전몸체(150),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의 적용은 키보드 몸체(110)의 세로측에 적용되며 보조적으로 전면 가로측에 적용이 추가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 예의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경사면(120)의 오브젝트 카메라(130)를 이용한 동작 인식 대상은 제 2 실시예의 경우 회전몸체(150)의 오브젝트 카메라(130) 앞부분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이 될 수 있다.
제 2실시 예에서 오브젝트 카메라(130)가 적용된 회전몸체(150)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150) 밖의 키보드 몸체(110)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40)가 적용된다.
도 14부터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전몸체(15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이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오브젝트 카메라(130)가 활성화 되어 촬영모드로 즉시 진입할 수 있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동작인식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제 2 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회전몸체(150)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52)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제 2 실시 예에서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52)가 특정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한 경우에만 오브젝트 감지센서(140)가 활성화 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도록 함으로 인해 회전몸체(150)가 회전되지 않아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카메라 광각 축(131)과 화면표시면(11)의 수직축이 평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회전몸체(150)를 회전시켜 동작 인식 대기상태로 전환해야만 오브젝트 카메라(130)가 활성화될 수 있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되어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오브젝트 카메라(13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130)는 단일 카메라가 적용됨이 나타내어졌지만 2개 이상의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체 동작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 키보드 몸체(110)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의 제어 및 영상표시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베터리가 적용되며, 동작 인식을 수행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동일하게 적용되어있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인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100)가 연결되면 영상표시장치의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고 연결된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3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40)는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키보드(100)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다시 활성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판상형 영상표시장치 11: 화면표시면
100: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101: 자판 110: 키보드 몸체
111: 몸체1 112: 몸체2
113: 영상표시장치 고정부
120: 제1경사면 121: 제1경사면 돌출부
122: 제2경사면
130: 오브젝트 카메라 131: 카메라 광각 축
140: 오브젝트 감지센서 141: 센서 감지 축
150: 회전몸체 151: 회전몸체 수납 돌출부
152: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미도시)

Claims (9)

  1. 자판; 및
    자판이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 모서리에 자판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제1경사면;
    제1경사면에 적용되어 제1경사면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제1경사면 또는 제1경사면 밖의 키보드 몸체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센서 영역이 상기 자판의 자판 입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자판의 적용면에 대해 설정된 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동일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상기 광각 영역 및 센서 영역은 서로 중복 형성되며,
    상기 중복 형성된 센서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에 대응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자동 스위칭을 통해 상기 중복 형성된 광각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키보드 몸체에 적용된 자판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몸체는 접힘 및 감김이 불가능한 판상형 몸체, 접힘축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몸체, 감김 상태 유지가 가능한 롤러블 몸체 및 자판과 더불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이 보호커버 기능이 겸비된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오브젝트 카메라의 적용두께 확보를 위해 판상형의 키보드 몸체 두께보다 일부분이 높게 돌출 형성되는 제1경사면 돌출부;가 형성되며
    제1경사면 돌출부는 키보드 몸체의 보호커버 기능 수행시 영상표시장치에 간섭되지 않도록 영상표시장치의 둘레에 해당하는 키보드 몸체의 둘레 밖 영역에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7. 자판; 및
    자판 적용되는 키보드 몸체;를 구비한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몸체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한쪽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키보드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회전몸체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회전몸체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 밖의 키보드 몸체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센서 영역이 상기 자판의 자판 입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자판의 적용면에 대해 상기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했는지 여부를 상기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를 통해 확인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동일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상기 광각 영역 및 센서 영역은 서로 중복 형성되며,
    상기 중복 형성된 센서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에 대응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자동 스위칭을 통해 상기 중복 형성된 광각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KR1020200038733A 2020-03-31 2020-03-31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KR10218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33A KR102187964B1 (ko) 2020-03-31 2020-03-31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33A KR102187964B1 (ko) 2020-03-31 2020-03-31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54A Division KR20190092000A (ko) 2018-01-30 2018-01-30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901A true KR20200038901A (ko) 2020-04-14
KR102187964B1 KR102187964B1 (ko) 2020-12-07

Family

ID=7029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33A KR102187964B1 (ko) 2020-03-31 2020-03-31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891B1 (ko) * 2021-06-17 2022-12-16 이재규 엄지로 조작하는 광마우스를 구비한 컴퓨터 키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984A (ko) * 2004-06-09 200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KR20130090210A (ko) * 2012-02-03 2013-08-13 (주)파트론 입력 장치
KR20160078944A (ko) * 2014-01-02 2016-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움직임 감지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움직임 감지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방법
KR20170108662A (ko)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984A (ko) * 2004-06-09 200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KR20130090210A (ko) * 2012-02-03 2013-08-13 (주)파트론 입력 장치
KR20160078944A (ko) * 2014-01-02 2016-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움직임 감지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움직임 감지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방법
KR20170108662A (ko)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964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68B1 (ko)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CN111580601A (zh) 电子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US2017007547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0020762A (ja) タッチセンシティブ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におけるタッチ入力
KR10190414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502479B (zh) 解鎖方法與電子裝置
US1067126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size display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US9235238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dual touch displays and multitasking fun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EP2402844B1 (en)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interactive displays and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20130053377A (ko) 텍스트 입력장치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가 구비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US7248248B2 (en) Pointing system for pen-based computer
KR20210021863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생성 방법
CN106899765A (zh) 移动终端双摄像头切换方法及装置
US11671710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able camera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thereby
KR102187964B1 (ko)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US201502127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05083990A1 (en) Rotatable phone
TW201135533A (en) Handwrite input electronic device
US20170075453A1 (en)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JP6304232B2 (ja)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92000A (ko)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KR102187965B1 (ko)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US11422639B2 (en) One-finger mouse
CN114518785A (zh) 电子设备及控制方法
KR20190092005A (ko)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