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552A -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552A
KR20200036552A KR1020180116337A KR20180116337A KR20200036552A KR 20200036552 A KR20200036552 A KR 20200036552A KR 1020180116337 A KR1020180116337 A KR 1020180116337A KR 20180116337 A KR20180116337 A KR 20180116337A KR 20200036552 A KR20200036552 A KR 20200036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blocking member
blocking
molten stee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247B1 (ko
Inventor
이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1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2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9Refining the metal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금속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과, 용융금속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서 용융금속이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차단부; 및 가스를 배기하도록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의 배기공간과 연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용기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MOLTEN METAL SUPPLYING APPARATUS AND MOLTEN METAL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장치는 정련된 용강을 공급받아 주편을 제조하는 설비이다. 연속 주조장치는, 용강을 운반하는 래들, 래들에서 용강을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는 턴디쉬, 턴디쉬로부터 공급받은 용강을 주편으로 1차 응고시키는 주형, 및 주형에서 인발되는 주편을 2차 냉각시키는 냉각대로 구성된다.
이때, 주편의 품질은 용강 내 가스 성분에 영향을 받는다. 용강을 정련하면서 투입된 각종 부원료들이 반응할 수도 있고, 래들이 용강을 운반하면서 발생되는 나탕에 의해 용강이 산화될 수도 있고, 래들에서 턴디쉬로 용강을 주입할 때 용강이 공기와 접촉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턴디쉬에 수용된 용강에 주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가스 성분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련된 용강의 질소 함량, 및 턴디쉬 내 용강의 질소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면, 턴디쉬 내 용강의 질소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난다. 즉, 용강의 상부를 보온재로 덮거나, 래들과 턴디쉬에 커버를 씌우지만, 용강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공기와 접촉한 용강이 주형으로 공급되어, 주편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2018-0043549 A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융금속으로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융금속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과, 용융금속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서 용융금속이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차단부; 및 가스를 배기하도록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의 배기공간과 연결되는 배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경로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제1 차단부재보다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경로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상기 제2 차단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경로의 하부의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3 차단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제1 차단부재의 하단부보다 더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을 교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교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제3 차단부재를 마주보는 상기 제1 차단부재의 일면에 설치되고, 불활성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제1 분사기; 및 상기 제1 차단부재를 마주보는 상기 제3 차단부재의 일면에 설치되고, 불활성 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제2 분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턴디쉬, 및 상기 턴디쉬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턴디쉬 및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상기 턴디쉬는, 외부에서 용강을 공급받을 수 있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이격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해주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용융금속을 수용하고 배출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서 용융금속이 이동하는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부재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기 내부로 용융금속을 공급하고, 상기 경로를 따라 용융금속을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의 배기공간의 가스를 배기하고,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공간의 가스를 배기하는 과정은, 상기 배기공간을 상기 차단부재들과 용융금속으로 밀폐시키는 과정; 및 밀폐된 배기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용융금속을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재를 마련하는 과정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경로의 상부를 차단하는 제1 및 제2 차단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경로의 하부를 차단하는 제3 차단부재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 사이의 용융금속의 탕면 높이가, 상기 제2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의 탕면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용융금속을 이동시킨다.
상기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용융금속을 교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융금속을 교반하는 과정은,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 중 적어도 일부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기(턴디쉬)에 수용되어 이동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용융금속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가스 성분도 제거할 수 있다. 즉, 용융금속의 청정성을 향상시켜, 용융금속으로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부, 배기부, 및 교반부가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차단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용융금속 공급장치가 주조설비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용융금속은 용강일 수 있고, 용융금속 공급장치는 래들에서 공급받은 용강을 주형에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주조설비는 주편을 주조하는 설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조설비는 래들(10), 용융금속 공급장치(100), 주형(20), 및 냉각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래들(10)은 원통형의 용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들(10)은 용강(M)을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래들(10)의 하부에는 주입노즐(15)이 구비될 수 있다.
주입노즐(1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부에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주입노즐(15)은 쉬라우드 노즐일 수 있다. 래들(10) 내부에 저장된 용강(M)이 주입노즐(15)을 통해 용융금속 공급장치(1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래들(10)은 래들 터렛(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래들 터렛은 용융금속 공급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래들(10)을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래들(10)이 래들 터렛에 의해 교체되면서 용융금속 공급장치(100)에 연속적으로 용강(M)을 공급해줄 수 있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래들(10)과 주형(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내부에 용강(M)을 소정시간 체류시키면서, 용강(M) 내 개재물을 분리 부상시키고, 용강(M) 내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용강(M)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주형(20)으로 청정도가 향상된 용강(M)이 공급되어, 주편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주형(20)은 용융금속 공급장치(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주형(20)은 용강(M)을 응고시켜 금속 제품의 외관을 결정하는 틀이다. 주형(20)은 복수개의 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형(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장변부재와, 한 쌍의 장변부재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변부재들과 단변부재들 사이에 용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주형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용용금속 공급장치(100)는 침지노즐(111e)로 주형(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주형(20) 내부로 용강(M)을 공급할 수 있다. 주형(20) 내부에서 응고되는 용강은, 주형(20)의 하부로 인발되어 주편으로 생산될 수 있다.
냉각대(미도시)는 주형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대는 주형의 하부로 인발되는 주편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대는 주편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주편의 이동경로 일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이송롤러들 따라 이동하는 주편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주편을 더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부, 배기부, 및 교반부가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차단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내부에 수용된 용융금속(예를 들어, 용강(M))을 외부로 배출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용기(110), 차단부(120), 및 배기부(140)를 포함한다.
용기(110)는 용강(M)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과, 용강(M)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11d)를 구비한다. 용기(110)는 턴디쉬(111), 및 커버부재(112)를 포함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턴디쉬(111)는 내부에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턴디쉬(111) 내부로 공급된 용강(M)은 턴디쉬(111) 내부를 따라 이동하다가 배출구(111d)로 유입될 수 있다. 턴디쉬(111)는 유입부(111a), 배출부(111b), 침지노즐(111e), 및 연결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11a)는 래들(10)의 하측에 위치한다. 유입부(111a)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주입노즐(15)이 유입부(111a) 내부로 용강(M)을 공급해줄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111a)는 래들(10)를 통해 외부에서 용강을 주입 또는 공급받을 수 있다.
배출부(111b)는 주형(20)의 상측에 위치한다. 배출부(111b)는 유입부(111a)와 이격될 수 있다. 배출부(111b)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배출부(111b)의 바닥에 배출구(111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111d)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용기(110)의 내부에는 용강(M)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래들(10)의 주입노즐(15)에 의해 유입부(111a) 내부에 용강(M)이 채워질 수 있다. 유입부(111a) 내부에 채워지는 용강(M)은 연결부(111b)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11b)로 이동한 용강(M)은 배출부(111c)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턴디쉬(111) 내부에서 용강(M)이 유입부(111a)에서 연결부(111b)를 지나 배출부(111c)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턴디쉬(111) 내부에 용강이 채워지면서, 턴디쉬(111) 내부에서 용강(M)의 탕면 높이가 상승할 수 있고, 배출구(111d)를 개방하면 턴디쉬(111) 내부에 채워진 용강(M)이 주형(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침지노즐(111e)은 배출부(111b)에 연결된다. 침지노즐(111e)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침지노즐(111e)의 상단은 배출구(111d)와 연결되고, 하단은 주형(20)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용강(M)이 침지노즐(111e)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배출구(111d)를 통해 침지노즐(111e)로 유입된 용강이 주형(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연결부(111c)는 유입부(111a)와 배출부(111b)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부(111c)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연결부(111c)는 일단이 유입부(111a)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출부(111b)에 연결된다. 연결부(111c)는 유입부(111a)의 내부와 배출부(111b)의 내부를 연결 또는 연통시켜줄 수 있다. 이에, 유입부(111a)로 유입된 용강(M)이 연결부(111c)를 통해 배출부(111b)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재(112)는 턴디쉬(1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1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12)는 턴디쉬(111)의 평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유입부(111a), 배출부(111b), 및 연결부(111c)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12)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부(111a), 배출부(111b), 및 연결부(111c)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12)에는 래들(10)의 주입노즐(15), 및 후술될 스토퍼(113a)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12)가 턴디쉬(111)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한 상태에서, 래들(10)을 통해 턴디쉬(111) 내부로 용강(M)을 공급하거나, 스토퍼(113a)의 위치를 조절하여 턴디쉬(111)에서 주형(20)으로 공급되는 용강(M)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용기(110)는 조절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113)는 턴디쉬(111)에서 주형(20)으로 공급되는 용강(M)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재(113)는 스토퍼(113a), 및 구동부재(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13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113a)의 상단은 구동부재(113b)와 연결되고, 하단은 배출구(111d)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재(113b)는 턴디쉬(111)의 외측에서 스토퍼(113a)와 연결된다. 구동부재(113b)는 스토퍼(113a)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113b)는 스토퍼(113a)를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실린더로 지지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켜, 스토퍼(113a)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토퍼(113a)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스토퍼(113a)와 배출구(111d) 사이가 멀어져, 배출부(111b) 내부의 용강(M)이 배출구(111d)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주형(20)으로 공급되는 용강(M)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스토퍼(113a)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스토퍼(113a)와 배출구(111d) 사이가 가까워져, 배출부(111b) 내부의 용강이 배출구(111d)로 유입되는 것을 스토퍼(113a)가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주형(20)으로 공급되는 용강(M)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 스토퍼(113a)의 하단부가 배출구(111d)와 접촉하여 배출구(111d)를 완전히 차단하면, 배출부(111b)에서 주형(20)으로 용강(M)이 공급되는 것이 중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부(120)는 턴디쉬(111) 및 커버부재(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부(120)는 용기(110)의 내부공간에서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된다. 이에, 차단부(120)는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여, 용강(M)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120)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단부(120)는 제1 차단부재(121), 및 제2 차단부재(122)를 포함한다.
제1 차단부재(121)는 턴디쉬(111) 내부에서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1 차단부재(12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차단부재(121)는 적어도 일부가 턴디쉬(111)의 바닥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1 차단부재(121)의 하부에 용강(M)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개구(121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M)이 제1 개구(121a)를 통해 제1 차단부재(121)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부재(121)는 연결부(111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단부재(121)는 커버부재(112)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지지되거나, 연결부(111c)의 벽체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제1 차단부재(121)는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의 상부는 막고 하부는 개방하여, 연결부(111c)를 통과하는 용강(M)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차단부재(121) 턴디쉬(111) 내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차단부재(122)는 턴디쉬(111) 내부에서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2 차단부재(12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단부재(122)는 적어도 일부가 턴디쉬(111)의 바닥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2 차단부재(122)의 하부에 용강(M)이 통과할 수 있는 제2 개구(122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M)이 제2 개구(122a)를 통해 제2 차단부재(122)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부재(122)는 제1 차단부재(121)와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2 차단부재(122)는 제1 차단부재(121)보다 배출구(111d)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차단부재(121)를 통과한 용강(M)이 제2 차단부재(122)를 통과하여 배출구(111d)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단부재(122)는 연결부(111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단부재(122)는 커버부재(112)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지지되거나, 연결부(111c)의 벽체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제2 차단부재(122)는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의 상부는 막고 하부는 개방하여, 연결부(111c)를 통과하는 용강(M)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차단부재(122) 턴디쉬(111) 내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차단부재(121)와 제2 차단부재(122)가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제1 차단부재(121)와 제2 차단부재(122) 사이에 배기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턴디쉬(111) 내부에 용강(M)이 채워져 제1 차단부재(121)와 제2 차단부재(122)의 하단부가 용강(M)에 침지되면(또는, 제1 개구(121a)와 제2 개구(122a)가 용강에 완전히 잠기게 되면), 제1 차단부재(121), 제2 차단부재(122), 커버부재(112), 및 용강(M)에 의해 밀폐되는 배기공간(S)이 턴디쉬(11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부(140)로 밀폐된 배기공간(S)의 가스를 배기시키면, 용강(M) 내의 가스가 용강에서 분리되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배기공간(S)은 연결부(111b)에 위치하여, 배출부(111c)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배기공간(S)에서 가스가 제거된 용강(M)이 바로 배출부(111c)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배기공간(S)과 배출부(111c) 사이에 별도의 용강(M)의 이동경로가 없기 때문에, 가스가 제거된 용강이 배출부(111c)로 이동하기 전에 대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111c)로 청정한 상태의 용강(M)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차단부(120)는 제3 차단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차단부재(123)는 턴디쉬(111) 내부에서 용강이 이동하는 경로의 하부를 차단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3 차단부재(12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차단부재(123)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재(112)의 하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3 차단부재(123)의 상부에 용강(M)이 통과할 수 있는 제3 개구(12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제3 개구(123a)를 통해 제3 차단부재(123)의 상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3 차단부재(123)는 제1 차단부재(121) 및 제2 차단부재(122)와 용강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3 차단부재(123)는 제1 차단부재(121)와 제2 차단부재(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차단부재(121)를 통과한 용강(M)이 제3 차단부재(123)와 제2 차단부재(122)를 통과하여 배출구(111d)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차단부재(123)는 연결부(111c)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차단부재(123)는 연결부(111c)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지지되거나, 연결부(111c)의 벽체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차단부재(123)는 용강(M)이 이동하는 경로의 하부는 막고 상부는 개방하여, 연결부(111c)를 통과하는 용강(M)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차단부재(123) 턴디쉬(111) 내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a)와 같이 제3 차단부재(123)의 상단부가, 제1 차단부재(121)의 하단부보다 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 개구(123a)가 제1 개구(121a)보다 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121a)를 통과한 용강(M)이 제3 차단부재(123)의 벽체 부딪혀 상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에, 용강(M)이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3 개구(123a)를 통해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 차단부재(123)가 댐 역할을 하여, 제3 차단부재(123)의 상단까지 용강(M)이 채워질 때까지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로 용강(M)이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용강(M)의 탕면 높이가,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용강(M)의 탕면 높이보다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단부재(122), 제3 차단부재(123), 커버부재(112), 및 용강 사이에 배기공간(S)이 넓어질 수 있고, 배기공간(S)의 가스를 용이하게 배기할 수 있다.
한편,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간격(A)이,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간격(B)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에 더 넓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배기공간(S)에서 용강(M)의 탈가스 반응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용강(M)에서 제거되는 가스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도 4의 (a)와 같이 제2 차단부재(122)는 전체가 턴디쉬(111)의 바닥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차단부재(122)와 턴디쉬(111) 바닥 사이에 제2 개구(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개구(122a)의 크기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제2 개구(122a)를 통과하는 용강(M)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11b)에서 배출부(111c)로 용강(M)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b)와 같이 제2 차단부재(122)의 일부는 턴디쉬(111) 바닥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차단부재(122) 하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제2 개구(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차단부재(122)가 지지되는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단부재(122)가 용강(M)에 밀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배기부(140)는 가스를 배기하도록 차단부재들 사이의 배기공간(S)과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배기부(140)가 용기(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간격이,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간격보다 넓다.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용강(M)의 탕면 높이가,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용강(M)의 탕면 높이보다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배기공간(S) 중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공간이,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공간보다 부피가 넓어질 수 있다. 이에,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에 배기부(140)를 위치시키면, 배기부(140)가 가스를 용이하게 배기할 수 있고, 배기할 수 있는 가스의 양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용강(M)의 탕면 높이가,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용강(M)의 탕면 높이보다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배기공간으로 노출되는 용강(M)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배기부(140)로 용강(M) 내 가스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다. 배기부(140)는 배기부재(141), 및 배기라인(142)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부재(141)는 커버부재(112)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부재(141)는 차단부재들 사이의 공간에서 가스를 흡입하여, 턴디쉬(11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배기부재(141)는 용강(M) 내 가스를 분리하여 배기할 수 있고, 용강(M)에서 분리된 가스가 용강(M)과 접촉하여 다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라인(142)은 일단이 배기부재(141)와 연결되고, 타단이 배기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배기펌프의 작동으로 차단부재들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한편, 도 3의 (b)와 같이 용융금속 공급장치(100)는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강(M)을 교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교반부(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교반부(130)는 용강(M)을 교반시켜 배기공간(S)에 노출되는 용강(M)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용강(M) 중 하부층의 용강을 상부층으로 상승시켜, 하부층의 용강(M)도 배기공간(S)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용강(M) 전체에서 가스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배기부(140)로 배기될 수 있다. 교반부(130)는 제1 분사기(131), 및 제2 분사기(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기(131)는 제3 차단부재(123)를 마주보는 제1 차단부재(12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분사기(131)는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를 사이를 이동하는 용강으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해줄 수 있다. 불활성가스가 비중 차이에 의해 용강 내에서 상승하면서, 용강을 교반시킬 수 있다. 제1 분사기(131)는 제1 분사부재(131a), 및 제1 공급라인(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부재(131a)는 다공질 포러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사부재(131a)는 불활성가스는 통과시키고, 용강은 통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부재(131a)를 통해 용강으로 불활성가스가 공급될 수 있지만, 용강이 제1 분사부재(131a)를 통과하여 제1 분사부재(131a) 내부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제1 분사부재(131a)는 제1 차단부재(121)의 일면 전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를 통과하는 용강에 전체적으로 불활성가스를 분사하여, 제1 분사부재(131a)에서 분사된 불활성가스와 용강이 접촉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분사부재(131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131b)은 불활성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131b)은 일단이 턴디쉬(111)를 관통하여 제1 분사부재(131a)와 연결되고, 타단이 턴디쉬(111) 외부의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불활성가스가 제1 공급라인(131b)을 통해 제1 분사부재(131a)로 공급되어, 용강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급라인(131b)은 제1 제어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제어밸브는 제1 공급라인(131b)이 형성하는 불활성가스의 이동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1 제어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 분사부재(131a)가 분사하는 불활성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2 분사기(132)는 제1 차단부재(121)를 마주보는 제3 차단부재(123)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분사기(132)는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를 사이를 이동하는 용강으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해줄 수 있다. 불활성가스가 비중 차이에 의해 용강 내에서 상승하면서, 용강을 교반시킬 수 있다. 제2 분사기(132)는 제2 분사부재(132a), 및 제2 공급라인(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분사부재(132a)는 제1 분사부재(131a)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2 공급라인(132b)은 제1 공급라인(131b)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사기(131)와 제2 분사기(132)에서 분사되는 불활성가스는 용강 상부로 떠오를 수 있다. 제1 분사기(131)와 제2 분사기(132)에서 함께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를 통과하는 용강(M) 전체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버블링이 발생할 수 있고, 용강(M) 전체가 교반되면서, 개재물이나 용강(M) 내 가스 성분이 용강(M)에서 분리될 수 있다. 용강(M)과 분리된 개재물은 용강(M)의 상부로 부상하여 분리될 수 있고, 용강(M)에서 분리된 가스는 배기부(140)를 통해 턴디쉬(11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111a)로 용강(M)이 공급되면, 유입부(111a)에 용강(M)이 채워지면서 연결부(111c)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이 용강(M)의 탕면 높이가 제3 차단부재(123)의 상단부까지 채워질 때까지 용강(M)은 배출부(111b)로 공급되지 못한다. 이에, 제1 차단부재(121)와 제2 차단부재(122) 사이의 공간이 제1 개구(121a)나 제2 개구(122a) 때문에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진공 상태를 만들기 어렵다.
도 5의 (b)와 같이 용강(M)이 제3 차단부재(123)의 상단부까지 채워지면, 용강이 제3 차단부재(123)를 넘어 제2 개구(122a)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2 개구(122a)가 용강(M)에 의해 잠길 수 있고, 제1 차단부재(121)와 제2 차단부재(122) 사이의 배기공간(S)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부(140)로 배기공간(S)의 가스를 흡입하여 용이하게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용강(M) 내 가스들은 배기부(140)에 의해 용강(M)에서 분리되어 배기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와 같이 교반부(130)에서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불활성가스는 용강(M)의 상측으로 떠오르면서 버블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용강(M)이 불활성가스에 의해 교반될 수 있고, 배기공간(S)으로 노출되는 용강(M)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M) 전체에서 가스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배기부(140)로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용강(M) 내 개재물도 불활성가스에 의해 용강(M)의 상부로 분리 부상될 수 있다. 용강(M)의 상부로 부상한 개재물은 제2 차단부재(122)에 걸려 배출부(111b)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개재물 하부의 용강(M)은 제2 개구(122a)를 통해 배출부(111c)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111b)로 청정한 상태의 용강 이동하여 주형(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용강(M) 내 가스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용강(M)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가스 성분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M)의 청정성을 향상시켜, 용강(M)으로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처리방법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용융금속 처리방법은 래들에서 용기로 공급된 용융금속인 용강을 주형에 공급하기 전에 처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용융금속 처리방법은, 용기와 복수의 차단부재를 마련하는 과정(S110), 용기 내부로 용융금속을 공급하고 경로를 따라 용융금속을 이동시키는 과정(S120), 및 차단부재들 사이의 배기공간의 가스를 배기하고,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이때, 용융금속은 용강일 수 있고, 용기(110)는 턴디쉬(111)와 커버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용기(110)와 복수의 차단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용기(110)와 차단부재들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100)에 대한 구조는 상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되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용기(110)의 내부로 용강(M)을 공급하고, 용기(110) 내부의 경로를 따라 용강(M)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래들(10) 내부의 용강(M)을 유입부(111a)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용강(M)은 유입부(111a) 내부에 채워지면서 연결부(111c)로 이동할 수 있다. 차단부재들에 의해 연결부(111b) 내부에 채워지던 용강(M)이 차단부재들을 모두 통과하면, 배출부(111b)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부(111b)로 이동한 용강(M)은 배출부(111c)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배출부(111c) 내부에 일정량의 용강(M)이 채워진 상태에서 배출구(111d)를 개방하면, 용강(M)이 배출구(111d)를 통해 주형(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3 차단부재(123)에 의해, 용강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용강의 탕면 높이가 제3 차단부재(123)의 상단부 높이 이상이 될 때까지, 용강이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유입부(111a) 내부로 용강이 계속 공급되어 용강의 탕면 높이가 상승하면, 용강이 제3 차단부재(123)를 넘어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단부재(122)의 제2 개구(122a)를 통해 용강이 배출부(111b)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개구(122a)가 용강에 완전히 잠기면, 제1 차단부재(121)와 제2 차단부재(122) 사이의 배기공간(S)이 용강과 커버부재(112)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용강 높이가,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의 용강 높이보다 높아질 수 있다. 즉, 제3 차단부재(123)에 의해 두 공간 내 용강(M)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밀폐된 배기공간(S)에서, 제2 차단부재(122)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에 용강으로 채워지지는 않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 영역에서 탈가스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공간(S)이 밀폐되면, 배기공간(S)의 가스를 배기부(140)로 흡입할 수 있다. 이에, 차단부재들을 통과하는 용강(M) 내 가스가 분리되어 배기부(140)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M) 내 산소, 수소, 및 질소 등의 가스가 제거되어 용강(M)의 탈가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용강(M)이 정지되지 않고 이동하는 상태에서 탈가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M)이 주형(20)으로 공급되는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조 공정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청정한 용강(M)을 주형(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주조 공정의 효율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용강(M)을 차단부재들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11c)로 이동한 용강(M)은 제1 차단부재(121)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차단부재(121)를 통과한 용강(M)은 제3 차단부재(123)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차단부재(123)를 통과한 용강(M)은 제2 차단부재(122)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M)이 차단부재들을 통과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교반될 수 있다. 이에, 배기공간(S)에서 탈가스 처리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들과 별도의 방식으로 차단부재들 사이에서 용강(M)을 교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강(M) 중 적어도 일부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불활성가스는 제1 차단부재(121)와 제3 차단부재(123)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용강(M)으로 공급된 불활성가스가 용강(M)에서 상승하면서 용강을 버블링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교반될 수 있고, 배기공간(S)과 접촉하는 용강의 양이 증가하면서 용강(M) 전체에서 가스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불활성가스가 용강(M)을 교반시키면서, 용강(M) 내 개재물도 용강(M)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즉, 개재물이 불활성가스에 의해 용강(M)의 상부로 용이하게 분리 부상될 수 있다. 용강(M)의 상부로 부상한 개재물은 제2 차단부재(122)에 막형 배출부(111c)로 이동하지 못하고, 용강(M)은 제2 차단부재(122) 하부에 형성된 제2 개구(122a)를 통해 배출부(111c)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와 개재물이 제거된 용강(M)이 배출부(111b)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용강(M) 내 가스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개재물이 주형(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용강(M)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가스 성분과 개재물이 주형(20)으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주형(20)으로 공급되는 용강(M)의 청정성을 향상시켜, 주형(20)에서 용강(M)으로 응고시켜 제조하는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래들 20: 주형
100: 용융금속 공급장치 110: 용기
111: 턴디쉬 112: 커버부재
120: 차단부 121: 제1 차단부재
122: 제2 차단부재 123: 제3 차단부재
130: 교반부 131: 제1 분사기
132: 제2 분사기 140: 배기부
141: 배기부재 142: 배기라인

Claims (16)

  1. 용융금속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과, 용융금속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서 용융금속이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차단부; 및
    가스를 배기하도록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의 배기공간과 연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경로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제1 차단부재보다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경로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상기 제2 차단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경로의 하부의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3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제1 차단부재의 하단부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용융금속 공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을 교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제3 차단부재를 마주보는 상기 제1 차단부재의 일면에 설치되고, 불활성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제1 분사기; 및
    상기 제1 차단부재를 마주보는 상기 제3 차단부재의 일면에 설치되고, 불활성 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제2 분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턴디쉬, 및 상기 턴디쉬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턴디쉬 및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는, 외부에서 용강을 공급받을 수 있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이격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해주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11. 용융금속을 수용하고 배출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서 용융금속이 이동하는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부재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기 내부로 용융금속을 공급하고, 상기 경로를 따라 용융금속을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의 배기공간의 가스를 배기하고,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처리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간의 가스를 배기하는 과정은,
    상기 배기공간을 상기 차단부재들과 용융금속으로 밀폐시키는 과정; 및
    밀폐된 배기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처리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용융금속을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처리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재를 마련하는 과정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경로의 상부를 차단하는 제1 및 제2 차단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경로의 하부를 차단하는 제3 차단부재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 사이의 용융금속의 탕면 높이가, 상기 제2 차단부재와 상기 제3 차단부재의 탕면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용융금속을 이동시키는 용융금속 처리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용융금속 내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용융금속을 교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처리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용융금속을 교반하는 과정은,
    상기 차단부재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금속 중 적어도 일부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처리방법.
KR1020180116337A 2018-09-28 2018-09-28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 KR102239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37A KR102239247B1 (ko) 2018-09-28 2018-09-28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37A KR102239247B1 (ko) 2018-09-28 2018-09-28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52A true KR20200036552A (ko) 2020-04-07
KR102239247B1 KR102239247B1 (ko) 2021-04-12

Family

ID=7029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37A KR102239247B1 (ko) 2018-09-28 2018-09-28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2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551U (ja) * 1983-11-21 1985-06-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タンデイツシユ内溶鋼の連続脱ガス装置
JPS6453743A (en) * 1987-08-20 1989-03-01 Kawasaki Steel Co Metallurgical treatment device for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JP2006035272A (ja) * 2004-07-27 2006-02-09 Jfe Steel Kk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における介在物除去方法および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KR20150022196A (ko) *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포스코 용탕 처리 장치
KR20180043549A (ko)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포스코 스토퍼 장치 및 스토퍼의 수직상태 조절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551U (ja) * 1983-11-21 1985-06-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タンデイツシユ内溶鋼の連続脱ガス装置
JPS6453743A (en) * 1987-08-20 1989-03-01 Kawasaki Steel Co Metallurgical treatment device for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JP2006035272A (ja) * 2004-07-27 2006-02-09 Jfe Steel Kk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における介在物除去方法および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KR20150022196A (ko) *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포스코 용탕 처리 장치
KR20180043549A (ko)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포스코 스토퍼 장치 및 스토퍼의 수직상태 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247B1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216B1 (ko)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KR19980702328A (ko) 금속 용융체를 주형에 주입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95470B1 (ko)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KR102239247B1 (ko)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처리방법
US3887172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 molten metal bath
KR101930749B1 (ko) 노즐 및 주조방법
US6162388A (en) Metallurgical reactor for the treatment under reduced pressure of a liquid metal
KR101794598B1 (ko) 스토퍼
KR101969113B1 (ko) 용강 처리장치
KR20180061972A (ko) 용융물 처리장치
KR101722951B1 (ko) 침지 노즐
KR101914089B1 (ko)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KR101840634B1 (ko) 노즐 장치
KR20150071387A (ko) 용강처리장치
KR102326858B1 (ko) 용융물 처리 장치 및 용융물 처리 방법
KR102171088B1 (ko)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용융금속 공급방법
KR102199565B1 (ko) 다이캐스팅 용융물 공급장치
KR101881971B1 (ko) 주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EP3653317B1 (en) Molten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KR20190070070A (ko) 주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KR101790608B1 (ko) 용강 유동조절장치
KR101477268B1 (ko) 진공 탈가스 장치
KR20190076593A (ko) 유동 제어장치 및 유동 제어방법
JPS6332539B2 (ko)
KR101700877B1 (ko) 연속 주조용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