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240A -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240A
KR20200036240A KR1020180115644A KR20180115644A KR20200036240A KR 20200036240 A KR20200036240 A KR 20200036240A KR 1020180115644 A KR1020180115644 A KR 1020180115644A KR 20180115644 A KR20180115644 A KR 20180115644A KR 20200036240 A KR20200036240 A KR 20200036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tact
electrode member
sensing circuit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655B1 (ko
Inventor
이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1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6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esting br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는 모듈레이터 블록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압력감지부가 마련되는 센싱부; 상기 압력감지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감지부와 연결되어 계측신호를 전달받는 센싱회로기판; 상기 센싱회로기판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홀더; 및 상기 고정홀더에 의해 구속되는 도전판, 상기 도전판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센싱회로기판과 접촉하는 제1 접촉단과, 상기 도전판 다른쪽 단부에 마련되어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과 접촉하는 제2 접촉단을 구비하는 전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재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싱회로기판과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접촉단과 제2 접촉단이 굽혀진 상태로 끼워져 가압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되어 유압을 계측하기 위한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자세제어장치 등에 적용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감속 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마련된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페달과, 페달과 연결되어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와,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입력된 제동유압에 따라 차량의 바퀴를 제동하는 휠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력이 발생할 경우, 제동압력이 노면상태보다 크거나, 제동압력으로 발생하는 휠 브레이크에서의 마찰력이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크면,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상태에서는 조향장치가 잠기게 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슬립현상의 발생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브레이크의 답력을 제어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 Anti-lock Brake System)이 개발되었다.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브레이크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저압 어큐뮬레이터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 등이 장착된 유압블록(Hydraulic Unit)과,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CU)를 갖는다.
또한, 유압블록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비례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브레이크 작동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자제어유닛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한다.
종래의 압력센서는 압력센서의 입출력 단자를 스프링을 이용해 제동장치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orol unit)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이러한 압력센서의 경우, 원가 측면에서 스프링 단품 제작을 하여 센서 어셈블리 조립공정에 대한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 뿐만 아니라, 품질 측면에서 스프링 제조공정의 특성상 전자제어유닛의 인쇄회로기판에 접촉하는 끝단부의 제어가 어려워 인쇄회로기판에 접촉되는 스프링 끝단부가 불규칙한 형태로 제조되어 접촉시 불량을 유발하였다. 또한, 제조 공정상 이물질 잔존, 구조상 날카로운 끝단으로 인한 상대 접촉 대상물의 마모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0001)한국 공개특허 10-2009-0058778(2009.06.1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회로기판과 안정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결합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압력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듈레이터 블록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압력감지부가 마련되는 센싱부; 상기 압력감지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감지부와 연결되어 계측신호를 전달받는 센싱회로기판; 상기 센싱회로기판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홀더; 및 상기 고정홀더에 의해 구속되는 도전판, 상기 도전판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센싱회로기판과 접촉하는 제1 접촉단과, 상기 도전판 다른쪽 단부에 마련되어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과 접촉하는 제2 접촉단을 구비하는 전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재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싱회로기판과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접촉단과 제2 접촉단이 굽혀진 상태로 끼워져 가압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압력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하나의 전극부재의 제1 및 제2 접촉단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전극부재 쪽으로 굽혀진 형상을 갖고 그 끝단부가 상기 센싱회로기판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은 만곡된 반고리 형상을 갖고, 휘어진 부분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센싱회로기판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전극부재와 가까워지는 쪽으로 연장되는 제1 굽힘부와,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 쪽으로 연장되는 제2 굽힘부를 더 포함하고, 어느 하나의 전극부재에 마련된 제2 접촉단은 상기 제1 굽힘부와 반대쪽으로 만곡된 반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에 마련된 커넥션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전극부재와 상기 고정홀더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는 품질 측면에서, 전극부재의 끝단부가 절곡된 형태로 접촉단이 일정한 형태로 제어가 가능하여 접촉 시 안정된 접촉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접촉 상대물의 마모 발생을 억제하고 제조상 이물질 잔존을 최소화 가능하며 접촉끝단부의 검사도 용이하다.
또한, 전극부재와 고정홀더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전극부재는 고정홀더에 안정적으로 결속되어 유격에 의한 접속불량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줄임으로써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부재에 마련된 제2 접촉단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전극부재와 가까워지는 쪽으로 연장되는 제1 굽힘부와 반대쪽으로 만곡된 반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에 마련된 커넥션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압력센서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되어 마스터실린더(미도시)로부터 발생된 브레이크 액압을 측정한다. 이때,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마스터실린더로부터 발생된 제동유압이 휠 브레이크 측으로 전달되도록 제동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각종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 저압어큐뮬레이터(미도시)에 저장된 오일을 펌핑하기 위해 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펌프 구동에 의해 가압 토출되는 오일의 압력맥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각 펌프의 토출구 측과 직결된 고압어큐뮬레이터(미도시) 등이 콤팩트하게 장착된 모듈레이터 블록(1)과,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CU)을 구비한다.
즉,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압회로의 구성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설치구조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전자제어 유압브레이크 시스템(EHB), 차량자세제어 시스템(ESC) 등 어느 하나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또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마스터실린더에서 형성된 브레이크 액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갖추어 제동유압을 제어하며 안정된 제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압력센서는 모듈레이터 블록(1)에 체결되어 유로(1a)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싱부(10), 제1 지지체(20), 제1 센싱회로기판(30), 커넥터(40), 제2 센싱회로기판(50), 제2 지지체(60), 하우징(70) 및 스프링전극(80)을 포함한다.
센싱부(10)은 사용 환경 및 압력 사양에 따라 SUS304, SUS316, SUS630 또는 인코넬과 같은 합금으로 제조되는 다이아프램일 수 있다. 센싱부(10)은 상부에 압력감지부(11)가 형성된다. 압력감지부(11)는 압축응력, 인장응력 등의 변화를 감지한다. 압력감지부(11)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패턴은 후술할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지지체(20)는 원통 형태를 가진다. 제1 지지체(20)의 하단부는 센싱부(10)의 외주면에 용접 접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제1 지지체(20)의 상단부에는 제1 센싱회로기판(30)의 하면이 솔더링 접합되는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제1 센싱회로기판(30)은 압력감지부(11)와 리드 와이어(미도시) 등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압력감지부(11)에서 감지된 저항의 변화는 제1 센싱회로기판(30)으로 전달된다.
제1 센싱회로기판(30)의 상측에는 제2 센싱회로기판(50)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제2 센싱회로기판(50)은 커넥터(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에서는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제2 센싱회로기판(50)이 커넥터(40)에 의해 접속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40)는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제2 센싱회로기판(5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격몸체부와, 그 양단에 마련되어 각각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제2 센싱회로기판(50)에 체결되는 제1 도전부(41), 및 제2 도전부(42)를 포함한다.
이격몸체부는 제1 도전부(41)와 제2 도전부(4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도전부(41)와 제2 도전부(4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제2 센싱회로기판(50) 간 이격 거리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격몸체부는 예컨대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형상의 외측부는 절연성 소재로써 형성되고, 형상의 내부에서는 제1 도전부(41)의 상단과 제2 도전부(42)의 하단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40)는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제2 센싱회로기판(50) 사이에 압입 결합됨으로써, 제1 센싱회로기판(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센싱회로기판(50)은 별도의 지지체가 없이도 커넥터(4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1 센싱회로기판(30)이 제1 지지체(20)에 고정되어 흔들림이 제한되고, 제2 센싱회로기판(50) 역시 커넥터(40)를 매개로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일체화됨으로써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별도의 지지체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2 센싱회로기판(50)은 제 위치를 고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커넥터(40)는 다수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센싱회로기판(30) 및 제2 센싱회로기판(50)의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커넥터(40)에 의해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제2 센싱회로기판(50)이 상호 접속구조를 이루는 예가 도시되고 있다.
제1 센싱회로기판(30)과 제2 센싱회로기판(50)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커넥터(40)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2 센싱회로기판(50)은 제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한다.
제2 센싱회로기판(50)에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스프링전극(80)이 체결된다. 스프링전극(80)은 제2 센싱회로기판(50)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제2 센싱회로기판(50)의 상부에는 스프링전극(80)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2 지지체(60)가 배치된다.
제2 지지체(6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지지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스프링전극(80)은 지지홀에 관통 결합된다. 스프링전극(80)의 하단은 제2 센싱회로기판(50)에 연결되며 상단은 제2 지지체(6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스프링전극(80)의 양단에 마련되는 접촉단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ECU)의 접촉단자(91)과 접촉된 상태에서 소정길이 탄성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접촉단은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의 접촉단자(91)가 횡적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접촉단이 휘어지며 변형량을 흡수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은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압력센서(100)로부터 접촉단자(91)를 통해 압축응력, 인장응력 등의 변화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접촉단은 상부와 하부의 권선밀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접촉단은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의 접촉단자(91)와 접촉되는 제2 코일스프링부(82)와, 제2 코일스프링부(82)에서 연장되어 제2 센싱회로기판(50)과 연결되는 제1 코일스프링부(81)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2 코일스프링부(82)는 제1 코일스프링부(81) 보다 권선밀도가 높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2 코일스프링부(82)는 제1 코일스프링부(81)보다 스프링 상수가 더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권선간의 간격이 더욱 조밀하게 된다. 또한, 제2 코일스프링부(82)의 권선지름은 제1 코일스프링부(81)의 권선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코일스프링부(82)는 제1 코일스프링부(81) 보다 지지되는 압력이 더 크게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압력센서에 대한 설명 중 별도의 도면부호를 들어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경우 외에는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것으로서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는 모듈레이터 블록(1)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압력감지부(11)가 마련되는 센싱부(10), 압력감지부(11) 상측에 설치되고, 압력감지부(11)와 연결되어 계측신호를 전달받는 제1 센싱회로기판(30) 및 제2 센싱회로기판(150), 제2 센싱회로기판(150)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홀더(160), 및 고정홀더(160)에 의해 구속되는 전극부재(180), 고정홀더(160)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센싱부(10)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70)을 포함한다.
전극부재(180)는 기다란 직사각형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되, 제2 센싱회로기판(150)과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 사이에서 제1 접촉단(181b)과 제2 접촉단(181c)이 굽혀진 상태로 끼워져 가압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극부재(180)는 기다란 금속판으로써 고정홀더(160)를 기준으로 양단이 굽혀진 형상로 마련되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제2 센싱회로기판(150)을 가압하거나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를 가압하여 접촉상태를 유지시킨다.
전극부재(180)는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도전판(181a), 도전판(181a) 한쪽 단부에서 제2 센싱회로기판(150)과 접촉하여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접촉단(181b)과, 도전판(181a) 다른쪽 단부에 마련되어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 쪽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2 접촉단(181c)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극부재(180)는 제1 접촉단(181b)과 제2 접촉단(181c)은 소정길이의 탄성변형에 의해 제2 센싱회로기판(150)과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을 각각 가압하므로,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의 접촉단자(91)가 횡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접촉단이 휘어지며 변형량을 흡수할 수 있다.
전극부재(180)는 네 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하나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이고, 다른 하나는 접지용이고, 나머지 두 개는 서로 다른 위치의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 등의 변화를 계측하고 그 평균값 산출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고정홀더(160)에는 마주보는 두 쌍의 전극부재(1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부재(181)와 제2 전극부재(182), 제3 전극부재(183)와 제4 전극부재(184)가 각각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즉, 전극부재(180)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하나의 전극부재(180)의 제1 및 제2 접촉단(181c)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전극부재(180) 쪽으로 굽혀진 형상을 갖고 그 끝단부가 제2 센싱회로기판(150) 또는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접촉단(181c)이 마주보는 전극부재의 접촉단 쪽으로 굽혀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에 마련되는 커넥션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커넥션부는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 일부에 마련되어 전극부재(190)와 접하는 접촉단자(191)가 집중된 곳을 말하며, 단자거리(d1)를 줄임으로써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하우징(170)은 압력센서에 포함되는 전술한 구성들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며, 내부에 고정홀더(160)가 끼워지는 구조로써 고정홀더(160)의 움짐임 또는 흔들림을 막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는 품질 측면에서, 전극부재(180)의 끝단부가 절곡된 형태로써 접촉단이 일정한 형태로 제어가 가능하여 접촉 시 안정된 접촉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접촉 상대물의 마모 발생을 억제하고 제조상 이물질 잔존을 최소화 가능하며 접촉끝단부의 검사도 용이하다.
또한, 전극부재(180)와 고정홀더(160)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전극부재(180)는 고정홀더에 안정적으로 결속되어 유격에 의한 접속불량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줄임으로써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 사출 방식은 사출금형 내에서 서로 다른 재질 또는 이색의 플라스틱이나 플라스틱 이외의 부품을 일체화 시키는 성형방법으로, 금속소재의 전극부재(180)를 사출물인 고정홀더(160)와 함께 제작하도록 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압력센서에 대한 설명 중 별도의 도면부호를 들어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경우 외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서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 전극부재(190)의 제1 및 제2 접촉단(191b, 191c)은 만곡된 반고리 형상을 갖되, 휘어진 부분의 중간 지점에서 제2 센싱회로기판(150) 또는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 접촉단자(91)과 접하도록 마련된다.
전극부재(190)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전극부재(190)와 가까워지는 쪽으로 연장되는 제1 굽힘부(191d)와,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 쪽으로 연장되는 제2 굽힘부(191e)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고정홀더(160)에는 마주보는 두 쌍의 전극부재(190)가 설치되는데, 제1 전극부재(181)와 제2 전극부재(182), 제3 전극부재(183)와 제4 전극부재(184)가 각각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전극부재(190)에 마련된 제2 접촉단(191c)은 제1 굽힘부(191d)의 연장방향과 반대쪽으로 만곡된 반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에 마련된 커넥션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커넥션부는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90) 일부에 마련되어 전극부재(190)와 접하는 접촉단자(191)가 집중된 곳으로써, 단자거리(d2)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는데, 제1 굽힘부(192d)가 제2 접촉단(192c) 간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결국 커넥션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전극부재(190)와 고정홀더(160)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전극부재(190)는 고정홀더(160)에 안정적으로 결속되어 유격에 의한 접속불량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줄임으로써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모듈레이터 블록 1a: 유로
10: 센싱부 11: 압력감지부
20: 제1 지지체 30: 제1 센싱회로기판
40: 커넥터 41: 제1 도전부
42: 제2 도전부 50: 제2 센싱회로기판
60: 제2 지지체 70: 하우징
80: 스프링전극 81: 제1 코일스프링부
82: 제2 코일스프링부 90: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
91: 접촉단자 150: 제2 센싱회로기판
160: 고정홀더 170: 하우징
180: 전극부재 181: 제1 전극부재
182: 제2 전극부재 183: 제3 전극부재
184: 제4 전극부재 181a: 도전판
181b: 제1 접촉단 181c: 제2 접촉단
182a: 도전판 182b: 제1 접촉단
182c: 제2 접촉단 d1: 단자거리
191: 제1 전극부재 192: 제2 전극부재
193: 제3 전극부재 194: 제4 전극부재
191a: 도전판 191b: 제1 접촉단
191c: 제2 접촉단 191d: 제1 굽힘부
191e: 제2 굽힘부 192a: 도전판
192b: 제1 접촉단 192c: 제2 접촉단
192d: 제1 굽힘부 192e: 제2 굽힘부
d2: 단자거리

Claims (5)

  1. 모듈레이터 블록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압력감지부가 마련되는 센싱부;
    상기 압력감지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감지부와 연결되어 계측신호를 전달받는 센싱회로기판;
    상기 센싱회로기판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홀더; 및
    상기 고정홀더에 의해 구속되는 도전판, 상기 도전판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센싱회로기판과 접촉하는 제1 접촉단과, 상기 도전판 다른쪽 단부에 마련되어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과 접촉하는 제2 접촉단을 구비하는 전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재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싱회로기판과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접촉단과 제2 접촉단이 굽혀진 상태로 끼워져 가압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압력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하나의 전극부재의 제1 및 제2 접촉단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전극부재 쪽으로 굽혀진 형상을 갖고 그 끝단부가 상기 센싱회로기판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과 면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압력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은 만곡된 반고리 형상을 갖고, 휘어진 부분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센싱회로기판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압력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하나의 전극부재는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전극부재와 가까워지는 쪽으로 연장되는 제1 굽힘부와,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 쪽으로 연장되는 제2 굽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단은 상기 제1 굽힘부와 반대쪽으로 만곡된 반고리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닛 회로기판에 마련된 커넥션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압력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와 상기 고정홀더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압력센서.
KR1020180115644A 2018-09-28 2018-09-28 압력센서 KR102535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44A KR102535655B1 (ko) 2018-09-28 2018-09-28 압력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644A KR102535655B1 (ko) 2018-09-28 2018-09-28 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240A true KR20200036240A (ko) 2020-04-07
KR102535655B1 KR102535655B1 (ko) 2023-05-23

Family

ID=7029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644A KR102535655B1 (ko) 2018-09-28 2018-09-28 압력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6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8730A1 (en) * 2001-01-25 2002-07-25 Michael Babala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for a pressure sensor
KR20090058778A (ko)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KR20160053516A (ko) *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8730A1 (en) * 2001-01-25 2002-07-25 Michael Babala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for a pressure sensor
KR20090058778A (ko)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KR20160053516A (ko) *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655B1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477B1 (ko) 압력센서
KR102273713B1 (ko) 압력센서
US20120047998A1 (en) Pressure sensor
US20030171036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923202B1 (ko) 압력센서
JP2017525961A (ja) 圧力センサ
JP6233897B2 (ja) 圧力センサ
US6375473B1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for an electro-hydraulic brake system using wire form buttons
JP6233898B2 (ja) 圧力センサ
KR102535655B1 (ko) 압력센서
US8797758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board
JP3710061B2 (ja) 車両用圧力制御装置
CN108778867B (zh) 电子控制装置
CN101470035B (zh) 压力传感器
KR101897293B1 (ko) 압력센서
KR102085007B1 (ko) 압력 센서 어셈블리
KR20200126277A (ko) 압력센서
US20200064218A1 (en) Pressure detecting device
EP3070451B1 (en) Pressure transducer
KR20190037916A (ko) 압력센서를 갖춘 차량용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US10514312B2 (en) Hydraulic pressure sensor for a vehicle
CN107991005B (zh) 压力传感器
KR101735741B1 (ko) 항아리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pcb기판이 구비된 센서
KR20190037933A (ko) 압력센서를 갖춘 차량용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87703B1 (ko) 신호전달 스프링과 체결공이 형성된 pcb기판이 납땜연결된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