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245A -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245A
KR20200038245A KR1020207002652A KR20207002652A KR20200038245A KR 20200038245 A KR20200038245 A KR 20200038245A KR 1020207002652 A KR1020207002652 A KR 1020207002652A KR 20207002652 A KR20207002652 A KR 20207002652A KR 20200038245 A KR20200038245 A KR 20200038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evice
voltage
switching transistor
modul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637B1 (ko
Inventor
천 티엔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2Circuits for multi-testers, i.e. multimeters, e.g. for measuring voltage, current, or impedance at wi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6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내부에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함으로써, 충전 장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문제에 의해 충전 장치의 애프터 세일즈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충전 장치의 품질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본 출원은 충전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전 장치는 예를 들면 어댑터 내에 통상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설치하여 출력 스위치로 사용된다. 실제 사용 중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전압 하강이 특정된 제한 값을 넘을 경우, 비정상 상태로 간주되어, 보호에 진입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은 충전 장치가 상기 비정상 상태에서 보호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스킴을 개시되지 않아,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본 출원은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제1 측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내부에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전원 모듈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모듈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에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함으로써,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문제에 의해 충전 장치의 애프터 세일즈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충전 장치의 품질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 장치는 부하 모듈에 접속되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 또는 제2단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부하 모듈에 접속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하 모듈은 정전류 부하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낮추는 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이다 .
본 출원의 일 실시예로 의하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높이는 P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MOS 트랜지스터 또는 3극관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할 경우에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정지하는 전압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멀티 미터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전압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인 동시에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 모듈은 직류 전원이고, 상기 직류 전원은, 양극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고, 음극이 접지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정전원선과 음의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정전원선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회로의 양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의 전원선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회로의 음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정전원선 또는 상기 음의 전원선에 직렬 접속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하에 상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상기 충전 장치의 보호 상태에 대하여 제시하는 제시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시 모듈은 상기 충전 장치에 직접되어 설치된다.
본 출원의 제2의 측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전원 모듈에 의해 상기 충전 장치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전원 모듈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고, 그 다음에,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에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함으로써,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문제에 의해 충전 장치의 애프터 세일즈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충전 장치의 품질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1단 또는 제2단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하 모듈에 접속되며, 상기 부하 모듈은 정전류 부하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낮추는 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로 의하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높이는 P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할 경우에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정지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 장치의 전압 검출 유닛을 통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인 동시에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제시 모듈을 통해 상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상기 충전 장치의 보호 상태에 대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이하 설명에서 일부 제기되고 다른 일부는 이하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지거나 또는 본 출원의 실천을 통하여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의 기재 및/또는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행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지고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전압 측정 장치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부하 모듈이 설치된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의 회로 원리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제시 모듈이 설치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재할 것이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될 것인데, 그 중 시종일관하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을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지,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고, 당해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은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본출원의 실시 예에서는,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에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기는, 단말을 가리킬 수 있고, 해당 "단말”은, 스마트폰, 컴퓨터, 개인용 정보 단말기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웨어러블 디바이스, 블루투스 헤드셋, 게임기기, 촬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 장치는, 어댑터, 모바일 전원(모바일 배터리), 차량용 충전기 등의 단말에 충전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일 수 있다. 어댑터를 예로 들어, 충전 장치는, VOOC어댑터일 수 있으며, VOOC어댑터의 충전 회로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기기 배터리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충전 장치에는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전기 에너지의 출력을 온, 또는 전기 에너지의 출력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사용에서는 땜납 또는 구동 전압의 부족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저항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충전 장치는 충전중에 계속적으로 발열하여 소각될 수도 있다. 충전 장치가 충전중에 계속적으로 발열하여 소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 장치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고, 즉 스위칭 트랜지스터에서의 전압 하강을 검출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전압 하강이 제한 값을 초과할 경우, 전압 하강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되어,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충전 장치의 테스트중에 상기의 전압 하강 이상을 시뮬레이션하고,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제어 전극의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에서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며, 그 다음에,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전압 하강이 제한 값에 도달한다. 즉 전압 하강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이하, 도 1 내지 6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100)은 충전 장치(10)와 전원 모듈(20)을 포함한다.
그 중, 충전 장치(10) 내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와 제어 모듈(102)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는 충전 장치(10)에서의 충전 회로(103)의 출력단에 설치될 수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가 턴온이 될 경우, 충전 회로(103)의 출력단은 출력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가 턴오프가 될 경우, 충전 회로(103)의 출력단은 출력을 정지한다. 제어 모듈(102)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에 접속될 수 있고, 충전 장치(10)는 충전 대상기기를 충전하며, 즉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를 하지 않을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101)는 제어 모듈(102)의 제어하에 턴온 또는 턴오프가 될 수 있다. 제어 모듈(102)은 MCU(Micro-controller Unit,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일 수 있다.
충전 장치(10)는 전원선을 구비하는 충전 인터페이스(104)를 구비할 수도 있고, 충전 장치(10)는 충전 인터페이스(104)에서의 전원선을 통해 외부에 전기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충전 대상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부하 모듈에 전기 에너지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인터페이스(104)는 정전원선L+과 음의 전원선L-을 구비하고, 정전원선L+은 충전 장치(10)의 충전 회로(103)의 양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음의 전원선L-은 충전 장치(10)의 충전 회로(103)의 음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101)는 정전원선L+ 또는 음의 전원선L-에 직렬 접속된다. 예를 들면, 충전 장치(10)가 충전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충전 대상기기에 접속될 경우, 정전원선L+ 및 음의 전원선L-은 충전 대상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배터리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온/오프를 제어한는 것을 통해, 정전원선L+ 또는 음의 전원선L-과 충전 회로(103)를 제어하여 통로 또는 회로 차단을 형성함으로써, 충전 장치(10)의 전기 에너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모듈(20)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고, 전원 모듈(20)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 즉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제어 모듈(102)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에 충전 장치(10)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충전 장치(10)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 장치(10) 내에는 전압 검출 유닛을 구비하는 것도 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2)은 전압 검출 유닛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고, 충전 장치(10)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인 동시에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충전 장치(10)를 제어하여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 충전 장치(10)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고장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 이하일 경우, 충전 장치(10)를 정상 작동 상태에 있도록 제어한다.
충전 장치(10)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할 경우, 전원 모듈(20)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고,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을 조정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즉 전압 하강 이상을 시뮬레이션할 경우, 이 때,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충전 장치가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즉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할 경우, 충전 장치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유효하는지를 확인하고,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에 있지 않을 경우, 충전 장치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무효하는지를 확인한다.
따라서,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문제에 의해 충전 장치의 애프터 세일즈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충전 장치의 품질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모듈(20)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은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제어기의 제어하에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동으로 조정할 경우, 사용자는 전압값 또는 전압 변화량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고, 전원 모듈(2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한 전압값 또는 전압 변화량에 따라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자동적으로 조정할 경우, 제어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에 따라 전압값 또는 전압 변화량을 생성할 수 있고, 전원 모듈(20)은 제어기를 통해 생성된 전압값 또는 전압 변화량에 따라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100)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과 제2단에 접속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할 경우에 전원 모듈(20)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정지하는 전압 측정 장치(30)를 더 포함한다. 전압 측정 장치(30)는 멀티 미터이다.
수동으로 조정할 경우, 사용자가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매번 조정한 후, 전원 모듈(20)은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대응되는 전압값의 전압 신호를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에 출력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전압 측정 장치(30)를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을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전압 측정 장치(30)를 통해 측정된 전압 하강을 확인할 수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하였을 경우,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정지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할 때까지,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계속 조정한다.
마찬가지로, 제어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조정할 경우, 제어기가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매번 조정한 후, 전원 모듈(20)은 대응되는 전압값의 전압 신호를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에 출력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제어기는 전압 측정 장치(30)를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을 획득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하였을 경우,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정지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할 때까지,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계속 조정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는 부하 모듈(40)에 접속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충전 장치(10)는 충전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부하 모듈(40)에 접속될 수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 또는 제2단은 충전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부하 모듈(40)에 접속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부하 모듈(40)은 정전류 부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부하 모듈(40)이 전자부하일 경우, 전자부하가 위치한 회로내의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자부하는 정전류 모드에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04)이 부하 모듈(40)에 접속될 수 있을 경우, 충전 장치(10)의 충전 회로(103)는 부하 모듈(40)과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부하 모듈(40)은 정전류 부하일 수 있으므로, 회로내의 전류는 일정하며, 즉 스위칭 트랜지스터(101)를 흐르는 전류는 일정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 모듈(40)을 통해 고정 전류를 추출하는 것을 통해,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고,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낮추거나 또는 높이는 것만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을 점차적으로 높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스위칭 트랜지스터(101)는 MOS 트랜지스터 또는 3극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1단일 수 있고,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S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2단일 수 있으며,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일 수 있다.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은 충전 장치(10)의 충전 회로(103)에 접속될 수 있고,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S는 충전 인터페이스(104)에 접속될 수 있으며,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는 제어 모듈(102)에 접속되고, 전류는 MOS 트랜지스터 드레인D로부터 유입하여,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S로 흘러 나가고, 전류 방향은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한다.
게다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는 NMOS 트랜지스터 또는 NPN3극 관 등의 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이 때, 전원 모듈(20)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 NMOS 트랜지스터를 예로서, 전원 모듈(20)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이 낮을 수록,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과 소스S 사이의 임피던스가 커지고, 부하 모듈(40)을 통해 고정 전류를 추출하고, NMOS 트랜지스터를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므로,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과 소스S 사이의 전압 하강도 크다.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의 전압값이 전압값보다 낮을 경우, NMOS 트랜지스터의 전압 하강은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01)는 PMOS 트랜지스터 또는 PNP 3극관 등의 P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이 때,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높일 수 있다. PMOS 트랜지스터를 예로서, 전원 모듈(20)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이 높을 수록,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과 소스S 사이의 임피던스가 커지고, 부하 모듈(40)을 통해 고정 전류를 추출하고, PMOS 트랜지스터를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므로,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과 소스S 사이의 전압 하강도 크다. 전원 모듈(20)의 전압 신호의 전압값이 전압값보다 높을 경우, PMOS 트랜지스터의 전압 하강은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예로 설명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상의 전원 모듈(20)의 출력 전압 (즉, 전원 모듈(20)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임피던스를 조정하고, 전원 모듈(20)의 출력 전압이 낮을 수록, 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 임피던스가 크다. 멀티 미터를 사용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101) 양단의 전압 하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충전 장치(10)는 하나의 부하 모듈(40)을 사용하여 고정 전류를 추출하며, 전원 모듈(20)의 출력 전압을 조정하고, 전원 모듈(20)의 출력 전압이 특정된 전압값보다 낮을 경우, 즉 스위칭 트랜지스터(101) 양단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충전 장치(10)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충전 장치(10)가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따라서,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으며,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문제에 의해 충전 장치의 애프터 세일즈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충전 장치의 품질을 확보한다.
하나의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모듈(20)은 직류 전원(DC)일 수 있고, 직류 전원(DC)의 양극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고, 직류 전원(DC)의 음극은 접지된다. 충전 장치(10)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를 할 경우, 충전 장치(10)를 오픈할 수 있고, 직류 전원(DC)의 양극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제어 전극에 직접 접속되고, 직류 전원(DC)의 음극은 충전 장치(10)의 참조되는 지면에 접속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100)은 제어 모듈(102)에 접속되고, 제어 모듈(102)의 제어하에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충전 장치(10)의 보호 상태에 대하여 제시하는 제시 모듈(50)을 더 포함하고, 따라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테스트 결과를 이해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하였을 경우, 제어 모듈(102)은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충전 장치(10)의 보호 상태에 따라 제시 모듈(50)을 제어하여 제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시 모듈(50)에 의해 송신된 제시 정보를 통해 직관적으로 테스트 결과를 이해하고, 충전 장치가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모듈(20)의 출력 전압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제시 모듈(50)이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는 제시를 송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제시 모듈(50)이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는 제시를 송신할 경우, 충전 장치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유효하는지를 확인하고, 제시 모듈(50)이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는 제시를 송신하지 않았을 경우, 충전 장치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무효하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기를 통해 전원 모듈(20)의 출력 전압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101)의 전압 하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하였을 경우, 제어기는 제어 모듈(102)에 상태 제시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제어 모듈(102)은 상태 제시 명령을 수신한 후, 충전 장치(10)의 보호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제시 모듈(50)에 송신할 수 있고, 제시 모듈(50)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제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시 모듈(50)이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는 제시를 송신할 경우, 충전 장치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유효하는지를 확인하고, 제시 모듈(50)이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는 제시를 송신하지 않았을 경우, 충전 장치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무효하는지를 확인한다.
하나의 예로서, 제시 모듈(50)은 충전 장치(10)와 직접되어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시 모듈(50)은 충전 장치(10)에서의 표시등일 수 있다. 또는 제시 모듈(50)은 충전 장치(10)의 제어 모듈(102)과 통신할 수 있고, 즉 제어 모듈(102)은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충전 장치(10)의 보호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제시 모듈(50)에 송신할 수 있고, 제시 모듈(50)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제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시 모듈(50)은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는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충전 장치(10)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전원 모듈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모듈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에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함으로써,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문제에 의해 충전 장치의 애프터 세일즈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충전 장치의 품질을 확보한다.
상기의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에 대응하여, 본 출원은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전원 모듈을 통해 충전 장치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S2: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한다
S2: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1단 또는 제2단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하 모듈에 접속되며, 상기 부하 모듈은 정전류 부하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낮추는 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로 의하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높이는 P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할 경우에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정지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 장치의 전압 검출 유닛을 통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인 동시에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보호 상태로 진입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제시 모듈을 통해 상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상기 충전 장치의 보호 상태에 대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실시예의 설명은 당해 실시예의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에도 적용되며,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요약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전원 모듈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고, 그 다음에,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에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함으로써,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충전 장치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문제에 의해 충전 장치 애프터 세일즈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충전 장치의 품질을 확보한다.
해당 분야의 일반 당업자는 본 명세서 중에서 개시한 실시예에 기재된 다양한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 형태로 본 출원을 실현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필경 하드웨어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수행될 것인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들은 모든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적용하여 상술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으로 인정하면 안된다.
당업자들은 기재의 편리성 및 간결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전술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하여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인 바, 여기서 더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의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 기재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인 바, 일 예로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한가지 로직 기능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 기타 구분 방식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한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도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 가능하고, 수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표시 또는 토론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 커플링 혹은 통신적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적 연결은 전기적인 것일 수도 있고,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적인 것일 수도 있다.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 아닐 수도 있는 바, 유닛으로서 도시된 부재는 물리적 부재일 수도 있고, 물리적 부재가 아닐 수도 있다. 즉, 한 지역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분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밖에, 본 출원의 각각의 실시예 중의 기능 유닛 각각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각의 유닛이 단독적으로 물리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며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중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에 기반하면,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실질 상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기여가 있는 부분 또는 상술한 기술방안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 중에 저장되고,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장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분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모바일 하드웨어,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 저장이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는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이며,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본 출원이 개시한 기술 범위에서 변화 또는 교체를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0)

  1.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충전 장치가 보호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부하 모듈에 접속되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 또는 제2단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부하 모듈에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모듈은 정전류 부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낮추는 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높이는 P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MOS 트랜지스터 또는 3극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할 경우에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정지하는 전압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 장치는 멀티 미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전압 검출 유닛에 의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인 동시에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 장치를 보호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모듈은 직류 전원이고,
    상기 직류 전원은, 양극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접속되고, 음극이 접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양의 전원선과 음의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양의 전원선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회로의 양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의 전원선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회로의 음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양의 전원선 또는 상기 음의 전원선에 직렬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하에 상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상기 충전 장치의 보호 상태에 대하여 제시하는 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 모듈은 상기 충전 장치에 직접되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14.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크도록, 전원 모듈에 의해 상기 충전 장치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을 테스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의 제1단 또는 제2단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하 모듈에 접속되며,
    상기 부하 모듈은 정전류 부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낮추는 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점차적으로 높이는 P형 스위칭 트랜지스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전압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에 도달할 경우에 상기 전원 모듈에 의해 출력된 전압 신호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을 정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의 전압 검출 유닛을 통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정상인 동시에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 보호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 장치를 보호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제시 모듈을 통해 상기 비정상적인 전압 하강에 대한 보호 기능의 테스트 결과 또는 상기 충전 장치의 보호 상태에 대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의 테스트 방법.
KR1020207002652A 2018-09-30 2018-09-30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102338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9082 WO2020062237A1 (zh) 2018-09-30 2018-09-30 充电装置的测试系统和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245A true KR20200038245A (ko) 2020-04-10
KR102338637B1 KR102338637B1 (ko) 2021-12-13

Family

ID=6974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652A KR102338637B1 (ko) 2018-09-30 2018-09-30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68032B2 (ko)
EP (1) EP3722824B1 (ko)
JP (1) JP6915148B2 (ko)
KR (1) KR102338637B1 (ko)
CN (1) CN110892275B (ko)
WO (1) WO2020062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9152B (zh) * 2022-01-13 2023-01-10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一种直流充电桩计量远程监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063A (ja) * 1996-03-14 1997-09-22 Sharp Corp 電池電源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30346025A1 (en) * 2012-06-22 2013-12-26 Green Charge Networks Llc Electric vehicle charging protocol selection and testing
KR20160136283A (ko) * 2014-01-28 2016-11-29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원 어댑터, 단말기 및 충전회로 임피던스 이상 처리방법
US20170179741A1 (en) * 2015-12-16 2017-06-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6742A (ja) * 1996-08-06 1998-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の過充電保護回路
JPH10290530A (ja) 1997-04-15 1998-10-27 Toshiba Battery Co Ltd 二次電池の保護回路
JP3657119B2 (ja) 1998-07-28 2005-06-08 ローム株式会社 電池保護回路の省電力測定方法
JP2001228939A (ja) 2000-02-17 2001-08-24 Canon Inc Acアダプタ支援装置、電子機器システム
CN100383548C (zh) 2003-05-07 2008-04-23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电源特性测试仪
KR100541741B1 (ko) 2003-11-14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기능 검사장치
JP2008061343A (ja) * 2006-08-30 2008-03-13 Mitsumi Electric Co Ltd 充電システム、2次電池を有する電子回路装置、および充電用電源装置
JP5048458B2 (ja) * 2007-11-05 2012-10-17 新電元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充電器
CN101604861B (zh) 2009-04-22 2011-09-14 杨文锋 电池充电控制电路及充电器
CN101697410B (zh) 2009-10-23 2011-12-21 欣旺达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充电器电路中采用的短路保护电路
EP2518522B1 (en) 2009-12-25 2018-08-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pack failure detection device
CN102118016B (zh) * 2009-12-31 2014-03-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器保护电路、含有该电路的充电器及其控制方法
CN101860051B (zh) 2010-04-09 2012-07-04 福州福光电子有限公司 分布式全在线蓄电池组充放电测试设备
CN102136717A (zh) 2011-03-22 2011-07-2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器及充电保护装置
JP5910172B2 (ja) 2012-03-01 2016-04-27 株式会社Gsユアサ スイッチ故障診断装置、電池パックおよびスイッチ故障診断プログラム、スイッチ故障診断方法
CN202583381U (zh) 2012-04-25 2012-12-05 深圳市铁甲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适配器测试电路
KR101395039B1 (ko) * 2012-10-05 2014-05-16 (주)한국엘에스아이 배터리 보호 회로 모듈 장치
CN103698640B (zh) 2013-12-31 2016-04-27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充电检测电路及移动电源
CN103746427A (zh) 2014-01-09 2014-04-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电源、电源充电电路、方法及终端设备
CN106329688B (zh) 2014-01-28 2019-09-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电源适配器
AU2015210567B2 (en) 2014-01-28 2017-10-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erminal, power adapter, and method for handling charging anomaly
CN203759177U (zh) * 2014-04-08 2014-08-06 漳州科华技术有限责任公司 Ups蓄电池未接或异常检测装置
HK1195448A2 (en) 2014-06-24 2014-12-12 金豐洋行有限公司 Charging system, battery charger / tester thereof, an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device thereof
CN203981802U (zh) 2014-07-22 2014-12-03 曹勤勤 开关电源适配器自动测试装置
CN104166057A (zh) 2014-08-12 2014-11-26 山东兴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保护板测试系统
CN104375021B (zh) 2014-10-10 2017-02-08 浙江超威创元实业有限公司 一种锂电池组保护板检测装置和方法
CN104931839B (zh) 2015-06-30 2018-05-29 河北工业大学 一种电池保护板检测装置
CN105226943B (zh) * 2015-07-07 2018-07-3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电源变换器及开关电源装置
CN205811583U (zh) * 2016-06-20 2016-12-14 江苏谊和电子有限公司 充电器输出端安全防护电路
CN206060301U (zh) 2016-09-20 2017-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保护电路和移动终端
CN106602518A (zh) 2017-02-14 2017-04-26 深圳市格瑞普电池有限公司 锂电池充电保护装置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063A (ja) * 1996-03-14 1997-09-22 Sharp Corp 電池電源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30346025A1 (en) * 2012-06-22 2013-12-26 Green Charge Networks Llc Electric vehicle charging protocol selection and testing
KR20160136283A (ko) * 2014-01-28 2016-11-29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원 어댑터, 단말기 및 충전회로 임피던스 이상 처리방법
US20170179741A1 (en) * 2015-12-16 2017-06-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2237A1 (zh) 2020-04-02
CN110892275B (zh) 2022-04-01
KR102338637B1 (ko) 2021-12-13
EP3722824A4 (en) 2021-01-06
EP3722824B1 (en) 2022-03-09
US11368032B2 (en) 2022-06-21
US20210408813A1 (en) 2021-12-30
EP3722824A1 (en) 2020-10-14
JP2021502043A (ja) 2021-01-21
CN110892275A (zh) 2020-03-17
JP6915148B2 (ja)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2802B2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thereof
EP3093945B1 (en) Electronic device, charger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and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us of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US10658860B2 (en) Electronic device, charger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and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us of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WO2014097640A1 (ja) 電子機器、充電器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KR20160135711A (ko) 전원 어댑터, 단말기 및 충전회로 임피던스 이상 처리방법
US116411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CN110520743B (zh) 充电装置的测试板、测试系统和测试方法
KR102346813B1 (ko)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US1075653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2515719A (ja) 電子トリップ遮断器用ゾーン選択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KR20110043473A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2338637B1 (ko) 충전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WO2020062309A1 (zh) 一种适配器的功能检测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KR101539692B1 (ko) Fet 센싱을 이용하는 bmu 테스트 시스템 및 bmu 테스트 방법
KR20180075242A (ko)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누전차단장치
US201803315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 operating status of a connector
CN106684965A (zh) 一种电池保护电路
WO2019054851A2 (ko)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185948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power adapter and mobile terminal
CN113809812A (zh) 双电池电路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
JP6533123B2 (ja) 充電システム
WO2019112257A1 (ko) 배터리 교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31362A (ko) 돌입 전류를 저감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및 충전기
KR20050046838A (ko) 충전기능 검사장치
KR101609258B1 (ko) 전원 차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