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877A -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877A
KR20200032877A KR1020180112051A KR20180112051A KR20200032877A KR 20200032877 A KR20200032877 A KR 20200032877A KR 1020180112051 A KR1020180112051 A KR 1020180112051A KR 20180112051 A KR20180112051 A KR 20180112051A KR 20200032877 A KR20200032877 A KR 2020003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side
vertical wall
unit
outer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944B1 (ko
Inventor
김오영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씨엠 filed Critical (주)이에스씨엠
Priority to KR102018011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 외측 판넬부의 각 하부단이 올려지는 수평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직상부로 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장변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단변부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장변부와 단변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레일부를 포함하여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수직벽체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는 내, 외측 판넬부의 하부단을 지지하는 내,외측 지지대 ; 상기 수직벽체의 하부단과 대응하는 장변부의 외부면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매개판을 갖추고, 상기 매개판의 일측면으로부터 장변부에 관통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단변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변부에 임시로 구속되도록 피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갖추어 상기 수직벽체와 장변부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조립체의 탈형시 상기 내,외측판넬부의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직벽체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고정된 매개판으로부터 내,외측 지지대를 분리하여 탈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Device for Supporting the Pannel Bottom of Concrete Form Assembly}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를 구성하는 판넬의 하부를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복수개의 판넬이 판상으로 조립된 내,외측판넬부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불균일한 바닥면에 기인하는 틈새발생을 방지하며, 현장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시 형성되는 수직벽체로부터의 분리탈형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철근골조의 내, 외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판넬부와 외측 판넬부로 이루어진 거푸집 조립체를 설치한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는 내,외측 판넬부사이의 빈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채우고 이를 양생시킨 다음, 내,외측 판넬부를 탈거함으로써 수직한 벽체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 조립체는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생시 의해 발생되는 측압으로 인해 내,외측 판넬부가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완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벽체의 수직도 및 평면도가 불량해지고, 단일면의 콘크리트 벽체만을 제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다면 벽체 즉 연결된 벽체나 천정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883887 B1
특허문헌 1에는 시공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거푸집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부를 구비한 거치대; 시공 바닥면에 고정부재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도록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돌출편을 갖추고,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고정부재; 상기 경사면과 마주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사이를 연결하는 네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의 일부구간이 절취된 절취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몸체가 레일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부재 ;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바닥고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슬라이딩부재를 시공바닥면에 위치고정된 바닥고정부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바닥면의 기울기와 상관없이 거푸집을 수평상태로 조절해 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거푸집 패널에 현장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정시간 경과하여 콘크리트 벽체로 성형되어 고형화된 후 거푸집 구조물을 탈형하여 분해하는 작업은 먼저 거푸집 패널이 올려진 거치대를 탈형하여 바닥하부에 공간을 형성한 다음 서로 인접하는 패널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순차적으로 분해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슬라이딩부재 및 가압부재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거푸집 패널이 올려지는 거치대를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성형되어 고형화되는 콘크리트 수직벽체가 거치대의 외부면과 직접적으로 접하여 고착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서 거치대를 강제로 분리이탈하는 탈형작업이 매우 힘들어 작업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망치와 같은 도구를 콘크리트 벽체와 거치대간의 접합면에 충격을 가하여 강제 분리하여 탈형하는 과정에서 거치대에 충격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면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거치대의 손상 및 파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거푸집 패널의 탈형시 거치대를 탈형하는 작업을 기피하거나 허리를 숙여 작업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매우 높으며, 외부충격력에 의한 거치대의 손상이나 파손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거치대의 사용수명을 단축하고, 거치대의 재활용 빈도수를 줄여 관리유지비용이 증가되는 주요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현장타설되어 성형되는 콘크리트 수직벽체와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 구조물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내,외측 판넬부의 탈형이전에 선행하여 이루어지는 수평지지 구조물에 대한 분리탈형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외측판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 구조물의 단부가 서로 맞나는 모서리부에서 수평지지 구조물간의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시공바닥면의 기울기와 상관없이 내,외측패널부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외측 판넬부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조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 판넬부의 각 하부단이 올려지는 수평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직상부로 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장변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단변부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장변부와 단변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레일부를 포함하여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수직벽체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는 내, 외측 판넬부의 하부단을 지지하는 내,외측 지지대 ; 상기 수직벽체의 하부단과 대응하는 장변부의 외부면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매개판을 갖추고, 상기 매개판의 일측면으로부터 장변부에 관통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단변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변부에 임시로 구속되도록 피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갖추어 상기 수직벽체와 장변부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조립체의 탈형시 상기 내,외측판넬부의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직벽체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고정된 매개판으로부터 내,외측 지지대를 분리하여 탈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장변부와 대응하는 매개판의 일측면에 일단이 접하여 일체로 고정되고,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피결합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장변부와 대응하는 매개판에 관통형성된 조립공에 나사머리가 걸림배치되고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피결합부재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조립공에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변부와 피결합부재와의 사이에는 시공바닥면과 장변부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수직형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외측 판넬부와 접해지는 한쌍의 상부 돌출부의 판두께는 상기 장변부 및 단변부의 판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변부와 대응하여 내,외측 판넬부의 수직지지대와 접해지는 상부돌출부는 상단테두리에 외측으로 곡선형으로 휘어진 컬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높이를 시공바닥면에 대하여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수평부와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걸림배치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에 상부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의 하부단에 일체로 고정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중공체의 내부공에 상부단이 삽입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조절나사체 및 상기 조절나사체의 하부단에 형성된 나사공에 상단이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의 하단이 공회전되도록 걸림배치되는 걸림공을 갖추어 시공바닥면에 올려지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외측 판넬부사이에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직벽체의 하부단 양측면과,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내,외측 지지대의 장변부와의 사이에 지지대 분리용 접촉판을 개재함으로써 거푸집 조집체의 탈형시 지지대 분리용 접촉판을 매개로 하여 수직벽체와 간접적으로 접해지는 내,외측 지지대를 분리 탈형하여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에 여유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내,외측 판넬부를 수직벽체로부터 분리하여 탈형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작업부하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와 이에 적용된 내,외측 판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와 이에 적용된 내,외측 판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분리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에 높이조절부를 적용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에 높이조절부를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a 내 지 도 9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20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벽체 및 천정부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 상기 수직벽체를 성형하는 내,외측 판넬부(101,102)와 상기 천정부를 성형하는 슬래브부(300)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1000)에서 상기 내,외측 판넬부(101,102)의 하부를 시공바닥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내,외측 지지대(210a,210b)와 분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외측 지지대(210a,210b)는 도 2,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 외측 판넬부(101,102)의 각 하부단이 상부면에 올려지는 수평부(211)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211)의 양측단으로부터 직상부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상부 돌출부(212,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한쌍의 상부돌출부(212,213)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211)의 일측단으로부터 대략 직각방향인 직하부로 일정길이 하향 연장되는 장변부(214)와, 상기 수평부(211)의 타측단으로부터 대략 직각방향인 직하부로 일정길이 하향 연장되고, 상기 장변부(214)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단변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변부(215)와 대응하는 일측 상부 돌출부(213)의 상단테두리는 외측으로 곡선형으로 휘어진 컬링부(213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는 장변부(214)와 단변부(215)의 각 내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레일부(216,217)를 포함하며, 한쌍의 레일부(216,217)사이에는 후술하는 높이조절부(230)의 상부가 대응삽입되어 걸림배치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지지대(210a)와 외측 지지대(210b)는 상기 내,외측 판넬부사이에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성형되는 수직벽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직벽체의 하단 양측면과 장변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좌우대칭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내, 외측 판넬부(101,102)의 하부를 균일하지 않은 시공바닥면에서 수평하게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내,외측 지지대(210a,210b)는 강성확보와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압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판넬(1,2)을 판넬연결장치(100)에 의해서 서로 연결하는 내,외측 판넬부(101,102)의 하부단은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각 수평부(211)에 하부단이 올려져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넬(1,2)의 하부단 일측면은 상기 장변부(214)와 대응하는 일측 상부돌출부(212)와 접해지고, 상기 판넬연결장치에서 한쌍의 판넬을 연결하는 판넬연결장치(100)의 수직지지대(120)는 상기 단변부와 대응하는 타측 상부 돌출부(213)와 접해짐으로써 상기 내,외측 판넬부(101,102)의 하부단은 수평부(211)에 올려져 지지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상부돌출부(212,213)사이에 개재되어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도 2와 도 3에서 미설명부호 150 은 서로 마주하는 내,외측 판넬부(101,102)사이에 개재되어 수직벽체의 성형두께에 맞추어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재이며, 151 은 서로 인접하는 판넬연결장치의 수직지지대(120)들사이에 배치되는 수직재이며, 152는 상기 수평재(152)와 교차되어 간격유지재와 결합되는 수평재이다.
상기 분리부(220)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벽체의 하부단 양측면과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내,외측 지지대의 각 장변부(214)의 외부면과 일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직벽체와 장변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판(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개판(221)은 상기 장변부(214)의 외부면이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성형되는 수직벽체와 전혀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동일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외측 지지대와 동일한 알루미늄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지 또는 나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벽체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매개판(221)의 타측면에는 수직벽체로부터의 분리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매개판(221)의 일측면에는 상기 장변부(214)에 관통형성된 결합공(214a)을 통하여 단변부(215)측으로 노출되는 일정길이의 결합부재(222)를 갖추고,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피결합부재(223)에 의해서 상기 장변부에 임시로 구속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214a)은 상기 결합부재의 풀림시 상기 매개판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하면서 상기 매개판의 하부단과 시공바닥면이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장공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22a)는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변부(214)와 대응하는 매개판(221)의 일측면에 일단이 접하여 일체로 고정되고,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피결합부재(223)와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벽체와 장변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수직벽체와 접해지는 매개판(221)을 임시로 위치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22b)는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변부(214)와 대응하는 매개판(221)에 관통형성된 조립공(221a)에 나사머리(222c)가 걸림배치되고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피결합부재(223)와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벽체와 장변부사이에 개재되는 매개판을 임시로 위치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변부(214)와 피결합부재(223)와의 사이에는 시공바닥면과 장변부(214)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차단판(225)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225)에는 상기 결합부재(222)가 간섭없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수직형 장공(225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외측 판넬부(101,102)의 하부단은 내,외측 지지대(210a,210b)에 올려져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내,외측 판넬부사이에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직벽체의 하부단 양측면과 내,외측 지지대(210a,210b)의 각 장변부(214)와의 사이에는 임시로 고정되는 매개판(221)을 개재됨으로써 콘크리트 성형되는 수직벽체와 내,외측 지지대(210a,210b)의 각 장변부(214)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225)은 상기 피결합부재(223)의 풀림시 자중에 의해서 시공바닥면에 하부단이 항상 접해지도록 하강되고, 상기 피결합부재(223)의 체결시 시공바닥면과 장변부사의 이격공간을 차단하는 차단판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외측 판넬부사이에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내,외측 지지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장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서 수직벽체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매개판을 장변부에 임시고정하고 있던 피결합부재를 결합부재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차단판을 분리제거한 다음, 상기 수직벽체와 접하지 않는 내,외측 지지대를 상기 수직벽체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고정된 매개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에는 일정크기의 공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판넬부(101,102)의 분리탈형후 상기 수직벽체의 하부단 양측면에 접하여 부착된 매개판(221)은 상기 내,외측 판넬부를 수직벽체로부터 분리하여 탈형한 다음, 상기 매개판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부재 또는 매개판에 직간접적으로 외력을 가하여 수직벽체로부터 강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판(221)은 상기 조립공(221a)에 나사머리(222c)가 걸림배치되고 상기 조립공(221a)에 나사결합된 결합부재(22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벽체 측으로 나사머리(222c)를 강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직벽체와의 사이의 경계를 벌리면서 수직벽체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머리(222c)를 일단을 갖는 결합부재(222b)의 타단에는 도구에 의한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평면부(222d)를 형성하거나 렌치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조립공(221a)에는 암나사부를 일체로 구비하거나 상기 조립공(221a)이 형성되는 장변부에 나사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암나사부(222e)를 추가하여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외측 판넬부(101,102)의 각 하부단이 올려지는 내,외측 지지대(210a,210b)를 불규칙한 시공바닥면(G)에 관계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부(239)는 도 6a, 도 6b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211)와 한쌍의 레일부(216,217)와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한쌍의 레일부에 걸림배치되는 걸림판(231)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판(231)의 하부면에 상부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중공체(232)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체(232)의 하부단에 일체로 고정된 암나사부(232b)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중공체(232)의 내부공(232a)에 상부단이 삽입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조절나사체(233)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나사체(233)의 하부단에 형성된 나사공(233a)에 상단이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235a)의 하단이 공회전되도록 걸림배치되는 걸림공(235b)을 갖추어 시공바닥면에 올려지는 받침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상기 조절나사체(233)의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조절나사체의 길이중간에 수나사부(234)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상기 수나사부(234)는 상기 조절나사체의 외부면에 나사결합되어 높이조절된 조절나사체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암나사부에 접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230)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211)와 한쌍의 레일부(216,217)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걸림판(231)이 위치되어 걸림배치되도록 상기 걸림판을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단변부에 절개형성된 진출입구를 통하여 삽입배치하고, 분리시에는 상기 진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간편하게 분리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231)을 상부단에 구비하는 중공체(232)의 하부단에 구비되는 암나사부(232b)와 나사결합된 조절나사체(23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판과 받침대사이의 전체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상기 조절나사체의 하부단에 구비된 받침대(235)가 시공바닥면(G)에 안정적으로 접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시공바닥면(G)이 가상의 수평선(X)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경사지게 되면, 경사진 측에 위치하는 높이조절부(230)를 이용하여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내,외측 지지대(210a,210b)를 수평선과 일치되어 나란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에 구비된 걸림판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에 의해서 시공바닥면으로부터 수직벽체를 성형하는 공정은, 도 9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를 내,외측 지지대에 올려 지지하고, 서로 마주하는 내,외측 판넬부사이를 연결하는 간격유지재에 의해서 성형하고자 하는 수직벽체의 두께에 맞추어 간격을 조절한 다음,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서 상기 내,외측 지지대(210a,210b)가 수평선과 일치되도록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각 장변부의 하부단과 바닥시공면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은 상기 장변부와 피결합부재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판에 의해서 차단됨으로써 상기 내,외측 판넬부사이에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는 내, 외측 판넬부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도록 현장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고화되면, 도 9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된 수직벽체와 내,외측 지지대의 각 장변부와의 사이에 매개판이 개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판넬은 수직벽체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지만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내,외측 지지대는 수직벽체와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내,외측 판넬부를 분리탈형하기 위해서, 상기 내,외측 지지대를 분리탈형하여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은, 도 9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와 차단판을 분리하여 제거한 다음 작업자가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단변부를 잡고서 상기 장변부와 대응하는 상부돌출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매개판을 사이에 두고 수직판체와 대응하는 장변부를 갖는 내,외측지지대를 외부로 분리하여 탈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외측 판넬부(101,102)와 접해지는 한쌍의 상부 돌출부(212,213)의 판두께는 상기 장변부(214) 및 단변부(215)의 판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상,하부 돌출부와 장,단변부사이의 경계영역에서의 휨변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 내,외측 지지대를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에서 분리하여 탈형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변부와 대응하는 상부돌출부는 외측으로 곡선형으로 휘어진 컬링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내,외측 지지대를 외측으로 당기어 들어올릴때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수직지지대와 컬링부간의 부드러운 접촉에 의해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분리탈형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고, 수직지지대의 표면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내,외측 지지대를 분리하여 탈형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도 9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벽체의 양측면에 판넬이 부착된 내,외측판넬부에 대한 분리탈형작업을 후속하여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벽체의 하부단 양측면에는 내,외측 지지대의 분리 탈형에 의해서 매개판이 잔류하게 되고, 이러한 매개판은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분리탈형 또는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분리탈형 이후에 수직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2 : 판넬
210a,210b : 내,외측 지지대
211 : 수평부
212,213 : 상부 돌출부
214 : 장변부
215 : 단변부
220 : 분리부
221 : 매개판
222 : 결합부재
223 : 피결합부재
225 : 차단판
230 : 높이조절부
231 : 걸림판
232 : 중공체
233 : 조절나사체

Claims (7)

  1.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외측 판넬부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조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 상기 내,외측 판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 판넬부의 각 하부단이 올려지는 수평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직상부로 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장변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단변부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장변부와 단변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레일부를 포함하여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수직벽체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는 내, 외측 판넬부의 하부단을 지지하는 내,외측 지지대 ;
    상기 수직벽체의 하부단과 대응하는 장변부의 외부면에 일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매개판을 갖추고, 상기 매개판의 일측면으로부터 장변부에 관통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단변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변부에 임시로 구속되도록 피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갖추어 상기 수직벽체와 장변부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조립체의 탈형시 상기 내,외측판넬부의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직벽체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고정된 매개판으로부터 내,외측 지지대를 분리하여 탈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장변부와 대응하는 매개판의 일측면에 일단이 접하여 일체로 고정되고,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피결합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장변부와 대응하는 매개판에 관통형성된 조립공에 나사머리가 걸림배치되고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피결합부재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조립공에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부와 피결합부재와의 사이에는 시공바닥면과 장변부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수직형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판넬부와 접해지는 한쌍의 상부 돌출부의 판두께는 상기 장변부 및 단변부의 판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부와 대응하여 내,외측 판넬부의 수직지지대와 접해지는 상부돌출부는 상단테두리에 외측으로 곡선형으로 휘어진 컬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지지대의 높이를 시공바닥면에 대하여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수평부와 한쌍의 레일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걸림배치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에 상부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의 하부단에 일체로 고정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중공체의 내부공에 상부단이 삽입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조절나사체 및 상기 조절나사체의 하부단에 형성된 나사공에 상단이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의 하단이 공회전되도록 걸림배치되는 걸림공을 갖추어 시공바닥면에 올려지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KR1020180112051A 2018-09-19 2018-09-19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KR10228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51A KR102281944B1 (ko) 2018-09-19 2018-09-19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51A KR102281944B1 (ko) 2018-09-19 2018-09-19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877A true KR20200032877A (ko) 2020-03-27
KR102281944B1 KR102281944B1 (ko) 2021-07-26

Family

ID=6995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051A KR102281944B1 (ko) 2018-09-19 2018-09-19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508A (ko) * 2020-11-27 2022-06-03 (주)인터오션 모듈형 조립식 챔버
KR200497136Y1 (ko) * 2022-07-22 2023-08-08 주식회사 운진하이텍 콘크리트 잔여물 유출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444Y1 (ko) * 1999-07-12 2000-02-15 손상원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090118506A (ko) *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한반도 콘크리트용 거푸집
KR20170041175A (ko) * 2017-03-24 2017-04-14 최영복 멍에 걸이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444Y1 (ko) * 1999-07-12 2000-02-15 손상원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090118506A (ko) *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한반도 콘크리트용 거푸집
KR20170041175A (ko) * 2017-03-24 2017-04-14 최영복 멍에 걸이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508A (ko) * 2020-11-27 2022-06-03 (주)인터오션 모듈형 조립식 챔버
KR200497136Y1 (ko) * 2022-07-22 2023-08-08 주식회사 운진하이텍 콘크리트 잔여물 유출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944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403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
KR20160129037A (ko) 거푸집 지지 구조체를 위한 어댑터
KR20200032877A (ko)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NZ5415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ncrete panels
KR20180130499A (ko) 측면 보호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측면 보호대를 구비한 천장 거푸집 시스템 및 이러한 측면 보호대를 세우기 위한 방법
KR101833931B1 (ko) 걸림돌기가 구비된 슬라브 판넬
KR101682211B1 (ko)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형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101527564B1 (ko)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KR101555938B1 (ko) 고정클립이 구비된 슬라브 판넬의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24031B1 (ko) 유압식 코어 탈형 장치
KR10173129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형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101642881B1 (ko) 콘크리트 양생 중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CN115075558A (zh) 一种清水混凝土模板及支模现浇施工方法
KR101819196B1 (ko) 거푸집 시스템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190089358A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JPH09235880A (ja) 柱システム型枠の柱脚部位置決め治具、補助型枠及び建込み工法
JPH1072922A (ja) コンクリート階段の施工方法及び装置
KR200378317Y1 (ko) 슬라브테이블거푸집
KR20100130319A (ko) 갱폼의 낙하물 방지장치
KR100712063B1 (ko) 거푸집 받침구조
KR100916807B1 (ko) 거푸집의 높이 조절용 로커 고정장치
KR102217613B1 (ko) 데크 난간대
KR20190004153A (ko) 돌출발코니용 갱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