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941B1 -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941B1
KR102026941B1 KR1020170175388A KR20170175388A KR102026941B1 KR 102026941 B1 KR102026941 B1 KR 102026941B1 KR 1020170175388 A KR1020170175388 A KR 1020170175388A KR 20170175388 A KR20170175388 A KR 20170175388A KR 102026941 B1 KR102026941 B1 KR 10202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ttern
smartphone
sensor
contro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036A (ko
Inventor
진창현
Original Assignee
스타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타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9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06K9/0008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지문인식센서에의 입력에 반응하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기기 조작성을 향상시킨 스마트폰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 손으로 카메라 촬영, 화면 스크롤, 통화녹음 등의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smartphone with backside fingerprint sensor}
본 발명은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지문인식센서에의 입력에 반응하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기기 조작성을 향상시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 웹브라우징을 하거나 사진 촬영을 할 때와 같이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전화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기능을 조작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한 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지하철의 손잡이를 잡고 있는 경우 등과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한 손만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조작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 손 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공개 제10-2016-0019762호에서는 단말을 거치하는 손의 엄지손가락 가용범위 안에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한손가락 만으로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허공개 제10-2017-0083181호에서도 엄지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범위 내에 키보드를 표시하여 한 손으로 키보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왼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경우와 오른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경우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어야 불편이 없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특허등록 제10-0983902호에서와 같이 스마트폰의 후면에 버튼이나 터치 센서 등의 후면 감지부를 마련하고 후면 감지부의 센싱 결과와 상기 전면 터치 감지부의 터치 센싱 결과를 조합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별도의 하드웨어를 마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한 손으로 카메라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한 손으로 셀카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한 손으로 스크롤 동작 또는 페이지 넘기기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의도치 않은 스마트폰 조작을 방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은,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현재 모드는 카메라 앱이 실행중인 카메라 모드이며, 상기 제어동작은 사진촬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모드는 잠금화면 모드, 블랙화면 모드, 또는 홈화면 모드 중의 하나이며, 상기 제어동작은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셀카 촬영 모드로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셀카 촬영 모드로 진입한 후에 지문인식센서에 제2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사진촬영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모드에서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한 후에 떼면 사진 촬영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문인식센서에 터치가 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고,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맞춰진 초점 거리를 유지하며,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에 사진 촬영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현재 모드는 전화통화 모드이며, 상기 제어동작은 통화녹음 시작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통화녹음 중에 지문인식센서에 제2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통화녹음을 중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현재 모드는 웹브라우징 모드이며, 제1 패턴의 터치는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쓸어올리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업(swipe-up) 터치 또는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쓸어내리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다운(swipe-down) 터치 중의 하나이다.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업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상기 제어동작단계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위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다운 동작을 수행하고,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다운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상기 제어동작단계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업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현재 모드는 전자책 읽기 모드이며, 제1 패턴의 터치는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쓸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레프트(swipe-left) 터치 또는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쓸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라이트(swipe-right) 터치 중의 하나이다.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레프트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상기 제어동작단계에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라이트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상기 제어동작단계에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마트폰에는 적어도 일측면에 측면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 또는 상기 제어동작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측면 터치센서에 손으로 스마트폰을 쥐는 패턴인 파지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또는, 측면 터치센서에 손으로 스마트폰을 쥐는 패턴인 파지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지문인식센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후면에 배치된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기능을 조작하므로,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후면에 배치된 지문인식센서를 카메라의 촬영 버튼으로 사용하므로, 한 손으로 카메라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화면 모드, 블랙화면 모드, 또는 홈화면 모드 등에서 간편하게 카메라 앱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 터치센서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잠금화면 모드, 블랙화면 모드 등에서 의도치 않게 카메라 앱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문인식센서에 터치가 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고,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이 바뀌어도 맞춰진 초점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에 사진 촬영을 하므로,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물체를 향한 상태에서 지문인식센서에 터치하여 해당 물체에 초점을 맞춘 후에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원하는 프레임이 나오도록 바꾼 후에 지문인식센서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촬영을 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도 원하는 초점 거리로 쉽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셀카 촬영시에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은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후면에 배치된 지문인식센서를 터치하여 촬영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 셀카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은 상태에서 웹브라우징을 하거나 전자책(ebook)을 읽고 있을 때에 스마트폰을 잡은 손의 검지 손가락으로 스크롤 동작 또는 페이지 넘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스마트폰의 한가지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스마트폰의 후면 배치의 몇가지 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배치된 지문인식센서를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후면의 지문인식센서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어할 때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셀카를 촬영할 때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셀카를 촬영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지문인식센서에서의 스와이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지문인식센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에는 디스플레이가 장치의 전면(前面)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아서 지문인식센서가 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지문인식센서는 잠금화면에서 잠금을 해제하거나 앱 구매 및 설치, 금융거래, 상품구매 등의 경우에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지문인식센서가 후면에 배치되어 있는 스마트폰에서,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 스크롤, 페이지 넘김 등의 동작을 한 손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한가지 실시형태의 스마트폰(100)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스마트폰의 한가지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스마트폰의 후면 배치의 몇가지 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제어부(110)와, 전면부(120)에 배치된 터치스크린(121), 근접센서(122), 조도센서(123), 전면 카메라(124), 햅틱 모듈(125)과, 후면부(130)에 배치된 지문인식센서(131), 후면 카메라(132), 플래시(133)와, 측면부(140)에 배치된 측면 버튼부(141), 측면 터치감지부(142)와, 무선 통신부(150), 오디오 입출력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마트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스마트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터치스크린(121)은 터치감지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마이크로 LED(micro-L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설치되는 터치센서로는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가 사용되지만, 저항막 방식, 유도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스마트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근접센서(122, proximity sensor)는 스마트폰 전면에 배치되어 스마트폰 앞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한다. 특히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위하여 스마트폰을 뺨에 갖다댔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조도 센서(123, illumination sensor)도 스마트폰 전면에 배치되며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스마트폰이 주머니나 가방 안에 들어가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24)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전면 카메라(124)는 특히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을 촬영할 때, 즉 셀카를 찍을 때 사용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터치스크린(12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으로 전송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2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1)을 터치했을 때 진동을 주어 사용자가 제대로 터치했음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스마트폰(100)의 후면에는 지문인식센서(131)가 설치된다. 스마트폰(100)의 후면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131)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지문인식센서(131)는 종래의 스마트폰에서와 같이 잠금화면에서 잠금을 해제하거나 앱 구매 및 설치, 금융거래, 상품구매 등의 경우에 사용자를 인증하는데에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진 촬영, 스크롤, 페이지 넘김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지문인식센서(131)로는 지문 이미지를 사진으로 찍어 인식하는 광학식 센서(Optical sensor), 피부 표면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파악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정전식 센서(Capacitive sensor), 초음파 신호를 방사하여 피부의 표피층을 통과해서 반사되는 신호로부터 지문을 인식하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방식의 지문인식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마트폰의 후면에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면 카메라(132)와, 플래시(133)가 설치된다. 도 3은 후면 카메라가 두 개(132a, 132b)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지문인식센서(131)가 후면 카메라(132a, 132b)의 아래에 설치된 실시예(a)와, 후면 카메라(132a, 132b)의 옆에 설치된 실시예(b)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지문인식센서(131)와 후면 카메라(132)의 특정 배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마트폰(100)의 측면부(140)에는 전원 온/오프, 화면 온/오프, 음량조절 등의 조작을 위한 측면 버튼부(141)와,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을 손으로 잡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측면 터치감지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측면 버튼부(141)로는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 다양한 입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의 조작에 할당될 수 있다. 측면 터치감지부(1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을 손으로 잡았는지 여부 또는 손으로 잡은 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양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측면 터치감지부(142)로는 정전용량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uage), 압전소자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스마트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스마트폰(100)와 다른 스마트폰(100) 사이, 또는 스마트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50)는, 스마트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통신 모듈,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등의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부(160)는 음성통화, 음성녹음 등의 경우에 음향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통화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신호, 음악, 동영상의 오디오, 벨소리, 버튼소리 등의 음향 신호 출력을 위한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후면의 지문인식센서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어할 때의 동작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측면 터치감지부(142)가 구비된 스마트폰(100)에서는 측면 터치감지부(142)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손으로 스마트폰을 쥐는 패턴인 파지 패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01). 측면 터치감지부(142)가 스마트폰의 양 측면에 설치된 터치센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파지 패턴은, 예를 들면, 한쪽은 손바닥의 엄지손가락 아래 부분이 닿았을 때의 신호패턴이 나타나고 다른쪽은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이 닿았을 때의 신호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파지 패턴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파지 패턴을 등록하도록 구성하여 해당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은 상태에서만 지문인식센서(131)를 사용한 스마트폰 기능 조작을 허용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기능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측면 터치감지부(142)에서 감지된 측면 터치 패턴이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의 패턴과 일치하면 단계 S503에서 지문인식센서(131)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단계 S501 및 단계 S503은 생략 가능하다. 즉, 측면 터치 상태와 관계없이 항상 지문인식센서(131)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측면 터치 상태와 관계없이 스마트폰이 잠금화면 모드, 블랙화면 모드, 홈화면 모드, 카메라 모드, 전화통화 중인 상태 등과 같이 지정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지문인식센서(131)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지문인식센서(131)는 항상 활성화시켜두고 단계 S505 또는 단계 S507의 동작은 파지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문인식센서(13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지문인식센서(131)를 통해 소정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는지를 계속 감시한다(단계 S505). 소정 패턴의 터치라 함은, 예를 들면, 지문인식센서를 터치하고 상하좌우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쓸면서 이동하는 스와이프(swipe) 동작,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 이내 동안 소정 횟수 터치한 후에 떼는 동작,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한 후에 떼는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패턴의 터치에 할당된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507). 예를 들면, 제1 패턴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면 카메라를 촬영하고 제2 패턴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면 화면을 스크롤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모드에 따라 동일한 터치 동작에 대해서 수행하는 제어동작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한 후에 떼는 동작이 감지되면, 통화모드에서는 현재의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카메라 모드에서는 셔터 버튼을 누르는 동작, 즉 사진촬영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단계 S505 및 단계 S507의 몇가지 구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본 발명의 방법은 한 손으로 카메라 촬영을 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로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는 소위 '셀카' 촬영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전면의 터치스크린(121)에 표시된 카메라 촬영 버튼을 터치하여 촬영하게 된다. 그런데,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같은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기기를 제어하는 동작은 손이 작은 사람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촬영되는 화면 프레임을 잡은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고 엄지 손가락을 특정 위치를 터치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한, 전면의 터치스크린에 배치된 촬영버튼을 엄지손가락으로 터치하여야 하므로 엄지손가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게 되어 촬영될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불편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스마트폰의 후면에 배치된 지문인식센서(131)에 검지손가락을 갖다댔다가 뗌으로써 촬영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동작은 스마트폰의 한쪽 측면은 엄지 손가락으로 잡고, 나머지 측면은 검지를 제외한 세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을 지문인식센서(131)에 갖다대면 사진 촬영을 할 수 있으므로, 손바닥의 엄지 손가락의 아래 부분으로 한쪽 측면을 파지하여야 하는 종래 방법에 비하여 용이하게 셀카 촬영이 가능하다. 특히, 대화면의 스마트폰에서 종래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편리하다. 또한, 사진 촬영시에 촬영되는 화면을 손가락으로 가리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실시형태에 따라, 이 동작은 카메라 앱이 실행중인 카메라 모드에서만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잠금화면 모드, 블랙화면 모드, 또는 홈화면 모드 중의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되면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고, 다시 지문인식센서에 제2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사진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패턴의 터치와 제2 패턴의 터치는 동일한 패턴의 터치로 정의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패턴의 터치로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터치 동작은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 이내에 두 번 터치하는 것이고, 사진촬영 동작을 위한 터치 동작은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 이상(예를 들면 1.5초) 한 번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잠금화면 모드, 블랙화면 모드, 또는 홈화면 모드 중의 하나의 모드에서 지문인식센서를 빠르게 두번 터치하여 카메라 앱을 실행시킨 후에, 지문인식센서에 손가락을 1.5초 이상 길게 갖다댄 후에 떼면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문인식센서를 사용한 카메라 조작은 셀카 촬영에만 적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잠금화면 모드, 블랙화면 모드, 또는 홈화면 모드 중의 하나의 모드에서 지문인식센서를 빠르게 두번 터치하면, 즉 소정 시간 이내에 두번 터치하면, 셀카 촬영 모드로 카메라 앱이 실행되고, 다시 지문인식센서에 손가락을 예를 들면 1.5초 이상 갖다댄 후에 떼면 셀카 촬영 모드에서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사진 촬영이 손가락을 지문인식센서(131)에 갖다댔을 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손가락을 지문인식센서(131)에서 떼었을 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지문인식센서(131)에 터치가 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고,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맞춰진 초점 거리를 유지하며,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에 사진 촬영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초점거리를 맞추고자 하는 물체(예를 들면 자신의 얼굴)가 가운데로 오도록 카메라 프레임을 조정한 상태에서 지문인식센서(131)에 손가락을 갖다대면 해당 물체에 초점거리가 맞춰지고, 지문인식센서(131)에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예를 들면 자신의 뒤에 있는 배경)으로 카메라 프레임을 잡으면 초점거리가 자신의 얼굴에 맞춰진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배경이 가운데로 오도록 프레임만이 변경되며(즉, 배경이 중앙에 배치되면서도 배경에 초점이 맞도록 자동초점조절이 되지 않고 자신의 얼굴에 맞춘 초점이 유지되며), 지문인식센서(131)에서 손가락을 떼면 유지된 초점으로 사진촬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 초점거리는 자신의 얼굴에 맞추면서도 자신의 얼굴이 화면의 한쪽 구석에 배치되고 멀리 있는 배경이 화면의 중앙에 아웃포커싱된 상태로 배치된 사진을 한 손으로 쉽게 촬영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제2 실시예에서는 웹브라우징(web-browsing)을 하거나 전자책(e-book)을 읽을 때 후면의 지문인식센서를 사용하여 화면을 상하로 스크롤하거나 페이지를 좌우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한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웹브라우징을 하거나 전자책을 읽을 때에는 한 손으로 장치를 잡은 상태에서 나머지 손의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하로 스와이프 하거나 좌우로 스와이프 하여 스크롤 또는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입력방법이다. 그런데, 한 손으로 가방을 들고 있다거나 한 손으로 버스 손잡이를 잡고 있는 경우와 같이 두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종래에는 한 손으로 장치를 잡은 상태에서 같은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전면의 터치스크린에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스크롤 하거나 페이지를 넘겨야 한다. 그러나 엄지 손가락으로는 원호를 그리는 동작이 자연스러운 동작이어서 상하 움직임과 좌우 움직임을 정확하게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전면의 화면에 손가락을 대고 문질러야 하므로 화면에 손자국이 남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4가지 스와이프 터치 동작을 사용하여 화면의 스크롤 또는 페이지 넘김 동작을 조작하도록 구성한다. 도 8의 (a)는 지문인식센서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쓸어내리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다운(swipe-down) 터치의 경우에 지문인식센서(131)에서 시계열적으로 감지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으며, (b)는 지문인식센서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쓸어올리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업(swipe-up) 터치의 경우에 지문인식센서(131)에서 시계열적으로 감지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8의 (c)는 지문인식센서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쓸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라이트(swipe-right) 터치의 경우에 지문인식센서(131)에서 시계열적으로 감지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으며, (d)는 지문인식센서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쓸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레프트(swipe-left) 터치의 경우에 지문인식센서(131)에서 시계열적으로 감지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8은 지문인식센서(131)에서 감지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서, 지문인식센서(131)가 스마트폰(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반전된 방향으로 감지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d)의 스와이프-레프트 터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검지 손가락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쓸면서 터치하는 동작이다.
단계 S505에서 스와이프 업(swipe-up) 터치가 감지되면, 웹브라우징 모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의 화면 스크롤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에, 단계 S507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위로 이동시키는, 즉 아래에 있는 내용을 위로 올려가면서 보여주는 스크롤 다운 동작을 수행하고, 단계 S505에서 스와이프 다운(swipe-down) 터치가 감지되면, 웹브라우징 모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의 화면 스크롤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에, 단계 S507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즉 위에 있는 내용을 아래로 내려가면서 보여주는 스크롤 업 동작을 수행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업(swipe-up) 터치가 감지되면 스크롤 업 동작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다운(swipe-down) 터치가 감지되면 스크롤 다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505에서 스와이프 라이트(swipe-right) 터치가 감지되면, 전자책(e-book) 읽기모드와 같이 페이지의 전후 이동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에, 단계 S507에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단계 S505에서 스와이프 레프트(swipe-left) 터치가 감지되면, 전자책(e-book) 읽기 모드와 같이 페이지의 전후 이동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에, 단계 S507에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파지한 손의 검지 손가락으로 후면의 지문인식센서를 한쪽 방향으로 쓸면서 터치하여 스크롤 또는 페이지 넘김 동작을 제어하므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전면의 화면에 손자국이 남지 않는다.
< 제3 실시예 >
제3 실시예에서는 전화 통화시에 통화 녹음의 시작 또는 정지를 지문인식센서를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전화통화 시에 단계 S505에서 지문인식센서(131)에 소정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단계 S507에서 통화녹음을 시작한다. 또한, 통화녹음 중인 상태에서 단계 S505에서 지문인식센서(131)에 소정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단계 S507에서 통화녹음을 중지한다. 전화통화시에 통화녹음을 시작하기 위한 터치 패턴은 예를 들면 1초 이내에 지문인식센서(131)를 2번 터치하는 것이고, 통화녹음 도중에 통화녹음을 정지하기 위한 터치 패턴은 예를 들면 1초 이내에 지문인식센서(131)를 3번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통화녹음의 시작과 정지를 동일한 패턴의 터치 동작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 기타 실시예 >
지문인식센서(131)를 터치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현재 모드에 따라 카메라 줌 배율 (카메라 모드) / 글자 크기 (문서읽기 모드) / 화면확대배율 (기타 모드) 등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인식센서(131)를 한번 터치하면 줌배율=100% / 정상 글자 크기 / 화면확대배율=100%, 빠르게 두번 터치(더블터치)하면 화면확대배율=150% / 줌배율=200% / 글자 크기=1.5배, 빠르게 세번 터치하면 화면확대배율=200% / 줌배율=300% / 글자 크기=2배 등과 같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적절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폰,
110 제어부,
120 전면부,
130 후면부,
140 측면부,
150 무선 통신부,
160 오디오 입출력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현재 모드는 잠금화면 모드, 블랙화면 모드, 또는 홈화면 모드 중의 하나이며, 상기 제어동작은 셀카 촬영 모드로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는 것이며,
    셀카 촬영 모드로 진입한 후에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2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사진촬영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6. 삭제
  7.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현재 모드는 전화통화 모드이며, 상기 제어동작은 통화녹음 시작이며,
    통화녹음 중에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2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통화녹음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8. 삭제
  9.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현재 모드는 카메라 앱이 실행중인 카메라 모드이며,
    상기 제1 패턴의 터치는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한 후에 떼는 것이며,
    상기 제어동작은 사진촬영이며,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터치가 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고,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맞춰진 초점 거리를 유지하며,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에 사진 촬영을 하는 것인, 제어방법.
  10.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터치는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 이내 동안 소정 횟수 터치한 후에 떼는 동작인, 제어방법.
  11.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터치는 지문인식센서를 소정 시간 이내에 제1 소정 횟수 터치한 후에 떼는 동작이며, 상기 제2 패턴의 터치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소정 횟수와는 다른 제2 소정 횟수 터치한 후에 떼는 동작인, 제어방법.
  12.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현재 모드는 웹브라우징 모드이며,
    상기 제1 패턴의 터치는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쓸어올리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업(swipe-up) 터치 또는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쓸어내리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다운(swipe-down) 터치 중의 하나이며,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업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상기 제어동작단계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위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다운 동작을 수행하고,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다운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상기 제어동작단계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업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방법.
  13.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현재 모드는 전자책 읽기 모드이며,
    상기 제1 패턴의 터치는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쓸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레프트(swipe-left) 터치 또는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쓸면서 터치하는 스와이프 라이트(swipe-right) 터치 중의 하나이며,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레프트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상기 제어동작단계에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에서 스와이프 라이트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상기 제어동작단계에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방법.
  14.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폰에는 적어도 일측면에 측면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 또는 상기 제어동작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면 터치센서에 손으로 스마트폰을 쥐는 패턴인 파지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15.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 제1 패턴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패턴 터치감지단계와,
    스마트폰의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터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동작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폰에는 적어도 일측면에 측면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터치센서에 손으로 스마트폰을 쥐는 패턴인 파지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제어방법.
KR1020170175388A 2017-12-19 2017-12-19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KR10202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88A KR102026941B1 (ko) 2017-12-19 2017-12-19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88A KR102026941B1 (ko) 2017-12-19 2017-12-19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36A KR20190074036A (ko) 2019-06-27
KR102026941B1 true KR102026941B1 (ko) 2019-09-30

Family

ID=6705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388A KR102026941B1 (ko) 2017-12-19 2017-12-19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9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449A (ko) * 2013-11-27 2015-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206054B1 (ko) * 2014-05-09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36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05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27890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206044B1 (ko) 뱅글 타입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및 ui 표시 방법
KR20210008902A (ko) 뱅글 타입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및 ui 표시 방법
US9047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7177597A1 (zh) 实体按键组件、终端、触控响应方法及装置
WO2020134744A1 (zh) 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US2010010313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product
JP2021057069A (ja) 電子機器
JP2013235588A (ja) 空間上の相互作用に基づく端末の制御方法及びその端末
KR20170006055A (ko) 이동 단말기
JP6940353B2 (ja) 電子機器
KR10190414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9140368A (ja) 入力装置、表示装置、入力方法、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805796A (zh) 控制圖形化使用者介面的方法及其電子裝置
JP2011070474A (ja) 携帯端末装置
CN104049851A (zh) 一种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16139947A (ja) 携帯端末
KR2015013160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10229459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20518914A (ja) タッチ感知及びタッチ圧力感知が可能な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90135794A (ko) 이동 단말기
JP2020017215A (ja)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WO2017161813A1 (zh) 一种照相机模式切换方法、装置及移动设备
KR102026941B1 (ko)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