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501A -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501A
KR20200037501A KR1020180116780A KR20180116780A KR20200037501A KR 20200037501 A KR20200037501 A KR 20200037501A KR 1020180116780 A KR1020180116780 A KR 1020180116780A KR 20180116780 A KR20180116780 A KR 20180116780A KR 20200037501 A KR20200037501 A KR 2020003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cooking utensil
casting
cooking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608B1 (ko
Inventor
최춘해
Original Assignee
최춘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해 filed Critical 최춘해
Priority to KR102018011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6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요식업소의 주방에 설치 사용되고 있는 3열3구형식의 대형주물연소기버너와 3열3구형식의 중형주물연소기버너 및 3열3구형식의 소형주물연소기버너 등 다수개의 주물버너를 복합구조로 형성한 대형주물연소기 주방용조리대위에 대중소의 조리기구 다수 개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격자형 주물연소기의 상판 구조형성에 있어서,
본원 발명은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를,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위에 간편하게 삽입안착 부가하고, 그 위에 대중소의 조리기구(33a, 22a, 11a)를 각각의 위치에 간편하게 안착시켜, 하부에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30, 20, 10)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46)에 의하여, 상부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에 삽입 안착된 대중소의 조리기구(33a, 22a, 11a) 저면과 측면을 효율적으로 집중가열 할 수 있도록 구조를 형성하였음으로, 열효율 향상기능과 화염보호기능의 구현에 대한 진보성향상이 긍정될 수 있도록 한 "한정적구조형성수단;" 으로서,
본원 발명의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은, 수평적 원형으로 형성되는 철재강선(50) 상부 상측에 일정한 규격의 돌출형("∩")굴곡부분(52) 4개의 형성구조와, 5개의 형성구조와, 6개의 구조형성 등을 각각의 기본구성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기본구성은 대중소의 3단계로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의 구조가 형성되며,
돌출형("∩")굴곡부분(52) 각각의 사이에는 판금 절곡된 유자형("∪")절곡편(54) 상부 주연부분을, 수평적 원형으로 형성된 철재강선(50)의 내부내측에서 외부외측으로 둥글게 감싸는 형태로 압축감압 구성되며, 유자형("∪")절곡편(54)과의 사이에는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 각각의 측면에 삽입 홈(58)이 상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oker stand structure }
본원 발명은 요식업소의 주방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대중소의 복합구조 주물연소기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설치된 격자형 대형주물연소기버너상판위에서, "한정적구조형성수단;"으로 구조적특성을 현실화한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를 아래로 간편하게 삽입안착 시키고, 그 조리기구안치대위에 선택된 조리기구저면을 각각의 삽입위치에 안착시켜,
하부에 복합적으로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고온의 화염에 의하여 저면과 측면을 집중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한 "한정적구조형성수단;"의 구조적특성은,
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이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을 통하여 외부외측으로 확산되지 않고, 상부 상측의 격자구조로 형성된 주물연소기상부면까지 조리기구안착공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다수개의 조리기구 각각의 저면과 측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구조 형성임으로, 상기에서 공감하고 지적되었던 많은 문제점들의 대부분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 분야인 것이다.
수많은 대소 식당의 주방에 공통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대형의 주물연소기상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구성 된,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에 다수개의 크고 작은 조리기구 안착공이 기본구성으로 형성되어있으며,
그 하부에는 상부 상판면의 조리기구안착공 안착위치와 일치되도록 대중소의 주물연소기가 고정 설치되며, 상부 상판의 저면부와 하부에 설치된 주물연소기의 화염분출 공 사이에는 일정한 규격의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형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에 의하여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 유통경로는 상측부와 외부외측부로 분산되며, 상측부로 유통된 고온의 화염은 조리기구의 저면을 직접 가열할 수 있으나, 오부외측으로 분산되는 고온의 화염은 수평적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으로 확산됨으로서 지정된 조리기구의 열효율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조리시간을 단축시키려고 주물연소기버너의 화력을 강하게 하는 방법을 우선하고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청구인도, 상기에서 기술한 구조형성을 오래전부터 면밀히 살펴 봐온바, 동일한 기술 분야의 기술인과 같이 공감하고 지적하는 구조적인문제점으로,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과 일정한 공부분이 형성되도록 한 저면부에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 다수개가 설치되고 다수개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은,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의 조리기구안착공에 안착된 대중소의 조리용기구저면과 하부에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으로 분산되면서, 고온의 화염 일부분만이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의 조리기구안착공으로 상승하면서 조리기구의 저면과 측면을 가열하게 되며,
다른 한편의 고온화염은 대중소의 버너상부 및 외부외측의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퍼져나감으로서, 실효적열효율이 연료공급대비 크게 저하될 분만 아니라 연료과다소모의 비현실성에 의한 연료비증가는 비경제적손실을 유발하게 되며,
비효율성 연료소모에 의하여 주방내부의 온도가 더욱 상승함으로서 쾌적한 조리환경이 악화되고, 각종 인화물 등이 산적해 있음으로서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현실적으로 높게 상존하고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의 상황은 배경 기술의 현황이며 관련기술 분야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의 현실이기도 하다.
본원 발명의 청구인은, "한정적구조형성수단"의 구조적특성을 실현화 한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를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위에 간편하게 삽입 안착시키고, 그 위에 대중소의 조리용기구를 각각 안착시켜 하부에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에 의하여 조리기구저면과 측면을 집중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한 구조적특성을 구현함으로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 각각의 버너구성으로부터 발화한 고온의 화염은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을 통하여 외부외측으로 확산되지 않고,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 상부면 조리기구안착공까지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다수개의 조리용기구 각각의 저면과 측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구조형성임으로,
상기에서 공감하고 지적되었던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의 대부분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한정적구조형성수단;"은 종래의 배경기술 및 기술 분야와의 기술사상이 명확하게 차별화되는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수많은 대소식당의 주방에 공통적으로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는 대형주물연소기버너의 구조를 살펴보면,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에는 대중소의 다수 개 조리기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규격의 기본적 조리기구안착공이 형성되고, 그 하부하층부에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 사이에는 일정한규격의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이 수평적으로 형성되는 구조형성임으로,
본원 발명의 청구인은 상기에 기술한 구조형성을 오래전부터 면밀히 살펴봐온바, 동일한 기술분야의 기술인과 같이 공감하고 지적하는 구조적문제점은,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고온의 화염을 발화시켜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위에 안착된 대중소의 조리용기구 각각을 가열함에 있어서,
고온의 화염일부분은 상부의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면에 형성된 조리기구안착공을 통하여, 안착된 조리기구저면과 측면을 가열하게 되며, 또 다른 한편의 고온화염 일부 또는 다량은 직접적인 가열과 무관하게 외부외측으로 확산됨으로서 실효적 열효율이 연료공급대비 크게 저하될 분만 아니라 연료과다소모에 의한 연료비증가는 비경제적손실을 유발하게 되었으며,
쾌적해야하는 주방내부의 온도가 높게 상승함으로서 쾌적한 조리환경이 악화되고, 각종 인화물 등이 산적해 있음으로서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현실적으로 높게 상존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의 현실은 배경기술의 현황이며 관련기술 분야에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점의 과제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대중소의 주방용주물연소기버너에는 많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고 하겠으나, 상기의 많은 문제점대부분을 획기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기술사상은, 현재의 기술 분야와 배경기술의 공지기술 실현만으로는 미진하다할 것이므로,
본원 발명의 "한정적구조형성수단;" 은 종래의 기술사상과 명확하게 차별화되는 구조형성수단이며, 그 차별화된 구조형성수단에 의한 열효율기능향상과 화염보호기능향상 및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에 대한 진보성이 긍정되는 매우 유용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구현했다.
본원 발명의 청구인은, 상기에 기술한 통상의 주물연소기버너 구조형성을 오래전부터 면밀히 살펴봐온바, 동일한 기술 분야의 기술인과 같이 공감하고 지적하는 구조적문제점은, 고온의 화염이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과 그 하부에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와의 사이에는 높고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은 상부의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에 형성된 조리기구안착공을 통하여 상승하는 부분이 있고, 주물연소기버너주위의 높고 넓은 열확산공간 부분을 통하여 외부외측으로 다량의 고온화염이 확산됨으로서, 관련된 조리기구의 실효적 열효율이 연료공급대비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연료과다소모에 의한 연료비증가는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현상은 화석연료의 98%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귀중한 외화의 낭비로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다 할 것이며, 가스연료의 과다연소에 의한 이산화탄소(CO2)의 대량증가로 대기질의 온난화변화에도 크게 악영향을 미친다 할 것이다.
또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외부외측으로 넓게 확산되는 열에 의하여 주방내부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서 쾌적한 조리환경이 악화되고, 각종 인화물 등이 주방내부에 산적해 있음으로서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현실적으로 높게 상존하는바, 이러한 문제점의 상황은 배경 기술의 현황이며 관련기술 분야에서 해결해야 하는 목적구현의 과제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중소의 주방용주물연소기버너에는 많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할 것임으로, 획기적으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사상은 현재 기술 분야에서 배경 기술의 공지기술 실현만으로는 미진하다할 것이므로,
본원 발명의 주된 목적은, 관련기술 분야에 공지된 배경기술의 기술사상과 차별화되는 구조형성수단으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보다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기술사상의 진보성이 긍정되는 "한정적구조형성수단"을 안출하여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한정적구조형성수단;"은 확산열방지구조의 차별성에 의한 열효율향상기능과 방풍기능구조의 차별성에 의한 화염보호기능을 "조리기구안치대의 기본구조형성"에 일체로 부가형성함에 있어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 상부 격자형주물연소기버너상부 상판위에 대중소의 다수 개 조리용기구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삽입안착 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형성하였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실 수가 있도록 한 구조형성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한정적구조형성수단;"은 하부에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발화되는 고온의 화염이 상부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위에 형성된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착공을 통하여 조리기구안치대위에 안착된 대중소의 조리기구저면과 측면을 집중적이고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기본구조가 구성되어있음으로 음식물조리시례의 수단을 살펴보면,
수단 1. 대형주물연소기(3열3구의 형식)위에 대형조리기구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의 사례,
도면 1, 2, 3을 참작하여 살펴보면,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에 형성된 대형조리기구안착공에 대형조리기구안치대를 간편하게 삽입 안착시키고 그 위에 대형조리기구가 안착되며, 그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대중소의 3열3구 형식 대형주물연소기버너 전부 또는 일부만을 자유롭게 선택 점화시켜 발생된 고온의 화염과 열이 유자("∪")형 절곡편의 굴곡형상에 의하여 상부에 안착된 대형조리기구저면과 측면을 효율적으로 집중 가열하여 조리기구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구조형성이다.
수단 2. 대형주물연소기(3열3구의 형식)위에 중형조리기구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의 사례,
도면 4, 5-1, 5-2, 6을 참작하여 살펴보면,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에 형성된 대형조리기구안착공에 중형조리기구안치대를 간편하게 삽입 안착시키고 그 위에 중형조리기구가 안착되며, 그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대중소의 3열3구 형식 중형주물연소기버너 또는 소형주물연소기버너 일부만을 자유롭게 선택 점화시켜, 발생된 고온의 화염과 열이 유자("∪")형 절곡편의 굴곡형상에 의하여 상부에 안착된 중형조리기구저면과 측면을 효율적으로 집중 가열하여 조리기구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구조형성이다.
수단 3. 대형주물연소기(3열3구의 형식)위에 소형조리기구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의 사례,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에 형성된 대형조리기구안착공에 소형조리기구안치대를 간편하게 삽입 안착시키고 그 위에 소형조리기구가 안착되며, 그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대중소의 3열3구 형식 소형주물연소기버너만을 자유롭게 선택 점화시켜, 발생된 고온의 화염과 열이 유자("∪")형 절곡편의 굴곡형상에 의하여 상부에 안착된 중형조리기구저면과 측면을 효율적으로 집중 가열하여 조리기구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구조형성이다.
상기에서 상술한바와 같이 "한정적구조형성수단;"에 의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에 의한 기술사상은, "열효을향상기능효과와 화염보호기능효과의 진보성이 긍정되는 구조형성으로서 가스연료가 절감되고 연료비가 경감됨으로서 경제적 효과가 발생되는 매우 유용한 구조형성이다.
그러함으로, "열효율향상기능효과와 화염보호기능효과의 진보성이 긍정되는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사상을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수평적 원형으로 형성되는 철재강선 상부 상측에서 대각선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규격(∠30도)의 돌출형("∩")굴곡부분 다수 개를 형성함에 있어서,
돌출형("∩")굴곡부분 4개를 정4각형구도의 대각선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굴곡 형성되며, 이와 같은 구조형성을 기본구성으로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구조가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돌출형("∩")굴곡부분 각각의 사이에는, 유자형("∪")으로 판금 절곡된 절곡편의 상부 주연부분을, 수평적 원형으로 형성된 철재강선의 내부내측에서 외부외측으로 둥글게 철재 강선을 감싸는 형태로 압축감압 구성하여, 유자형("∪")절곡편과의 사이에는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 각각의 측면에 삽입 홈이 상하로 형성되는 기본구조로서,
3열3구형식의 대형주물연소기버너와 2열2구형식의 중형주물연소기버너 및 1열1구형식의 소형주물연소기버너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대형주물연소기 다수개가 설치된 상부의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의 조리기구안착공에, 조리기구 크기에 맞는 "조리기구안치대"를 간편하게 삽입 안착 부가시켜,
하부에 설치된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이 수평적 넓은 열확산공간부분으로 확산되지 않고 유자형("∪")절곡편의 내부 홈을 따라 상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조리기구안치대에 안착된 조리기구저면과 측면이 집중가열 되도록 함으로서, "열효율향상기능효과와 화염보호기능효과의 진보성에 의하여, 대중소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조리를 할 수가 있으면서 가스연료가 절감됨으로 연료비가 경감되는 등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되는 매우 유익한 구조형성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구도의 구조형성과 같이, 돌출형("∩")굴곡부분 5개를 정5각형구도의 대각선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굴곡형성 한 조리기구안치대와, 돌출형("∩")굴곡부분 6개를 정6각형구도의 대각선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굴곡형성 한 조리기구안치대의 경우에도, 사용상의 "열효율향상기능효과와 화염보호기능효과의 진보성이 긍정됨으로 기능효과가 동일한 "한정적구조형성수단;" 의 구조형성이다.
본원 발명은 종래의 기술사상과 차별화되는 "한정적구조형성수단;" 을 구현하여 종래의 기술사상과 차별화를 명확히 하여, 3열3구형식의 대형주물연소기버너위에도 중소형조리용기구를 간편하게 안착시켜 중소형주물연소기버너만으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게 구성하였음으로 ,
조리기구안치대의 유자형("∪")절곡편 내부 홈의 열확산공간부분에 의한 열효율향상기능과 방풍기능구조에 의한 화염보호기능의 진보성향상에 의하여 가스연료가 절감되고 연료비가 경감됨으로서 경제적 효과가 발생되는 매우 유용한 구조형성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조리기구안치대를 격자형상판위에 삽입 안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격자형상판 조리기구안착공의 기본구조형성 사시도.
도 3은 본원 발명을 격자형상판위에 조리기구안치대를 삽입한 평면 사시도.
도 4는 본원 발명의 조리기구안치대 입체형구도의 사시도.
도 5-1은 본원 발명의 조리기구안치대 측면 사시도.
도 5-2는 봉원 발명의 요부 절개 및 구조형성의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격자형상판위에 조리기구안치대를 안착시키고 그 위에 조리기구를 안착시켜 조리할 때 고온의 화염과 열의 가열상태 사사도.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요식업소의 주방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형주물연소기(30) 및 버너구조를 살펴보면,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40)에, 대중소의 조리기구 다수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규격의 조리기구안착공(42)이 형성되어있고, 그 하부에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30, 20, 10) 다수개가 일정한 규격으로 복합구성 설치되어 있는 3열3구 형식, 2열2구 형식, 1열1구 형식의 주물연소기버너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주물연소기버너에는 연료조절발부가 부가된 연료주입파이프를 결합할 수 있도록 기본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1)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의 구조형성은, 대형주물연소기버너 3열3구와 중형주물연소기버너 3열3구와 소형주물연소기버너 3열3구를 포함하여 일체의 단일구조로 3열3구 형식의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가 기본구조로 형성되며, 가스연료 주입배관에 가스조절발부(44)가 각각 일체로 결합 형성된 구조형성이다.
따라서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 : 3열3구의 형식)위에 대형조리기구(33a)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대형조리기구안착공(42)에 대형조리기구(33a)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삽입안착 시키고, 그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대중소형의 3열3구 형식 주물연소기버너(30, 20, 10) 전부 또는 일부만을 자유롭게 점화시켜 대형조리기구(33a)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집중 가열시켜 조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2) 중형주물연소기버너(20)의 구조형성은, 중형주물연소기버너 3열3구와 소형주물연소기버너 3열3구를 일체로 포함하여 3열3구 형식의 중형주물연소기버너(20) 기본구조가 형성되며, 가스연료 주입배관에 가스조절발부(44)가 각각 일체로 결합 형성된 구조형성이다.
따라서 중형주물연소기버너(20 : 3열3구의 형식)위에 중형조리기구(22a)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중형조리기구안착공(42)에 중형조리기구(22a)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삽입안착 시키고, 그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중소형의 3열3구 형식 주물연소기버너(20, 10) 전부 또는 일부만을 자유롭게 점화시켜 중형조리기구(22a)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집중 가열시켜 조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3) 소형주물연소기버너(10)의 구조형성은, 소형주물연소기버너 3열3구 형식의 소형주물연소기버너(10) 기본구조가 형성되며, 가스연료 주입배관에 가스조절발부(44)가 각각 일체로 결합 형성된 구조형성이다.
따라서 소형주물연소기버너(10 : 3열3구의 형식)위에 소형조리기구(11a)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소형조리기구안착공(42)에 소형조리기구(11a)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삽입안착 시키고, 그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소형의 3열3구 형식 주물연소기버너(10)를 자유롭게 점화시켜 소형조리기구(11a)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집중 가열시켜 조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통상의 대중소형 주물연소기버너(3열3구 형식, 2열2구 형식, 1열1구 형식 등)로부터 고온의 화염(46)을 발화시켜,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40)위에 형성된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착공(42)에 대중소의 조리기구(33a, 22a, 11a)를 각각 삽입 안착시켜, 다수개의 대중소형 조리기구를 동시에 가열함에 있어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30, 20, 10) 각각으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46)은 상부로 상승하는 부분이 있고, 또 한편으로는 외부로 퍼져나갈 수 있는 열확산공간부분(48)으로 고온의 화염(46)이 다량으로 확산되는 구조형성임으로, 주물연소기버너의 상부에 형성된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40)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착공(42)을 통한 고온의 화염(46)만이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40)위에 안착된 조리기구의 저면과 측면을 가열하게 되는 구조형태임으로,
실효적 열효율이 연료공급대비 크게 저하될 분만 아니라 연료과다소모에 의한 연료비증가는 비경제적손실을 유발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주방내부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게 됨으로서 쾌적한 조리환경이 악화되고, 각종 인화물 등이 산적해 있는 곳임으로서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현실적으로 높게 상존하고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의 상황들은 요식업계의 배경기술 현황이며 관련기술 분야에서 해결해야하는 문제점의 과제이기도 하다.
그럼으로 복합구조형성의 대형주방용 "주물연소기조리대"에는 많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고 하겠으며, 상기의 많은 문제점대부분을 획기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기술사상은 현재의 기술분야와 배경기술의 공지된 기술사상 만으로는 미진하다할 것이므로,
본원 발명의 "한정적구조형성수단;"은 종래의 기술사상과 명확하게 차별화되는 구조형성수단; 으로, "열효율향상기능효과와 화염보호기능효과의 진보성이 긍정되는 "한정적구조형성수단;"에 의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에 관한 기술사상이며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한정적구조형성수단;"은 수평적 원형으로 형성되는 철재강선(50) 상부 상측에서 대각선의 외측방향으로 일정한각도(∠30도)의 돌출형("∩")굴곡부분(52) 다수 개를 형성함에 있어서,
돌출형("∩")굴곡부분(52) 4개를 정4각형구도의 대각선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굴곡형성되며, 이와 같은 구조형성을 기본구성으로 하여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 기본구조가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돌출형("∩")굴곡부분(52) 각각의 사이에는, 유자형으로 판금 절곡된 유자형("∪")절곡편(54) 상부주연부분(56)을, 수평적 원형으로 형성된 철재강선(50)의 내부내측에서 외부외측으로 둥글게 철재강선(50)을 감싸는 형태로 압축감압 구성되며, 유자형("∪")절곡편(54)과의 사이에는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 각각의 측면에 삽입홈(58)이 상하로 형성되는 기본구조로서,
3열3구형식의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와 2열2구형식의 중형주물연소기버너(20) 및 1열1구형식의 소형주물연소기버너(10) 다수개가 설치된 상부의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40)위에서 아래로, 대중소의 조리기구(33a, 22a, 11a) 크기에 맞는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에 간편하게 삽입안착 부가시켜,
하부에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46)이 수평적 넓은 공간부분(48)으로 확산되지 않고 유자형("∪")절곡편(54) 각각의 홈을 따라 상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 등에 삽입 안착된 대중소의 조리기구(33a, 22a, 11a) 저면과 측면이 집중가열 되도록 함으로서, "열효율향상기능효과와 화염보호기능효과의 진보성이 긍정되며, 대중소의 용량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조리를 할 수가 있음으로 가스연료가 절감되어 연료비가 경감되는 등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되는 매우 유익한 구조형성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구도의 구조형성과 같이, 돌출형("∩")굴곡부분(52) 5개를 정5각형구도의 대각선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굴곡형성 한 조리기구안치대와, 돌출형("∩")굴곡부분(52) 6개를 정6각형구도의 대각선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굴곡형성 한 조리기구안치대의 경우에도, 사용상의 "열효율향상기능효과와 화염보호기능효과의 진보성이 긍정됨으로 기능효과가 동일한 "한정적구조형성수단;" 의 구조형성이다.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위에 설치된 기본구조의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 지정위치에 형성된 조리기구안착공(42)에 대형조리기구(33a)를 안착시키고 다량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를 상술하면,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 하부에 대, 중, 소 주물연소기버너(30, 20, 10)의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는 대중소의 3열3구 형식구조임으로, 많은 열량으로 대용량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대중소의 3열3구 형식구조 주물연소기버너를 전부 또는 일부만을 사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겠으나,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30, 20, 10)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46)이 상부의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면에 형성된 상하로의 관통공을 통하여 대형조리기구(33a)의 저면과 측면을 가열하여 조리를 할 수 있게 한 구조형성이지만,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46) 상당부분이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40)하부의 넓은 열확산공간부분(48)을 통하여 외부로 퍼져나갈 수 있는 구조형성임으로,
가스연료의 소모성대비 실효적열효율은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석유 및 천연가스)의 98%상당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연료비의 증가는 외화의 낭비로 이어져 국가적으로도 비경제적손실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량의 열확산은 주방내부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서 쾌적한 조리환경이 악화되고, 각종 인화물 등이 산적해 있는 구조임으로서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현실적으로 높게 상존하고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의 상황은 배경 기술의 현황이며 관련기술 분야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의 과제이기도 한,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에서 해결해야하는 현실적 과제인 것이다.
현재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사상의 배경 기술만으로는 상기의 많은 문제점대부분을 획기적으로 해소하기에는 미진하다고 할 것이므로,
본원 발명의 "한정적구조형성수단;" 은 종래의 기술사상과 차별화가 명확한 구조형성수단; 으로, 화염확산방지의 기능향상효과와 강약의 바람에도 작은 화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향상효과의 진보성이 긍정되는 구조형성임으로,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위의 선택하는 조리기구안착공(42)에 선택되는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를 자유자재로 편리한 곳에 이동 안착시켜 대중소의 조리기구(33a, 22a, 11a)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하면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구조형성수단이다.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 구조형성은 3열3구 형식구조임으로, 그 위에 중형조리기구(22a)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기본구조의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 지정위치에 형성된 조리기구안착공(42)에 중형조리기구안치대(22)를 간편하게 삽입안착 부가시켜, 연료소모가 많은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는 사용하지 않고 중형주물연소기버너(20)나 소형주물연소기버너(10)만으로도, 중형조리기구(22a)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집중가열 할 수 있게 구조를 형성하였음으로,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의 대형 조리기구안착공(42)에 중형조리기구안치대(22)를 삽입 안착시키고 그 위에 중형조리기구(22a)를 안착시켜 중형주물연소기버너(20) 또는 소형주물연소기버너(10)만으로도, 고온의 열과 화염(46)의 상당부분이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하부의 넓은 열확산공간부분(48) 통하여 외부로 퍼져나가지 않고, 중형조리기구안치대(22) 내부로 모아져 상부에 안치된 조리기구의 저면과 측면을 효율적으로 집중가열하게 됨으로서, 중형조리기구(22a) 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조리를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중형조리기구안치대(22)의 구조형성이다.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 구조형성은 3열3구 형식구조임으로, 그 위에 소형조리기구(11a)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기본구조의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 지정위치에 형성된 조리기구안착공(42)에 소형조리기구안치대(22)를 간편하게 삽입안착 부가시켜, 연료소모가 많은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 또는 중형주물연소기버너(20)를 사용하지 않고 소형주물연소기버너(10)만으로도, 소형조리기구(11a)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집중가열 할 수 있게 구조를 형성하였음으로,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의 대형 조리기구안착공(42)에 소형조리기구안치대(11)를 삽입 안착시키고 그 위에 소형조리기구(11a)를 안착시키고 하부에 설치된 대형주물연소기버너(30)와 중형주물연소기버너(20)를 사용하지 않고,
소형주물연소기버너(10)만으로도 고온의 열과 화염(46)의 상당부분이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하부의 넓은 열확산공간부분(48) 통하여 외부로 퍼져나가지 않고, 소형조리기구안치대(11) 내부로 모아져 상부에 안치된 소형조리기구(11a)의 저면과 측면을 효율적으로 집중가열하게 됨으로서, 소형조리기구(11a) 내부의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소형조리기구안치대(11)의 "한정적구조형성수단;" 이다.
따라서, 본원발명 "한정적구조형성수단;" 의 대중소형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의 구조형성과 기술사상은, 종래의 기술사상과 차별화가 명확한 구조형성수단; 으로 화염확산방지의 기능향상효과와 강약의 바람에도 작은 화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향상효과의 진보성이 긍정되는 구조형성임으로,
화석연료(석유 및 천연가스)의 98%상당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현실을 고려해 볼 때, 가스연료의 절감효과에 따른 연료비의 절감과, 화석연료의 수입에 의한 외화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크다 할 것임으로 국가적으로도 매우 유용한 기술사상의 발명인 것이다.
10 소형주물연소기(1열1구 버너) 11 소형조리기구안치대
11a 소형조리기구 20 중형주물연소기(2열2구 버너)
22 중형조리기구안치대 22a 중형조리기구
30 대형주물연소기(3열3구 버너) 33 대형조리기구안치대
33a 대형조리기구 40 격자형 주물연소기 상판
42 조리기구안착공 44 가스조절발부
46 고온의 화염 48 열확산공간부분
50 철재강선 52 돌출형굴곡부분
54 유자형("∪")절곡편 58 삽입홈

Claims (5)

  1. 3열3구형식의 주물버너와 2열2구형식의 주물버너 및 1열1구형식의 주물버너 대중소를 병합 구성하고, 그 위에 대중소의 조리구조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격자형 주물연소기상판의 구조형성에 있어서,
    수평적 원형으로 형성되는 철재강선(50) 상부 상측에 일정규격의 돌출형("∩")굴곡부분(52) 다수개를 대각선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하고, 돌출형("∩")굴곡부분(52) 각각의 사이에는 판금 절곡된 유자형("∪")절곡편(54)의 상부 주연부분을, 철재강선(50)의 내부내측에서 외부 외측으로 둥글게 감싸는 형태로 압축 감압하여 대, 중, 소(33, 22, 11)의 조리기구안치대를 3단계로 구성하여,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의 조리기구안착공(42) 위에서 아래로 간편하게 삽입안착 될 수 있도록 상하로 삽입 홈(58)이 형성되고, 그 위에 대중소의 조리기구(33a, 22a, 11a)를 각각 간편하게 안착시켜, 하부에 설치된 대중소의 주물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46)이 유자형("∪")절곡편(54)의 내측부절곡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화염확산방지기능에 의한 열효율향상기능과 방풍기능에 의한 화염보호기능의 구현에 대한 진보성향상이 긍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철재강선(50) 상부 상측에 일정규격의 돌출형("∩")굴곡부분(52) 다수 개를 대각선방향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조리기구의 저면이 조리기구안치대에서 전후좌우로 이탈되지 않게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돌출형("∩")굴곡부분(52) 각각의 사이에 판금 절곡된 유자형("∪")절곡편(54)의 상부주연부분(56)을 철재강선(50)의 내부내측에서 외부외측으로 둥글게 감싸는 형태로 압축감압 구성함으로서, 유자형("∪")절곡편(54)과의 사이에는 대중소의 조리기구안치대(33, 22, 11) 각각의 측면에 삽입 홈(58)이 상하로 형성되며, 대중소의 주물연소기버너로부터 발화된 고온의 화염(46)과 열기는 열확산공간부분(48)으로 확산되지 않고 유자형("∪")절곡편(54)의 내측부절곡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조리기구의 저면과 측면을 집중가열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의 대형조리기구안착공(42)에도 중형조리기구안치대(22) 및 소형조리기구안치대(11)를 간편하게 삽입안착 시키고 그 위에 중소형조리기구(22a, 11a)를 안착시켜 그 하부에 설치된 중소형주물연소기버너(20, 10)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격자형주물연소기상판(40)의 조리기구안착공(42)에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철재강선(50)의 돌출형 굴곡부분(52)을 4개, 5개, 6개 등 다수개로 돌출 형성시켜 조리기구안치대의 구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KR1020180116780A 2018-10-01 2018-10-01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KR10219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80A KR102190608B1 (ko) 2018-10-01 2018-10-01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80A KR102190608B1 (ko) 2018-10-01 2018-10-01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01A true KR20200037501A (ko) 2020-04-09
KR102190608B1 KR102190608B1 (ko) 2020-12-14

Family

ID=7027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80A KR102190608B1 (ko) 2018-10-01 2018-10-01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6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525A (ja) * 1985-08-30 1987-03-10 Sumitomo Metal Ind Ltd 鋼−合成樹脂−鋼積層材料の曲げ加工方法
KR100768761B1 (ko) * 2007-07-26 2007-10-19 주식회사3차버너 업소용 조리용기 받침대
KR20150055708A (ko) * 2013-11-14 2015-05-22 최춘해 주방용조리기구의 가스연료절감장치.
KR20160097646A (ko) * 2015-02-09 2016-08-18 이종행 가스렌지용 바람막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525A (ja) * 1985-08-30 1987-03-10 Sumitomo Metal Ind Ltd 鋼−合成樹脂−鋼積層材料の曲げ加工方法
KR100768761B1 (ko) * 2007-07-26 2007-10-19 주식회사3차버너 업소용 조리용기 받침대
KR20150055708A (ko) * 2013-11-14 2015-05-22 최춘해 주방용조리기구의 가스연료절감장치.
KR20160097646A (ko) * 2015-02-09 2016-08-18 이종행 가스렌지용 바람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608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61379A1 (en) Cooking grill
CA2740574C (en) Parallel tube burner with improved cooling and reduced size
CN204806398U (zh) 烧烤灶头
US4905664A (en) Combination grill and deep fryer
CN105783050A (zh) 一种燃气灶支架
KR20200037501A (ko) 조리기구안치대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KR101045832B1 (ko) 가스버너용 조리대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온수가열장치
KR101140197B1 (ko) 가스버너용 조리대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보조 조리장치
CN106765365A (zh) 一种圆底锅平底锅两用支架及使用该支架的燃气灶台
EP2791586A1 (en) Flame gas burner diffuser for cooking equipments
WO20170629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rning a lean, pre-mixed flame
GB2182131A (en) Burners for gas fires and/or convectors
KR101265061B1 (ko) 간텍기 그릴
CN211925833U (zh) 一种二次燃烧净化燃气灶
CN205606648U (zh) 一种节能六头煲仔炉
CN211952834U (zh) 一种多用途节能柴炉
US10054310B2 (en) Fast-heating outdoor gas burner apparatus and method
CN214307220U (zh) 多功能天然气炉
CN207407400U (zh) 灶具聚能炉架
CN210740492U (zh) 一种离焰式高热负荷集成灶
KR20220142236A (ko) 조립식 화롯대 키트
CN2676054Y (zh) 环状红外线加热器
CN206786715U (zh) 一种能使火焰更均匀的燃烧器
JP3103633U (ja) 環状赤外線ガスコンロ
CN202253783U (zh) 多功能插板式便携户外烹调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