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856A -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 Google Patents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856A
KR20200034856A KR1020180113496A KR20180113496A KR20200034856A KR 20200034856 A KR20200034856 A KR 20200034856A KR 1020180113496 A KR1020180113496 A KR 1020180113496A KR 20180113496 A KR20180113496 A KR 20180113496A KR 20200034856 A KR20200034856 A KR 2020003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vertical support
plate
loa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풍현
Original Assignee
최풍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풍현 filed Critical 최풍현
Priority to KR102018011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4856A/ko
Publication of KR2020003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적재판이 힌지축에 의해 수직 지지대와 유지대에 연결됨으로써, 수직 지지대를 일측으로 기울여 손수레 이동시, 수직 지지대의 경사도에 영향받지 않고 적재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기에 적재물이 이탈하거나 한 쪽으로 쏠리지 않아 적재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하부 적재판의 보조 받침대에 롤러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수직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가까운 거리의 이동이 가능하여 상부 적재판에 물건을 올려놓고 조금씩 이동하며 사용시에 편리하고, 상기 하부 적재판의 끝단부에 보조 적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 적재부는 평상시에는 하부 적재판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많은 양의 적재물을 적재할 때, 하부 적재판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지기에 하부 적재판의 적재공간이 연장됨으로써, 많은 양의 적재물의 적재가 가능하고, 부피가 큰 적재물도 자유롭게 적재할 수 있어 실용성과 효율성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Cart moving to horizontally}
본 발명은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적재판이 힌지축에 의해 수직 지지대와 유지대에 연결됨으로써, 수직 지지대를 일측으로 기울여 손수레 이동시, 수직 지지대의 경사도에 영향받지 않고 적재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기에 적재물이 이탈하거나 한 쪽으로 쏠리지 않아 적재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를 운반한 물건은 차량으로부터 창고나 근거리의 화물운반을 위하여 카트 또는 손수레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카트 또는 손수레는 농사용으로도 많이 사용되는데, 모판, 모종 등을 실어서 운반하거나 비료 등의 무거운 포대도 실어서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트 또는 손수레는 통상 한쌍의 바퀴들과 이 바퀴들의 전방부로 화물이 적재되는 받침대가 구성되며, 그 뒷편으로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대가 입설되어 있다. 이 수직지지대는 받침대와 대략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잡고 카트 또는 손수레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운반용 카트 또는 손수레는 물건을 받침대 상에 적재하면서 뒷편의 수직지지대에 기대서 쌓아 올리게 되며, 이렇게 물건을 적재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카트를 기울여서 받침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바퀴들이 회전하며 카트 또는 손수레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일체화된 받침대와 수직지지대는 적재된 물건의 하중이 바퀴들의 전방에 형성됨에 의해 앞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여, 카트운전시 손잡이를 아래로 큰 힘을 주어 누르면서 밀어야 되었다.
따라서, 사용시 힘이 들 뿐만 아니라, 물건의 운반이 불안정한 폐단이 있었다. 또한, 이동시 단턱이나 작은 물체에 카트의 바퀴가 걸리면 하중의 앞쏠림으로 인해 적재된 물건이 이탈하거나 전도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물건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697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단으로 형성되는 적재판이 힌지축에 의해 수직 지지대와 유지대에 연결됨으로써, 수직 지지대를 일측으로 기울여 손수레 이동시, 수직 지지대의 경사도에 영향받지 않고 적재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기에 적재물이 이탈하거나 한 쪽으로 쏠리지 않아 적재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하부 적재판의 보조 받침대에 롤러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수직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가까운 거리의 이동이 가능하여 상부 적재판에 물건을 올려놓고 조금씩 이동하며 사용시에 편리한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적재판의 끝단부에 보조 적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 적재부는 평상시에는 하부 적재판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많은 양의 적재물을 적재할 때, 하부 적재판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지기에 하부 적재판의 적재공간이 연장됨으로써, 많은 양의 적재물의 적재가 가능하고, 부피가 큰 적재물도 자유롭게 적재할 수 있어 실용성과 효율성이 증가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하단부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일측으로 기울린 상태에서 이동되는 수직 지지대와;
상기 이동용 바퀴의 전방부인 수직 지지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수직 지지대를 수직으로 받쳐주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직 지지대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에 수직 지지대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보조 받침대가 형성되며,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하부 적재판과;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부에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상부 적재판과;
힌지축에 의해 상기 하부 적재판과 상부 적재판에 연결되어 받쳐주고, 상기 수직 지지대의 기울림에 맞춰 기울여져도 힌지축에 의해 하부 적재판과 상부 적재판이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유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 받침대에는 수직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베어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판는 수직 지지대가 기울여질 때, 하부 적재판과 접촉되어 기울기 방향으로 하부 적재판을 들어올리고, 상기 하부 적재판과 접촉되는 받침판의 상측 끝단부에는 하부 적재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수직 지지대의 이동시, 완충작용하도록 완충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 적재판과 하부 적재판 사이에는 다수개의 중단 적재판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단 적재판은 힌지축에 의해 수직 지지대와 유지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단 적재판의 하단부에는 수직 지지대와 유지대에 형성된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중단 적재판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적재판의 끝단부에는 적재공간을 연장하기 위해 보조 적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 적재부는 하부 적재판의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적재공간의 연장시에는 하부 적재판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적재판의 끝단부에는 펼쳐진 보조 적재부의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적재판이 힌지축에 의해 수직 지지대와 유지대에 연결됨으로써, 수직 지지대를 일측으로 기울여 손수레 이동시, 수직 지지대의 경사도에 영향받지 않고 적재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기에 적재물이 이탈하거나 한 쪽으로 쏠리지 않아 적재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 적재판의 보조 받침대에 롤러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수직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가까운 거리의 이동이 가능하여 상부 적재판에 물건을 올려놓고 조금씩 이동하며 사용시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적재판의 끝단부에 보조 적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 적재부는 평상시에는 하부 적재판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많은 양의 적재물을 적재할 때, 하부 적재판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지기에 하부 적재판의 적재공간이 연장됨으로써, 많은 양의 적재물의 적재가 가능하고, 부피가 큰 적재물도 자유롭게 적재할 수 있어 실용성과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능 손수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능 손수레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단 적재판이 탈거된 만능 손수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판과 보조 받침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보조 적재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단 적재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능 손수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능 손수레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단 적재판이 탈거된 만능 손수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판과 보조 받침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보조 적재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단 적재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는 비닐하우스 내의 배드에 심는 모종 등을 적재하여 배드를 따라 운반하면서 모종을 심기 위한 손수레로써, 수직 지지대(10)와, 받침판(20)과, 하부 적재판(30)과, 상부 적재판(40)과, 유지대(60)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손수레는 모종 이외에 다양한 적재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10)의 하단부에는 이동용 바퀴(11)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 바퀴(11)는 손수레의 이동시 수직 지지대(10)가 기울여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동이 편리하고, 상기 수직 지지대(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잡고 수직 지지대(10)를 일측으로 기울기 위해 손잡이(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2)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고무패킹 등이 더 설치된다.
상기 받침판(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0)의 하단부에 수직 지지대(10)와 직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한쌍의 수직 지지대(10)를 수직으로 받쳐주고, 상기 받침판(20)는 수직 지지대(10)의 하단부 중 이동용 바퀴(11)의 반대측 수평으로 설치되어 수직 지지대(10)를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받쳐준다. 이때, 상기 받침판(20)은 수직 지지대(10)와 직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 지지대(10)가 기울여질 때, 직각을 유지하면서 수직 지지대(10)를 따라 전방부가 들려진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다단의 적재판(30,40,50)에 적재물이 앞쪽에 적재시,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수직 지지대(10)가 쓰러지지 않게 하부 적재판(30)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어 수직 지지대(10)를 안전하게 받쳐준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0)의 일면에는 하부 적재판(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 받침대(31)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관통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22)를 통해 보조 받침대(31)가 관통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판(20)는 수직 지지대(10)가 기울여질 때, 하부 적재판(30)과 접촉되어 기울기 방향으로 하부 적재판(30)을 들어올리는데, 상기 하부 적재판(30)과 접촉되는 받침판(20)의 상측 끝단부에는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 각도가 작아도 하부 적재판(30)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부(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가 하부 적재판(30)의 하단부와 접촉되며, 상기 돌출부(21)에는 하부 적재판(30)과 접촉된 상태에서 수직 지지대(10)의 이동시, 지면의 상태에 따른 진동, 충격 등이 하부 적재판(3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충부재(23)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23)는 고무, 스펀지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된 패드나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적재판(3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20)의 상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한쌍의 수직 지지대(10) 사이에 힌지축(70)으로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적재판(30)이 수직 지지대(10)에 연결되면 반대측은 지면으로 접촉되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하부 적재판(30)의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이탈하게 되기에 상기 하부 적재판(30)의 하단부에 하부 적재판(30)을 받쳐주는 동시에 수직 지지대(10)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보조 받침대(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받침대(31)에는 수직 지지대(10)가 세워진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베어링(32)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수직 지지대(1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용 바퀴(11)가 후방 구동부재가 되고, 상기 롤러베어링(32)이 전방 구동부재가 되어 그 상태에서도 조금씩의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적재판(30)의 끝단부에는 하부 적재판(30)의 적재공간을 연장하기 위해 보조 적재부(33)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 적재부(33)는 하부 적재판(30)의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하부 적재판(3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적재공간의 연장시에는 하부 적재판(3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진다. 이때, 상기 보조 적재부(33)에는 부피가 큰 봉투나 포대 등을 올려놓고 손수레를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봉투나 포대 등에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적재판(30)의 끝단부에는 하부 적재판(30)의 외측으로 펼쳐진 보조 적재부(33)의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부(34)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적재부(33)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되는데, 도 5에서처럼, 철사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 적재판(30)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된 뒤, 하부 적재판(3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받침부(34)에 받쳐진 상태로 펼쳐지는 방식이거나, 도 6에서처럼, 판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적재판(30)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된 뒤, 하부 적재판(3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받침부(34)에 받쳐진 상태로 펼쳐지는 방식이거나, 도 7에서처럼, 하부 적재판(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하부 적재판(3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나왔다 들어갔다 하면서 형성되는 방식이 적용되며, 이 외에도 상기 보조 적재부(33) 및 받침부(34)는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 5와 도 6의 보조 적재부(33)는 하부 적재판(30) 측으로 접혀질 때, 하부 적재판(30)의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 적재판(30)의 상부면에 구비홈(35)이 형성되고, 상기 구비홈(35)은 보조 적재부(33)의 형태에 맞춰 형성되어 보조 적재부(33)가 딱 맞게 구비될 수 있어 하부 적재판(3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지 않아 적재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상기 상부 적재판(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적재판(30)의 상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한쌍의 수직 지지대(10) 사이에 힌지축(70)으로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적재판(40)이 수직 지지대(10)에 연결되면 반대측은 하측으로 떨어져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하부 적재판(30)의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이탈하게 되기에 상기 하부 적재판(30)에 연결된 유지대(60)가 힌지축(70)에 의해 연결되어 유지대(60)에 의해 받쳐진다. 즉, 상기 유지대(60)는 하부 적재판(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 적재판(40)을 받쳐준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적재판(40)은 수직 지지대(10)와 유지대(60)에 연결시, 힌지축(70)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힌지축(70)은 상부 적재판(40)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수직 지지대(10) 또는 유지대(60)에 연결되기에 상부 적재판(40)은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니다.
한편, 상기 상부 적재판(40)과 하부 적재판(30) 사이에는 다수개의 중단 적재판(50)이 다단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중단 적재판(50)은 힌지축(70)에 의해 수직 지지대(10)와 유지대(60)에 지지된다. 즉, 상기 수직 지지대(10)와 유지대(60)의 동일 수평선상에 힌지축(70)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70)에 중단 적재판(50)이 놓여짐으로써,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중단 적재판(50)이 힌지축(70)에 놓여질 때, 정위치에 구비되도록 중단 적재판(50)의 하단부에 결합홈(5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중단 적재판(50)의 결합홈(51)에 힌지축(70)이 삽입되도록 중단 적재판(50)을 힌지축(70)에 올려 놓기에 중단 적재판(50)은 정위치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단 적재판(50)이 탈부착 가능하기에 많은 양의 적재물을 적재할 때는 중단 적재판(50)을 부착시키고, 부피가 큰 적재물을 하부 적재판(30)에 적재시에는 중단 적재판(50)을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유지대(6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70)에 의해 상기 하부 적재판(30)과 상부 적재판(40)에 연결되어 상부 적재판(40)을 받쳐주고, 상기 수직 지지대(10)의 기울림에 맞춰 기울여져도 힌지축(70)에 의해 하부 적재판(30)과 상부 적재판(40)이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지대(60)는 하부 적재판(30)과 상부 적재판(40)은 힌지축(70)이 관통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하부 적재판(30)과 상부 적재판(40)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에 맞춰 기울여지지만 하부 적재판(30), 상부 적재판(40), 중단 적재판(50)과 힌지축(70)으로 연결되기에 하부 적재판(30), 상부 적재판(40), 중단 적재판(50)은 수평을 유지한다.
다만, 상기 하부 적재판(30), 상부 적재판(40), 중단 적재판(50)이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에도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지대(60)에 의해 상부 적재판(40)과 중단 적재판(50)이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수직 지지대(1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하부 적재판(30), 상부 적재판(40), 중단 적재판(50)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데, 상기 수직 지지대(10)가 일측으로 기울여지면 유지대(60)도 일측으로 기울여지고 그와 동시에 하부 적재판(30)을 기준으로 중단 적재판(50)과 상부 적재판(40)은 수평 그대로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 측으로 이동되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적재판(40)은 중단 적재판(50)보다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 측으로 더 이동된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만능 손수레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적재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중단 적재판(50)을 탈부착하고, 적재물을 적재판에 적재한 뒤, 운반하기 위해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수직 지지대(10)를 이동용 바퀴(11) 측으로 기울린다.
그러면, 상기 받침판(20)의 돌출부(21)가 하부 적재판(30)의 전방을 들어올려 보조 받침대(31)가 지면에서 이격되고, 이 상태에서 이동용 바퀴(11)만을 이용하여 손수레가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인 손수레는 수직 지지대를 기울리면 적재판도 기울여져 적재물이 이탈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직 지지대(10)를 기울여도 적재판(30,40,50)은 수평을 유지한다. 그 원리는 수직 지지대(10)가 기울여지면 유지대(60)도 수직 지지대(10)와 동일하게 기울여지는데, 이때, 상기 유지대(60)는 적재판(30,40,50)에만 힌지축(70)으로 연결되기에 상부 적재판(40)과 중단 적재판(50)이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 측으로 이동되면서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처럼, 상기 수직 지지대(1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하부 적재판(30), 상부 적재판(40), 중단 적재판(50)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데, 상기 수직 지지대(10)가 일측으로 기울여지면 유지대(60)도 일측으로 기울여지고 그와 동시에 하부 적재판(30)을 기준으로 중단 적재판(50)과 상부 적재판(40)은 수평 그대로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 측으로 이동되어 적재판(30,40,50)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기울여진 선상으로 위치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수직 지지대(10)를 수직으로 세우면 유지대(60)에 의해 하부 적재판(30), 상부 적재판(40), 중단 적재판(50)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부 적재판(40), 중단 적재판(50)이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배드 등에 모종을 간격마다 심기 위해 모종을 적재한 손수레를 짧은 거리로 자주 이동시켜야하는데, 그때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손수레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보조 받침대(31)에 롤러베어링(32)이 설치되어 있어 수직 지지대(1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롤러베어링(32)과 이동용 바퀴(11)에 의해 짧은 거리는 이동이 가능하다.
10 : 수직 지지대 11 : 이동용 바퀴
12 : 손잡이
20 : 받침판 21 : 돌출부
22 : 관통구 23 : 완충부재
30 : 하부 적재판 31 : 보조 받침대
32 : 롤러베어링 33 : 보조 적재부
34 : 받침부 35 : 구비홈
40 : 상부 적재판
50 : 중단 적재판 51 : 결합홈
60 : 유지대 70 : 힌지축

Claims (8)

  1. 하단부에는 이동용 바퀴(11)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2)를 잡고 일측으로 기울린 상태에서 이동되는 수직 지지대(10)와;
    상기 이동용 바퀴(11)의 전방부인 수직 지지대(10)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수직 지지대(10)를 수직으로 받쳐주는 받침판(20)과;
    상기 받침판(20)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수직 지지대(10)에 힌지축(70)으로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에 수직 지지대(10)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보조 받침대(31)가 형성되며,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하부 적재판(30)과;
    상기 수직 지지대(10)의 상단부에 힌지축(70)으로 연결되고,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상부 적재판(40)과;
    힌지축(70)에 의해 상기 하부 적재판(30)과 상부 적재판(40)에 연결되어 받쳐주고, 상기 수직 지지대(10)의 기울기에 맞춰 기울여져도 힌지축(70)에 의해 하부 적재판(30)과 상부 적재판(40)이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유지대(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대(31)에는 수직 지지대(10)가 세워진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베어링(3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는 수직 지지대(10)가 기울여질 때, 하부 적재판(30)과 접촉되어 기울기 방향으로 하부 적재판(30)을 들어올리고, 상기 하부 적재판(30)과 접촉되는 받침판(20)의 상측 끝단부에는 하부 적재판(3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수직 지지대(10)의 이동시, 완충작용하도록 완충부재(2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적재판(40)과 하부 적재판(30) 사이에는 다수개의 중단 적재판(50)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단 적재판(50)은 힌지축(70)에 의해 수직 지지대(10)와 유지대(6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적재판(50)의 하단부에는 수직 지지대(10)와 유지대(60)에 형성된 힌지축(70)에 결합되도록 결합홈(51)이 형성되어 중단 적재판(50)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재판(30)의 끝단부에는 적재공간을 연장하기 위해 보조 적재부(3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적재부(33)는 하부 적재판(30)의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하부 적재판(3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적재공간의 연장시에 하부 적재판(3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재판(30)의 끝단부에는 하부 적재판(30)의 외측으로 펼쳐진 보조 적재부(33)의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부(3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KR1020180113496A 2018-09-21 2018-09-21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KR20200034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496A KR20200034856A (ko) 2018-09-21 2018-09-21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496A KR20200034856A (ko) 2018-09-21 2018-09-21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856A true KR20200034856A (ko) 2020-04-01

Family

ID=7027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496A KR20200034856A (ko) 2018-09-21 2018-09-21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48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973Y1 (ko) 1999-06-30 2002-05-30 안병봉 카트(Cart)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973Y1 (ko) 1999-06-30 2002-05-30 안병봉 카트(Cart)각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7049B2 (en) Pallet lift
US6880851B1 (en) Hand cart
US8226092B2 (en) Equipment carrier
US7905502B2 (en) Equipment carrier
US7766161B2 (en) Portable tool box
US8366061B2 (en) Paint container holder
US7878364B1 (en) Caddy for toting cleaning tools on a trash pail
US8104778B1 (en) Dual purpose wheeled cart apparatus
US9896116B2 (en) Wheelbarrow with auxiliary storage
KR101319605B1 (ko) 쇼핑카트
US20140246837A1 (en) Hand truck for storing and movng multiple storage bins
KR200439624Y1 (ko) 가스탱크 운반대차
US20120292868A1 (en) Multi-load automatically stabilizing hand cart with custom carrying structures
US7934730B2 (en) Hand truck assembly
US9156485B1 (en) Leverage cart assembly
US20120248721A1 (en) Wood Log and Article Wheeled Barrow
KR20200034856A (ko) 수평으로 이동하는 손수레
US20020168259A1 (en) Flower pot hand truck
JP2017100481A (ja) 台車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KR200484249Y1 (ko) 드럼통 운반 작업용 캐리어
KR200459780Y1 (ko) 브로콜리 수확 운반기
KR200313845Y1 (ko) 손수레
GB2440310A (en) Travel bag with retractable handle and wheeled support frame
GB2392417A (en) Tro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