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976A - Weighing system, electronic balance and marker for electronic balance - Google Patents

Weighing system, electronic balance and marker for electronic bal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976A
KR20200035976A KR1020207004752A KR20207004752A KR20200035976A KR 20200035976 A KR20200035976 A KR 20200035976A KR 1020207004752 A KR1020207004752 A KR 1020207004752A KR 20207004752 A KR20207004752 A KR 20207004752A KR 20200035976 A KR20200035976 A KR 2020003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rker
processed product
processed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시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디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디에스아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디에스아이
Publication of KR2020003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9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for counting by weig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2Indicating the weight by optical proj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8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42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electrically operated
    • G06K9/0044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전자 저울에 의해 측정된 가공 제품의 중량에 기초하여 가공 재료의 재고 관리 등을 실시하기 위한 계량 시스템, 전자 저울 및 전자 저울용 마커를 제공한다. 계량 시스템은, 가공 제품의 중량을 계측하는 전자 저울 (1) 과, 단말 장치 (300) 를 갖는다. 전자 저울 (1) 은, 가공 제품의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6) 와, 표시부 (6) 의 근방에 형성된 마커 (62) 를 갖는다. 단말 장치 (300) 는, 표시부 (6) 를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마커 (62) 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 내에서 문자 인식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가공 제품의 중량을 취득하는 데이터 로거부 (310) 를 갖는다.Provided is a weighing system, an electronic balance, and a marker for an electronic balance for performing inventory management of a processed material based on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measured by the electronic balance. The weighing system has an electronic scale 1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processed product and a terminal device 300. The electronic scale 1 has a display portion 6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and a marker 62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play portion 6. The terminal device 300 uses the image logger 310 to acquire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by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within the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62 based on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6 captured. Have

Description

계량 시스템, 전자 저울 및 전자 저울용 마커Weighing system, electronic balance and marker for electronic balance

본 발명은, 전자 저울에 의해 측정된 가공 제품의 중량에 기초하여 가공 재료의 재고 관리 등을 실시하기 위한 계량 시스템, 전자 저울 및 전자 저울용 마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ing system, an electronic balance, and a marker for an electronic balance for carrying out inventory management of a processed material based on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measured by the electronic balance.

귀금속 등 가공 제품 (예를 들어, 치과 기공물 등. 이하, 간단히 가공 제품이라고 칭한다) 은, 원재료가 되는 귀금속 재료 등 (이하, 간단히 가공 재료라고 칭한다) 을 절삭, 연마하거나 하여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가공 제품의 제작자는, 가공 제품의 중량에 따라 가공 재료에 관한 비용을 계산하여, 발주자에게 비용을 청구한다.Precious metals and other processed products (for example, dental pores, etc.,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processed products) are produced by cutting or polishing a precious metal material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processed material) as a raw material. Generally, the producer of a processed product calculates the cost of the processed material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and charges the orderer for the cost.

가공 제품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저울이 이용된다. 종래로부터, 저울 표면에 계량 접시가 설치되고, 계량 접시에 얹은 피계량물의 중량을 계측함과 함께, 피계량물의 중량을 수치로서 표시하는 전자 저울로서, 계량 접시를 촬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것이 여러 가지 알려져 있다.Scales are used to measure the weight of processed products. Conventionally, a weigh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a scale, and an electronic scale that displays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as a numerical value while measuring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placed on the weighing plate is equipped with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weighing plate. Eggplant is known.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스케일 본체의 상면에 계량부가 형성되고, 스케일 본체의 측면에 계량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며, 스케일 본체의 상면에 세워져 형성된 지주의 상단에 카메라 유지부가 가설되고, 카메라 유지부의 하면에, 계량부가 재치 (載置) 된 접시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형성된 전자 키친 스케일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 metering un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bod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eighing result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cale body, and a camera holding unit is hypothesiz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body. , An electronic kitchen scale is disclosed in which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dish on which a metering unit is mounte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mera holding unit.

또, 특허문헌 2 에는, 본체부의 상면에 피계량물을 놓는 계량 접시가 설치되고, 본체부의 상면에 2 개의 지주가 세워져 형성되고, 지주의 상단 사이에 지지 부재가 놓여 있어, 지지 부재에 터치 패널이 장착됨과 함께, 터치 패널의 하측에, 피계량물을 촬상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계량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 weighing plate for placing an object to be measure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wo struts are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upport member is plac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struts, and the touch panel is placed on the support member. Whilst this is attached, a meter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uch panel and equipped with a camera for imaging the object to be measur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67388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16738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76818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6-176818

가공 제품의 제작자는, 특허문헌 1 및 2 에 기재된 전자 저울을 사용하여 가공 제품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중량에 대해 1 보다 큰 일정한 계수 (1.05 ∼ 1.15 정도) 를 곱하고 (이하, 가공분 보정이라고 칭한다), 가공분 보정한 중량에 알맞는 금액을 발주자에게 청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공분 보정은, 절삭 및 연마 등의 가공 과정에서 없어진 가공 재료에 상당하는 중량을, 가공 제품의 중량에 추가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처리이다. 여기서, 추가분을 산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상기 계수는, 가공 제품의 종류나 크기 등에 따라 경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있었다.The manufacturer of the processed product measures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using the electronic scale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s 1 and 2, multiplies the measured weight by a constant coefficient greater than 1 (about 1.05 to 1.15) (hereinafter, corrects the processed powder) ), And it is common to charge the orderer an amount appropriate for the weight corrected for the processed powder. The correction of the work powder is a process performed to add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ork material that has been lost in the process of cutting and polishing, etc. to the weight of the work product. Here, the coefficient used to calculate the additional content was determined based 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type or size of the processed product.

그러나, 이와 같은 가공분 보정은 제작자에게 있어서 매우 번잡한 처리이며, 일정한 공정수를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또, 계수가 제작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은, 발주자가 불투명감을 가지게 되는 요인도 되고 있었다.However, such a correction of the processed powder is a very complicat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r and requires a certain number of steps. Moreover, the fact that the coeffici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producer has also been a factor that causes the client to have an opaque feel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 저울에 의해 측정된 가공 제품의 중량에 기초하여 가공 재료의 재고 관리 등을 실시하기 위한 계량 시스템, 전자 저울 및 전자 저울용 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o provide a weighing system, an electronic scale, and a marker for an electronic scale for performing inventory management of a processed material based on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The purpos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계량 시스템은, 가공 제품의 중량을 계측하는 전자 저울과 단말 장치를 갖고, 상기 전자 저울은,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근방에 형성된 마커를 갖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표시부를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마커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 내에서 문자 인식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을 취득하는 데이터 로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ig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ectronic scale and a terminal devi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processed product, wherein the electronic scal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and a marker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device has a data logger that acquires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by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in an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계량 시스템은, 상기 마커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정의한 표적, 선, 도형 또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ker is a target, line, figure, or frame defining an area including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계량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로거부는 추가로,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에 가공 과정에서 없어지는 가공 재료의 중량을 가미하는 가공분 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가공분 보정된 중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eig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logger unit further performs processing powder correction to add the weight of the processed material that is lost in the processing process to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and calculates the processed component corrected weight.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저울은, 가공 제품의 중량을 계측하는 전자 저울로서,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근방에 형성되고, 단말 장치가 상기 표시부를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마커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 내에서 문자 인식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을 취득하기 위한 상기 마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onic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scale that measures the weight of a processed product, and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and a terminal device photographs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marker for acquir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by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within the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based on the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저울용 마커는, 가공 제품의 중량을 계측하는 전자 저울에 첩부 (貼付) 하기 위한 마커로서, 상기 마커는 상기 표시부의 근방에 첩부됨으로써, 단말 장치가 인식 가능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마커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 내에서 단말 장치에 의한 문자 인식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이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rker for an electronic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rker for attaching to an electronic scal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processed product, the marker being attached to the vicinity of the display unit, whereby a terminal device is recognizab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by the terminal device in the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is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저울용 마커는, 상기 전자 저울의 표면에 부착 가능한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rker for an electronic bal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eal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balance.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저울에 의해 측정된 가공 제품의 중량에 기초하여 가공 재료의 재고 관리 등을 실시하기 위한 계량 시스템, 전자 저울 및 전자 저울용 마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ighing system, an electronic balance, and a marker for an electronic scale for performing inventory management of a processed material based on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도 1 은, 전자 저울 (1) 의 덮개체 기립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전자 저울 (1) 의 덮개체 도복 (倒伏) 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전자 저울 (1) 의 저울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전자 저울 (1) 의 덮개체 기립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가공 재료의 계량 시스템 (10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가공분 보정부 (130) 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가공 재료의 계량 시스템 (20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은, 가공 재료의 계량 시스템 (30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는, 저울 본체부의 상면의 2 개 지점 이상 (예를 들어, 네 모서리) 에 소정의 색 또는 형상을 갖는 마커를 형성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전자 저울의 표시부의 근방의 소정의 위치에 마커를 형성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nic scale 1 when the lid is standin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nic scale 1 in the case of covering the body.
3 is a plan view of the scale body portion of the electronic scale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nic scale 1 when the lid is standin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tering system 1000 for processed materials.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on unit 130.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tering system 2000 of a processed material.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tering system 3000 for a processed material.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markers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or shape are formed on two or more points (for example,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body por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mark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near the display portion of the electronic balan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실시형태 1><Embodiment 1>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자 저울 (1)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전자 저울 (1)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저울 (1) 은, 저울 본체부 (2) 와,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을 폐쇄 가능한 덮개체 (3) 를 구비한다.First, the electronic balance 1 used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to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scale 1. 1 and 2, the electronic scale 1 includes a scale main body 2 and a lid 3 capable of closing the top surface of the scale main body 2.

저울 본체부 (2) 의 둘레면은 비교적 편평한 수지제의 케이스 (4) 로 피복되어 있고, 케이스 (4) 의 상면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계량물 (A) 을 놓는 계량 접시 (5) 와,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6) 와, ON/OFF 스위치 (7), 리셋 버튼 (9) 등의 각종 조작 버튼이 형성된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ale main body 2 is covered with a relatively flat resin case 4,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4, as shown in Fig. 3, a weighing dish on which the object to be measured A is placed ( 5) and various operation buttons such as a display portion 6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 an ON / OFF switch 7, a reset button 9, and the like.

케이스 (4) 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계량 접시 (5) 에 놓인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검출 장치, 연산부나 기억부를 갖는 제어 기판, 전원 등이 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4) 의 측면에는, USB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 (B) 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11) 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Inside the case 4, although not shown, a weight detec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A placed on the weighing dish 5, a control board having a calculation section or a storage section, a power supply, and the like are incorporated. Preferably, on the side of the case 4, a connector 11 for detachably connecting a storage medium B such as a USB memory is formed (Figs. 1 and 2).

덮개체 (3) 는 저울 본체부 (2) 의 일단에 자유롭게 기복하도록 장착되고, 소정의 각도까지 기립한 상태로 클릭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덮개체 (3) 의 저울 본체부 (2) 와 대향하는 면에는, CCD 카메라 등의 카메라 (12) 및 LED 등의 조명 장치 (10) 가 설치된다. 카메라 (12) 는, 덮개체 (3) 가 소정 각도까지 기립하여 클릭 정지했을 때에, 계량 접시 (5) 및 표시부 (6) 를 포함하는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을 촬상할 수 있는 위치 및 각도에 설치된다.The lid 3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scale body 2 so as to be freely undulated, and is click-stopped in a standing state up to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 camera 12 such as a CCD camera and a lighting device 10 such as an LED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d 3 facing the scale main body 2. When the lid 3 stands up to a predetermined angle and stops clicking, the camera 12 is capable of imaging the top surface of the scale main body 2 including the weighing pan 5 and the display 6, and Installed at an angle.

조명 장치 (10) 는, 계량 접시 (5) 에 피계량물 (A) 을 놓았을 때에 자동적으로 발광하거나, 혹은,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발광하고, 계량 접시 (5) 및 표시부 (6) 를 포함하는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또한, 카메라 (12) 및 조명 장치 (10) 의 각도는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The lighting device 10 automatically emits light when the object to be weighed A is placed on the weighing dish 5, or emits light by operating an operation button, and includes the weighing dish 5 and the display section 6 Light is irradiat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body 2 to be said. Further, the angles of the camera 12 and the lighting device 10 may be adjusted.

덮개체 (3) 를 소정의 각도까지 기립시켜 저울 본체부 (2) 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ON/OFF 스위치 (7) 를 조작하여 구동 상태로 한 후, 계량 접시 (5) 에 피계량물 (A) 을 탑재시키면, 중량 검출 장치가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측정하고, 그 중량이 표시부 (6) 에 숫자로서 표시된다.After the lid 3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angle to expose the surface of the scale main body 2, the ON / OFF switch 7 is operated to be in a driving state, and then the weighed object 5 is weighed ( When A) is mounted, the weight detection device measures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weighed (A), and the weight is displayed as a number on the display portion (6).

이어서, 카메라 (12) 가 계량 접시 (5) 및 표시부 (6) 를 포함하는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을 촬영하고, 카메라 (12) 가 촬상한 화상 데이터는 제어 기판의 기억부에 보존된다. 이 때 카메라 (12) 는, 계량 접시 (5) 에 재치된 피계량물 (A) 과, 표시부 (6) 에 표시된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1 개의 화상에 동시에 넣도록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12) 에 의한 촬상은, 표시부 (6) 에 중량이 표시된 다음에 자동적으로 실시되어도 되고,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실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 카메라 (12) 에 의한 촬상 후, 필요에 따라 사다리꼴 보정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보정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의 2 개 지점 이상 (예를 들어, 네 모서리) 에 소정의 색 또는 형상을 갖는 마커 (61) 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마커 (61) 를 기점으로 하여 사다리꼴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정확하고 또한 확실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amera 12 photographs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main body 2 including the weighing plate 5 and the display portion 6, and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12 is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of the control board. . At this time, the camera 12 is preferably photographed so that the weight of the object A placed on the weighing plate 5 and the object A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6 are simultaneously put in one image. Do. The imaging by the camera 12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after the we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 or may be performed by operating an operation button. Further, after imaging by the camera 12, trapezoidal correction processing may be performed as necessar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in order to facilitate trapezoidal correction processing, a marker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or shape at two or more points (for example,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lance body 2 (61) may be formed. In this case, by performing trapezoidal correction using the marker 61 as a starting point, accurate and reliabl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또, 저울 본체부 (2) 의 커넥터 (11) 에 기억 매체 (B) 를 접속해 두면, 카메라 (12) 가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 (B) 에 보존할 수도 있다. 또, 전자 저울 (1) 은, 계측 결과인 피계량물 (A) 의 중량 및 카메라 (12) 가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Bluetooth (등록 상표) 나 WiFi 등의 무선 통신 규격 그 밖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전자 저울 (1) 의 외부의 도시되지 않은 전자 기기에 보내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f the storage medium B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1 of the scale body 2,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12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B. In addition, the electronic balance 1 measures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 and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12, such a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WiFi, or othe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means may be used to send electronic devices (not shown) outside the electronic scale 1.

도 4 는, 전자 저울 (1) 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카메라 (12) 및 조명 장치 (10) 가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 덮개체 (3) 는, 저울 본체부 (2) 와 대향하는 면에, 덮개체 (3) 가 소정 각도까지 기립했을 때에, 계량 접시 (5) 및 표시부 (6) 를 포함하는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의 영상을 카메라 (12) 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 수단 (13) 을 갖는다. 반사 수단 (13) 으로는, 예를 들어, 거울이나, 반사율의 높은 금속 증착층이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onic balance 1. In this example, the camera 12 and the lighting device 1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body 2. In addition, the lid body 3 is a scale body portion including a weighing plate 5 and a display portion 6 when the lid body 3 stands up to a predetermined angle on a surface facing the scale body portion 2 It has a reflecting means (13) for reflecting the image of the upper surface of (2) toward the camera (12). As the reflecting means 13, for example, there is a mirror or a metal evaporation layer having a high reflectance.

따라서, 덮개체 (3) 를 소정 각도 기립시켜 ON/OFF 스위치 (7) 를 조작하고, 계량 접시 (5) 에 피계량물 (A) 을 놓으면, 피계량물 (A) 의 중량이 표시부 (6) 에 표시되고, 반사 수단 (13) 이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의 영상을 카메라 (12) 를 향하여 반사하므로, 카메라 (12) 는, 계량 접시 (5) 상의 피계량물 (A) 과, 그 중량이 표시된 표시부 (6) 를 함께 촬상한다. 그 밖의 구성 및 사용 방법은,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공통되는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ccordingly, when the lid 3 is rais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perate the ON / OFF switch 7 and the object A is placed on the weighing dish 5, the weight of the object 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 ), And since the reflecting means 13 reflects the ima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main body 2 toward the camera 12, the camera 12 and the object to be weighed A on the weighing plate 5 , The display portion 6 whose weight is displayed is imaged together. Other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use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3, so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으로, 전자 저울 (1) 을 포함하는 가공 재료의 계량 시스템 (100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계량 시스템 (1000) 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계량 시스템 (1000) 은, 관리 장치 (100), 입력 수단 (200), 전자 저울 (1) 을 포함한다.Next, the weighing system 1000 of the processed material including the electronic balance 1 is demonstrated.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metering system 1000. The weighing system 1000 includes a management device 100, an input means 200, and an electronic balance 1.

관리 장치 (100) 는, 입력 수단 인터페이스 (110),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가공분 보정부 (130), 기억부 (140), 출력부 (150) 를 갖는, 관리 장치 (100) 는 중앙 처리 장치 (CPU) 와 기억 장치를 갖고, CPU 가 기억 장치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 처리부를 논리적으로 실현된다. 관리 장치 (100) 는, 1 대의 장치여도 되고, 복수 대의 장치가 병렬 또는 분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실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이어도 된다. 관리 장치 (100) 는, 전형적으로는 입력 수단 (200) 이나 전자 저울 (1) 과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배치되거나 직접 접속되지만,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입력 수단 (200) 이나 전자 저울 (1) 과는 원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 (100) 는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이어도 되고, 혹은 이른바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실장되어도 된다.The management device 100 has an input means interface 110, an electronic balance interface 120, a processing part correction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d an output unit 150, and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central Each processing unit is logically realized by having a processing unit (CPU) and a storage unit, and the CPU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a single device, or a computer system realized by a plurality of devices performing parallel or distributed processing. The management device 100 is typically disposed in the same network as the input means 200 or the electronic scale 1 or is directly connected, but the input means 200 or the electronic scale 1 is provided through a wide are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family may be placed remotely. For example,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or may be mounted as a so-called cloud service.

입력 수단 인터페이스 (110) 는, 입력 수단 (200) 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입력 수단 인터페이스 (110) 는, 입력 수단 (200) 을 통하여 가공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을 취득한다. 입력 수단 (200) 은, 전형적으로는 바코드 스캐너, 키보드, 화상 인식 가능한 촬상 유닛, IC 태그 리더 등일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수단 (200) 은, 예를 들어, 치과 의원으로부터 송부된 지시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코드 등을 판독하여, 발주를 일의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이하, 간단히 식별 정보라고 칭한다) 를 취득하여 입력 수단 인터페이스 (110) 에 출력한다.The input means interface 110 is connected to the input means 2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input means interface 110 acquires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identifying a processed product through the input means 200. The input means 200 may be, for example, a barcode scanner, a keyboard, an image recognition unit capable of image recognition, an IC tag reade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put means 200, for example, reads a barcode or the like written in the instruction sent from the dental clinic, and acqui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uniquely identify the order, It outputs to the input means interface 110.

또 입력 수단 인터페이스 (110) 는, 사용자가 입력 수단 (200) 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가공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가공에 관한 정보에는, 예를 들어, 가공에 사용하는 재료, 가공 거점을 식별하는 정보, 가공 작업자를 식별하는 정보, 발주자를 식별하는 정보, 가공 공정을 식별하는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가공 공정에는, 예를 들어, 치과 기공물의 제작 업무이면, 재료의 입고, 재료의 출고 (반출), 압탕 (押湯), 연마 전, 연마 후, 잉여 재료의 회수 등의 공정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이들 공정 중 적어도 1 개를 실시할 때마다, 계량 시스템 (1000) 을 사용하여 재료의 계량 및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Moreover, the input means interface 110 may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processing which the user inputs using the input means 200. The processin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materials use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dentifying a processing base, information identifying a processing operator, information identifying an orderer, information identifying a processing process, and the like. In the processing step,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manufacturing work of dental pores, processes such as the receipt of materials, the delivery (removal) of materials, the pressing, the polishing, the polishing, and the recovery of surplus materials are included. Whenever at least one of these processes is performed by the user, the metering system 1000 can be used to meter and record the material.

또한, 일반적으로 식별 정보는, 도시되지 않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발주에 관한 정보와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발주에 관한 정보에는, 예를 들어, 가공 제품의 종류 (치아의 부위 등), 사용해야 할 재료, 가공 제품의 크기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connection with information regarding ordering in a management system (not shown). The orderin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type of processed product (such as a tooth portion), the material to be used, and the size of the processed product.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는, 전자 저울 (1) 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전자 저울 (1) 은, 적어도 가공 제품의 중량의 측정치를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에 출력한다.The electronic scale interface 1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scale 1 to enabl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electronic balance 1 outputs at least a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to the electronic balance interface 120.

바람직하게는, 전자 저울 (1) 은, 카메라 (12) 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 즉 계량 접시 (5) 에 재치된 피계량물 (A) 과, 표시부 (6) 에 표시된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동시에 넣은 화상 데이터를, 가공 제품의 중량과 관련지어 출력해도 된다.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는, 가공 제품의 중량을 가공분 보정부 (130) 에 출력한다. 또는, 가공분 보정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는, 가공 제품의 중량을 기억부 (140) 또는 출력부 (150) 에 출력한다.Preferably, the electronic balance 1 includes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12, that is, the object A placed on the measuring plate 5 and the object 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image data in which the weight of the product is simultaneously put in relation to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The electronic balance interface 120 outputs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to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on unit 130. Alternatively, when the process for correcting the processed powder is unnecessary, the electronic balance interface 120 outputs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to the storage unit 140 or the output unit 150.

가공분 보정부 (130) 는, 가공 제품의 중량에 가공 과정에서 없어지는 가공 재료의 중량을 가미하기 위해서,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가 출력하는 가공 제품의 중량의 측정치를 취득하고, 측정치에 대해 1 보다 큰 일정한 계수 (1.05 ∼ 1.15 정도) 를 곱하는 가공분 보정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가공분 보정부 (130)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정 테이블을, 도시되지 않은 기억 영역 내에 유지한다. 도 6 의 보정 테이블은, 가공 제품의 완성 중량과 계수를 대응시킨 표이다. 이 경우, 가공분 보정부 (130) 는, 보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가 취득한 가공 제품의 중량에 대응하는 계수를 취득한다. 그리고 가공 제품의 중량에 계수를 곱해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을 얻는다.The processing component correcting unit 130 acquires a measurement value of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output by the electronic scale interface 120 in order to add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to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and the measured value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processed powder multiplied by a constant coefficient greater than 1 (about 1.05 to 1.15)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on unit 130 holds a correction table as shown in Fig. 6 in a storage area not shown. The correction table in FIG. 6 is a table in which the finished weight and the coefficient of the processed product correspond. In this case,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ng unit 130 refers to the correction table, and acquires a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acquired by the electronic balance interface 120. Then,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is multiplied by a coefficient to obtain the weight after correcting the processed powder.

또한, 보정 테이블의 형식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가공 제품의 종류 (치아의 부위 등), 재료, 크기나 이들의 조합 등에 따라 계수를 특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가공분 보정부 (130) 는, 상기 서술한 지시서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도시되지 않은 지시서의 관리 시스템 등으로부터 가공 제품의 종류 (치아의 부위 등), 재료, 크기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혹은, 가공분 보정부 (130) 는, 상기 서술한 입력 수단 (200)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이들 정보를 직접 취득해도 된다.In addition, the format of the correction table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coefficients can be specifie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rocessed product (such as a tooth portion), material, siz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is case,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ng unit 130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bove-mentioned instruction, to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the processed product (such as a tooth portion), material, size, etc. from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instruction not shown. Can be acquired. Alternatively,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on unit 130 may directly acquire thes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put means 200 or the like.

또 가공분 보정부 (130) 는, 보정 테이블 대신에, 가공 제품의 중량을 입력으로 하여 계수 또는 보정 후의 중량을 출력하는 변환식, 통계 모델, 기계 학습이 끝난 모델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correction table,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on unit 130 may have a conversion formula, a statistical model, a machine-trained model, etc. that output the counted or corrected weight by inputt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가공분 보정부 (130) 는, 가공분 보정을 실시한 후의 중량을 기억부 (140) 또는 출력부 (150) 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수단 인터페이스 (110) 가 취득한 식별 정보,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과 관련지어 출력한다.The processed powder correction unit 130 outputs the weight after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on is performed to the storage unit 140 or the output unit 150. 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put means interface 110 and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electronic scale interface 120 are output in association with the weight after correction of the processed powder.

기억부 (140) 는, 가공분 보정부 (130) 로부터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을 취득, 기억한다. 또는,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로부터 가공 제품의 중량을 취득, 기억한다. 바람직하게는, 중량을 식별 정보나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한다.The storage unit 140 acquires and stores the weight after the processing powder correction from the processing powder correction unit 130. Alternatively,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is obtained and stored from the electronic balance interface 120. Preferably, the weigh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mage data.

출력부 (150) 는, 가공분 보정부 (130) 로부터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을 취득하여, 외부에 출력한다. 또는,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20) 로부터 가공 제품의 중량을 취득하여, 외부에 출력한다.The output unit 150 obtains the weight after correcting the processed powder from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ng unit 130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is obtained from the electronic balance interface 120 and output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중량을 식별 정보나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출력한다.Preferably, the weight is output in association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mage data.

기억부 (140) 가 기억한 정보 및 출력부 (150) 가 출력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납품서에 대한 기재, 청구서에 대한 기재, 수발주 관리 시스템에 대한 등록, 제조자의 사업소 내에서의 가공 재료의 재고 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storage unit 140 and the information output by the output unit 150 are, for example, written on a delivery note, written on a bill, registered on an order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ed material in a manufacturer's establishment. It can be used for inventory management.

종래, 치과 기공소에 있어서는, 가공 재료를 매입했을 때에 매입량을 관리 시스템에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가공 담당자가 가공 재료를 꺼낼 때에 반출량을 관리 시스템에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함으로써, 매입량이나 반출량을 관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공 재료의 사용량을 관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절삭 및 연마 등의 가공 과정에서 없어지는 가공 재료를 계량할 수 없어, 실제로 가공에 사용된 양이 불명했었기 때문이다. 이 점,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공 공정의 요소 요소에서, 가공 재료의 사용량이나, 가공 과정에서 없어진 가공 재료의 양을 자동적으로 계산하고,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기록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가공 재료의 재고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즉, 현재까지의 어느 시점에 있어서의 가공 재료의 사용량, 재고량을 특정할 수 있다. 또, 과거의 실적값을, 장래의 어느 시점에 있어서의 가공 재료의 사용량, 재고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가공 거점이나 가공 작업자마다, 가공 재료의 사용량, 가공 제품의 중량을 특정하여, 가공 재료의 로스율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예를 들어, 가공 작업자를 지도할 때에 유용하다. 이에 더하여, 중량 데이터 (피가공물 (A) 의 중량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에 가공분 보정을 실시한 후의 중량을 나타내는 수치) 를, 카메라 (12) 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 즉 계량 접시 (5) 에 재치된 피계량물 (A) 과 표시부 (6) 에 표시된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동시에 넣은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보존 또는 출력함으로써, 중량 데이터가 확실히 피계량물 (A) 의 것임을 증명하는 물증을 남길 수 있다.Conventionally, in dental laboratories, the amount of purchase or the amount of export is managed by manually inputting the amount of purchase into the management system when the material is purchased, or by manually inputting the amount of discharge into the management system when the processing person takes out the material.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manage the amount of material used.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the material used for machining was unknown because it was not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material that was lost during the machining process such as cutting and polishing. According to this point and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alculate and record the amount of the used processing material or the amount of the processing material lost in the processing process in the element elements of the processing process. Thereby, inventory management of the processed material can be performed with reference to the recorded data. That is,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amount of used material and the amount of inventory of the processed material at any point in time so far. In addition, past performance value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amount of used and inventory of processed materials at any point in the future. In addition, for each processing base or processing worker, the amount of processing material used and the weight of the processing product can be specified to calculate the loss rate of the processing material. Such information is useful, for example, when instructing a machining worker. In addition to this, the weight data (a measured value of the weight of the workpiece A or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weight after the correction is performed on the measured value) is placed on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 that is, the weighing plate 5 A proof that the weight data is definitely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 by storing or output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weighed (A) and the weight of the object (A)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6) in association with the image data. Can leave

또, 종래에는 경험에 기초하여 가공 재료의 사용량의 계산이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공 담당자나 치과 기공소에 의해 산정 기준이 가지각색이며, 발주자에게 불투명감을 가지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일관된 기준으로 가공분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발주자에게 있어서는 가공비의 내역이 거짓 없고 공정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used processing material has been performed based on experience in the past, the calculation standards are varied by processing personnel and dental laboratories, and it has been a factor that causes the client to have an opaque feeling.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librate the processed powder on a consistent basis. For this reason, the processing cost details are not false and fair to the orderer.

또, 치과 의사 중에는 스스로 가공 재료를 구입하고, 가공 재료를 치과 기공소에 예탁하여 가공을 실시하게 하는 예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출력부 (150) 는, 예를 들어, 가공 재료의 구입 실적과, 사용 실적 (혹은 예측치) 에 기초하여 가공 재료의 재고량 등을 산출하고, 치과 의사 등에게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출력부 (150) 는, 예를 들어, 소정의 재고량이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 구입을 촉구하는 얼러트를 발하거나, 자동적으로 발주 처리를 실행하거나 해도 된다.In addition, some dentists purchase materials themselves, and deposit the processed materials in dental laboratories for processing. In such a case, the output unit 150 may calculate the inventory of the processed material based on, for example, the purchase performance of the processed material and the use performance (or the predicted value), and present it to a dentist or the like. Do. Furthermore, the output unit 150 may, for example, issue an alert urging the purchase when a predetermined inventory amount falls below a threshold value, or may automatically execute an order processing.

또, 치과 기공소에 있어서도, 모든 가공 담당자에 대해 동일한 기준으로 가공분 보정이 실시되는 것은 메리트가 된다. 예를 들어, 출력부 (150) 는, 가공 재료의 반출량과, 가공분 보정된 사용량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가공 기술의 교졸 (巧拙) 이나 부정의 유무 등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n a dental laboratory, it is a merit that the machining component correction is performed on the same standard for all processing personnel.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50 can als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gap or irregularity in processing technology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material processed and the amount of processed material corrected.

<실시형태 2><Embodiment 2>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계량 시스템 (2000) 의 구성을 도 7 에 나타낸다. 계량 시스템 (2000) 은, 전자 저울 (1), 관리 장치 (100) 및 단말 장치 (300) 를 포함한다.7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weighing system 2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weighing system 2000 includes an electronic balance 1, a management device 100, and a terminal device 300.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전자 저울 (1) 은, 저울 본체부 (2) 를 갖는다. 저울 본체부 (2) 의 구성은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즉, 저울 본체부 (2) 는 케이스 (4) 를 갖고, 케이스 (4) 의 상면에는, 피계량물 (A) 을 놓는 계량 접시 (5),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6), ON/OFF 스위치 (7), 리셋 버튼 (9) 등이 형성된다. 케이스 (4) 의 내부에는, 계량 접시 (5) 에 놓인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검출 장치, 연산부나 기억부를 갖는 제어 기판, 전원 등이 내장된다.The electronic scale 1 in Embodiment 2 has a scale main body 2. The structure of the scale body 2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scale main body 2 has a case 4,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4, a weighing plate 5 on which the object A is weighe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object A (6), ON / OFF switch (7), reset button (9), and the like are formed. Inside the case 4, a weight detec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object A placed on the weighing dish 5, a control board having a calculation section or a storage section, a power supply, and the like are built in.

단말 장치 (300) 는, 데이터 로거부 (310), 정보 입력부 (320) 를 갖는다. 단말 장치 (300) 는, 바람직하게는 운반 가능한 정보 처리 단말이고, 전형적으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이다. 단말 장치 (300) 는,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출력 장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카메라 등의 하드웨어를 갖고, CPU 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로거부 (310), 정보 입력부 (320) 의 기능을 논리적으로 실현한다.The terminal device 300 has a data logger unit 310 and an information input unit 320. The terminal device 300 is preferably 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is typically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terminal. The terminal device 300 has hardware such as a CPU, a memory, an input / output device (including an output device such a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display device,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and a camera, and the CPU executes a program By doing so, the functions of the data logger 310 and 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are logically realized.

데이터 로거부 (310) 는, 단말 장치 (300) 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피계량물 (A) 의 중량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저울 (1) 의 표시부 (6) 의 화상을 취득한다. 데이터 로거부 (310) 는 촬영시, 표시부 (6) 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표적이나 프레임 등을, 단말 장치 (300) 의 화면 상에 표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이 표적이나 프레임에 위치를 맞추도록 하여 표시부 (6) 의 화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데이터 로거부 (310) 는, 후술하는 문자 인식 처리에 있어서, 표적이나 프레임으로 나타난 영역 내에서 문자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화상 중의 문자를 인식하는 처리의 대상 영역을 한정할 수 있으므로, 문자 인식 처리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 및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data logger unit 310 acquires an image of the display unit 6 of the electronic balance 1 on which the weight of the object A is displayed, using the camera of the terminal device 300. When photographing, the data logger 310 may display a target, a frame, or the like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6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300. The user shoots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6 so as to match the position to this target or frame. Then, the data logger 310 performs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within the region indicated by the target or frame in the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described later. Thereby, the target area of the processing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s in the image can be limited, so that the time for the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can be shortened and the recogni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혹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저울 (1) 에는, 표시부 (6) 의 근방의 소정의 위치에, 데이터 로거부 (310) 를 인식할 수 있는 마커 (62) (표적이나 프레임 등) 가 그려져 있어도 된다. 마커 (62) 는, 예를 들어, 표시부 (6) 를 둘러싸는 임의의 영역 (전형적으로는 사각형 영역) 의 단점 (端点) (전형적으로는 코너부) 을 나타내는 표적, 상기 영역의 일부를 나타내는 선분이나 도형, 또는 상기 영역의 형상을 나타내는 프레임이어도 된다. 마커 (62) 로서, 표적이나 프레임은, 전형적으로는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에 인쇄되고, 또는 전자 저울에 부착 가능한 소정의 시일 등을 첩부함으로써 전자 저울 (1) 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데이터 로거부 (310) 는, 후술하는 문자 인식 처리에 있어서, 화상 중으로부터 먼저 이 표적이나 프레임을 인식하고, 다음으로 표적이나 프레임이 나타내는 영역 내에 있어서 문자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화상 중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하는 처리의 대상 영역을 한정할 수 있으므로, 문자 인식 처리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 및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Or, as shown in Fig. 10, on the electronic scale 1, a marker 62 (target or frame, etc.) capable of recognizing the data logger 310 is dra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near the display unit 6; You may have. The marker 62 is, for example, a target representing a disadvantage (typically a corner portion) of an arbitrary region (typically a rectangular region) surrounding the display portion 6, and a line segment representing a part of the region Or a figure or a frame showing the shape of the area. As the marker 62, a target or a frame is typically formed on the electronic balance 1 by prin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body 2 or attaching a predetermined seal or the lik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electronic scale. In the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described later, the data logger 310 first recognizes this target or frame from among the images, and then performs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within the region indicated by the target or frame. As a result, the target area of the processing for extracting characters from the image can be limited, so that the time for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can be shortened and the recogni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또, 데이터 로거부 (310) 는 촬상 후, 필요에 따라 사다리꼴 보정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사다리꼴 보정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에는, 예를 들어, 네 모서리에 소정의 색 또는 형상을 갖는 마커 (61) 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마커 (61) 를 기점으로 하여 사다리꼴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정확하고 또한 확실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저울 본체부 (2) 의 상면에 그려진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정의하는 마커 (62) 로서의 표적이나 프레임을,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역의 사다리꼴 보정을 위한 마커 (61) 로서 유용 (流用) 해도 된다.In addition, after imaging the data logger unit 310, a trapezoidal corre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s necessary.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pezoidal correction process, a marker 61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or shape may be formed on, for example, four corn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main body 2. In this case, by performing trapezoidal correction using the marker 61 as a starting point, accurate and reliabl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target or frame as a marker 62 defining an area including a display portion dra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le body portion 2 described above is useful as a marker 61 for trapezoidal correction of an area including the display portion ( You may use it.

데이터 로거부 (310) 는, 표시부 (6) 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였다면, 화상 중의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화상으로부터의 문자 인식 처리, 즉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은 공지 기술에 의해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로거부 (310) 가 촬영시에 표시부 (6) 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표적이나 프레임 등을 단말 장치 (300) 의 화면 상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표시부 (6) 의 근방의 소정의 위치에 데이터 로거부 (310) 를 인식할 수 있는 표적이나 프레임 등을 형성함으로써, 문자 인식 처리의 시간이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image including the display unit 6 is acquired, the data logger 310 recognizes the characters in the image, and outputs the recognition result as numerical data indica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A to be weighed. Since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from an image, that is,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can be realized by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logger 310 displays a target, a frame, or the like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6 at the time of shooting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300 or the display unit By forming a target or a frame or the like capable of recognizing the data logger 3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near (6),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ime and precision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또한, 데이터 로거부 (310) 는, 화상이 촬영될 때마다 순서대로 문자 인식 처리를 실행해도 되고, 복수 장의 화상이 촬영된 후에 통합하여 문자 인식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 데이터 로거부 (310) 는, 문자 인식 결과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고, 필요에 따라 문자 인식 결과를 사용자에게 수정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촬영된 화상, 그 화상에 기초하는 문자 인식 결과, 문자 인식 결과를 승인하기 위한 버튼, 문자 인식 결과를 편집하기 위한 키패드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logger 310 may perform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in order each time an image is captured, or may perform a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in a combination after multiple images are captured. In addition, the data logger 310 may have a user interfac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recognition result is correct to the user, and modifying the character recognition result to the user as necessary. For example, a screen may display a photographed image, a text recognition result based on the image, a button for accepting the text recognition result, a keypad for editing the text recognition result, and the like.

여기서 데이터 로거부 (310) 는, 전자 저울 (1) 의 표시부 (6) 를 촬영할 때, 계량 접시 (5) 에 재치된 피계량물 (A) 을 동시에 화상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로거부 (310) 가 출력하는 수치 데이터가, 확실히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나타내는 것임을 시사하는 물증을 남길 수 있다.Here, when the data logger 310 photographs the display portion 6 of the electronic scale 1, it is preferable to simultaneously put the weighed object A placed on the weighing plate 5 into the image. It is possible to leave a proof suggesting that the numerical data output by the data logger 310 is clearly indica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

데이터 로거부 (310) 는,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를, 단말 장치 (300) 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관리 장치 (100) 에 대해 송신한다.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Bluetooth (등록 상표) 나 WiFi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데이터 로거부 (310) 는, 촬영한 화상을, 피계량물 (A) 의 중량과 관련지어 관리 장치 (100) 에 대해 송신해도 된다. 이로써, 계측 결과를 증명하는 정보를 확실하게 남길 수 있다.The data logger 310 transmits numerical data indica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A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terminal device 300.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transmit data using,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or WiFi. Moreover, the data logger 310 may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management apparatus 100 in association with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 Thereby, the information which proves the measurement result can be reliably left.

보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로거부 (310) 는,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에 대한 가공분 보정 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 데이터를 관리 장치 (100) 에 대해 송신한다. 가공분 보정 처리의 내용은, 상기 서술한 가공분 보정부 (130) 가 실시하는 처리의 내용과 동일하다. 즉, 데이터 로거부 (310) 는,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에 대하여, 1 보다 큰 일정한 계수 (1.05 ∼ 1.15 정도) 를 곱함으로써,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 데이터를 산출한다. 계수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정 테이블 외에, 임의의 변환식, 통계 모델, 기계 학습이 끝난 모델 등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또, 계수는 가공 제품의 종류 (치아의 부위 등), 재료, 크기 등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가공 제품의 종류 (치아의 부위 등), 재료, 크기 등의 정보는, 단말 장치 (300) 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직접 입력되어도 되고, 후술하는 정보 입력부 (320) 를 통하여 부여되어도 된다.More preferably, the data logger unit 310 performs the process for correcting the processed powder with respect to the numerical data indica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 and then the weight data after the corrected processed powder is processed with respect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Send. The content of the processing powder correction processing is the same as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component correction unit 13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data logger 310 calculates the weight data after the correction of the processed powder by multiplying the numerical data represen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 by a constant coefficient greater than 1 (about 1.05 to 1.15). The coefficients may be given by an arbitrary conversion formula, a statistical model, a machine-trained model, or the like other than the correction table as shown in FIG. 6. Further, the coefficient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rocessed product (such as a tooth portion), material, size, or the like. In this case,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the processed product (such as a portion of the tooth), material, and size may be directly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device 300 o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part 320 described later.

정보 입력부 (320) 는, 단말 장치 (300) 의 카메라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가공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 (300) 의 카메라가 지시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코드 등을 판독하여, 발주를 일의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입력부 (320) 는, 취득한 식별 정보를 관리 장치 (100) 에 대해 송신한다. 또 정보 입력부 (320) 는, 바코드 등을 포함하는 화상을 함께 관리 장치 (100) 에 대해 송신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입력부 (320) 가 취득한 식별 정보와, 데이터 로거부 (310) 가 취득 또는 생성한 중량 데이터는, 모두 관리 장치 (100) 에 출력된다. 바꾸어 말하면, 식별 정보와 중량 데이터가 관련지어져, 관리 장치 (100) 에 출력된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uses the camera o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device 300 to acquire information, etc. for identifying the processed product. For example, the camera of the terminal device 300 reads the barcode or the like described in the instruction sheet, and acqui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uniquely identify the order. 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transmits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Further, 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may transmit an image including a barcode or the like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together. 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and the weight data acquired or generated by the data logger 310 are both output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In other 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eight data are associated and output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또한, 데이터 로거부 (310) 및 정보 입력부 (320) 는 일체로서 실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 (300) 의 카메라가, 계량 접시 (5) 에 재치된 피계량물 (A) 과, 피계량물 (A) 의 중량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저울 (1) 의 표시부 (6) 와, 지시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코드 등을 동시에 촬상한다. 데이터 로거부 (310) 및 정보 입력부 (320) 는, 이 1 개의 화상으로부터 각각 중량 데이터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 또는 피계량물 (A) 의 중량에 가공분 보정을 실시한 후의 수치 데이터) 및 식별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계량 결과의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logger unit 310 and 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may be mounted as a unit.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6 of the electronic balance 1 in which the camera of the terminal device 300 displays the weighed object A placed on the weighing dish 5 and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A. ) And the barcode or the like described in the instruction sheet are simultaneously photographed. The data logger 310 and 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each process the weight data (numeric data represen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A or the weight of the object A) from this one image. Numerical data after implement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cquired. Thereby,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rd the weighing result.

관리 장치 (100) 는 입력부 (160), 기억부 (140), 출력부 (150) 를 갖는다. 관리 장치 (100) 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퍼스널 컴퓨터, 혹은 이른바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실장된 서버 컴퓨터일 수 있다. 관리 장치 (100) 는,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출력 장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등의 하드웨어를 갖고, CPU 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 (160), 기억부 (140), 출력부 (150) 의 기능을 논리적으로 실현한다.The management device 100 has an input unit 160, a storage unit 140, and an output unit 150.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eferably a personal computer, or a server computer mounted as a so-called cloud service. The management device 100 has hardware such as a CPU, a memory, an input / output device (including an output device such a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display device, and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the CPU inputs a unit by executing a program ( 160), the functions of the storage unit 140 and the output unit 150 are logically realized.

입력부 (160) 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 장치 (300) 로부터, 정보 입력부 (320) 가 취득한 식별 정보, 데이터 로거부 (310) 가 취득 또는 생성한 중량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The input unit 16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and weight data and image data acquired or generated by the data logger unit 310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o.

기억부 (140) 는,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 데이터를 식별 정보나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출력부 (150) 는,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을 외부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가공분 보정 후의 중량을 식별 정보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기억부 (140) 가 기억한 정보 및 출력부 (150) 가 출력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납품서에 대한 기재, 청구서에 대한 기재, 수발주 관리 시스템에 대한 등록, 제조자의 사업소 내에서의 가공 재료의 재고 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the weight data after correction of the processed powder in association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mage data. The output unit 150 outputs the weight after the correction of the processed powder to the outside. Preferably, the weight after correction of the processed powder can be output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mage data. 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storage unit 140 and the information output by the output unit 150 are, for example, written on a delivery note, written on a bill, registered on an order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ed material in a manufacturer's establishment. It can be used for inventory management.

또한, 단말 장치 (300) 의 데이터 로거부 (310) 가 가공분 보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 장치 (100) 는,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가공분 보정부 (130) 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가공분 보정부 (130) 가, 데이터 로거부 (310) 가 취득한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공분 보정 처리를 실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data logger unit 310 of the terminal device 300 does not perform the processing powder correction processing, the management device 100 may have the processing powder correction unit 1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ng unit 130 performs the processed powder correcting process based on numerical data indica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A to be measured obtained by the data logger 310.

<실시형태 3><Embodiment 3>

실시형태 3 에서는, 단말 장치 (300) 가 전자 저울 (1) 의 표시부 (6) 에 표시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대신에, 전자 저울 (1) 이 계측 결과인 중량 데이터를 단말 장치 (300) 에 전송한다. 이로써, 단말 장치 (300) 에 있어서의 문자 인식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instead of the terminal device 300 recognizing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6 of the electronic scale 1, the electronic scale 1 transmits the weight data, which is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terminal device 300 do. Thereby, the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 in the terminal device 300 can be omitted.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계량 시스템 (3000) 의 구성을 도 8 에 나타낸다. 계량 시스템 (3000) 은, 전자 저울 (1), 관리 장치 (100) 및 단말 장치 (300) 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2 와 비교하면, 전자 저울 (1) 및 단말 장치 (300) 의 구성에 있어서 일부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여기에서는 실시형태 2 와의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일치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metering system 3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weighing system 3000 includes an electronic balance 1, a management device 100, and a terminal device 300. Compared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electronic balance 1 and the terminal device 300 differ in some configurations, but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Here, the differences from the second embodiment are mainly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s of the points that match are omitted.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저울 (1) 은, 계측 결과인 피계량물 (A) 의 중량을 외부에 송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갖는다. 전형적으로는, 전자 저울 (1) 은, Bluetooth (등록 상표) 나 WiFi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저울 (1) 은, 피계량물 (A) 의 중량의 계측 결과를 표시부 (6) 에 표시함과 함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 장치 (300) 의 데이터 로거부 (310) 에 대해 송신한다.The electronic balan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 to the outside. Typically, the electronic balance 1 can transmit data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or WiFi. The electronic balance 1 display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weight of the object 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 and the data logger unit 310 of the terminal device 300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n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300) 의 데이터 로거부 (310) 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전자 저울 (1) 로부터 피계량물 (A) 의 중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데이터 로거부 (310) 는, 단말 장치 (300) 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계량 접시 (5) 에 재치된 피계량물 (A) 과, 피계량물 (A) 의 중량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저울 (1) 의 표시부 (6) 를 동시에 넣은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부 (310) 는, 중량 데이터를 관리 장치 (100) 에 대해 송신한다. 이 때, 중량 데이터와 촬영한 화상을 관련지어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계측 결과를 뒷받침하는 정보를 확실하게 남길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데이터 로거부 (310) 는, 가공분 보정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The data logger 310 of the terminal device 300 in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the weight data of the object A to be weighed from the electronic balance 1 by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reover, the data logger 310 uses the camera of the terminal device 300, and the electronic balance on which the weighed object A placed on the weighing dish 5 and the weight of the weighed object A are displayed. An image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6 of (1) is put at the same time can be photographed. The data logger 310 transmits the weight data to the management device 100.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he weight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captured image. Thereby, the information supporting the measurement result can be reliably left. Also in this embodiment, the data logger 310 may perform a process for correcting the powder.

단말 장치 (300) 의 정보 입력부 (320) 및 관리 장치 (100) 는, 실시형태 2 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이로써, 중량 데이터와 식별 정보가 대응지어져 관리 장치 (100) 의 기억부 (140) 에 기억된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320 and the management device 100 of the terminal device 300 operate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by, the weight data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correl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management apparatus 10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으로부터의 문자 인식 결과의 승인 및 수정을 단말 장치 (300) 의 사용자가 실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사용자에게 문자 인식 결과의 승인 및 수정을 실시하게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 (100) 측에 문자 인식 결과의 승인 및 수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치과 기공소의 관리자나 치과 의원의 의사 등이, 중량 데이터의 물증을 확인하거나, 필요에 따라 중량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hange suitably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300 performs the approval and modification of the text recognition result from the image has been shown, other users are allowed to approve and correct the text recognition result. It may be configured to.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for approval and modification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result may be provided on the management device 100 side. Thereby, 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the manager of the dental laboratory, the doctor of the dental clinic, and the like to confirm the weight data proof and to correct the weight data as necessary.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는 치과 기공물의 제작 업무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공 재료의 재고 관리를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업무에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재료를 가공하는 보석 장식품의 제조에 적용하는 것은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처리 수단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임의의 처리를 CPU 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논리적으로 실현되는 것이어도 된다.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타입의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인 매체에 의해 컴퓨터에 공급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demonstrated the manufacturing task of a dental pore as an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pplicable to various tasks which require inventory management of a processed material. Specifically, it is easy to apply to the manufacture of jewelry ornaments for processing metallic materials. Moreover, each process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hardware, or may be implemented logically by executing a program on the CPU for arbitrary processing. The program can be supplied to a computer by various types of temporary or non-transitory media.

이 출원은, 2017년 8월 9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7-154328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취입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54328 filed on August 9, 2017, and all of the disclosure is incorporated herein.

A : 피계량물
B : 기억 매체
1 : 전자 저울
2 : 저울 본체부
3 : 덮개체
4 : 케이스
5 : 계량 접시
6 : 표시부
61 : 마커
62 : 마커
7 : ON/OFF 스위치
8 : 가공분 보정 조작 버튼
9 : 리셋 버튼
10 : 조명 장치
11 : 커넥터
12 : 카메라
13 : 반사 수단
100 : 관리 장치
110 : 입력 수단 인터페이스
120 : 전자 저울 인터페이스
130 : 가공분 보정부
140 : 기억부
150 : 출력부
200 : 입력 수단
300 : 단말 장치
310 : 데이터 로거부
320 : 정보 입력부
1000 : 계량 시스템
A: Object to be measured
B: storage medium
1: electronic scales
2: Scale body
3: Cover body
4: Case
5: weighing plate
6: Display part
61: marker
62: marker
7: ON / OFF switch
8: Process control button
9: Reset button
10: lighting device
11: connector
12: Camera
13: reflective means
100: management device
110: input means interface
120: electronic balance interface
130: correction part for processing
140: memory
150: output unit
200: input means
300: terminal device
310: data logger
320: information input unit
1000: weighing system

Claims (6)

가공 제품의 중량을 계측하는 전자 저울과 단말 장치를 갖고,
상기 전자 저울은,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근방에 형성된 마커를 갖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표시부를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마커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 내에서 문자 인식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을 취득하는 데이터 로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시스템.
It has an electronic scale and a terminal devic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The electronic scal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Has a marker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play unit,
The terminal device,
A weighing system comprising a data logger for acquir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by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within an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정의한 표적, 선, 도형 또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rker is a weig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arget, line, figure or frame defining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부는 추가로,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에 가공 과정에서 없어지는 가공 재료의 중량을 가미하는 가공분 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가공분 보정된 중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logger unit is further, the weig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processing component correction to add the weight of the processed material that is lost in the processing process to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and output the corrected component weight.
가공 제품의 중량을 계측하는 전자 저울로서,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근방에 형성되고, 단말 장치가 상기 표시부를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마커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 내에서 문자 인식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을 취득하기 위한 상기 마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저울.
An electronic scale for weighing processed product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It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play unit, and the terminal device has the marker for acquir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by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within the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based on the image taken by the display unit. Electronic scales.
가공 제품의 중량을 계측하는 전자 저울에 첩부하기 위한 마커로서,
상기 마커는 표시부의 근방에 첩부됨으로써, 단말 장치가 인식 가능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마커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 내에서 단말 장치에 의한 문자 인식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상기 가공 제품의 중량이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저울용 마커.
As a marker for attaching to the electronic balance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The marker is affixed to the vicinity of the display unit to form an area recognizable by the terminal device, and character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within the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whereby the weight of the processed product is obtained. Marker for electronic scal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전자 저울의 표면에 부착 가능한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저울용 마커.
The method of claim 5,
The marker is an electronic balance marker, characterized in that a seal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balance.
KR1020207004752A 2017-08-09 2018-05-18 Weighing system, electronic balance and marker for electronic balance KR2020003597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4328A JP6856220B2 (en) 2017-08-09 2017-08-09 Weighing systems, electronic scales and markers for electronic scales
JPJP-P-2017-154328 2017-08-09
PCT/JP2018/019376 WO2019031020A1 (en) 2017-08-09 2018-05-18 Weighing system, electronic scale, and electronic scale mar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976A true KR20200035976A (en) 2020-04-06

Family

ID=6527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752A KR20200035976A (en) 2017-08-09 2018-05-18 Weighing system, electronic balance and marker for electronic balan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60340B2 (en)
EP (1) EP3667264A4 (en)
JP (1) JP6856220B2 (en)
KR (1) KR20200035976A (en)
CN (1) CN111094912A (en)
WO (1) WO201903102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786B1 (en) * 2021-03-09 2022-04-08 트릴리온스랩 주식회사 Aluminum ingot transac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2462B2 (en) * 2017-03-30 2020-12-16 株式会社DSi Electronic scales
JP7190139B2 (en) * 2019-05-20 2022-12-15 株式会社DSi Weighing system
JPWO2020261028A1 (en) * 2019-06-25 2020-12-30
WO2021090808A1 (en) * 2019-11-05 2021-05-14 新光電子株式会社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system
JP7418275B2 (en) 2020-04-20 2024-01-19 株式会社チノー recorder
CN113984169A (en) * 2021-10-26 2022-01-28 南京智凝人工智能研究院有限公司 Intelligent electronic scale system based on visual analysi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7388A (en) 2013-02-28 2014-09-11 Casio Comput Co Ltd Weight acquisition support device, weight acquisition method, and program
JP2016176818A (en)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イシダ Meas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675A (en) * 1987-06-25 1989-06-13 Owen H Drew Catch and release fish data recording system
JPH10149435A (en) * 1996-11-19 1998-06-02 Kunikatsu Takase Environment recognition system and mark used therefor
JPH11120320A (en) * 1997-10-17 1999-04-30 Canon Inc Video input device, parameter se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6571223B1 (en) * 1999-10-28 2003-05-27 Vaghi Family Intellectu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generating postal/carrier rates using encoded information
US7750817B2 (en) * 1999-12-10 2010-07-06 Beverage Metrics Holding Ltd System and method using a scale for monitoring the dispensing of a beverage
AU2001226366A1 (en) * 2000-01-11 2001-07-24 Workonce Wireless Corporation A method and system for form recognition and digitized image processing
US6697056B1 (en) 2000-01-11 2004-02-24 Workonce Wireles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orm recognition
US6600482B1 (en) 2000-01-11 2003-07-29 Workonce Wireles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orm recognition and digitized image processing
US6707466B1 (en) 2000-01-11 2004-03-16 Workonce Wireles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orm recognition and digitized image processing
JP2003303222A (en) * 2002-04-08 2003-10-24 Seiko Epson Corp Information reader/processor, its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092746U (en) * 2002-09-12 2003-03-28 株式会社ミツトヨ Carat weighing machine
JP2008276677A (en) * 2007-05-07 2008-11-13 Fuji Xerox Co Ltd Support device for 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nd program
JP4838383B1 (en) * 2010-11-26 2011-12-14 山田 明 A portable scale capable of managing the food intake weight, a digital photograph, and a management system for intake weight data using a mobile phone and IT
US8752758B1 (en) * 2013-03-15 2014-06-17 Mettler-Toledo, LLC Use of scannable 2-D bar codes to provide context-sensitive information for a weighing device
US9062999B2 (en) * 2013-03-15 2015-06-23 Catalina Market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encoding item information from a scale in a self-service scanning solution
CN107103319A (en) * 2013-05-22 2017-08-29 华为终端有限公司 A kind of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user terminal
GB2515345B (en) * 2013-06-21 2016-06-01 Illinois Tool Works Weighing scale system
CN103592016B (en) 2013-11-19 2016-08-17 浙江省计量科学研究院 Electronic price computing scale software cheating detection device and method
JP2015099116A (en) * 2013-11-20 2015-05-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Component analyzer
CN203672468U (en) * 2013-12-24 2014-06-25 邓东东 Two-dimensional code weighing application system
US20160110791A1 (en) * 2014-10-15 2016-04-21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nsor-based environment
US10810540B1 (en) * 2015-03-30 2020-10-20 Amazon Technologies, Inc. Item determination based on weight data
US9842251B2 (en) * 2016-01-29 2017-12-12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Bulleted lists
JP6699235B2 (en) 2016-02-29 2020-05-27 ぺんてる株式会社 Ballpoint pen tip
US11103160B2 (en) * 2016-04-19 2021-08-31 Medf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ied biomeasurements
US11953881B2 (en) * 2019-04-23 2024-04-09 Alarm.Com Incorporated Property control and configuration based on floor contact monit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7388A (en) 2013-02-28 2014-09-11 Casio Comput Co Ltd Weight acquisition support device, weight acquisition method, and program
JP2016176818A (en)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イシダ Measu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786B1 (en) * 2021-03-09 2022-04-08 트릴리온스랩 주식회사 Aluminum ingot transac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60340B2 (en) 2022-10-04
JP2019032276A (en) 2019-02-28
EP3667264A4 (en) 2021-04-28
US20200386609A1 (en) 2020-12-10
EP3667264A1 (en) 2020-06-17
WO2019031020A1 (en) 2019-02-14
CN111094912A (en) 2020-05-01
JP6856220B2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5976A (en) Weighing system, electronic balance and marker for electronic balance
US9953374B2 (en)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method
JP7004040B2 (en) Inspection support system, inspection support device, inspection support program
WO2018216633A1 (en) Processing material inventory management system, inventor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Breitbarth et al. Measurement accuracy and dependence on external influences of the iPhone X TrueDepth sensor
JP2014032039A (en) Inspec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KR20190136017A (en) electronic scale
JP6396029B2 (en) Article recognition system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JP7190139B2 (en) Weighing system
CN110148166A (en) Measure system, method, apparatus and the storage medium of dimension of object
KR20150082746A (en) Hand measurement system to order customized golf gloves
JP7308436B2 (e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2021018580A (en)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and program
JP7239731B2 (en) Weighing devices and weighing systems
JP2019197537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60080886A (en) Instant Print Vending Machine for Mobile Phone Case
JP7294463B2 (en) program, recording medium
JP7243748B2 (en) Setting method and program
JP2019145028A (en) Sensor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ensor management method
JP7013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equipment
EP3981375A1 (en) Tablet dimension measuring program and tablet dimension measuring system
JP2022019570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2022156083A (en) Setting work method and work support device
JP2022106808A (en) Article recognition device
CN115565658A (en) Machining device for machining dental indic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