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785A -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785A
KR20200033785A KR1020190128597A KR20190128597A KR20200033785A KR 20200033785 A KR20200033785 A KR 20200033785A KR 1020190128597 A KR1020190128597 A KR 1020190128597A KR 20190128597 A KR20190128597 A KR 20190128597A KR 20200033785 A KR20200033785 A KR 2020003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transaction
identification code
personal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인범
최우전
Original Assignee
왕인범
최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인범, 최우전 filed Critical 왕인범
Publication of KR2020003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785A/ko
Priority to KR102022001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0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인, 법인 등, 금융거래의 주체가 되는 대상에게 비공개의 유일한 식별수단인 금융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거래주체에 대한 유일한 식별수단인 금융식별코드를 발급하고, 그 주체를 당사자로 하는 금융거래 발생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발급된 금융식별코드로 대체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그 거래주체를 식별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보다 안전한 개인정보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PRIVATE FINANCIAL CODE}
본 발명은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 법인 등, 금융거래의 주체가 되는 대상에게 비공개의 유일한 식별수단인 금융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금융거래는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그 거래의 당사자들을 식별하고 진행되어야 함에 따라, 그 개인정보는 금융거래의 서비스 제공자 즉,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 혹은 기타 여러 분야에서 유, 무형의 재화를 거래하는 통신사 개통업, 정수기 또는 프린터의 장기 렌탈업체 등의 서비스 제공자는 당사자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미리 확보하고, 발생된 거래에 대하여 그 거래내역을 저장해야만 한다.
일 예로서, 개인 또는 법인이 온라인 기반 금융거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 자신의 성명 또는 법인명, 주민등록번호 또는 법인번호, 주소, 연락처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실명확인 및 계좌를 개설해야 하며, 이에 따라, 금융기관은 제공된 개인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개인 또는 법인이 타인에게 계좌로부터 자금을 타계좌로 송금하고자 하는 경우, 개인은 공인인증서와 같은 인증수단을 통해 해당 계좌의 소유자가 본인임을 인증하고, 대상을 특정하여 송금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각 금융기관은 금융거래의 대상들에 대한 계정뿐만 아니라,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 또는 기업 등에게 매우 민감한 개인정보들을 보유해야 하며, 관련법률에 근거하여 금융기관에서 운영하는 보안정책에 따라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의 해커 또는 금융기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출 등에 의해 개인정보 유출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어떠한 보안정책을 적용하더라도 유출의 위험성은 존재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응대하는 금융기관 내의 직원 혹은 거래 상대자가 특정인의 세부 개인정보를 직, 간접적으로 파악하게 되며 악용할 소지가 있다. 즉, 개인정보가 거래 당사자의 동의하에 있다고 할지라도 당사자가 특정되어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82253호(공고일자: 2010.09.15.)
본 발명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금융거래 등에서 개인 또는 법인 등의 주체를 식별할 수 있는 '금융식별코드'를 제안하고, 이를 매개로 하여 수집된 금융거래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개인정보의 노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융식별코드에 기반하여 발생한 거래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각 개인 또는 법인이 자신의 금융거래 내역에 따른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금융식별코드를 발급하고, 금융식별코드가 등록된 사용자가 거래주체로서 발생시킨 다수의 금융거래내역을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금융식별코드를 식별자로 하여 상기 금융거래내역을 연계 및 코드화하여 금융거래코드를 생성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 및 상기 금융거래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는, 상기 금융식별코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다수의 금융거래코드를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금융계정의 생성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금융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유일의 금융식별코드를 생성 및 부여하고, 상기 금융계정과 연계된 금융식별코드를 매칭하는 금융식별코드 관리부, 상기 금융계정별로 금융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상기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거래정보 수집부,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된 당사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금융거래내역의 거래주체의 금융식별코드를 판별하는 거래주체 판별부 및 상기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고, 상기 금융식별코드와 결합하여 상기 금융거래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금융거래코드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제공하는 금융거래코드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 수집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에 근거한 금융거래내역 제공이 미리 설정된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는, 협약된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를 등록하는 금융기관 등록부 및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에 근거하여, 등록된 금융기관 서버에 정의된 해당 사용자의 금융거래내역의 제공을 요청하는 거래정보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의 금융식별코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를 거래주체로 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코드를 추출하고, 가공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신하는 기록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방법은, 데이터 수집 서버에 의한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의 생성절차 및 금융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유일의 금융식별코드를 생성 및 부여하고, 상기 금융계정과 연계된 금융식별코드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금융계정별로 금융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된 당사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금융거래내역의 거래주체의 금융식별코드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고, 상기 금융식별코드와 결합하여 금융거래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금융거래코드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에 근거하여 금융거래내역 제공기능이 미리 설정된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에 의해 정의된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를 등록하는 단계 및 등록된 금융기관 서버에 해당 사용자의 금융거래내역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금융거래코드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의 금융식별코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를 거래주체로 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금융거래코드를 가공후 사용자 단말에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거래주체에 대한 유일한 식별수단인 금융식별코드를 발급하고, 그 주체를 당사자로 하는 금융거래 발생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발급된 금융식별코드로 대체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그 거래주체를 식별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보다 안전한 개인정보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식별코드에 기초하여 금융거래 내역을 수집 및 데이터 베이스화 함으로써, 개인 또는 법인이 자신의 금융거래 내역에 따른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 운영 측은 금융식별코드를 근거하여 사람을 특정하지 않고 특정 분류별 통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작업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장치(Devic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고유한 금융식별코드를 발급하고, 사용자와 관련하여 발생한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제공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의 식별수단으로 계정, 성명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발급된 금융식별코드에 기반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대한 금융식별코드를 발급하고, 발생한 거래내역에 대한 거래정보의 저장, 제공 및 가공에 있어서, 금융기관 서버(20)에 요청하여 사용자별로 거래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200)와, 수집된 거래정보를 금융식별코드와 연관관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기관 서버(20)는 예금의 송금 등의 실제 현금이 사용되는 직접적인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은행, 보험사 및 증권사와 같은 금융사에서 운영하는 서버(20)로서, 이러한 금융사 뿐만 아니라, 더 확장되어 금융거래 절차를 처리할 수 있는 개인을 포함하여 세금을 납부받는 동사무소, 세무서 등과 같이 비용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금융식별코드(Financial Code; FC)는 개인 또는 법인에 대한 거래정보를 저장 및 가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발급받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가리키는 것으로, 소정의 해싱함수를 통해 생성한 숫자 및 알파벳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금융식별코드는 중복되지 않음과 동시에 사용자를 포함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를 포함하여 외부의 누구에게도 금융식별코드가 공개되지 않음에 따라, 해킹 등에 의한 보안문제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그 금융식별코드만으로는 해당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음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인정보 보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에 기반한 개인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일 양태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기관에 계좌 또는 신용카드를 보유한 사용자가 송금, 결제 등의 금융활동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자 할 때, 원화, 외화를 타 사용자에게 송금하거나 계좌에 예치하고자 할 때, 또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등 다양한 금융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 또는 PC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 또는 금융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한다. 그리고,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 및 등록한다.
이때, 사용자는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의 제출을 승인하고,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이 협약된 각 금융기관들로부터 금융거래내역을 공유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거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그 사용자에 대한 고유한 식별수단인 금융식별코드를 생성 및 등록한다. 여기서, 금융식별코드는 사용자측에도 제공되지 않는 최고 수준의 보안정책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계좌 또는 신용카드를 통해 송금 또는 재화의 구입 등의 금융활동을 수행하면, 해당 계좌 또는 신용카드를 담당하는 금융기관 서버(20)는 그 내용에 따라 거래 프로세스를 처리하고 금융거래내역을 생성한다. 이때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은 사용자가 금융기관 서버(20)에 등록한 거래계정(Bank User Identifier; BID)에 기반하여 생성 및 저장된다.
또한, 생성된 금융거래내역은 생성시 실시간으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데이터 수집 서버(200)는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을 금융식별코드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전송하되 사용자 계정, 일례로서 데이터 수집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부여한 금융계정(Financial User Identifier; FID)을 통해 금융식별코드를 추출하고,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여 금융식별코드를 조합한 금융거래코드(Financial Transction Code; TC)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금융관리 등을 위해 시스템에 축적된 자신의 거래기록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인증절차를 거쳐 로그인을 수행하여 거래기록의 제공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데이터 수집 서버(200)는 금융식별코드(FC)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해당 사용자의 누적된 금융거래코드(TC)를 요청한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는 금융식별코드(FC)를 통해 금융식별코드(FC)를 식별 및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거래기록으로서 데이터 수집 서버(200)에 회신함에 따라, 데이터 수집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에 거래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데이터 수집 서버(200)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는 운영주체가 직접 운영하는 서버 시스템 형태로 구축가능 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컴퓨팅 자원의 운영을 대행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상에도 구축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금융기관 서버는 금융거래에서 그 당사자에 해당하는 거래계정(BID)을 이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 서버(200) 이외에는 어떠한 금융거래내역에 대한 거래주체도 식별할 수 없으며, 각 금융기관 서버 중, 어느 하나에서 정보유출 사건이 발생하더라도 개인의 일부 정보일 뿐, 취합된 거래정보가 아니며 이를 통해서도 금융식별코드(FC)는 도출할 수 없음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정보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200)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금융계정(FID)의 생성절차를 수행하고, 그 금융계정(FID)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210),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유일의 금융식별코드(FC)를 생성 및 부여하고, 금융계정(FID)과 연계된 금융식별코드(FC)를 매칭하는 금융식별코드 관리부(220), 금융계정(FID)별로 금융식별코드(FC)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230), 금융기관 서버(20)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거래정보 수집부(260),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된 당사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금융거래내역의 거래주체의 금융식별코드(FC)를 판별하는 거래주체 판별부(270) 및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고, 금융식별코드(FC)와 결합하여 금융거래코드(TC)를 생성하고, 생성된 금융거래코드(TC)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제공하는 금융거래코드 등록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210)는 사용자에 대한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의 공지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로그인 및 등록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최초 1회 금융계정(FID) 생성 및 금융식별코드(FC)를 발급받아야 하며, 회원 관리부(210)는 최초 접속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회원가입절차, 계정생성 및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운영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주소 등의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공지의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금융계정을 발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금융계정명, 패스워드 등은 회원정보DB(230)에 저장될 수 있고, 회원 관리부(210)는 회원정보DB(230)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전술한 로그인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부(210)는 회원 등록절차에서 서비스 이용약관 동의시,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방법,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파기방법,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목적 등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에 대한 포괄적인 동의를 받을 수 있으며, 이후, 거래정보 수집부(260)는 이러한 동의에 근거하여 각 금융기관 서버(20)로부터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각 금융기관, 전자상거래 업체 등, 자신의 금융활동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자신의 금융거래내역을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에 제공할 것을 직접 요청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은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시스템과는 별도로 데이터 제공자인 각 금융기관 서버(20)에 미리 제출하게 된다.
금융식별코드 관리부(220)는 금융계정(FID)이 부여된 사용자에 대한 금융식별코드(FC)를 발급할 수 있고, 이후 금융식별코드(FC)를 임의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금융식별코드(FC)는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고유의 코드로서,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 등이 조합된 형태의 무의미한 임의의 텍스트일 수 있고, 금융식별코드 관리부(220)는 이러한 금융식별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해싱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식별코드 관리부(220)는 금융식별코드(FC)가 금융계정(FID)에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특히, 금융식별코드(FC)는 중복이 배제된 유일한 값임이 보장되어야 하며, 금융식별코드 관리부(220)는 이러한 중복 배제를 검증할 수 있고, 만약 중복되는 코드가 존재할 경우 현재 코드를 폐기하고 재 생성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정보DB(230)는 회원정보DB(230)에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금융계정(FID) 및 금융식별코드(FC)가 저장될 수 있고, 이중 금융계정(FID)과 금융식별코드(FC)는 서로 일대일 연관관계가 설정되어 있어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되는 거래주체에 대한 부가정보를 통해 금융계정(FID)을 판단할 수 있고, 금융계정(FID)을 통해 금융식별코드(FC)를 식별할 수 있다.
거래정보 수집부(260)는 각 금융기관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금융거래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출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에 근거하여 사용자들에 의해 금융행위가 수행되면 그에 대한 금융거래내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금융거래내역을 실시간으로 데이터 수집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거래주체 판별부(270)는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대한 거래주체를 판별할 수 있다. 금융거래내역에는 거래주체인 거래 당사자 및 상대방, 거래일자, 거래액 및 거래내용이 포함될 수 있고, 거래주체 판별부(270)는 거래주체에 대한 당사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정보DB에 저장된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검색하고, 그 개인정보에 포함된 금융계정(FID)을 추출함으로써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의 거래 당사자 및 상대방 즉, 거래주체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거래주체 판별부(270)는 금융계정(FID)을 추출함에 따라 그에 매칭된 금융식별코드(FC)도 추출할 수 있다.
금융거래코드 등록부(280)는 거래주체가 식별된 금융거래내역에 대하여, 금융식별코드(FC)와 조합하여 금융거래코드(TC)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융거래내역은 당사자 정보 이외에도, 거래일자, 거래액 및 거래내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금융거래코드 등록부(280)는 그 정보를 텍스트 원문형태 또는 텍스트 원문을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조합, 결합 또는 치환 등에 따라 텍스트 코드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금융거래코드 등록부(280)는 해당 금융거래내역의 거래주체에 대한 금융식별코드(FC)를 조합하여 금융거래코드(TC)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거래코드(TC)는 금융식별코드(FC)로 치환된 거래주체와, 그 실제거래내용으로 이루어진 코드일 수 있다.
그리고, 금융거래코드 등록부(280)는 생성한 금융거래코드(TC)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제공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서버(200)는 데이터 수집 기능 이외에도 회원 가입된 사용자들이 자신의 금융기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기록 요청부(290)는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누적 저장된 사용자 자신의 금융거래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기록 요청부(290)는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의 금융식별코드(FC)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를 검색하고, 해당 사용자를 거래주체로 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코드(TC)를 추출하고, 가공후 사용자 단말(10)에 회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거래코드(TC)에 대한 가공 절차는 금융거래코드(TC)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삭제 또는 마스킹(masking) 처리하고, 코드화된 경우, 디코딩을 통해 텍스트원문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서버는 사용자에게 유일한 식별수단인 금융식별코드(FC)를 부여하고, 이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모든 금융거래내역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서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300)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금융계정(FID)의 생성절차를 수행하고, 금융계정(FID)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310),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유일의 금융식별코드(FC)를 생성 및 부여하고, 금융계정(FID)과 연계된 금융식별코드(FC)를 매칭하는 금융식별코드 관리부(320), 금융계정(FID)별로 금융식별코드(FC)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330), 협약된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20)를 등록하는 금융기관 등록부(340),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에 근거하여 등록된 금융기관 서버(20)에 정의된 해당 사용자의 금융거래내역의 제공을 요청하는 거래정보 요청부(350), 금융기관 서버(20)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거래정보 수집부(360),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된 당사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금융거래내역의 거래주체의 금융식별코드(FC)를 판별하는 거래주체 판별부(370) 및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고, 금융식별코드(FC)와 결합하여 금융거래코드(TC)를 생성하고, 생성된 금융거래코드(TC)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제공하는 금융거래코드 등록부(380) 및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의 금융식별코드(FC)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를 거래주체로 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코드(TC)를 추출하고, 가공후 사용자 단말(10)에 회신하는 기록 요청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10)는 사용자에 대한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의 공지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로그인 및 등록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10)는 최초 접속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회원가입절차, 계정생성 및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금융계정명, 패스워드 등은 회원정보DB(330)에 저장될 수 있고, 회원 관리부(310)는 회원정보DB(330)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전술한 로그인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부(310)는 회원 등록절차에서 서비스 이용약관 동의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에 대한 포괄적인 동의를 받을 수 있으며, 이후 거래정보 요청부(350)는 이에 근거하여 각 금융기관 서버(20)로부터 금융거래내역을 요청할 수 있고, 거래정보 수집부(360)는 제공되는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금융식별코드 관리부(320)는 금융계정(FID)이 부여된 사용자에 대한 금융식별코드(FC)를 발급할 수 있고, 이후 금융식별코드(FC)를 임의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금융식별코드 관리부(320)는 금융식별코드(FC)가 금융계정(FID)에 매칭되어 저장할 수 있다.
회원정보DB(330)에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금융계정(FID) 및 금융식별코드(FC)가 저장될 수 있고, 이중 금융계정(FID)과 금융식별코드(FC)는 서로 일대일 연관관계가 설정되어 있어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되는 거래주체에 대한 부가정보를 통해 금융계정(FID)을 판단할 수 있으며 금융계정(FID)을 통해 금융식별코드(FC)를 식별할 수 있다.
금융기관 등록부(340)는 본 발명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과 협약된 금융기관이 운영하는 금융기관 서버(20)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출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에 근거하여 각 금융기관 서버(20)에 금융거래내역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게 된다.
또한, 금융기관 등록부(340)는 회원정보DB(330)를 참조하여 제출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의 범위에 따라, 각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요청할 금융거래내역을 확정하게 된다.
거래정보 요청부(350)는 등록된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20)에 활용 동의서를 제출한 사용자에 대한 금융거래내역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거래정보 요청부(350)는 회원정보DB(3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일부 제공함으로써, 협약된 금융기관 서버(20)가 해당 사용자의 거래계정(BID)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그 거래계정(BID)에 의해 발생한 모든 금융거래내역을 데이터 수집 서버(300)에 제공하게 된다.
거래정보 수집부(360)는 각 금융기관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금융거래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출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에 근거하여 사용자들에 의해 금융행위가 수행되면 그에 대한 금융거래내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금융거래내역을 실시간으로 데이터 수집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거래주체 판별부(370)는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대한 거래주체를 판별할 수 있고, 금융계정(FID)을 추출함에 따라 그에 매칭된 금융식별코드(FC)도 추출할 수 있다.
금융거래코드 등록부(380)는 거래주체가 식별된 금융거래내역에 대하여, 금융식별코드(FC)와 조합하여 금융거래코드(TC)를 생성할 수 있고, 해당 금융거래내역의 거래주체에 대한 금융식별코드(FC)를 조합하여 금융거래코드(TC)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금융거래코드 등록부(380)는 생성한 금융거래코드(TC)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제공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록 요청부(290)는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의 금융식별코드(FC)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를 검색하고, 해당 사용자를 거래주체로 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코드(TC)를 추출 및 가공후 사용자 단말(10)에 회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는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요청되는 사용자의 거래기록을 요청 받으면, 금융식별코드(FC)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530)에 저장된 금융거래코드(TC)를 추출 및 회신하는 데이터 추출부(510),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금융거래코드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20) 및 다수의 금융거래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5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510)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가 현재까지 누적된 자신의 거래기록을 요청함에 따라, 데이터 수집 서버가 금융식별코드(FC)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를 검색할 수 있다. 금융거래코드(TC)에는 각 거래별 거래주체, 일례로서 송금자-수취자, 구매자-판매자 또는 결제자-피결제자 등 거래에 참여한 적어도 두 당사자가 포함될 수 있고, 두 당사자들의 금융식별코드(FC)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 추출부(510)는 질의된 금융식별코드(FC)가 포함된 모든 금융거래코드(TC)를 데이터 베이스(530)에서 추출하고, 데이터 수집 서버에 회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520)는 데이터 수집 서버가 전송하는 금융거래코드(TC)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서버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금융활동에 대한 금융거래코드(TC)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며, 데이터 저장부(520)는 생성도니 모든 금융거래코드(TC)를 수신 및 데이터 베이스(53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530)는 데이터 저장부(520)의 제어에 따라 금융거래코드(TC)를 저장한다. 여기서, 하나의 금융거래코드(TC)는 제1 금융식별코드란(T1), 제2 금융식별코드란(T2), 거래일자란(T3) 및 기타 거래내용란(T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금융식별코드란(T1, T2)에 저장되는 금융식별코드는 소정의 랜덤함수 또는 해시함수를 통해 중복이 배제되어 생성된 무작위 코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자리 이상의 문자, 숫자 및 기호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서, 사용자 A의 금융식별코드(FC)가 'FC1' 인 경우, 제1 금융식별코드란(T1)에 'FC1'가 기록된 금융거래코드(TC)뿐만 아니라, 제2 금융식별코드란(T2)에 'FC1'가 기록된 모든 금융거래코드(TC)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거래일자란(TC3)에는 거래일자에 해당하는 'YYMMDD'과 거래시간에 해당하는 'HHMMSS'이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거래정보는 코드 후단으로 거래내용란(T4)에는 금융 거래시 금액의 기준이 되는 달러, 원, 엔 등의 통화 종류에 대한 통화코드와, 거래금액과, 구체적 내용 즉, 송금, 물품구매 등에 대한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거래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래내용란(T4)에 기록된 데이터는 텍스트 원문뿐만 아니라 코드화된 텍스트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한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서버 및 그의 구성부가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방법은,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금융계정의 생성절차 및 금융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100),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유일의 금융식별코드를 생성 및 부여하고,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금융식별코드를 매칭하는 단계(S110), 사용자 계정별로 금융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20),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단계(S130),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된 당사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금융거래내역의 거래 주체의 금융식별코드를 판별하는 단계(S140),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고, 금융식별코드와 결합하여 금융거래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50) 및 생성된 금융거래코드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금융계정의 생성절차 및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100)로서, 최초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수신 및 시스템에서 이용할 금융계정(FID)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제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유일의 금융식별코드를 생성 및 부여하고, 금융계정과 연계된 금융식별코드를 매칭하는 단계(S110)에서는 금융계정(FID)이 생성된 사용자에 대한 유일한 식별코드인 금융식별코드(FC)를 생성하고, 금융계정(FID)과 연계 설정함으로써, 둘 중 어느 하나로 해당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이중 금융계정(FID)은 사용자에게 공개될 수 있으나, 금융식별코드(FC)는 사용자 식별용도로서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만 사용되게 된다.
사용자 계정별로 금융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20)에서는 연계된 금융계정(FID) 및 금융식별코드(FC)를 회원정보DB에 저장함으로써, 개인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한다.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단계(S130)에서는, 사용자가 제출한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에 기초하여 각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금융거래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게 된다. 협약된 금융기관 서버는 사용자의 금융행위에 따라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을 모두 데이터 수집 서버에 제공하게 된다.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된 당사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금융거래내역의 거래 주체의 금융식별코드를 판별하는 단계(S140)에서는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을 분석하여 거래계정(BID), 성명 또는 계좌번호 등을 통해 그 금융거래내역의 거래주체인 사용자의 금융계정(FID)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금융식별코드(FC)를 판별하게 된다.
이어서,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고, 금융식별코드와 결합하여 금융거래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50)에서는 금융식별코드(FC)가 판별된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고, 금융식별코드(FC)와 결합하여 새로운 금융거래코드(TC)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생성된 금융거래코드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S160)로서, 금융거래코드(TC)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금융거래코드(TC)를 저장하도록 한다.
이후,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사용자로부터 자신의 거래기록을 확인하고자 하면, 데이터 수집 서버는 금융계정(FID)을 통해 금융식별코드(FC)를 판별하고, 금융식별코드(FC)를 매개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금융거래코드(TC)를 추출 및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은, 금융거래내역을 제공받는 방식에 따라 그 절차에 차이가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 및 서버간의 작업 프로세스에 의한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작업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개인정보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최초 접속을 시도하고, 회원 가입을 요청하면(S300),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회원 등록 절차에 따라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금융계정(FID)을 생성함과 아울러 유일한 식별키인 금융식별코드(FC)를 생성 및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하여 서비스 제공 준비를 한다(S310).
또한, 회원 등록된 사용자 단말(10)은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금융기관 서버(20)에 제출한다(S320). 여기서, S320 단계는 회원 가입 절차(S300) 이전에 사용자와 금융기관간 거래계정(BID) 생성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금융활동에 따라 금융기관 서버(20)는 금융거래내역을 생성하고, 이를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제공한다(S330).
이에 따라,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되는 거래계정(BID) 또는 당사자 정보를 통해 금융계정(FID) 및 금융식별코드(FC)를 판별하고, 당사자를 식별한다(S340). 또한,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여 금융식별코드(FC)와 조합하여 금융거래코드를 생성 및 저장한다(S350). 이때, 금융거래코드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금융거래코드를 누적, 관리하게 된다.
이후, 현재까지 누적된 자신의 거래기록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자신의 금융 기록의 제공을 요청하면(S360),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금융계정(FID)을 통해 금융식별코드(FC)를 판별하고, 그 금융식별코드(FC)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금융거래코드를 추출한다(S370).
이어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추출된 금융거래코드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S380).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개인정보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최초 접속을 시도하고, 회원 가입을 요청하면(S200),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회원 등록 절차에 따라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금융계정(FID)을 생성함과 아울러 유일한 식별키인 금융식별코드(FC)를 생성 및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한다(S210).
또한, 회원 등록된 사용자 단말(10)은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제출하고(S220), 이에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협약된 금융기관들이 운영하는 각 금융기관 서버(20)에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금융거래내역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230).
이후, 사용자의 금융활동에 따라 금융기관 서버(20)는 금융거래내역을 생성하고, 이를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제공한다(S240).
이에 따라,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되는 당사자 정보를 통해 금융계정(FID) 및 금융식별코드(FC)를 판별하고, 금융거래내역을 코드화하여 금융식별코드(FC)와 조합하여 금융거래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게 된다(S250). 이때, 금융거래코드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금융거래코드를 누적, 관리하게 된다.
이후, 현재까지 누적된 자신의 거래기록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자신의 금융 기록의 제공을 요청하면(S260),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금융계정(FID)을 통해 금융식별코드(FC)를 판별하고, 그 금융식별코드(FC)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금융거래코드를 추출한다(S270).
이어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추출된 금융거래코드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S280).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 20 : 금융기관 서버
100 :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200 : 데이터 수집 서버
210, 310 : 회원정보 관리부 220, 320 : 금융식별코드 관리부
230, 330 : 회원정보DB 340 : 금융기관 등록부
350 : 거래정보 요청부 260, 360 : 거래정보 수집부
270, 370 : 거래주체 판별부 280, 380 : 금융거래코드 등록부
290, 390 : 기록 요청부 500 : 데이터 베이스 서버

Claims (6)

  1.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유일한 식별수단으로서, 중복되지 않는 무의미한 텍스트이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금융식별코드를 발급하는 데이터 수집서버;
    상기 금융거래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는,
    상기 금융식별코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다수의 금융거래코드를 검색 및 추출하는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는,
    상기 거래주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금융식별코드와, 사용자가 거래주체로서 발생시킨 금융거래내역 코드화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금융거래코드를 생성하는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 서버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금융계정의 생성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금융계정을 이용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금융식별코드를 생성 및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의 금융계정과 발급된 금융식별코드를 매칭하는 금융식별코드 관리부;
    상기 금융계정별로 금융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상기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거래정보 수집부;
    수집된 금융거래내역에 포함된 당사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금융거래내역에 대한 두 거래주체의 상기 금융계정을 추출하고, 추출된 두 금융계정에 각각 매칭된 금융식별코드를 판별하는 거래주체 판별부; 및
    두 거래주체가 식별된 금융거래내역에 대하여, 두 거래주체의 금융식별코드와, 코드화한 금융거래내역의 내용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금융거래코드를 생성하는 금융거래코드 등록부
    를 포함하는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 수집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에 근거한 금융거래내역 제공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금융거래내역을 수집하는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서버는,
    협약된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를 등록하는 금융기관 등록부; 및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에 근거하여, 등록된 금융기관 서버에 정의된 해당 사용자의 금융거래내역의 제공을 요청하는 거래정보 요청부
    를 포함하는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식별된 사용자의 금융식별코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를 거래주체로 하는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코드를 추출하고, 가공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신하는 기록 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90128597A 2018-09-20 2019-10-16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43A KR20220020866A (ko) 2018-09-20 2022-02-03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751 2018-09-20
KR20180112751 2018-09-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109A Division KR102054812B1 (ko) 2018-09-20 2019-03-15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343A Division KR20220020866A (ko) 2018-09-20 2022-02-03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785A true KR20200033785A (ko) 2020-03-30

Family

ID=6936844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109A KR102054812B1 (ko) 2018-09-20 2019-03-15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28597A KR20200033785A (ko) 2018-09-20 2019-10-16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14343A KR20220020866A (ko) 2018-09-20 2022-02-03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109A KR102054812B1 (ko) 2018-09-20 2019-03-15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343A KR20220020866A (ko) 2018-09-20 2022-02-03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054812B1 (ko)
WO (1) WO202006012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659B1 (ko) * 2020-11-11 2021-08-31 민경권 스크래핑 기술을 연동한 단 대 단 개인정보 통합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0092A (ko) * 2020-06-03 2021-12-10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입출금에 따른 거래 내역 조회를 위한 단말장치, 지폐처리장치, 거래관리서버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53B1 (ko) 2010-01-19 2010-09-15 유승훈 개인식별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88A (ko) * 2001-11-08 2003-05-16 주식회사 조이닷컴 금융 거래 내역 자동 조회 시스템
KR100598641B1 (ko) * 2003-12-19 2006-07-13 이처닷컴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거래내역 조회방법
KR20100094003A (ko) * 2009-02-18 2010-08-26 이만인 개인 금융거래내역 관리 방법
KR101505947B1 (ko) * 2013-08-16 2015-03-25 김영철 금융상품의 벤치마크정보 생성서버 및 생성방법
KR20180091421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핀마트 개인간 금융거래 정보 관리 장치, 개인간 금융거래 정보 관리 방법,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93320A (ko) * 2017-02-13 2018-08-22 최종보 현금자산 관리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53B1 (ko) 2010-01-19 2010-09-15 유승훈 개인식별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092A (ko) * 2020-06-03 2021-12-10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입출금에 따른 거래 내역 조회를 위한 단말장치, 지폐처리장치, 거래관리서버 및 그 방법
KR102296659B1 (ko) * 2020-11-11 2021-08-31 민경권 스크래핑 기술을 연동한 단 대 단 개인정보 통합 활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812B1 (ko) 2020-01-22
WO2020060125A2 (ko) 2020-03-26
WO2020060125A3 (ko) 2020-05-28
KR20220020866A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610B2 (en) Public ledger authentication system
Mohammed A systematic literature mapping on secure identity managemen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102414732B1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아이덴티티 관리 방법
US10607285B2 (en) System for managing serializability of resource transfers in a process data network
JP6046765B2 (ja) 秘密情報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多重パーティ及び多重レベルの承認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762216B1 (en) Digital lending of payment instruments
US11665154B1 (en)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of multi-platform accounts
US20230134651A1 (en) Synchronized Identity, Document, and Transaction Management
US20210365584A1 (en) Portable reputation brokering using linked blockchains and shared events
KR20220020866A (ko) 금융식별코드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52408A1 (en) Graduated accounts using assertions
CN112970234B (zh) 账户断言
US20230013949A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transaction attributes and dispute information using blockchain
KR102080769B1 (ko) 금융식별코드 기반 금융정보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US11367082B2 (en) Systems, methods, and storage media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suspicious financial activities to investigative agencies
Jiang Privacy Implications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Trappey et al. Patent portfolio analysis of e-payment services using technical ontology roadmaps
Al-Smadi Credit Card Security System and Fraud Detection Algorithm
US118038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obfuscating sensitive personal data available on unregulated platforms
US20230401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of multi-platform accounts
Wardhana et al. Analysis of digital identity transactions with Ethereum blockchain ethereum in a case study of credit applications in banking
OA21314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of multi-platform accounts.
Kumar et al. Geofencing based Banking Authentication System: A Fraud Mitigation Technique
Chandrasekara Social Readiness of Cryptocurrency in Sri Lanka
Indi Empirical Analysis of Cryptocurrencies in Global Financial 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