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179A -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179A
KR20200037179A KR1020200038734A KR20200038734A KR20200037179A KR 20200037179 A KR20200037179 A KR 20200037179A KR 1020200038734 A KR1020200038734 A KR 1020200038734A KR 20200038734 A KR20200038734 A KR 20200038734A KR 20200037179 A KR20200037179 A KR 20200037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etection sensor
camera
inclined surface
objec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965B1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20003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마우스 없이도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화면표시장치의 가림 및 오염이 수반되는 터치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화면표시장치 영역 밖의 가상공간에서 대상물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A Display Device with A Object Camera and A Sensor}
본 발명은 노트북과 같이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거나 또는 스마트폰 및 테블릿과 같이 화면표시장치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몸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마우스 없이도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화면표시장치의 가림, 긁힘 및 오염이 수반되는 터치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화면표시장치 영역 밖의 가상공간에서 대상물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탑 컴퓨터에 화상입력장치가 적용되기 시작한 이후 사용자의 화상 채팅화면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에 화상입력장치를 적용한 특허(대한민국 특허 10-2002-0062714)가 제시되었으나 보편화 되진 않았다.
현재도 널리 사용중인 노트북은 폴딩면의 일면에 키보드가 자체적으로 적용되어있음으로 인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휴대가 가능한 생산성도구로서 평가를 받고 있으나 형상 불변이라는 제한점으로 인해 한손 그립과 같은 높은 상태의 휴대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터치패드를 이용해도 마우스의 생산성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휴대성이 뛰어나고 인터넷 검색도 용이하며 촬영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로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이 출현한 후 사용자의 환경은 급격히 데스크탑 환경에서 모바일 환경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그러나 기존의 판상형 스마트폰은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편리하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달리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이 제한되어 생산성도구로서 사용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판상형태를 갖는 태블릿 장치 또한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태블릿 장치의 화면표시면을 덮는 일면에 키보드 기능을 적용시킨 탈부착 가능형의 커버를 적용한 투인원 제품이 출시되며 일부 키보드입력과 같은 문제점은 해소하였으나 한손으로 그립 할 수 없는 불편한 휴대성, 화면표시면의 키보드 접촉 긁힘 자국 발생 및 생산성 도구로서 중요한 마우스 입력장치의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접힘 및 감김이 가능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취약부위인 접힘 발생 또는 감김 발생 부위와 함께 화면표시면을 긁힘이나 찍힘으로 부터도 보호해줄 필요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현재 판상형 스마트폰의 크기는 화면 크기 비율이 16:9 제품에서 18:9 제품으로 추세가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며 향후 출시 예상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될 형상가변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 에서도 18:9 비율이 유지되며 적용될 것이라 예측되는 상황이고 이러한 18:9 비율을 갖는 스마트폰 자체의 판상면에 가상 키보드의 적용을 고려할 경우 큰폭의 축소 없이도 키보드자판을 온전히 구성할 수 있는 크기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7-0096694)는 휴대성과 생산성 증대라는 목적을 이루었으나 자체적인 키보드의 적용으로 인해 베터리 적용공간의 감소 및 카메라 모듈의 펼침 및 접힘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를 단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회전카메라가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제품 또는 일측 모서리에 카메라가 수납 및 돌출되는 형태의 제품이 일부 제조사에 의해 출시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가 지원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고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한다.
둘째, 별도의 보호 필름 적용이 어려우며 강화유리 보다 긁힘 저항성이 떨어지는 투명 강화 폴리이미드 필름이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 폴리이미드 필름 자체의 터치 필요성을 줄여 영상표시장치의 긁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하고자한다.
셋째, 세균 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손가락을 이용한 직접 터치조작의 필요성을 줄여 터치 조작에 의한 세균 오염 가능성을 낮추도록 하고자한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는 제어부, 화면표시장치 및 화면표시장치가 적용되는 몸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는 화면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또는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는 경우 적용되는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있고 제1경사면에는 제1경사면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다.
제 1실시예의 몸체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은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어있는 경우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모서리들 중 하나 이상의 모서리들에 한 개 이상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이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하고, 제1경사면이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이룬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별도의 키보드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
제 1 실시예에서 몸체의 가로측 모서리와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이 각각 적용되고 각각의 제1경사면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영상표시장의 경우, 화면표시장치에 가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가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활성화되지 않으며 화면표시장치에 세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세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활성화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실시 예는 제어부, 화면표시장치 및 화면표시장치가 적용되는 몸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에 적용된 화면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일측 모서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및 회전몸체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회전몸체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 밖의 몸체 모서리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제 2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별도의 키보드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가 지원되는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마우스 없이도 몸체의 경사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를 이용한 대상물의 동작인식을 통해 화면표시장치의 가림 없이도 마우스가 적용된 데스크탑과 같은 생산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별도의 보호 필름 적용이 어려우며 강화유리 보다 긁힘 저항성이 떨어지는 투명 강화 폴리이미드 필름이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도 폴리이미드 필름 자체의 터치를 수행하지 않고 가상의 오브젝트 영역에서 손 동작 변화를 감지해 터치 조작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 인해 폴더블 몸체가 적용된 영상표시장치의 긁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셋째, 화면표시면을 손가락을 이용해 직접 터치하지 않고 화면표시장치의 영역을 벗어난 제1경사면의 광각 영역에서 대상물의 동작 변화를 감지해 터치 조작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 인해 세균 오염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노트북의 사용자 환경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스마트폰의 터치조작 환경을 보여주는 개념도 및 전방 카메라의 광각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며,
도 3은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스마트폰의 가로 모드 광각 영역 겹침을 보여주는 개념도 들이고,
도 4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테블릿의 가로 모드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5는 노트북의 물리 키보드 적용면 세로 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오브젝트 카메라 부분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 부분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8은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9는 도 8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 이고,
도 10은 도 8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세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11은 도 8의 오브젝트 카메라에 대한 광각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감지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13은 테블릿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오브젝트 카메라 부분에 대한 광각 영역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 부분에 대한 감지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접힘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세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고,
도 18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19는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텐트 형태로 예각 펼침된 상태의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고,
도 20은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평면 펼침된 상태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21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평면 펼침 상태로 네비게이션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2는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노트북 형태의 사용 모드로 펼침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23은 접힘상태인 인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평면 펼침 상태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5는 도 23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가 노트북 형태의 사용 모드로 펼침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6은 접힘상태인 2단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8은 도 26의 2단폴딩 영상표시장치가 완전 평면 펼침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9는 도 8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가 별도 적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30은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사시도들 및 부분 상세도이며,
도 31은 도 30의 몸체와 회전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2는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에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되고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 밖의 모서리에 분리 적용되어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들 및 부분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번호가 부여된 부호들 중에서 일부는 제시되는 도면들 상에 도시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노트북의 사용자 환경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스마트폰의 터치조작 환경을 보여주는 개념도 및 전방 카메라의 광각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며, 도 3은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스마트폰의 가로 모드 광각 영역 겹침을 보여주는 개념도 들이고, 도 4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테블릿의 가로 모드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을 이용한 문서생성 작업환경은 작업판(1), 물리 키보드(5), 마우스 패드(2) 및 마우스(3)가 요구된다.
이들 구성요소 들 중에서 마우스 패드(2) 및 마우스(3)는 데스크탑 및 노트북과는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별도로 휴대하여야하며 책상과 같은 작업판(1)이 없는 허공의 공간에서는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화면 이동, 축소, 확대 및 더블클릭과 같은 네비게이션 조작은 주로 사용자 손을 이용한 터치 패널의 터치조작에 의해 수행되며 터치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화면표시면의 많은 부분을 가리는 단점과 함께 손가락이 화면표시장치(10) 바깥면을 지속적으로 터치하는 과정동안 긁힘 발생과 더불어 스마트폰 및 손가락 모두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스마트폰에 자체적으로 적용된 전면 카메라(7)를 이용한 사용자의 손 동작 인식을 통해 네비게이션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이 고려 가능하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음으로 인해 적용이 어렵다.
첫째, 전면 카메라(7)를 이용한 오브젝트의 동작 인식 수행시 전면 카메라(7) 상단 부분에 위치하는 손 부분이 화면표시장치(10)의 많은 부분을 가리는 문제가 생긴다.
둘째, 전면 카메라(7)가 오브젝트의 동작 인식 수행을 위해 항상 활성화 되어 있어야하는 문제가 존재하며 전면 카메라(7)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단순 물리 스위치 또는 가상 스위치를 적용하여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하여도 사용자가 매번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새로이 발생하게 된다.
셋째,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가상 키보드(6)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환경시 자판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이 전면 카메라(7)의 광각 영역에 걸치게 됨으로 인해 전면 카메라(7)를 통한 동작 인식에 오류가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4는 테블릿에 가상 키보드(6)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자체 적용된 전면 카메라(7)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과 같은 대상물의 동작을 감지하는 용도로 적용할 경우 도 3과 같은 광각 영역에 대한 간섭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사용자의 손이 화면표시장치(10)의 일부를 가리는 문제와 함께 전면 카메라(7)가 항시 활성화되어 있어야하는 문제점은 동일하게 존재한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대안의 하나로서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7-0096694)가 출원되었으나 탈부착 키보드의 적용으로 인한 몸체의 베터리 적용공간 감소 및 카메라모듈의 접힘 및 펼침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전면과 후면 모두를 단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회전카메라가 판상형 스마트폰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에 특화된 제품으로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모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하는 불편함 및 손가락에 의해 카메라 렌즈에 지문 자국이 남는 문제점과 더불어 네비게이션 조작 용도의 영상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회전각을 매번 사용자가 설정해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의 경우 일측 모서리에 카메라가 수납 및 돌출되는 형태의 제품이 일부 제조사에 의해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이 또한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에 특화된 제품으로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모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직접 수행해야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네비게이션 조작 용도의 영상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회전각 변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5부터 도 32의 예시된 도면들과 함께 몸체(20)에 제1경사면(110)이 적용되는 제 1실시 예와 몸체(20)에 회전몸체(140)가 적용되는 제 2실시 예들로 실시예를 대별하여 제시하며 각각의 실시 예에는 몸체(2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상세 실시예가 제시된다.
도 5는 노트북의 물리 키보드 적용면 세로 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오브젝트 카메라 부분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 부분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8은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9는 도 8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 이고, 도 10은 도 8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세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11은 도 8의 오브젝트 카메라에 대한 광각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오브젝트 감지센서에 대한 감지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13은 테블릿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오브젝트 카메라 부분에 대한 광각 영역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 부분에 대한 감지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접힘상태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세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고, 도 18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19는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텐트 형태로 예각 펼침된 상태의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고, 도 20은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평면 펼침된 상태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21은 도 1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은 평면 펼침 상태로 네비게이션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2는 도 16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노트북 형태의 사용 모드로 펼침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사용 일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며, 도 23은 접힘상태인 인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평면 펼침 상태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5는 도 23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가 노트북 형태의 사용 모드로 펼침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6은 접힘상태인 2단폴딩 영상표시장치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28은 도 26의 2단폴딩 영상표시장치가 완전 평면 펼침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가로 모드 사용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부터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는 제어부, 화면표시장치(10) 및 화면표시장치(10)가 적용되는 몸체(20)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20)의 일측 모서리에는 화면표시장치(10)의 화면표시면 또는 몸체(20)에 물리 키보드(5)가 적용되는 경우 적용되는 물리 키보드(5)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어있고 제1경사면(110)에는 제1경사면(110)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적용된다.
제 1실시 예에서 몸체(20)는 노트북, 형상 불변인 판상형 스마트폰, 형상 불변인 판상형 테블릿과 함께 형상 가변인 아웃폴딩 몸체, 인폴딩 몸체 및 인앤아웃 폴딩이 모두 가능한 2단폴딩 몸체를 포함한다.
제 1실시예의 몸체(20)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적용된다.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가상 키보드(6)의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이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활성화 되어 촬영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동작인식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1실시예에서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오브젝트 감지센서(130)의 감지와 동시에 촬영모드 진입이 가능하도록 제1경사면(110)의 오브젝트 카메라(120) 인접 부위에 적용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110)은 몸체에 물리 키보드(5)가 적용되어있는 경우 물리 키보드(5)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고, 몸체(20)에 물리 키보드(5)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화면표시장치(10)의 적용면 모서리를 이루는 가로측 모서리 또는 세로측 모서리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모서리들에 한 개 이상의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어있다.
상기의 가로측 모서리는 화면표시장치(10)가 최대 펼침 상태인 경우를 기준으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모서리측을 의미하며 세로측 모서리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모서리측을 의미한다.
도 7, 도 11, 도 12 및 도 15의 단면도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제1경사면(110)이 물리 키보드(5)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110)의 수직축과 물리 키보드(5)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하고, 제1경사면(110)이 화면표시장치(10)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110)의 수직축과 화면표시장치(10)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이룬다.
몸체(20)의 모서리에 제1경사면(110)이 예각을 이루어 형성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작업판(1)이 없는 공간 및 작업판(10) 위에서와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자판 입력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손을 원활히 감지할 수 있어 마우스(3) 없이도 네비게이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몸체(20)에 예각이 아닌 직각의 상태로 제1경사면(110)이 적용되면 작업판(1)이 없는 공간의 상태에서는 문제가 크게 발생치 않으나 작업판(1) 위 또는 무릅 위에 놓여지는 상황에서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카메라 광각 축(121)이 작업판(1) 면 또는 무릅 면을 향하게 되는 관계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작업판(1) 면 또는 무릅 면을 스치며 움직여야하는 불편함과 함께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카메라 광각 축(121)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광각 영역의 절반 부분은 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다른 경우로서 몸체(20)에 제1경사면(110)이 직각을 넘어 둔각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카메라 광각 축(121) 하단 부분에 대부분의 광각 영역이 적용됨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광각 영역 범위가 직각인 경우보다 더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8부터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경사면(110)에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적용된 스마트폰의 실시예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전면 카메라(7)가 적용되지 않아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기존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7)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경우 제1경사면(110)이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전면 카메라(7)를 이용한 셀카 촬영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도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제1경사면(110)이 예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를 이용한 전방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어 전면 카메라(7)의 대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술할 제 2실시예의 회전몸체(140)와 같이 오브젝트 카메라(12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조작 수행시 손가락에 의해 렌즈에 지문 또는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기나 제 1 실시예와 같이 고정된 제1경사면(110)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 인해 즉응성의 향상과 더불어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사면(110)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촬영 가능 범위에 해당하는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111)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
도 20, 도 22, 도 24, 도 25 및 도 2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몸체(20)의 가로측 모서리와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110)이 각각 적용되고 각각의 제1경사면(110)에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적용되어있는 영상표시장의 경우, 화면표시장치(10)에 가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6)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가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11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간섭을 피하거나 입력되는 정보의 장기간 부재상태를 피하기 위해 활성화되지 않으며 화면표시장치(10)에 세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6)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세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11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활성화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도 10, 도 17,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화면표시장치(10)에 가상 키보드(6)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경사면(110)에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적용되어 있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몸체(20)를 한손으로 그립하고 나머지 한손으로 화면을 가리는 터치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화면표시면 밖에 위치되는 광각 영역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네비게이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제 1실시 예의 도 1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텐트 형태로 예각 펼침된 상태의 경우 접힘축을 기준으로 앞, 뒷면에 서로를 마주보며 위치 하는 개별 사용자들에게 광각 영역이 각각 활성화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편리함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실시 예에서와 같이 몸체(20)에 제1경사면(110)이 예각을 이루며 기울어져 형성되어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에 의한 지지 없이 작업판(1)위에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이 놓여있는 상태에서도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도 2의 전방 카메라(7)와 달리 사용자 얼굴 측을 자연스럽게 향하고 있게 되므로 자연스러운 화상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부가적인 장점도 갖게 된다.
도 30은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된 사시도들 및 부분 상세도이며, 도 31은 도 30의 몸체와 회전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2는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에 적용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에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되고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 밖의 모서리에 분리 적용되어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들 및 부분 상세도이다.
도 30부터 도 3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 2실시 예는 제어부, 화면표시장치(10) 및 화면표시장치(10)가 적용되는 몸체(20)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20)에 적용된 화면표시장치(10)의 화면표시면 일측 모서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140)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41) 및 회전몸체(140)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맨 손 또는 기구를 쥐고 있는 손과 같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0 및 도 3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적용된 회전몸체(140)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140) 밖의 몸체 모서리에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적용된다.
또한 도 3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회전몸체(140)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41)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141)가 특정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한 경우에만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활성화 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도록 함으로 인해 회전몸체(140)가 회전되지 않아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카메라 광각 축(121)과 화면표시장치(10)의 수직축이 평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촬영모드로 전환해야만 오브젝트 카메라(120)가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게 되어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200)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별도로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2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는 오브젝트 카메라(120)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
도 29는 도 8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가 별도 적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키보드(200)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별도로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2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으며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키보드(200)가 제어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몸체(20)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120)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130)가 다시 활성 대기상태로 전환되며 이러한 특징은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업판 2: 마우스 패드
3: 마우스 4: 터치패드
5: 물리 키보드 6: 가상 키보드
7: 전면 카메라 8: 후면 카메라
10: 화면표시장치 20: 몸체
100: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110: 제1경사면 111: 제2경사면
120: 오브젝트 카메라 121: 카메라 광각 축
130: 오브젝트 감지센서 131: 센서 감지 축
140: 회전몸체 141: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200: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210: 오브젝트 카메라 220: 오브젝트 감지센서

Claims (9)

  1. 화면표시장치; 및
    화면표시장치가 적용되는 몸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의 일측 모서리에는 화면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또는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는 경우 적용된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있고
    제1경사면에는 제1경사면 앞 부분에 위치되어 움직이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되며,
    상기 제1경사면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감지 영역이 자판 입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화면표시면 또는 상기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에 대해 설정된 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동일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상기 광각 영역 및 감지 영역은 서로 중복 형성되며,
    상기 중복 형성된 감지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에 대응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자동 스위칭을 통해 상기 중복 형성된 광각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1경사면은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는 경우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몸체에 물리 키보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모서리들 중 하나 이상의 모서리들에 한 개 이상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제1경사면이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물리 키보드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하고
    제1경사면이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 제1경사면의 수직축과 화면표시장치의 적용면 수직축은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 끝단에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확보를 위해 제2경사면이 광각 영역 바깥 범위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몸체의 가로측 모서리와 세로측 모서리에 제1경사면이 각각 적용되고 각각의 제1경사면에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영상표시장의 경우,
    화면표시장치에 가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가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활성화되지 않으며
    화면표시장치에 세로 모드의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세로측 모서리의 제1경사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활성화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6. 화면표시장치; 및
    화면표시장치가 적용되는 몸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에 적용된 화면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일측 모서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는 회전몸체;
    몸체 또는 회전몸체의 어느 일측에 적용되며 회전몸체의 회전축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회전몸체의 일면에 적용되어 움직이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가 적용된 회전몸체의 일면 또는 회전몸체 밖의 몸체 모서리에 적용되어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내측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에 전달하는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감지 영역이 자판 입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화면표시면에 대해 상기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했는지 여부를 상기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를 통해 확인하며,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동일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 및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의 상기 광각 영역 및 감지 영역은 서로 중복 형성되며,
    상기 중복 형성된 감지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에 대응한 상기 오브젝트 카메라의 자동 스위칭을 통해 상기 중복 형성된 광각 영역에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회전몸체가 설정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음을 회전축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제어부가 적용되고
    제어부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가 적용되어있는 별도의 키보드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몸체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연결된 별도의 키보드에 적용된 오브젝트 카메라 및 오브젝트 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9.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감지센서는
    오브젝트 카메라의 광각 영역으로 진입 또는 이탈하는 대상물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정전하를 감지하는 정전하센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센서,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거리센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KR1020200038734A 2020-03-31 2020-03-31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KR10218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34A KR102187965B1 (ko) 2020-03-31 2020-03-31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34A KR102187965B1 (ko) 2020-03-31 2020-03-31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71A Division KR20190092005A (ko) 2018-01-30 2018-01-30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79A true KR20200037179A (ko) 2020-04-08
KR102187965B1 KR102187965B1 (ko) 2020-12-07

Family

ID=7027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34A KR102187965B1 (ko) 2020-03-31 2020-03-31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984A (ko) * 2004-06-09 200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KR20130090210A (ko) * 2012-02-03 2013-08-13 (주)파트론 입력 장치
KR20150048608A (ko) * 2013-10-28 2015-05-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동작 제어 방법
KR20160078944A (ko) * 2014-01-02 2016-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움직임 감지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움직임 감지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방법
KR20170108662A (ko)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984A (ko) * 2004-06-09 200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KR20130090210A (ko) * 2012-02-03 2013-08-13 (주)파트론 입력 장치
KR20150048608A (ko) * 2013-10-28 2015-05-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동작 제어 방법
KR20160078944A (ko) * 2014-01-02 2016-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움직임 감지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움직임 감지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방법
KR20170108662A (ko)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965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68B1 (ko)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US1182238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housing member
US7433179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universal human interface
US20090034172A1 (en) Handheld computer having an adjustable length for selectively exposing a surface component
KR20220151174A (ko)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58565A1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375574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101578A1 (en) Multi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0414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7007547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0020762A (ja) タッチセンシティブ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におけるタッチ入力
US10114481B2 (en) Flexible display sensing
US1067126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size display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KR20120014539A (ko) 정보 처리 장치
JP201123306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画面操作方法
EP2746894A2 (en) Flexible apparatus structure
CN106796484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30053377A (ko) 텍스트 입력장치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가 구비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KR102559030B1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899765A (zh) 移动终端双摄像头切换方法及装置
US7248248B2 (en) Pointing system for pen-based computer
TW201135533A (en) Handwrite input electronic device
KR102187964B1 (ko)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KR102187965B1 (ko)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KR20190092000A (ko) 오브젝트 카메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