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336A - 식물의 생산 방법, 및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의 생산 방법, 및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336A
KR20200037336A KR1020207006083A KR20207006083A KR20200037336A KR 20200037336 A KR20200037336 A KR 20200037336A KR 1020207006083 A KR1020207006083 A KR 1020207006083A KR 20207006083 A KR20207006083 A KR 20207006083A KR 20200037336 A KR20200037336 A KR 20200037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ions
mass
culture medium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와카타
사오리 마츠야마
다카후미 호소카와
요시히로 아부라야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3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3Solu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오일퀸산 화합물의 함유율이 높은 식물을 얻기 위한, 식물의 생산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또,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의 제공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의 생산 방법은, 고구마 이외의 괴경류, 메꽃과 식물, 및 국화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을 생장시키는 공정과, 생장시킨 식물을,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양액 재배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식물의 생산 방법, 및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식물의 생산 방법, 및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물 유래의 폴리페놀 화합물의 다양한 생리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식물이 함유하는 이들 폴리페놀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는 식물의 생산 방법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고구마 이외의 괴경류, 메꽃과 식물, 및 국화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장(生長)한 폴리페놀 화합물 함유 식물체의 근부를 제거하는 근부 제거 공정과, 근부를 제거한 식물체를, 물의 존재하, 20℃~40℃에서, 24시간 이상 보존하는 보존 공정을 포함하는, 근부 제거 공정에 제공하는 식물체보다 폴리페놀 화합물량이 증가한 폴리페놀 화합물 함유 식물체의 생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106621호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폴리페놀 화합물 함유 식물체의 생산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바, 얻어지는 식물에 있어서의 카페오일퀸산 화합물의 함유율에 추가적인 향상의 여지가 있는 것을 명확하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페오일퀸산 화합물의 함유율이 높은 식물을 얻기 위한, 식물의 생산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의 제공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1] 고구마 이외의 괴경류, 메꽃과 식물, 및 국화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을 생장시키는 공정과, 생장시킨 식물을,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양액 재배하는 공정을 갖는 식물의 생산 방법.
[2] 배양액이, B, Mn, Zn, Cu,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식물의 생산 방법.
[3] 배양액이, 1종의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금속 이온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ppm 이하이며, 배양액이, 2종 이상의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금속 이온의 각각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ppm 이하인, [2]에 기재된 식물의 생산 방법.
[4] 배양액이, Mn 이온을 함유하고, Mn 이온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질량ppb를 초과하고 1.0질량ppm 이하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물의 생산 방법.
[5] 배양액이, K+, Mg2+, Ca2+, SO4 2-, 및 C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온을 함유하고, 배양액이, 상기 이온을 1종 함유하는 경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이온의 함유율이 1.0질량ppm 이상이며, 배양액이, 상기 이온을 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이온의 각각의 함유율이, 1.0질량ppm 이상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물의 생산 방법.
[6] 배양액이, 1종의 상기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이온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300질량ppm이며, 배양액이, 2종 이상의 상기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이온의 각각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300질량ppm인, [5]에 기재된 식물의 생산 방법.
[7] 배양액이, B, Mn, Zn, Cu,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금속 이온과, K+, Mg2+, Ca2+, SO4 2-, 및 C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온을 함유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물의 생산 방법.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의 근부를 제거하여 엽경부(葉莖部)를 얻고, 엽경부를, 수분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얻는,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9] 건조 시의 온도가 20~35℃이며, 상대 습도가 30~95%인, [8]에 기재된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카페오일퀸산 화합물의 함유율이 높은 식물을 얻기 위한, 식물의 생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도 제공할 수 있다. 카페오일퀸산 화합물의 함유율은, 단위 질량(건물중(乾物重))의 식물에 포함되는 카페오일퀸산 화합물의 질량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식물의 생산 방법]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은, 고구마 이외의 괴경류, 메꽃과 식물, 및 국화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을 생장시키는 공정(이하, "공정 1"이라고도 함)과, 생장시킨 식물을,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양액 재배하는 공정(이하, "공정 2"라고도 함)을 갖는 식물의 생산 방법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식물은, 카페오일퀸산 화합물(이하, "CQA"라고도 함)의 함유율이 높다.
CQA는 커피류, 보리 새잎, 및 고구마류 등에 함유되는 것이 알려져, 그 생리 기능으로부터 기능성 식품으로의 응용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식물 중에 있어서의 CQA(그 중에서도 특히 생리 활성이 높은, 트라이카페오일퀸산(TCQA))은 그 함유율이 낮아, 이용상의 과제가 되어 있었다.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CQA(특히 TCQA) 함유율이 높은 식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로써 얻어지는 식물에 의하면, 식경험으로 증명된 안전성, 및 소비자가 갖는 안심감의 점에서,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등으로의 응용이 용이해진다.
〔공정 1〕
공정 1은, 고구마 이외의 괴경류, 메꽃과 식물, 및 국화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을 생장시키는 공정이다.
고구마 이외의 괴경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감자, 카사바, 타로 토란, 토란, 및 얌 고구마 등을 들 수 있다.
메꽃과 식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고구마, 메꽃, 나팔꽃, 박, 옹체, 스타펠리아, 새삼, 에볼블루스, 및 공심채 등을 들 수 있다.
국화과 식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돼지감자, 톱풀, 우엉, 쑥, 애스터, 바카리스, 데이지, 금잔화, 과꽃, 잇꽃, 수레국화, 네모필라, 쑥갓, 마가렛, 갯국화, 치코리, 콜레오스테푸스 미코니스, 고려엉겅퀴, 실망초, 노랑코스모스, 민들레, 달리아, 자주루드베키아, 개망초, 등골나물, 털머위, 거베라, 떡쑥, 도망국, 해바라기, 쑥부쟁이, 양상추, 솜나물, 카밀레, 시네라리아, 머위, 야콘, 메역취, 방가지똥, 울시니아, 백일초, 및 아티초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식물로서는, 메꽃과 식물 및 국화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이 바람직하고, 메꽃과 식물이 보다 바람직하며, 고구마가 더 바람직하다.
고구마로서는, 예를 들면 베니아즈마, 베니하루카, 베니코마치, 베니아카, 나루토킨도키, 시로유타카, 시로사츠마, 코가네센간, 무라사키마사리, 아야무라사키, 스이오, 시몬이모, 및 타마아카네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고계(高系) 14호에 유래하는 그 외의 품종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아직 품종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계통의 고구마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을 생장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식물의 종류에 따른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을 생장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토경 재배, 또는 양액 재배를 들 수 있다.
양액 재배로서는, 고형 배지경 재배, 분무경 재배, 또는 수경 재배를 들 수 있다.
식물을 생장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면 감자: "농가가 가르치는 감자·고구마 만들기", 별책 현대 농업, 노분교, 2013년 10월호, pp92-96; 고구마: 동일 잡지, pp152-175; 아티초크: 채소를 능숙하게 기르는 방법 대사전(2014), 감수 호죠 마사아키, 세비도 슛판, pp8-9; 쑥갓: 동일 잡지, pp34-35; 양상추: 동일 잡지, pp80-81; 우엉: 동일 잡지, pp168-169; 토란: 동일 잡지, pp170-171; 야콘: 동일 잡지, pp186-187; 공심채: 동일 잡지, pp212-213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식물이 보다 크게 생장하여, 결과적으로 CQA의 수량(收量)(식물의 단위 개당에 포함되는 CQA의 질량을 나타내고, 단위는 mg/개임)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는 관점에서, 식물의 생장에 있어서는, 물 및 비료의 존재하, 충분한 광조사 하에서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식물로서 고구마를 사용하는 경우, CQA는 그 잎에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잎의 1장당의 크기를 보다 크고, 또 식물 1개당의 잎의 장수를 보다 많게 하는 공지의 조건하에서 육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장"이란, 식물이 충분히 커진 상태,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고구마의 경우에는, 고구마의 지상부(地上部)가 4엽(4절) 이상 전개한 상태, 또는 지상부가 20cm 이상으로 신장한 상태를 의미한다. 쑥 및 쑥갓의 경우에는, 지상부가 10cm 이상으로 생육한 상태를 의미한다. 아티초크 및 양상추의 경우에는, 본엽이 4매~5매 이상 나온 상태를 의미한다. 우엉의 경우에는, 본엽이 3매~4매 이상 나온 상태를 의미한다. 토란의 경우에는, 본엽이 3매 이상 나온 상태를 의미한다. 감자의 경우에는, 지상부가 10cm 이상으로 생육한 상태를 의미한다. 야콘의 경우에는, 지상부가 10cm 이상으로 생육한 상태를 의미한다. 공심채의 경우에는, 지상부가 10cm 이상으로 생육한 상태를 의미한다.
공정 1에 있어서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식물마다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조정하는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온도, 습도, 광(태양광이어도 되고, 인공광이어도 됨), CO2(공기 중의 CO2를 그대로 이용해도 되고, 거기로부터 분위기 중의 CO2 함유율을 더 증가시켜도 됨), 물(토양으로의 살수여도 되고, 양액 재배여도 됨), 및 필요에 따른 영양분 (질소, 인산, 칼리 등을 사용 가능하고, 또한 시판의 비료도 사용할 수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의 생장에는, 이와 같은 조건을 적절히 조합하여 조정하면 된다.
또한, 광원으로서 인공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형광등, 및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중에서도 특히 식물 재배용, 또는 식물 육성용 등의 용도로 시판되고 있는 것이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최근의 식물 공장에서는 광열비의 삭감, 및 광원 장수명화 등의 관점에서, LED 조명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의 광원으로서는 특별히 백색광일 필요는 없고, 목적에 따라 R(Red)광과 B(Blue)광의 조합의 이용예도 많다. 또한 이들에 G(Green)광 또는 근적외광을 필요에 따라 더한 것도 이용할 수 있다.
공정 1에 있어서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조건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긴 낮 시간으로서는, 6~24시간이 바람직하고, 8~16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분위기 온도로서는, 10~40℃가 바람직하고, 15~3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습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식물을 생장시키는 온도에 있어서, 30~100%가 바람직하다. 분위기 중의 CO2의 함유율로서는, 400~2000질량ppm가 바람직하고, 1000~1500질량ppm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합성 광양자속 밀도로서는, 50~500μmol/m2/sec가 바람직하고, 80~450μmol/m2/sec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조건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공정 1의 기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미 설명한 "생장한" 상태에 식물이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이면 된다. 전형적으로는, 7~60일 정도가 되는 경우가 많고, 예를 들면 고구마의 모종을 생장시킨 경우, 공정 1로서는, 10~40일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CQA는, 엽경부, 특히 잎에 있어서 그 함유량이 많다. 따라서, 공정 1에서는, 식물을 생장시킴으로써, 충분한 양의 잎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잎의 수량으로서는, 생장시킨 식물로부터 뿌리와 줄기를 제거한 다음, 남은 잎을 건조 처리하여, 얻어진 건조잎의 수량의 식물 1개당의 평균값(g/개)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즉, 식물 1개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잎의 건물중의 합계(g/개)로서 나타낼 수 있다. 잎의 수량도 식물의 종류, 재배 조건, 및 재배 기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고구마의 수경 재배의 경우이면, 1g/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2g/개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g/개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공정 2〕
공정 2는, 생장시킨 식물을,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양액 재배하는 공정이다. 즉, 공정 1에서 생육시킨 식물을 계속하여 재배하는 공정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양액 재배란, 토양을 이용하지 않고,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식물에 공급하는 재배 방법을 의미하고, 고형 배지를 이용하는 고형 배지경, 그리고, 고형 배지를 이용하지 않는 수경 및 분무경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식물에 주는 양분을 보다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수경이 바람직하다. 공정 2에 있어서의 양액 재배는, 배양액으로서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을 이용한 것이면, 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중 수경에 의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공정 2로서는 이하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정 2에서 사용하는 배양액은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란, 이온 크로마토 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경우에,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의 함유율의 모두가, 10질량ppm 미만인 것을 의미하고, 5.0질량ppm 미만이 바람직하며, 1.0질량ppm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양액 재배(전형적으로는 수경 재배)에 있어서 사용되는 배양액(이른바 액체 비료)에는, 질산 이온이 100~1000질량ppm 정도, 인산 이온이 30~200질량ppm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이 많다. 즉,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배양액은, 일반적인 상기 액체 비료와 비교하여,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의 함유율이 1/10~1/1000 정도이다.
공정 2에 있어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의 공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하여, 식물 중에서, CQA의 산생(産生)(그 중에서, 특히 TCQA의 산생)이 촉진된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배양액의 용매로서는 통상, 물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배양액 중의 물의 함유율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9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9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액으로서는, 순수, 증류수, 및 수돗물을 필요에 따라 성분 조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돗물이란, 일반적인 수돗물질 기준을 충족시키는 수돗물(예를 들면, Mn 이온의 함유율이 수돗물의 전체 질량 중 50질량ppb 이하임)을 의미한다.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배양액은, B, Mn, Zn, Cu,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금속 이온(이하 "제1 이온"이라고 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배양액은, 제1 이온으로서 B, Mn, Zn, Cu, 및 Mo의 각각의 이온을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배양액 중에 있어서의 제1 이온의 함유율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배양액 중에 1종의 제1 이온이 함유되는 경우, 제1 이온의 함유율로서는,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양액 중에 2종 이상의 제1 이온이 함유되는 경우, 제1 이온의 각각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양액이 있는 제1 이온을 함유하는 상태란, 배양액이, 그 제1 이온을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0질량ppb 이상 함유하는 것을 나타내고, 50질량ppb 이상이 바람직하며, 50질량ppb를 초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양액이 적어도 1종(또는 2종 이상)의 제1 이온을 함유하고, 그(또는 각각의) 함유율이 1.0질량ppm 이하이면, 얻어지는 식물 중에 있어서의 CQA(특히 TCQA)의 함유량이 보다 많아진다.
배양액은, 제1 이온 중, 적어도 Mn 이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Mn 이온의 함유율은,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질량ppb를 초과, 1.0질량ppm 이하가 바람직하다. 배양액 중의 Mn 이온의 함유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배양액은, K+, Mg2+, Ca2+, SO4 2-, 및 C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온(이하 "제2 이온"이라고도 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종 이상의 제2 이온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더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배양액은, 제2 이온으로서 K+, Mg2+, Ca2+, SO4 2-, 및 Cl-의 각각의 이온을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배양액 중에 있어서의 제2 이온의 함유율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배양액 중에 1종의 제2 이온이 함유되는 경우, 제2 이온의 함유율로서는, 0.1질량ppm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pp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0질량ppm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500질량ppm 이하가 바람직하며, 300질량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질량ppm 이하가 더 바람직하며, 150질량pp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배양액 중에 2종 이상의 제2 이온이 함유되는 경우, 적어도 1종의 함유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제2 이온의 함유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양액 중에 있어서의 적어도 1종의 제2 이온의 함유율이, 1.0~300질량ppm이면,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고, 배양액 중에 있어서의 모든 제2 이온의 함유율이 1.0~300질량ppm이면, 더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양액이 있는 제2 이온을 함유하는 상태란,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했을 때, 그 함유율이 정량 하한값 이상(예를 들면, Mg2+이면 0.1질량ppm 이상)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배양액은, K+, Mg2+, Ca2+, SO4 2-, 및 Cl-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한 함유율은, K+가, 5.0질량ppm 이상이 바람직하며, Mg2+가, 5.0질량ppm 이상이 바람직하고, Ca2+가, 15질량ppm 이상이 바람직하며, SO4 2-가, 10질량ppm 이상이 바람직하고, Cl-가, 5.0질량ppm 이상이 바람직하다.
배양액은, 제1 이온을 1종 이상과, 제2 이온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이온의 전부와, 제2 이온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제1 이온의 전부와 제2 이온 전부를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제1 이온, 및 각각의 제2 이온의 배양액 중에 있어서의 함유량으로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배양액을 조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순수, 증류수, 및 수돗물 등을 정제하고 그 후, 예를 들면 제1 이온 및 제2 이온의 함유율이 상기의 범위가 되도록 이온원이 되는 성분을 첨가하는 등 하여 제작할 수 있다.
수돗물을 이용하여 배양액을 조제하는 경우, 수돗물 중에 포함되는 이온을 배양액의 성분으로서 이용하여 배양액을 조제해도 되고, 이온을 일단 제거하고 나서, 재차 동일한 성분을 첨가하여 원하는 배양액을 조제해도 된다.
공정 2의 양액 재배는,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토경 재배에 의하여 공정 1을 실시한 경우에는, 생장한 식물을 양액 재배용의 장치에 이식하고, 상기의 소정의 배양액을 공급하면 된다. 또, 양액 재배에 의하여 공정 1을 실시한 경우에는, 공정 1에서 사용하고 있던 물 및 비료 대신에 상기 배양액을 식물에 공급하면 된다.
공정 2에 있어서의 그 외의 조건(공기 중의 CO2 함유율, 일조, 긴 낮, 온도, 및 습도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정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면 된다. 특히 긴 낮에 대해서는, 17시간 미만이 바람직하고 15시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생산 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2에 있어서의 긴 낮을 17시간 미만으로 한 경우에, CQA의 함유율이 높은 식물을 보다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공정 2의 기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식물 중에 있어서보다 많은 CQA가 산생되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5일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7일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일간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보다 고효율로 CQA를 회수할 수 있는 점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30일간 이하가 바람직하고, 25일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1 및 공정 2를 갖는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면, CQA(특히, TCQA)의 함유량이 많은 식물이 얻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CQA란, 카페오일퀸산 화합물을 의미하고, 카페오일퀸산 화합물로서는, 모노카페오일퀸산(3-O-카페오일퀸산, 4-O-카페오일퀸산, 5-O-카페오일퀸산, 및 1-O-카페오일퀸산), 다이카페오일퀸산(3,4-O-다이카페오일퀸산, 3,5-O-다이카페오일퀸산, 4,5-O-다이카페오일퀸산, 1,3-O-다이카페오일퀸산, 1,4-O-다이카페오일퀸산, 및 1,5-O-다이카페오일퀸산), 트라이카페오일퀸산(3,4,5-O-트라이카페오일퀸산, 1,4,5-O-트라이카페오일퀸산, 1,3,5-O-트라이카페오일퀸산, 및 1,3,4-O-트라이카페오일퀸산), 그리고, 테트라카페오일퀸산(1,3,4,5-O-테트라카페오일퀸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면, CQA의 함유율이 높은 식물이 얻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트라이카페오일퀸산(TCQA)의 함유율이 높은 식물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TCQA는 CQA 중에서도 특히 강한 생리 활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TCQA를 함유하는 식물은 한정되어 있으며, 또 그 식물 중에 있어서의 함유율은 매우 적다. 한편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면, TCQA의 함유율이 많은 식물을 얻을 수 있어, 유용하다.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은, 단위 질량당의 CQA의 함유율이 높고, 또 단위 개당의 CQA의 수량도 많다. 따라서, 상기 식물로부터는, 많은 CQA(특히 TCQA)를 회수할 수 있다. 회수된 CQA는, 예를 들면 식품 등에 첨가하면, 생리 기능을 갖는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은 식물로부터 CQA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식물로부터 CQA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 또는 식물의 건조물을 그 자체로, 또는 분쇄하고 나서, 물, 유기 용제 또는 이들 혼합물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것 등에 의하여, 추출액을 얻고, 이 추출액을, 목적에 따라, 농축, 건고(乾固), 또는 정제하면 된다.
이 경우, 식물의 CQA의 함유율이 높을수록, 1회의 추출 조작으로 얻어지는 CQA의 양이 많아져, 단위량의 CQA의 회수에 필요한 비용이 보다 적어진다. 예를 들면, 식물의 CQA 함유율이 0.01질량% 정도인 경우와, 식물의 CQA 함유율이 0.1질량% 정도인 경우는, 동일한 생산 설비로 1회에 얻어지는 CQA의 양은 이론적으로 약 10배가 된다. 동일한 생산 설비이면 1회의 가동 경비는 거의 동등하다. 따라서, 식물에 있어서의 CQA 함유량이 많으면, 보다 낮은 비용으로, CQA를 회수할 수 있다.
또,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 특히 그 잎은, CQA(특히 TCQA)의 함유율이 높기 때문에, 그대로, 또는 다른 재료와 혼합하는 등 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은, 건조시켜 이용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건조시킴으로써 식물 중의 성분이 농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시킨 식물로부터, CQA를 추출하여 사용해도 된다. CQA의 추출 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QA의 식물 중에 있어서의 함유율은, 건물중에 대하여 0.1~2.0질량% 정도인 것이 많다. 한편, 상기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식물의 CQA 함유율은, 식물의 전체 질량(건물중)에 대하여, 4.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8.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 TCQA이면, 그 함유율은, 식물의 전체 질량(건물중)에 대하여,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6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 다이카페오일퀸산 화합물(DCQA)이면, 그 함유율은, 식물의 전체 질량(건물중)에 대하여, 2.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은, CQA의 함유율이 높다. 그 함유율은, 예를 들면 고구마이면, 통상의 방법으로 생산된 고구마와 비교하여, DCQA는 1.2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5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배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TCQA는 5.0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0배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CQA는, 1.5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2.0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5배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상기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의 근부를 제거하여 엽경부를 얻고, 상기 엽경부를, 수분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얻는,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물 가공품"이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식물로부터, 그 근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식물의 근부와 엽경부를 분리하여, 엽경부를 얻으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엽경부란, 식물의 엽부와 경부를 합친 것을 의미하고, 토경 재배에 의하여 생육한 식물에 있어서는, 지상부와 동의이다.
엽경부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칼 등으로 근부를 절단하거나, 근부를 손으로 꺾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칼 등으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 위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절단 위치를 줄기의 도중으로 하는 경우, 예리한 전정(剪定) 가위, 전정 나이프, 낫, 이발기, 및 체인소 등의 칼을 이용하여, 줄기에 대하여 직교 또는 줄기에 대하여 경사 각도를 갖고 절단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경사 각도를 갖고 줄기를 절단하는 경우, 그 경사 각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식물 가공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근부 제거 후에, 엽경부로부터, 새롭게 뿌리가 발생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한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 공정)
상기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은, 수분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엽경부를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갖는다. 수분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엽경부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양액 재배 등의 장치로부터 취출하고, 온도 및 습도가 관리된 공간에서 건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분을 공급하지 않는다"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배양액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건조 시의 온도, 및 습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식물 가공품이 얻어지는 점에서, 건조 시의 온도는, 20~35℃가 바람직하고, 25~3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대 습도는, 30~95%가 바람직하고, 50~90%가 보다 바람직하다.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CQA의 함유율이 보다 높은 식물 가공품이 얻어진다.
또, 건조 공정의 일수로서는, 3~16일이 바람직하고, 3~15일이 보다 바람직하며, 4~12일이 더 바람직하고, 5~10일이 특히 바람직하다.
건조 시의 온도가 20℃ 이상이면, 식물 중에 있어서의 CQA의 산생 반응의 진행이 보다 빨라져,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식물 가공품이 얻어진다. 한편, 건조 시의 온도가 35℃ 이하이면, 식물 중의 CQA 분해 효소의 활성이 보다 낮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정제한 CQA가 보다 분해되기 어렵고, CQA의 함유율이 보다 높은 식물 가공품이 얻어진다.
건조 시의 습도가 30% 이상이면, CQA의 산생과 식물의 건조가 보다 균형있게 진행되기 쉽다. 또, 건조 시의 습도가 95% 이하이면, 식물에 대한 건조 스트레스가 보다 커지기 쉽고, 식물 중에 있어서의 CQA의 산생이 보다 촉진되어 결과적으로, CQA의 함유율이 보다 높은 식물 가공품이 얻어진다.
또한, 건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수증기를 함유하는 공간에 엽경부를 방치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엽경부에 광조사해도 된다. 엽경부에 광조사하기 위한 광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태양광, 형광등, 제논 램프, 수은 램프, 할로젠 램프, 및 LED 등을 들 수 있다.
1일당 광조사 시간은, 5~24시간이 바람직하고, 8~16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시간~14시간이 더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및 처리 절차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비교예 1, 실시예 1]
제2 공정을 갖는 식물의 생산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고구마의 모종을 이하의 재배 조건하 생장시켰다. 즉, 수경 재배기(홈하이포니카 601 교와 주식회사제)에, 순수 10L, 액체 비료(하이포니카 액비 교와 가가쿠 주식회사제)의 A액 8ml, 동B액 8ml를 넣고, 고구마의 모종 6주를 심었다. 이 때의 모종의 평균 질량은 2.0g/개(신선중(新鮮重))였다. 재배는, 30℃, 및 습도 50%의 조건하, 분위기 중의 CO2의 함유율은 통상의 대기하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했다. 즉, CO2를 추가 공급하지 않았다. 조명용의 광원은 LED(쇼와 덴코제 DPT" RB120Q33 40형)를 사용하고, 광합성 광양자속 밀도 300μmol/m2/sec(R광/B광의 비는 2/1)로 하여, 타이머를 이용하여 점등 12시간, 소등 12시간의 사이클로 14일간 재배했다. 제1 공정 종료 시점에서의 식물(고구마)의 평균 질량은 28.0g/개(신선중)였다. 또한, 이 재배 방법에 대하여, 표 1에는, "수경, 30℃, 50%, LED300μmol"로 기재했다.
제1 공정 종료 시의 고구마의 잎의 D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73질량%, TCQA는 포함되지 않고,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3.60질량%, 고구마 1개당, 잎의 평균 수량은 1.26g/개(건물중)로 낮았다. 결과는 표 1의 비교예 1에 나타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순수 10L를 넣어,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4일간 계속했다.
제2 공정 종료 시의 고구마의 평균 질량은 31.8g/개(신선중)였다. 회수한 고구마 1개당, 잎의 평균 수량은 1.35g/개(건물중)였다. 고구마의 잎의 D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3.87질량%, T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25질량%,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6.03질량%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크게 향상했다. 결과는 표 1의 실시예 1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의 재배 방법을 표 1에는, "30℃, 50%, LED300μmol"로 기재했다.
시험예 1의 결과로부터, 제2 공정을 갖는 실시예 1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 제2 공정을 갖지 않는, 비교예 1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비교예 2, 실시예 2~7]
제2 공정에서 사용하는 배양액의 성분의 차이가, 본 발명의 효과에게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시험예 1의 제1 공정과 동일한 재배 조건으로 고구마 모종을 생장시켰다. 또한, 시험예 2는, 시험예 1과는 실시한 일시가 다르다.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잎 중의 D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47질량%, T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01질량%,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3.15질량%, 잎의 수량은 1.60g/개(건물중)로 낮았다. 결과는 표 1의 비교예 2에 나타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표 1의 배양액란에 기재한 배양액을 넣어, 시험예 1의 제2 공정과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4일간 계속했다(실시예 4에 대해서는 13일간 계속했다).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잎 중의 TCQA 함유율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의 실시예 2~7에 나타냈다.
또한, 각 배양액은, 수돗물을 원수(原水)로서 이용하고,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순수를 제조하며, 상기 순수에, Na2B4O5(OH)4·8H2O, MnCl2·4H2O, ZnSO4·7H2O, CuSO4·5H2O, Na2MoO4·2H2O, KCl, 또는 CaCl2를 적절히 용해시켜 배양액 중의 각 이온의 함유율이,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도록 했다. 또한, 배양액 중의 각 이온의 함유율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했다.
또한, 원수로서 이용한 수돗물, 및 조제 후의 배양액 중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냈다.
시험예 2의 결과로부터, 배양액이 제1 이온을 함유하는 실시예 3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는, 실시예 2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와 비교하여, 잎에 보다 많은 DCQA, 및 보다 많은 총 CQA가 포함되고, 또 잎의 수량도 보다 많았다.
또, 배양액이 제2 이온을 함유하는 실시예 4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는, 실시예 2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와 비교하여, 잎에 보다 많은 DCQA, 및 보다 많은 총 CQA가 포함되고, 또 잎의 수량도 보다 많았다.
또, 배양액이 제1 이온 및 제2 이온을 함유하는 실시예 5~7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는, 실시예 2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와 비교하여, 잎에 보다 많은 DCQA, 보다 많은 TCQA, 및 보다 많은 총 CQA가 포함되고, 또 잎의 수량이 보다 많았다.
[시험예 3: 비교예 3, 실시예 8~11]
제2 공정에서 사용하는 배양액의 성분의 차이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또한 식물 가공품의 제조를 실시하기 위하여, 또한 건조 공정의 조건이 식물 가공품의 CQA 함유율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시험예 1과 동일한 재배 조건으로 고구마 모종을 생장시켰다. 또한, 시험예 3은, 상기 각 시험예와는 실시한 일시가 다르다.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잎 중의 D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50질량%, T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01질량%,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3.36질량%, 잎의 수량은 1.66g/개(건물중)로 낮았다. 결과는 표 1의 비교예 3에 나타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표 1의 배양액란에 기재한 배양액을 넣어, 시험예 1의 제2 공정과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4일간 계속했다(실시예 9에 대해서는, 15일간 계속했다).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잎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8 및 실시예 10에 나타냈다.
(식물 가공품의 제조)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줄기의 배양액에 잠기지 않은 부분(엽경부이며, "지상부"와 동의임)을 가위로 절단하고, 엽경부를 표 1에 기재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정한 항온기에 재치하여, 표 1에 기재한 기간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제조했다. 제조한 식물 가공품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9 및 실시예 11에 나타냈다.
시험예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9 및 실시예 11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은, 제2 공정에 있어서 사용한 배양액이 동일하다, 실시예 8 및 10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의 잎과 비교하여, 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이 보다 높았다.
또 실시예 10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잎, 및 실시예 11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은, 제2 공정에 있어서 사용한 배양액이 다른, 실시예 8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의 잎, 및 실시예 9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과 비교하여, 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이 보다 높고, 또 잎의 수량이 보다 많았다.
[시험예 4: 비교예 4~6, 실시예 12~15]
제2 공정의 유무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 가공품의 제조를 실시하기 위하여, 및 건조 공정의 조건이 식물 가공품의 CQA 함유율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시험예 1과 동일한 재배 조건으로 고구마 모종을 생장시켰다. 또한, 시험예 4는, 상기 각 시험예와는 실시한 일시가 다르다.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잎 중의 D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82질량%, T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02질량%,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3.62질량%, 잎의 수량은 1.12g/개(건물중)로 낮았다. 결과는 표 1의 비교예 4에 나타냈다. 또, 동일하게 하여, 제1 공정에 있어서의 재배 일수를 26일로 한 것을 비교예 5에 나타냈다. 비교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고구마를 바탕으로 제2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식물 가공품을 제조한 것을 비교예 6에 나타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표 1의 배양액란에 기재한 배양액을 넣어, 시험예 1의 제2 공정과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3일 또는 14일간 계속했다.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잎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12 및 실시예 14에 나타냈다.
(식물 가공품의 제조)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줄기의 배양액에 잠기지 않은 부분(엽경부, "지상부"와 동의임)을 가위로 절단하고, 엽경부를 표 1에 기재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정한 항온기에 재치하여, 표 1에 기재한 기간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제조했다. 제조한 식물 가공품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13 및 실시예 15에 나타냈다.
시험예 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 및 실시예 15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은, 제2 공정에 있어서 사용한 배양액이 동일한 실시예 12 및 14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의 잎과 비교하여, 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이 보다 높았다.
또 비교예 5의 생산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잎은, 제1 공정의 재배 일수를 늘림으로써 비교예 4에 비하여 DCQA, 총 CQA의 함유율이 보다 높아져, 잎의 수량도 증가되어 있지만, 제2 공정을 포함하는 재배 일수가 거의 동등한 실시예 12 및 실시예 14의 생산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잎에 비하여 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은 모두 낮고, 특히 TCQA 함유율에는 큰 차가 있었다.
또 비교예 6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식물 가공품은, 제2 공정을 갖는 실시예 13 및 실시예 15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식물 가공품에 비하여, 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은 모두 낮았다.
[시험예 5: 실시예 16~23]
식물 가공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건조 공정의 조건이 식물 가공품의 CQA 함유율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시험예 1과 동일한 재배 조건으로 고구마 모종을 생장시켰다. 또한, 시험예 5는, 상기 각 시험예와는 실시한 일시가 다르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표 1의 배양액란에 기재한 배양액을 넣어, 제1 공정과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3일간 계속했다.
(식물 가공품의 제조)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엽경부를 가위로 절단하고, 엽경부를 표 1에 기재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정한 항온기에 재치하여, 표 1에 기재한 기간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제조했다. 제조한 식물 가공품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16~23에 나타냈다.
[시험예 6: 실시예 24~30]
식물 가공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건조 공정의 조건이 식물 가공품의 CQA 함유율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시험예 1과 동일한 재배 조건으로 고구마 모종을 생장시켰다. 또한, 시험예 6은, 상기 시험예와는 실시한 일시가 다르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표 1의 배양액란에 기재한 배양액을 넣어, 제1 공정과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5일간 계속했다.
(식물 가공품의 제조)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엽경부를 가위로 절단하고, 엽경부를 표 1에 기재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정한 항온기에 재치하여, 표 1에 기재한 기간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제조했다. 제조한 식물 가공품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24~30에 나타냈다.
[시험예 7: 실시예 31~33]
제1 공정 및 제2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습도 조건이 식물의 CQA 함유율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실시예 31>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고구마의 모종을 이하의 재배 조건하 생장시켰다. 즉, 수경 재배기(홈하이포니카 601 교와 주식회사제)에, 순수 10L, 액체 비료(하이포니카 액비 교와 가가쿠 주식회사제)의 A액 8ml, 동B액 8ml를 넣고, 고구마의 모종을 심었다. 조명용의 광원으로서 형광등(도시바제 식물 재배용 형광등: 비오르크스 FL40SBR)을 사용하여, 광합성 광양자속 밀도 300μmol/m2/sec로서, 점등 12시간, 소등 12시간의 사이클로 14일간 재배했다.
또한, 조명 점등 시의 12시간은 온도 30℃, 습도 70%, 조명 소등 시의 12시간은 온도 25℃, 습도 90% 조건으로 했다. 상기 이외에는,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했다.
표 1에는, "수경, 낮: 30℃, 70%, 밤: 25℃, 90%, 형광등 300μmol"로 기재했다.
또한, 시험예 7은, 상기 각 시험예와는 실시한 일시가 다르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순수 10L를 넣어, 상기 제1 공정과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5일간 계속했다. 얻어진 고구마의 잎의 TCQA 함유율(건물중에 대한 질량%) 등의 결과는 표 1의 실시예 31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의 재배 방법을 표 1에는, "낮: 30℃, 70% 밤: 25℃, 90% 형광등 300μmol"로 기재했다.
<실시예 32>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고구마의 모종을 이하의 재배 조건하 생장시켰다. 즉, 수경 재배기(홈하이포니카 601 교와 주식회사제)에, 순수 10L, 액체 비료(하이포니카 액비 교와 가가쿠 주식회사제)의 A액 8ml, 동B액 8ml를 넣고, 고구마의 모종을 심었다. 조명용의 광원으로서 형광등(도시바제 식물 재배용 형광등: 비오르크스 FL40SBR)을 사용하여, 광합성 광양자속 밀도 450μmol/m2/sec로서, 점등 12시간, 소등 12시간의 사이클로 14일간 재배했다. 또한, 재배 중의 온도는 35℃, 습도는 70%로 하고, CO2 가스를 공급하여 분위기 중의 CO2 함유율을 1500ppm(체적 기준)으로 했다. 상기 이외에는,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했다. 표 1에는, "수경, 35℃, 50%, 형광등 450μmol, CO2: 1500ppm"으로 기재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표 1에 기재한 배양액 10L을 넣어, 상기와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5일간 계속했다. 얻어진 고구마의 잎의 TCQA 함유율(건물중에 대한 질량%) 등의 결과는 표 1의 실시예 32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의 재배 방법을 표 1에는, "35℃, 50%, 형광등 450μmol, CO2: 1500ppm"으로 기재했다.
<실시예 33>
(식물 가공품의 제조)
실시예 32의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엽경부를 가위로 절단하고, 엽경부를 표 1에 기재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정한 항온기에 재치하여, 표 1에 기재한 기간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제조했다. 제조한 식물 가공품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33에 나타냈다.
[시험예 8: 비교예 7, 실시예 34, 35]
제1 공정에 있어서의 재배 방법이 식물의 CQA 함유율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이하의 재배 조건의 아래, 고구마를 재배했다. 즉, 골든 입상 배양토(아이리스 오야마사제)를 넣은 포트에 고구마 모종을 심고, 온도 30℃, 습도 45%의 조건하, 조명용의 광원으로서 형광등(도시바제 식물 재배용 형광등: 비오르크스 FL40SBR)을 사용하여, 광합성 광양자속 밀도 70mol/m2/sec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재배했다.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잎의 T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11질량%,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47질량%, 잎의 수량은 0.24g/개(건물중)로 낮았다. 결과는 표 1의 비교예 7에 나타냈다. 또한, 시험예 8은, 상기 각 시험예와는 실시한 일시가 다르다.
(제2 공정)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로부터, 소정의 생장 상태에 있는 부분을 정기적으로 채취하고(이로 인하여, 표 1의 제1 공정의 일수의 란에는 "계속"이라고 기재함), 표 1에 기재한 배양액을 넣은 수경 재배기(홈하이포니카 601 교와 주식회사제)에 심었다. 이것을, 온도 30℃, 습도 50%의 조건의 아래, 조명용의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하여, 광합성 광양자속 밀도 300mol/m2/sec로서 시험예 1의 제2 공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했다.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잎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34 및 실시예 35에 나타냈다.
[시험예 9: 비교예 8, 실시예 36, 37]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제1 공정으로서, 이하의 재배 조건의 아래, 코가네센간(고구마 일반 품종, 표 1 중에서는, 간단히 "코가네센간"이라고 기재함)을 재배했다. 즉, 코가네센간의 모종을, 수경 재배기(홈하이포니카 601 교와 주식회사제)에, 순수 10L, 액체 비료(하이포니카 액비 교와 가가쿠 주식회사제)의 A액 8ml, 동B액 8ml를 넣어 심었다. 다음으로, 온도 30℃, 습도 60%의 조건의 아래, 조명용의 광원으로서 형광등(도시바제 식물 재배용 형광등: 비오르크스 FL40SBR)을 사용하여, 광합성 광양자속 밀도 140μmol/m2/sec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했다. 제1 공정 종료 후의 코가네센간의 잎 중의 D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22질량%, T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02질량%,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86질량%, 잎의 수량은 2.11g/개(건물중)로 낮았다. 결과는 표 1의 비교예 8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의 재배 방법을 표 1에는, "수경, 30℃, 60%, 형광등 140μmol"로 기재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코가네센간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순수 10L을 넣어, 상기와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4일간 계속했다. 얻어진 코가네센간의 잎 중의 TCQA 함유율 등의 결과는 표 1의 실시예 36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의 재배 방법을 표 1에는, "30℃, 60%, 형광등 140μmol"로 기재했다.
(식물 가공품의 제조)
상기 제2 공정 종료 후의 코가네센간의 엽경부를 가위로 절단하고, 엽경부를 표 1에 기재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정한 항온기에 재치하여, 표 1에 기재한 기간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제조했다. 제조한 식물 가공품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1의 실시예 37에 나타냈다.
[시험예 10: 비교예 9, 실시예 38, 39]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제1 공정)
옥외의 일반 포장(圃場)에서, 온도 습도, 광량 등의 조정은 실시하지 않고 자연 환경하에서 재배되어, 소정의 생장 상태에 있던 쑥갓을 조달했다. 상기 쑥갓 중의 D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43질량%, TCQA는 포함되지 않고,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61질량%, 잎의 수량은 0.54g/개로 낮았다. 결과는 표 1의 비교예 9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 재배 방법을 표 1에는, "토경, 옥외 포장"으로 기재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쑥갓을, 표 1에 기재한 배양액 10L을 넣은 수경 재배기(홈하이포니카 601 교와 주식회사제)에 심었다. 다음으로, 상기 쑥갓을 온도 23℃, 습도 70%의 조건의 아래, 조명용의 광원으로서 형광등(도시바제 식물 재배용 형광등: 비오르크스 FL40SBR)을 사용하여, 광합성 광양자속 밀도 100μmol/m2/sec로 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6일간 재배했다. 얻어진 쑥갓의 잎의 TCQA 함유율(건물중에 대한 질량%) 등의 결과는 표 1의 실시예 38 및 실시예 39에 나타냈다.
[측정 방법]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성분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했다.
<배양액 중의 이온의 함유량>
배양액(및 수돗물)에 포함되는 이온의 함유량은, 제1 이온 및 Fe 이온에 대해서는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발광 분광 분석법에 따라 측정했다. ICP 발광 분광 분석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스프레이 챔버: 가스 사이클론
플라즈마 가스 유량: 15L/min
보조 가스 유량: 0.2L/min
네뷸라이저 가스 유량: 1L/min
반복 횟수: 3회
샘플 지연 시간: 30S
상기 이외의 이온에 대해서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했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또한, 각 성분의 검량선으로부터, 배양액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구했다.
칼럼: shodex YS-50
유리액: 4mM HNO3
유속: 0.8mL/min
칼럼 온도: 40℃
<식물 및 식물 가공품 중의 CQA의 함유율>
식물 및 식물 가공품 중에 포함되는 CQA는, 이하의 방법으로 식물 및 식물 가공품으로부터 측정용의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측정하여 구했다.
(추출 방법)
얻어진 식물 또는 식물 가공품의 잎 및 잎꼭지를 가위로 절단하고, 잎 및 잎꼭지부를 추가로 가위로 재단하며, 진공 건조기 중, 80℃조건으로 8시간 건조 처리하여, 잎의 건조물(건조잎)을 얻었다. 그 후, 진공 건조하여 얻어진 건조잎을 손으로 주물러 풀어 분쇄하여 건조잎의 분말을 얻었다. 다음으로 건조잎의 분말 50mg을 정칭(精秤)하고, EtOH/물=80/20vol비의 혼합 용매 2.5ml를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가열 추출하여 조(粗)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조 추출액에 EtOH/물=80/20vol비의 혼합 용매 7.5ml를 첨가하고, 필터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측정 방법)
상기 추출액을 검체로 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HPLC 측정했다. 검량선으로부터 CQA(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을 산출했다.
칼럼: 도소제 TSK gel ODS 100V
유속: 0.3mL/min,
전개 용매: A액: 0.1% H3PO4 H2O, B액:0.1% H3PO4 MeCN를 사용하여, B액 농도 10%(0min)로부터 40%(15 min)의 그레이디언트 용출로 했다.
칼럼 온도: 40℃,
검출: UV(ultraviolet) 검출기 (330nm)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5]
Figure pct00005
[표 6]
Figure pct00006
또한, 표 1은, 표 1(그 1)-1~표 1(그 1)-3, 및 표 1(그 2)-1~표 1(그 2)-3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실시예에 관한 재배 조건 및 결과는 상기 분할된 각 표의 대응하는 각 행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험예 1의 실시예 1이면, 결과는 표 1(그 1)-1~표 1(그 1)-3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식물로서 고구마를 이용하여, 제1 공정의 재배 조건이, "수경, 30℃, 50%, LED300μmol"이고, 일수가 14일간, 제2 공정에서 사용한 배양액은 순수로, 재배 조건은, "30℃, 50%, LED300μmol"이며, 일수가 14일간이고, 건조 공정은 실시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잎에 포함되는 DCQA는 잎의 건물중에 대하여 3.87질량%, TCQA는 0.25질량%, 총 CQA는 6.03질량%이고, 잎의 수량이 식물 1개에 대하여 건물중으로 1.35g였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외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다.
[표 7]
Figure pct00007
[표 8]
Figure pct00008
[표 9]
Figure pct00009
표 2에는, 수돗물 및 각 배양액의 성분을 기재했다. 각 배양액(및 수돗물)의 성분은, 표 2(그 1)~표 2(그 3)의 각 행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즉, 순수이면, 인산 이온, 질산 이온, NH4 +, 및 Fe 이온은, 모두 정량 하한값 미만이며, Na+의 함유율이 0.1질량ppm이고, 제1 이온으로서, B 이온, Mn 이온, Zn 이온, Cu 이온, 및 Mo 이온은 모두 정량 하한값 미만이며, 제2 이온으로서 Cl-는 정량 하한값 미만이고, SO4 2-가 0.1질량ppm이며, K+가 0.1질량ppm이고, Mg2+가 정량 하한값 미만이며, Ca2+가 0.1질량ppm였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외의 배양액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표 중, "<(수치)"라고 되어 있는 것은, 그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정량 하한값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또, 표 2 중의 각 수치는,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한 각 성분의 질량ppm을 나타낸다.
[시험예 11 및 12: 비교예 10, 실시예 40~47]
제2 공정에서 사용하는 배양액의 성분의 차이가 본 발명의 효과에게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TCQA 등의 측정 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또, 시험예 11 및 12는, 상기 각 시험예와는 실시한 일시가 다르다.
(제1 공정)
실시예 1에 관한 제1 공정으로서 설명한 재배 방법에 있어서의, 재배 온도를 30℃에서 25℃로 변경하고, 재배 기간을 14일부터 15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의 제1 공정과 동일한 재배 조건으로 고구마 모종을 생장시켰다.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잎 중의 D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10질량%, T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0.01질량%, 총 CQA 함유율은 건물중의 2.82질량%, 잎의 수량은 1.46g/개(건물중)로 낮았다. 결과는 표 3의 비교예 10에 나타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상기 제1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에 대하여, 수경 재배기 내의 액체 비료를 전량 폐기하고, 대신에, 표 1의 배양액란에 기재한 배양액을 넣어, 제1 공정과 동일한 온도 습도, 광조건에서 추가로 재배를 14일간 계속했다.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잎 중의 TCQA 함유율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의 실시예 40~43에 나타냈다.
또한, 각 배양액은, 이미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조정한 것으로, 각 성분이, 표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도록 했다. 또한, 배양액 중의 각 이온의 함유율의 측정 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또, 원수로서 이용한 수돗물은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시험예 11의 결과로부터, 배양액이 2종 이상의 제1 이온을 함유하고, 제1 이온의 각각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ppm 이하인 실시예 41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는, 실시예 42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와 비교하여, 잎에 보다 많은 DCQA, 보다 많은 TCQA, 및 보다 많은 총 CQA가 포함되고, 또 잎의 수량도 보다 많았다.
또, 시험예 11의 결과로부터, 배양액이 2종 이상의 제2 이온(여기에서는, Cl-, SO4 2-, K+, 및 Ca2+)을 함유하고, 이 중 Cl-, K+, 및 Ca2+의 각각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300질량ppm인 실시예 41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는, 실시예 43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와 비교하여, 잎에 보다 많은 DCQA, 보다 많은 TCQA, 및 보다 많은 총 CQA가 포함되고, 또 잎의 수량도 보다 많았다.
(식물 가공품의 제조)
제2 공정 종료 후의 고구마의 줄기의 배양액에 잠기지 않은 부분(엽경부이며, "지상부"와 동의임)을 가위로 절단하고, 엽경부를 표 3에 기재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정한 항온기에 재치하여, 표 3에 기재한 기간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제조했다. 제조한 식물 가공품의 TCQA 함유율 등을 표 3의 실시예 44~47에 나타냈다.
시험예 1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44~47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은, 제2 공정에 있어서 사용한 배양액이 동일하다, 실시예 40~43의 생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고구마의 잎과 비교하여, 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이 각각 보다 높았다.
또, 제2 공정에 있어서의 배양액이 제1 이온을 함유하는 실시예 47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은, 실시예 44의 식물 가공품과 비교하여, 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이 각각 보다 높았다.
또, 제2 공정에 있어서의 배양액이, 2종 이상의 제2 이온(여기에서는, Cl-, SO4 2-, K+, 및 Ca2+)을 함유하고, 이 중 Cl-, K+, 및 Ca2+의 각각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300질량ppm인 실시예 45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은, 실시예 47의 식물 가공품과 비교하여 D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이 각각 보다 높았다.
또, 제2 공정에 있어서의 배양액이 제1 이온을 함유하고, 각각의 함유율이 1.0질량ppm 이하이며, 또한 배양액이 2종 이상의 제2 이온(여기에서는, Cl-, SO4 2-, K+, 및 Ca2+)을 함유하고, 이 중 Cl-, K+, 및 Ca2+의 각각의 함유율이,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300질량ppm인, 실시예 45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은 실시예 46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식물 가공품과 비교하여, DCQA, TCQA, 및 총 CQA의 함유율이 각각 보다 높았다.
[표 10]
Figure pct00010
[표 11]
Figure pct00011
[표 12]
Figure pct00012
또한, 표 3은, 표 3-1~표 3-3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실시예에 관한 재배 조건 및 결과는 상기 분할된 각 표의 대응하는 각 행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험예 11의 실시예 40이면, 식물로서 고구마를 이용하여, 제1 공정의 재배 조건이, "수경, 25℃, 50%, LED300μmol"이며, 일수가 15일간, 제2 공정에서 사용한 배양액은 순수로, 재배 조건은, "25℃, 50%, LED300μmol"이고, 일수가 14일간이며, 건조 공정은 실시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잎에 포함되는 DCQA는 잎의 건물중에 대하여 3.65질량%, TCQA는 0.14질량%, 총 CQA는 5.46질량%이며, 잎의 수량이 식물 1개에 대하여 건물중으로 2.21g였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외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다.
[표 13]
Figure pct00013
[표 14]
Figure pct00014
[표 15]
Figure pct00015
표 4에는, 각 배양액의 성분을 기재했다. 각 배양액의 성분은, 표 4(그 1)~표 4(그 3)의 각 행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즉, 순수이면, 인산 이온, 질산 이온, NH4 +, 및 Fe 이온은, 모두 정량 하한값 미만이고, Na+의 함유율이 0.1질량ppm이며, 제1 이온으로서 B 이온, Mn 이온, Zn 이온, Cu 이온, 및 Mo 이온은 모두 정량 하한값 미만이고, 제2 이온으로서 Cl-는 정량 하한값 미만이며, SO4 2-가 0.1질량ppm이고, K+가 0.1질량ppm이며, Mg2+가 정량 하한값 미만이고, Ca2+가 0.1질량ppm였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외의 배양액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표 중, "<(수치)"라고 되어 있는 것은, 그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정량 하한값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또, 표 4 중의 각 수치는,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한 각 성분의 질량ppm을 나타낸다.

Claims (9)

  1. 고구마 이외의 괴경류, 메꽃과 식물, 및 국화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물을 생장시키는 공정과,
    생장시킨 상기 식물을, 질산 이온 및 인산 이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양액 재배하는 공정을 갖는 식물의 생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이, B, Mn, Zn, Cu,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식물의 생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이, 1종의 상기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금속 이온의 함유율이, 상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ppm 이하이며,
    상기 배양액이, 2종 이상의 상기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금속 이온의 각각의 함유율이, 상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ppm 이하인, 식물의 생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이, Mn 이온을 함유하고, Mn 이온의 함유율이, 상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질량ppb를 초과하며, 1.0질량ppm 이하인, 식물의 생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이, K+, Mg2+, Ca2+, SO4 2-, 및 C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온을 함유하고,
    상기 배양액이, 1종의 상기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이온의 함유율이 1.0질량ppm 이상이며,
    상기 배양액이, 상기 이온을 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 상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이온의 각각의 함유율이, 1.0질량ppm 이상인, 식물의 생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이, 1종의 상기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이온의 함유율이 상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300질량ppm이며,
    상기 배양액이, 2종 이상의 상기 이온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이온의 각각의 함유율이, 상기 배양액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300질량ppm인, 식물의 생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이,
    B, Mn, Zn, Cu,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금속 이온과,
    K+, Mg2+, Ca2+, SO4 2-, 및 C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온을 함유하는, 식물의 생산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생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의 근부를 제거하여 엽경부를 얻고, 상기 엽경부를, 수분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건조시켜, 식물 가공품을 얻는,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건조 시의 온도가 20~35℃이며, 상대 습도가 30~95%인,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KR1020207006083A 2017-09-29 2018-09-25 식물의 생산 방법, 및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KR20200037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9867 2017-09-29
JPJP-P-2017-189867 2017-09-29
JP2017234031 2017-12-06
JPJP-P-2017-234031 2017-12-06
PCT/JP2018/035353 WO2019065592A1 (ja) 2017-09-29 2018-09-25 植物の生産方法、及び、植物加工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336A true KR20200037336A (ko) 2020-04-08

Family

ID=6590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083A KR20200037336A (ko) 2017-09-29 2018-09-25 식물의 생산 방법, 및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21652A1 (ko)
EP (1) EP3689134B1 (ko)
JP (1) JP7086091B2 (ko)
KR (1) KR20200037336A (ko)
CN (1) CN111093362B (ko)
WO (1) WO2019065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9694B (zh) * 2020-08-21 2022-03-08 内蒙古大学 一种水培溶液及其高品质黄芪的培育方法
CN112753513B (zh) * 2021-02-05 2022-12-23 湖北恩施中国南方马铃薯研究中心 一种富硒叶菜型甘薯的水培快繁方法
MX2024005409A (es) * 2021-11-04 2024-05-27 Symrise Ag Cultivo de hydrange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621A (ja) 2014-11-28 2016-06-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含有植物体の生産方法、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含有植物体中の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量を増加させる方法、ト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含有植物体中のト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量を増加させる方法、及びト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含有植物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836A (en) * 1988-02-16 1993-06-08 Tuskegee University Movable root contact/pressure plate assembly for hydroponic system
CN1052654A (zh) * 1991-01-08 1991-07-03 王秀云 一种氨基酸肥及其制法
AU2006326848A1 (en) * 2005-12-23 2007-06-28 Paul Johnson Tray for hydroponics growing of plants and hydroponics tank having the tray
CN103012004A (zh) * 2013-01-24 2013-04-03 湖南壹叶都市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叶类蔬菜营养液配方
US20170172084A1 (en) * 2014-03-28 2017-06-22 JFM Manag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ponic growth
JP6051414B2 (ja) * 2014-04-11 2016-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低カリウム葉菜の水耕栽培方法および低カリウム葉菜
JP6646805B2 (ja) * 2015-10-09 2020-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TWI693366B (zh) * 2014-12-22 2020-05-1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除濕裝置
CN105272545A (zh) * 2015-10-09 2016-01-27 宁夏共享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吊兰水培营养液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621A (ja) 2014-11-28 2016-06-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含有植物体の生産方法、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含有植物体中の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量を増加させる方法、ト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含有植物体中のト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量を増加させる方法、及びト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含有植物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93362A (zh) 2020-05-01
US20200221652A1 (en) 2020-07-16
CN111093362B (zh) 2022-07-22
EP3689134A1 (en) 2020-08-05
JP7086091B2 (ja) 2022-06-17
WO2019065592A1 (ja) 2019-04-04
JPWO2019065592A1 (ja) 2020-10-15
EP3689134A4 (en) 2020-09-09
EP3689134B1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38348B2 (en) Bioceramic and carbon-based hydroponi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CN112273171B (zh) 齿缘苦荬菜的生长及生物活性物质促进系统
KR20200037336A (ko) 식물의 생산 방법, 및 식물 가공품의 제조 방법
US2009015640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Stress in Plants
KR101065484B1 (ko) 작물재배용 양액 및 그 제조방법
CA3038245A1 (en) Production of biomass in ultra high density plantations
KR20140035821A (ko) 아이스플랜트의 수경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Bayat et al. Effect of silicon on growth and ornamental traits of salt-stressed calendula (Calendula officinalis L.)
UA26216U (en) Method of vegetative propagation of maidenhair tree (ginkgo biloba l.)
KR101368180B1 (ko) 뿌리 약용식물의 재배 방법
Gilani et al. Interaction of Light Quality and EC of Nutrition Solution on Seedling Quality, Growth, and Physiology of Cucumber Seedlings
KR101540792B1 (ko) 천연 식물 생장 촉진제
CN105993889B (zh) 抑制茶树对氟吸收的方法及所用的茶树氟吸收抑制剂
Amberger-Ochsenbauer Evaluation of growing media components for Phalaenopsis
RU2448457C1 (ru)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развития, роста и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растений на гидропонных установках тепличного комплекса
Schipper A smoke treatment inducing flower formation in iris bulbs.
CN109874628B (zh) 一种雨久花的栽培方法
Mohamed et al. EFFECT OF LIGHT INTENSITY AND WATER FLOW RATE OF HYDROPONIC UNIT ON THYME (THYMUS VULGARIS L.) PRODUCTION
WO2007004480A1 (ja) 植物における二次代謝物の産生を増大せしめる方法
Badawy et al. Anatomical structure of Antirrhinum majus plant stem and leaf as affected by diatomite, putrescine and alpha-tocopherol treatments
KR20240104109A (ko) 필로둘신의 함량이 증가된 건조 식물 물질의 제조
Neumann ELICITATION OF HEMP UNDER LED AND ITS EFFECT ON CANNABINOID CONTENT
Morimura et al. < News> Bush Fire Control Using Arbors in Green Corridor Project at Bossou
Ascencio Phosphorus, potassium and calcium concentration limits in bean plants grown under deficiency after a period of sufficiency
KR101155721B1 (ko) 폐해수를 이용한 아이스플랜트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아이스플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