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504A - 조립식 낚시용 의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낚시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504A
KR20200037504A KR1020180116787A KR20180116787A KR20200037504A KR 20200037504 A KR20200037504 A KR 20200037504A KR 1020180116787 A KR1020180116787 A KR 1020180116787A KR 20180116787 A KR20180116787 A KR 20180116787A KR 20200037504 A KR20200037504 A KR 2020003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hair
fasten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옥
박윤식
Original Assignee
정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옥 filed Critical 정미옥
Priority to KR102018011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7504A/ko
Publication of KR2020003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1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slotted 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밟거나 앉을 수 있는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휴대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가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조립될 시, 지면과 맞닿는 지지대의 일 측 끝 단부가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방향으로 경사지게 조립되도록 하여 의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되 하부에 인접하는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단턱부를 내삽 되게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의 중앙부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에 연결부재를 체결하여 지지대가 상기 연결부재에 체결되되 끝 단부가 상기 단턱부와 맞닿아 상기 단턱부의 경사에 대응하여 수직되게 체결되도록 하여 지면과 맞닿는 지지대의 일 측 끝 단부가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방향으로 경사지며 조립되어 의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의 끝 단부가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체결되는 지지대의 끝 단부가 상기 지지대고정부재의 단턱부와 맞닿으며 내삽된 단턱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지지대고정부재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되며, 지지대의 끝 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며 연결부재에 체결됨에 따라 플레이트부에 의해 3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낚시용 의자{Prefabricated fishing chairs}
본 발명은 조립식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밟거나 앉을 수 있는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휴대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가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조립될 시, 지면과 맞닿는 지지대의 일 측 끝 단부가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방향으로 경사지게 조립되도록 하여 의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 스포츠의 일종인 낚시는 물고기를 낚기 위해서 조용한 상태에서 오랜 시간 기다려 물고기의 입질을 기다려야 하며 이를 위해 낚시꾼이 오랜 시간 착석할 수 있는 낚시용 의자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사용자의 이동 및 보관상의 편의성을 위해 사용자가 낚시용 의자를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의자들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 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20-0464738호(실) 사용자가 착좌가능한 좌대 및 상기 좌대의 일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받침대를 구비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X자-교차 되도록 결합되어 절첩가능한 제1지지다리부 및 제2지지다리부;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2지지다리부의 절첩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받침대는 상기 좌대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낚시용품을 걸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홈을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장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측면 간 이격거리는, 상기 제1지지다리부와 제2지지다리부 두께의 합과 같거나 큰, 낚시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제1지지다리부 및 제2지지다리부가 X자 교차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제1지지다리부 및 제2지지다리부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인해 상기 제1지지다리부 또는 제2지지다리부 중 어느 하나에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경우, 연결된 다른 하나의 제2지지다리부 도는 제1지지다리부에 그 힘이 그대로 전달되어 낚시의자가 쉽게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되 하부에 인접하는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단턱부를 내삽 되게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의 중앙부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에 연결부재를 체결하여 지지대가 상기 연결부재에 체결되되 끝 단부가 상기 단턱부와 맞닿아 상기 단턱부의 경사에 대응하여 수직되게 체결되도록 하여 지면과 맞닿는 지지대의 일 측 끝 단부가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방향으로 경사지며 조립되어 의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의 끝 단부가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체결되는 지지대의 끝 단부가 상기 지지대고정부재의 단턱부와 맞닿으며 내삽된 단턱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지지대고정부재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되며, 지지대의 끝 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며 연결부재에 체결됨에 따라 플레이트부에 의해 3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용 의자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경사지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의 중앙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지지대고정부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체결되는 지지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낚시용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휴대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지지대가 조립될 시,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조립되며 지면과 맞닿는 각각의 지지대의 끝 단부가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방향인 외측으로 경사지게 조립되어 낚시용 의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대가 플레이트부의 관통홀, 지지대고정부재 및 연결부재에 의해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낚시용 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조립식 낚시용 의자의 구성 중 플레이트부의 저면을 나타내는 분해저면도
도 4는 도 3의 관통홀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지지대고정부재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조립식 낚시용 의자의 구성 중 플레이트부, 지지대고정부재 및 마감부재의 연결을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조립식 낚시용 의자의 구성 중 지지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조립식 낚시용 의자의 구성 중 지지대고정부재에 체결된 연결부재에 지지대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0인 본 발명인 조립식 낚시용 의자의 구성 중 플레이트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밟거나 앉을 수 있는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휴대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가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조립될 시, 지면과 맞닿는 지지대의 일 측 끝 단부가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방향으로 경사지게 조립되도록 하여 의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낚시용 의자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11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00);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경사지는 단턱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210)의 중앙부에 체결홀(220)이 형성되는 지지대고정부재(200); 상기 체결홀(220)에 체결되는 연결부재(300); 상기 연결부재(300)에 체결되는 지지대(400); 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체결홀(220)에 체결되는 연결부재(300)는 상기 지지대(4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4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400)를 지지대고정부재(200)의 체결홀(220)에 체결하여 지지대(400)를 플레이트부(100)에 연결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레이트부(100)는 다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각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하측에서 내부 수용공간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즉,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레이트부(100)가 사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110)이 플레이트부(100)의 하부에 네 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플레이트부(10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부(100)가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다수개의 관통홀(110)은 하기될 지지대(400)의 개수에 대응하여 플레이트부(100)의 하부에 외주에 인접하게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고정부재(200)는 도 3, 4,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일 측으로 삽입되어 내부 수용공간에 고정되되 상기 관통홀(110)의 중앙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하부에 인접하는 플레이트부(10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단턱부(210)가 내삽 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210)의 중앙부에 형성되되 상기 단턱부(210)의 경사에 대응하여 수직되게 형성되는 체결홀(2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턱부(210)는 상기 관통홀(110) 및 하기될 지지대(400)의 끝 단부와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관통홀(110) 및 단턱부(210)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110)로 삽입되는 지지대(400) 끝 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기될 지지대(400)가 상기 단턱부(210)의 체결홀(220)에 체결되는 하기될 연결부재(300)에 체결될 시, 지지대(400)의 끝 단부가 단턱부(210)에 원활하게 맞닿으며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00)가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대고정부재(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턱부(210)는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220)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체결홀(220)의 깊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300)를 사용하여 체결홀(220)에 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체결홀(220)에 체결된 연결부재(300)의 하부 끝 단부가 상기 단턱부(210) 및 관통홀(110)보다 하부에 위치되며 돌출 되도록 하여 하기될 지지대(400)를 상기 연결부재(300)에 간편하게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대(400)는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0)에 체결되되 끝 단부가 상기 단턱부(210)와 맞닿아 상기 단턱부(210)의 경사에 대응하여 수직되게 체결된다.
즉, 상기 지지대(400)가 상기 지지대고정부재(200)의 하부에 인접하는 플레이트부(10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단턱부(410)의 중앙부에 단턱부(410)의 경사에 대응하여 수직되게 형성되는 체결홀(220)에 체결되는 연결부재(300)에 체결되며 상기 단턱부(210)와 맞닿아 상기 단턱부(210)의 경사에 대응하여 수직되게 체결됨으로써, 지면과 맞닿는 지지대(400)의 일 측 끝 단부가 플레이트부(100)의 각 모서리방향으로 경사지며 조립되어 의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400)의 끝 단부가 연결부재(300)에 체결되며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300)에 체결되는 지지대(400)의 끝 단부가 상기 지지대고정부재(200)의 단턱부(210)와 맞닿으며 내삽된 단턱부(2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지지대고정부재(200)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되며, 지지대(400)의 끝 단부가 상기 관통홀(110)을 관통하며 연결부재(300)에 체결됨에 따라 플레이트부(100)에 의해 3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0)는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고정부재(2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고정부재(200)의 크기만큼 수용공간의 내부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부(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부(120)는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일 측으로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지지대고정부재(200)가 구획부(120)를 따라 이동되며 구획부(120)에 의해 상기 관통홀(110)의 중앙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판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레이트부(100)가 상호 연결된 제 1플레이트부(100a)와 제 2플레이트부(100b)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외주에는 플레이트부(100)의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를 감싸 내부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재(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마감부재(500)는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관통된 일 측 단부 및 타 측 단부를 감싸 내부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기타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0)는 제 1지지대(410), 제 2지지대(420) 및 압착판(430)으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제 1지지대(410)는 상부에 상기 연결부재(300)와 체결되는 나사산(413)이 내삽 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길게 내삽 되는 삽입홈(415)이 형성되며, 외주에 외측에서 상기 삽입홈(415)으로 관통되는 길이조절홈(417)이 상, 하부로 길게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415)은 하기될 제 2지지대(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삽입홈(415)의 내주는 하기될 제 2지지대(420)의 외주와 동일 또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삽입홈(415)을 따라 하기될 제 2지지대(420)가 상,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지지대(420)는 상기 제 1지지대(410)의 삽입홈(415)에 삽입되어 구성되되, 일 측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누름하여 상기 다수개의 길이조절홈(417) 중 어느 하나의 길이조절홈(417)에 위치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423)가 구성되고,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끝 단부가 볼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425)가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재(423)를 누름 하고 상기 다수개의 길이조절홈(417) 중 어느 하나의 길이조절홈(417)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 2지지대(420)를 제 1지지대(410)의 삽입홈(415) 내측에서 상,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지지대(400)의 전체적인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착판(430)은 상기 끝 단부가 볼 형상인 연결부(425)와 연결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425)의 끝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25)의 끝 단부는 상기 압착판(430)의 상부에 내삽 되게 연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압착판(430)이 상기 연결부(425)의 끝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하여 상기 압착판(430)이 지면의 경사에 따라 회동하며 압착판(430)의 하부면이 지면에 밀착될 수 있어 지면에 대한 대응력 및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낚시용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휴대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지지대가 조립될 시,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조립되며 지면과 맞닿는 각각의 지지대의 끝 단부가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방향인 외측으로 경사지게 조립되어 낚시용 의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대가 플레이트부의 관통홀, 지지대고정부재 및 연결부재에 의해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낚시용 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플레이트부
100a : 제 1플레이트부 100b : 제 2플레이트부
110 : 관통홀
120 : 구획부
200 : 지지대고정부재
210 : 단턱부
220 : 체결홀
300 : 연결부재
400 : 지지대
410 : 제 1지지대
413 : 나사산 415 : 삽입홈
417 : 길이조절홈
420 : 제 2지지대
423 : 길이조절부재 425 : 연결부
430 : 압착판
500 : 마감부재

Claims (3)

  1. 낚시용 의자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11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00);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경사지는 단턱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210)의 중앙부에 체결홀(220)이 형성되는 지지대고정부재(200);
    상기 체결홀(220)에 체결되는 연결부재(300);
    상기 연결부재(300)에 체결되는 지지대(4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
  2. 낚시용 의자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11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00);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경사지는 단턱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210)의 중앙부에 체결홀(220)이 형성되는 지지대고정부재(200);
    상기 체결홀(220)에 체결되는 연결부재(300)가 포함된 지지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00)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고정부재(2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내부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낚시용 의자.
KR1020180116787A 2018-10-01 2018-10-01 조립식 낚시용 의자 KR20200037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87A KR20200037504A (ko) 2018-10-01 2018-10-01 조립식 낚시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87A KR20200037504A (ko) 2018-10-01 2018-10-01 조립식 낚시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04A true KR20200037504A (ko) 2020-04-09

Family

ID=7027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87A KR20200037504A (ko) 2018-10-01 2018-10-01 조립식 낚시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75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991A (ko) 2021-05-31 2022-12-07 박범진 조립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991A (ko) 2021-05-31 2022-12-07 박범진 조립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2837A (en) Chair with interlocking multiple components
US3973800A (en) Modular furniture units
US8721005B2 (en) Collapsible chair
RU2698681C2 (ru) Балансировочный шарнир
KR101636551B1 (ko) 조립식 야외테이블
US3433364A (en) Revolving foldable bookstand
KR20200037504A (ko) 조립식 낚시용 의자
CZ208297A3 (cs) Kombinovaná židle
US7341307B2 (en) Coffee lounge
KR10091545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KR20150001746U (ko) 의자 다리프레임의 지지구조
JP3211433U (ja) 椅子
CN216566213U (zh) 一种支撑装置及桌子
CN202698429U (zh) 新型吧凳
KR20120008126A (ko) 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벤치
KR101661352B1 (ko) 캠핑용 다목적 벤치
KR200415324Y1 (ko) 전개형 회의 테이블
KR20200062527A (ko) 조립이 간편한 우드 롤 테이블
KR102350755B1 (ko) 책상용 프레임
JP3240119U (ja) レジャーチェアのフレーム
CN218683115U (zh) 一种组合式休闲椅
KR20200076973A (ko) 분리가능 일체형 책상-책상과 의자를 탈착, 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일체형 책상
KR102358351B1 (ko) 휴대용 조립식 의자
KR102548719B1 (ko) 캠핑용 테이블
KR102589252B1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