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714A - 장경간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장경간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714A
KR20200035714A KR1020180115174A KR20180115174A KR20200035714A KR 20200035714 A KR20200035714 A KR 20200035714A KR 1020180115174 A KR1020180115174 A KR 1020180115174A KR 20180115174 A KR20180115174 A KR 20180115174A KR 20200035714 A KR20200035714 A KR 20200035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ing
module
underground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084B1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18011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0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14Aprons, endless belts, lattices, or like driv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두 개의 맨홀 사이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에 무접속 방식으로 전선이 포설 또는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전선 공급 모듈(11); 전선 공급 모듈(11)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을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모듈(12); 유도 모듈(12)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 각각을 풀링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A Method of Construction for Pulling a Wire Without Contacting Means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두 개의 맨홀 사이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에 무접속 방식으로 전선이 포설 또는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전선 또는 케이블이 지하에 포설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동도 케이블, 비-외장 케이블 또는 관로 케이블 구조로 포설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은 맨홀을 이용하여 배선이 될 수 있고, 케이블의 포설을 위하여 접속구 또는 접속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607882호는 케이블 열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적용 중인 곡선 시공을 직선 시공으로 대체할 수 있는 맨홀용 지중송전선로 포설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0889869호는 내부의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보행자의 감전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잠금 장치를 구비한 전선 접속배선용 맨홀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에서 개시된 케이블 또는 전선 포설 장치는 지하 포설을 위하여 접속 수단이 사용되지만 접속 수단이 사용되면, 다양한 형태의 접속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포설 또는 유지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속 수단이 최소로 사용되거나, 접속 수단이 사용되지 않는 포설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제10-1607882호(한국전력공사, 2016년04월01일 공고) 맨홀용 지중송전선로 포설장치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0889869호((주)대명콘크리트산업, 2009년03월25일 공고) 잠금장치를 구비한 전선 접속배선용 맨홀
본 발명의 목적은 캐터필러 구조의 풀링 모듈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접속 수단이 사용되지 않고 지하 케이블의 포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전선 공급 모듈; 전선 공급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모듈; 유도 모듈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 각각을 풀링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링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풀링 모듈은 지하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서로 다른 두 개의 맨홀 사이에 배치되고, 풀링 모듈은 서로 마주보는 제1, 2 캐터필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에 지중 배선의 공급을 위한 공급 수단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공급 수단으로 공급되는 지중 배선을 캐터필러 구조의 풀링 수단으로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풀링 수단은 두 개의 맨홀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 선로에 서로 분리되어 위치하고, 서로 다른 풀링 수단 사이에 유도 롤러에 의하여 지중 배선이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는 전선 또는 케이블과 같은 지중 배선 선로를 지하에 포설하는 과정에서 접속 수단 또는 접속 장치가 사용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접속 수단의 사용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접속 불량 또는 이와 유사한 전력 공급 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풀링 장치에 적용되는 캐터필러 구조의 풀링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링 장치에 적용되는 윈치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풀링 장치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전선 공급 모듈(11); 전선 공급 모듈(11)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을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모듈(12); 유도 모듈(12)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 각각을 풀링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L)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은 전력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은 지하에 포설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두 개의 맨홀을 연결하는 지하 도관에 형성된 포설 경로(P)에 배치될 수 있다. 전선 공급 모듈(11)은 예를 들어 차량 또는 차량에 배치된 전선 공급 드럼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전선 공급 드럼이 적재함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전선 공급 드럼은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공급 드럼에 전선이 감길 수 있고, 전선 공급 드럼은 회전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모터 또는 이와 유사한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회전이 될 수 있다. 전선 공급 모듈(11)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선은 유도 모듈(12)에 의하여 유도되어 정해진 속력으로 이송이 될 수 있고, 유도 모듈(12)은 예를 들어 장력 탐지 수단, 장력 조절 수단, 전선 공급 모듈(11)의 회전 속력 조절 수단 또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 공급 모듈(11)과 유도 모듈(12)은 하나의 모듈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윈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드럼 구조의 윈치에 회전 조절을 위한 구동 수단, 장력 탐지 수단, 장력 조절 수단 및 유도 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 유도 블록은 예를 들어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을 유도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고정 블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블록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 홀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의 유도가 제한될 수 있다. 전선 공급 모듈(11) 또는 유도 모듈(12)은 전선(W_1 내지 W_K)을 조절된 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은 풀링 모듈(13_1 내지 13_L)에 의하여 전선 공급 모듈(11)로부터 당겨져 이송될 수 있다. 풀링 모듈(13_1 내지 13_L)은 예를 들어 캐터필러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이 포설이 되는 지하 도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맨홀의 아래쪽에 하나의 풀링 모듈(예를 들어 13_1)이 배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가 되어 지하 도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풀링 모듈(13_L)이 다른 맨홀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하 도관에 배치된 연속적으로 배치된 풀링 모듈(13_L)에 의하여 지하 도관에 형성된 포설 경로(P)를 따라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이 이송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접속 수단이 사용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이 안정적으로 포설 경로(P)를 따라 이송되어 하나의 맨홀과 다른 맨홀 사이에 포설이 되도록 한다. 각각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L)이 캐터필러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이송 속력이 조절될 수 있고, 각각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L)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전선(W_1 내지 W_K)의 처짐 또는 서로 다른 전선 사이의 장력 편차 또는 이와 유사한 포설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풀링 모듈(13_1 내지 13_L)에 의하여 유도된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은 전선 조절 모듈(14)로 유도되어 최종적으로 포설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 조절 모듈(14)은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을 당길 수 있는 당김 수단을 가지거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당김 수단 또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풀링 모듈(13_1 내지 13_L)에 의하여 유도된 전선(W_1 내지 W_K)이 예를 들어 다른 맨홀의 아래쪽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에 의하여 또 다른 포설 경로(P)를 통하여 또 다른 맨홀의 아래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아래에서 풀링 장치에 의하여 각각의 전선(W_1 내지 W_K)이 유도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은 지하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서로 다른 두 개의 맨홀(23a, 23b) 사이에 배치된다. 전선(W)의 제1 맨홀(23a)로부터 제2 맨홀(23b)로 풀링을 위하여 제1 맨홀(23a)의 입구에 차량(21)이 위치할 수 있다. 차량(21)은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고정이 될 수 있고, 차량(21)에 적어도 하나의 전선 공급 수단(22)이 배치될 수 있다. 전선 공급 수단(22)은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회전 드럼 또는 윈치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21)의 적재함에 견고하게 고정이 될 수 있다. 제1 맨홀(23a)의 아래쪽에 제1 풀링 모듈(13_1)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맨홀(23b)과 연결되는 지하 도관(D)에 적어도 하나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이 배치될 수 있다. 전선 공급 수단(22)에 의하여 전선(W)이 공급되어 제1 풀링 모듈(13_1)로 유도될 수 있고, 이후 제1 풀링 모듈(13_1)로부터 차례대로 제2 풀링 모듈(13_2)로부터 제N 풀링 모듈(13_N)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선(W)이 전선 공급 수단(22)으로부터 제N 풀링 모듈(13_N)로 유도가 되면, 조절 수단(24)에 의하여 전선(W)의 배치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수단(24)에 의하여 전선(W)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조절 수단(24)은 제2 맨홀(23b)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조절 수단(24)의 작동 구조 또는 배치 위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선(W)은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에 의하여 제1 맨홀(23a)로부터 제2 맨홀(23b)로 유도되고, 이후 조절 수단(24)에 의하여 지하도관(D)의 내부에서 전선(W)의 배치 상태가 조절되면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이 지하도관(D)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에 견인 수단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각각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은 바퀴와 같은 이동 수단 또는 차량(21)에 설치된 견인 장치에 의하여 견인될 수 있는 견인 고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면서 전선(W)을 당겨서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풀링 장치에 적용되는 캐터필러 구조의 풀링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풀링 모듈(13)은 서로 마주보는 제1, 2 캐터필러 모듈(30a, 30b)을 포함한다. 또한 제1, 2 캐터필러 모듈(30a, 30b)은 회전 벨트(31a, 31b) 및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유닛(331)을 포함한다. 제1, 2 캐터필러 모듈(30a, 30b)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캐터필러 모듈(30a, 30b) 사이로 전선(W)이 유도될 수 있다. 각각의 캐터필러 모듈(30a, 30b)은 무한 회전 궤도 구조의 회전 벨트(31a, 31b); 회전 벨트(31a, 31b)를 회전시키는 롤링 유닛(321, 322); 및 전선(W)을 가압하여 회전 벨트(31a, 31b)의 회전에 의하여 전선(W)이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유닛(331)을 포함한다.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의 롤링 유닛(321 또는 322)은 모터 또는 이와 유사한 구동 수단(34)에 의하여 정해진 속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압 유닛(331)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는 회전 벨트(31a, 31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면서 전선(W)을 양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압 유닛(331)이 전선(W)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전선(W)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가압될 수 있다. 각각의 가압 유닛(331)의 위쪽으로 압력 부재(332)가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압력 부재(332)의 끝 부분이 작동 부재(3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수단(34)은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회전 구동 수단이 될 수 있고, 구동 수단(34)의 회전축에 예를 들어 기어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35)이 결합될 수 있다. 동력 전달 수단(35)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력 전달 부재(361, 362)가 결합될 수 있고, 동력 전달 부재(361, 362)의 끝 부분에 가압 작동 수단(37a, 37b)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가압 작동 수단(37a, 37b)은 예를 들어 캠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작동 축(371); 작동 축(371)에 의하여 회전되는 캠 유닛(372); 및 캠 유닛(37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 제한 유닛(373)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축(371)은 작동 부재(333)에 연결될 수 있고, 캡 유닛(372)은 편심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동 수단(34)의 구동에 의하여 캠 유닛(372)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주기적으로 전선(W)을 가압할 수 있다. 구동 수단(34)에 의하여 롤링 유닛(321, 322)이 회전될 수 있고, 롤링 유닛(321, 322)의 회전은 캠 유닛(372)의 작동과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유닛(331)은 블록 형상이 될 수 있고, 압력 부재(332)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력 부재(33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부재(332)의 아래쪽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334)이 배치될 수 있고, 가압 유닛(331)은 탄성 구조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캐터필러 모듈(30a_1 내지 30b_N)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다수 개의 전선(W_1 내지 W_N)이 동시에 이송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캐터필러 모듈(30a_1 내지 30b_N)은 하나의 구동 수단(34)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되거나,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전선(W_1 내지 W_N)이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풀링이 될 수 있다. 캐터필러 모듈(30a_1 내지 30b_N)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링 장치에 적용되는 윈치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벨트(31b)는 캐터필러의 궤도 구조가 될 수 있고, 회전 벨트(31b)의 한쪽 면에 일정 길이로 유도 레일(41)이 결합될 수 있고, 유도 레일(41)에 적어도 하나의 전선 유도 경로(421, 422)가 형성된 유도 롤러(42)가 결합될 수 있다. 전선은 전선 유도 경로(421, 422)를 따라 유도될 수 있고, 회전 벨트(31b)의 회전에 따라 유도 롤러(42)가 회전되면서 전선이 이송될 수 있다. 유도 레일(41)에 적어도 하나의 유도 롤러(42)가 배치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유도 롤러(42)의 위쪽에 유도 레일(41)이 형성된 회전 벨트(31b)가 또한 결합될 수 있다. 캐터필러 모듈(30b)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도 모듈(12)은 전선이 감기는 릴(44); 릴(44)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 제어 모듈(45); 및 회전 제어 모듈(45)로 구동 모듈(47)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도 유닛(46)을 포함할 수 있다. 릴(44)은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회전 제어 모듈(45)은 릴(44)의 회전 속력을 조절하거나, 릴(44)의 회전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릴(44)의 회전을 개시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 모듈(45)에 장력 탐지 수단 및 길이 탐지 유닛이 배치되어 이송되는 전선의 장력이 탐지되면서 이송된 전선의 전체 길이가 측정될 수 있다. 구동 모듈(47)은 예를 들어 모터 또는 이와 유사한 구동 수단이 될 수 있고, 구동 모듈(47)의 작동은 축 또는 기어와 같은 구동 유도 유닛(46)을 통하여 회전 제어 모듈(45)로 전달될 수 있다. 릴(44)의 앞쪽에 수평 프레임 구조의 고정 프레임(48)이 배치되어 유도 모듈(12)이 안정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 또는 적절한 고정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유도 모듈(12)은 윈치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풀링 장치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차량(51)의 적재함에 고정 프레임(52)이 설치되고, 고정 프레임(52)에 적어도 하나의 전선 공급 수단(53_1 내지 53_N)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52)에 장착 틀이 형성될 수 있고, 장착 틀에 각각의 릴 구조의 전선 공급 수단(53_1 내지 53_N)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선 공급 수단(53_1 내지 53_N)의 앞쪽에 길이 조절 유닛(521)이 설치될 수 있고, 길이 조절 유닛(521)은 공급되는 전선의 이송을 유도하면서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다수 개의 관통 구조의 유도 홀 및 스토퍼를 가진 블록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길이 조절 유닛(521)에 의하여 유도된 각각의 전선의 공급 장력이 장력 조절 유닛(54)에 의하여 조절되어 맨홀(23)을 경유하여 풀링 모듈(13)로 유도될 수 있다. 이후 풀링 모듈(13)에 의하여 전선이 다른 맨홀(23)의 아래쪽으로 풀링이 될 수 있다. 길이 조절 유닛(521)에 길이 설정 유닛(551)이 배치되어 공급되는 전선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고, 장력 탐지 유닛(552)에 의하여 장력 조절 유닛(54)을 통하여 유도되는 전선의 장력이 탐지될 수 있다. 또한 풀링 모듈(13)의 회전 벨트의 회전 속력이 속력 탐지 유닛(553)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설정 유닛(551)의 설정 값, 장력 탐지 유닛(552)에서 탐지된 장력 정보 및 속력 탐지 유닛(553)에 의하여 탐지된 속력 정보가 작동 조절 모듈(554)을 경유하여 제어 모듈(56)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모듈(56)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풀링 과정을 분석하여 전체 작동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 값을 작동 조절 모듈(55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전선이 하나의 맨홀로부터 다른 맨홀로 풀링이 되어 유도될 수 있다.
풀링 모듈(13)에 의하여 풀링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은 차량에 지중 배선의 공급을 위한 공급 수단을 고정시키는 단계(P62); 및 공급 수단으로 공급되는 지중 배선을 캐터필러 구조의 풀링 수단으로 유도하는 단계(P65)를 포함하고, 상기 풀링 수단은 두 개의 맨홀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 선로에 서로 분리되어 위치하고, 서로 다른 풀링 수단 사이에 유도 롤러에 의하여 지중 배선이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은 두 개의 맨홀 사이의 지중 배선 선로에 전선 또는 케이블의 설치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지중 배선 작업에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풀링 공법이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작업 형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공법의 적용을 위하여 지중 배선 선로가 설정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두 개의 맨홀 사이에 지중 배선 선로가 설정될 수 있다(P61). 이와 같이 지중 배선 선로가 설정이 되면(P61), 전선 공급 수단이 고정될 수 있다. 전선 공급 수단은 예를 들어 윈치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에 고정될 수 있다(P62). 차량에 공급 수단의 고정을 위한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고, 고정 프레임에 전선이 감긴 회전 드럼을 포함하는 공급 수단이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차량이 하나의 맨홀 입구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중 배선 선로에 풀링 수단이 배치될 수 있고(P63), 풀링 수단은 위에서 설명이 된 캐터필러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수 개의 풀링 수단이 배선 경로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두 개의 두 개의 맨홀의 아래쪽에 각각 풀링 수단이 배치되고, 두 개의 풀링 수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풀링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풀링 수단이 두 개의 맨홀 사이에 배치되면(P63), 공급 수단으로부터 전선이 풀링 수단으로 유도될 수 있다(P64). 그리고 풀링 수단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작동이 될 수 있다(P65). 필요에 따라 각각의 풀링 수단의 앞쪽에 이송이 되는 전선의 유도를 위한 유도 수단이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도 롤러가 각각의 풀링 수단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 롤러는 예를 들어 입구가 넓고, 출구가 좁은 유도 경로를 가질 수 있고, 유도 롤러의 출구는 캐터필러 구조의 풀링 수단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수단은 풀링 수단과 함께 작동이 될 수 있다. 풀링 수단이 작동되면(P65), 지중 배선 경로를 따라 전선 또는 케이블이 유도되어 이송이 될 수 있고, 전선 또는 케이블의 이송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된 전선의 길이 또는 풀링이 되는 전선의 장력이 탐지될 수 있고, 탐지 정보가 제어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풀링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P66).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은 다양한 풀링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는 전선 또는 케이블을 지하에 포설하는 과정에서 접속 수단 또는 접속 장치가 사용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접속 수단의 사용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접속 불량 또는 이와 유사한 전력 공급 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전선 공급 모듈 12: 유도 모듈
13, 13_1 내지 13_N: 풀링 모듈 14: 전선 조절 모듈
21: 차량 22: 전선 공급 수단
23, 23a, 23b: 맨홀 24: 조절 수단
30a, 30b, 30a_1 내지 30b_N: 캐터필러 모듈
31a, 31b: 회전 벨트 34: 구동 수단
35: 동력 전달 수단 37a, 37b: 가압 작동 수단
41: 유도 레일 42: 유도 롤러
44: 릴 45: 회전 제어 모듈
46: 구동 유도 유닛 47: 구동 모듈
48: 고정 프레임 51: 이동 차량
52: 고정 프레임 53_1 내지 53_N: 전선 공급 수단
54: 장력 조절 유닛 56: 제어 모듈
321, 322: 롤링 유닛 331: 가압 유닛
332: 압력 부재 333: 작동 부재
334: 탄성 수단 361, 362: 동력 전달 부재
371: 작동 축 372: 캠 유닛
373: 작동 제한 유닛 421, 422: 전선 유도 경로
521: 길이 조절 유닛 551: 길이 설정 유닛
552: 장력 탐지 유닛 553: 속력 탐지 유닛
554: 작동 조절 모듈 D: 지하 도관
P: 포설 경로 W, W_1 내지 W_K: 전선

Claims (3)

  1.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전선 공급 모듈(11);
    전선 공급 모듈(11)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을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 모듈(12);
    유도 모듈(12)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W_1 내지 W_K) 각각을 풀링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을 포함하는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은 지하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서로 다른 두 개의 맨홀(23a, 23b) 사이에 배치되고, 풀링 모듈(13_1 내지 13_N)은 서로 마주보는 제1, 2 캐터필러 모듈(30a, 30b)을 포함하는 무접속 전선 풀링 장치.
  3. 두 개의 맨홀 사이의 지중 배선 선로의 포설을 위한 공법에 있어서,
    차량에 지중 배선의 공급을 위한 공급 수단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공급 수단으로 공급되는 지중 배선을 캐터필러 구조의 풀링 수단으로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풀링 수단은 두 개의 맨홀 사이에 형성되는 배선 선로에 서로 분리되어 위치하고, 서로 다른 풀링 수단 사이에 유도 롤러에 의하여 지중 배선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속 전선 풀링 공법.
KR1020180115174A 2018-09-27 2018-09-27 장경간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4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74A KR102149084B1 (ko) 2018-09-27 2018-09-27 장경간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74A KR102149084B1 (ko) 2018-09-27 2018-09-27 장경간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14A true KR20200035714A (ko) 2020-04-06
KR102149084B1 KR102149084B1 (ko) 2020-08-27

Family

ID=7028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174A KR102149084B1 (ko) 2018-09-27 2018-09-27 장경간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0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99Y1 (ko) * 2005-05-17 2005-08-17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무단 변속기와 벨트 브레이크가 설치된 케이블 포설장비
KR100889869B1 (ko) 2008-12-10 2009-03-25 (주)대명콘크리트산업 잠금장치를 구비한 전선 접속배선용 맨홀
KR101210483B1 (ko) * 2011-06-17 2012-12-10 (주)디.에이치.케이 더블 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견인장치
KR101607882B1 (ko) 2014-10-16 2016-04-01 한국전력공사 맨홀용 지중송전선로 포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99Y1 (ko) * 2005-05-17 2005-08-17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무단 변속기와 벨트 브레이크가 설치된 케이블 포설장비
KR100889869B1 (ko) 2008-12-10 2009-03-25 (주)대명콘크리트산업 잠금장치를 구비한 전선 접속배선용 맨홀
KR101210483B1 (ko) * 2011-06-17 2012-12-10 (주)디.에이치.케이 더블 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견인장치
KR101607882B1 (ko) 2014-10-16 2016-04-01 한국전력공사 맨홀용 지중송전선로 포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084B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524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101086388B1 (ko) 케이블 포설장치
CN103069676A (zh) 用于铺设电缆的机器的平衡及同步装置
JP2000197230A (ja) ケーブル送り装置およびケーブル敷設工法
KR20200035714A (ko) 장경간 전선 풀링 공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557058A1 (en) Ladle transport system
CN101904067B (zh) 用于铺设线缆的铺设机器的同步设备以及采用所述设备的线缆铺设设施
WO2002006146A1 (en) System for feeding line
KR101824134B1 (ko)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KR20150077223A (ko) 전선 포설 장치
KR20150000258U (ko) 선박에서의 케이블 포설 장치
EP1231097B1 (en) Method to regulate the tension for stretching machines and relative apparatus
JPH05328559A (ja) ケーブル布設方法
KR101597569B1 (ko) 트레이 주행형 케이블 포설 로봇장치 및 주행 제어방법
KR20210113827A (ko) 장거리 배전 케이블 포설 공법
KR20210132795A (ko) 장거리 배전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220514B1 (ko)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20150020968A (ko) 케이블 포설 장치 운영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1408266B1 (ko) 차량 탑재용 배전케이블 3드럼 전차선 동시 포설장치
KR101028892B1 (ko) 다회선 다경간 지중케이블 시공방법
KR20100053382A (ko) 와이어 인출 윈치
US2023005703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elongated elements in a body of water
JPH0560923A (ja) ケーブルの張力制御方法
KR20160089606A (ko) 곡선구간 주행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JPH01203173A (ja) ケーブルけん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