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850A -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850A
KR20200032850A KR1020180111975A KR20180111975A KR20200032850A KR 20200032850 A KR20200032850 A KR 20200032850A KR 1020180111975 A KR1020180111975 A KR 1020180111975A KR 20180111975 A KR20180111975 A KR 20180111975A KR 20200032850 A KR20200032850 A KR 2020003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ircuit breaker
signal
pow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1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2850A/ko
Publication of KR2020003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은,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입력받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REMOTE VOLTAGE DETEC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변전현장에서 검전 작업 시행 시 전선로의 휴전 여부를 표시하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변전현장에서의 안전작업수칙에 따르면 휴전작업으로 인해 차단기 또는 개폐기를 조작하여 전선로의 사활(死活)을 구분하였을 경우 반드시 선로의 충전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전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검전 작업을 시행한 후 충전된 전선로와 휴전된 전선로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휴전 작업 중임을 알리는 표지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송변전현장에서는 휴전시행 후 휴전구간측 지지물에 적색(활선) 깃발 또는 황색 깃발을 사용하여 사활을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휴전 작업 시마다 검전기를 이용하여 사활을 구분하는 비효율적인 단순작업을 반복하여야 하고, 사활선 깃발 설치 전까지 작업자의 착각에 의한 활선접근으로 안전사고 개연성이 내포되어 있으며, 매 휴전 작업 시마다 검전 작업으로 인한 과도한 공사비가 소요되고 있다. 또한, 깃발 설치 시 지지물에 와이어 등을 이용한 임의방법으로 설치하므로 강풍 등에 의해 분리되거나 낙하하는 도중 충전선로에 근접하게 되어 선로 고장 발생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8116호(공고일 : 2012.01.31.공고)인 "비접촉식 검전장치가 구비된 통전표시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송변전현장에서 검전 작업 시행 시 전선로의 휴전 여부를 표시하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장치는,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입력받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평상시 소등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차단기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휴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차단기 투입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충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기준치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과충전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변전소 차단기의 제어반 내부 접점에 연결되어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선표시램프,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파워램프, 충전 완료 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램프, 기기 기능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기능램프 및 기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방법은, 제어부가 송수신부를 통해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평상시 소등 상태이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차단기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휴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차단기 투입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충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제공하며, 기준치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과충전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변전소 차단기의 제어반 내부 접점에 연결되어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선표시램프,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파워램프, 충전 완료 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램프, 기기 기능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기능램프 및 기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송변전현장에서 검전 작업 시행 시 원격으로 전선로의 휴전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휴전 작업 시마다 검전 작업을 시행할 필요가 없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착각에 의한 활선접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인적실수로 인한 고장을 원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매 휴전 작업 시마다 검전 작업을 시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검전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은, 기기를 볼트 체결식 장비 거치대를 통해 지지물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외부적 요인(자연재해 등)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검전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설계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검전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설계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원격 검전 표시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장치는, 전원부(10), 송수신부(20), 제어부(30) 및 표시부(40)를 포함한다.
전원부(10)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검전 표시 장치의 표면이 태양광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생성된 전력이 배터리에 충전되어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0)는 기준치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과충전 방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0)는 전원 온/오프가 입력되는 전원버튼이 구비될 수 있고, 전원 온/오프 입력 신호를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온/오프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잔량에 따라 입력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20)는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상기 변전소 차단기의 제어반 내부 접점에 연결되어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20)에서 이용하는 통신망은 한정되지 않지만, 한국전력공사에서 사용하는 D-TRS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는 신호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한국전력공사에 기 구축되어 있는 자체망을 이용하여 신규 투자를 할 필요가 없고, 신규 투자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송수신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검전 표시 장치의 뒷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LED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소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40)는 청색 LED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표시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검전 표시 장치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선표시램프,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파워램프, 충전 완료 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램프, 기기 기능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기능램프 및 기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위치하는 제어 회로일 수 있으나, 그 위치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어부(30)는 송수신부(20)로부터 입력되는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표시부(40)를 통해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송수신부(20)로부터 차단기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휴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40)를 점등시키고, 상기 송수신부(20)로부터 차단기 투입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충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40)를 소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휴전 상태라고 판단되는 전선로는 점등하여 휴전 상태임을 알릴 수 있고, 좌측의 충전 상태라고 판단되는 전선로는 소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원격 검전 표시 장치는 볼트 체결식 장비 거치대를 통해 지지물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외부적 요인(자연재해 등)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원격 검전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방법은, 먼저 제어부(30)가 송수신부(20)를 통해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입력받는다(S10).
여기서, 송수신부(20)는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상기 변전소 차단기의 제어반 내부 접점에 연결되어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송수신부(20)로부터 입력되는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판단한다(S20).
즉, 제어부(30)는 변전소 차단기가 개방되면 송수신부(20)로부터 차단기 개방 신호가 입력되어 전선로가 휴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변전소 차단기가 투입되면 송수신부(20)로부터 차단기 투입 신호가 입력되어 전선로가 충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S20단계에서, 전선로가 휴전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30)는 표시부(40)의 LED를 점등시킨다(S30).
반면, S20단계에서, 전선로가 충전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30)가 표시부(40)의 LED를 소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LED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소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40)는 청색 LED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표시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검전 표시 장치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선표시램프,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파워램프, 충전 완료 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램프, 기기 기능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기능램프 및 기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어부(30)는 송수신부(20)로부터 차단기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휴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40)를 점등시키고, 상기 송수신부(20)로부터 차단기 투입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충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40)를 소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부(1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때 전원부(10)는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0)는 기준치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과충전 방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송변전현장에서 검전 작업 시행 시 원격으로 전선로의 휴전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휴전 작업 시마다 검전 작업을 시행할 필요가 없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착각에 의한 활선접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인적실수로 인한 고장을 원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매 휴전 작업 시마다 검전 작업을 시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검전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은, 기기를 볼트 체결식 장비 거치대를 통해 지지물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외부적 요인(자연재해 등)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전원부
20 : 송수신부
30 : 제어부
40 : 표시부

Claims (12)

  1.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입력받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평상시 소등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차단기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휴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차단기 투입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충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기준치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과충전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변전소 차단기의 제어반 내부 접점에 연결되어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선표시램프,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파워램프, 충전 완료 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램프, 기기 기능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기능램프 및 기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장치.
  7. 제어부가 송수신부를 통해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에 따라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검전 표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평상시 소등 상태이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차단기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휴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차단기 투입 신호가 입력되면 전선로가 충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제공하며, 기준치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과충전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변전소 차단기의 제어반 내부 접점에 연결되어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차단기 개방 또는 투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선로의 휴전 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선표시램프,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파워램프, 충전 완료 여부를 표시하는 충전램프, 기기 기능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기능램프 및 기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전 표시 방법.
KR1020180111975A 2018-09-19 2018-09-19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200032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975A KR20200032850A (ko) 2018-09-19 2018-09-19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975A KR20200032850A (ko) 2018-09-19 2018-09-19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850A true KR20200032850A (ko) 2020-03-27

Family

ID=6995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975A KR20200032850A (ko) 2018-09-19 2018-09-19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28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242A (ko) 2020-06-23 2021-12-30 한국전력공사 조류 방향 표시 변전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242A (ko) 2020-06-23 2021-12-30 한국전력공사 조류 방향 표시 변전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30393A (zh) 一种隔离开关分合闸动作确认方法
US20150355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al mine leakage test
AU2014224084A1 (en) Electrical control and protection device
WO2011146402A1 (en) A system, a tool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faulted circuit indicator using a display
KR100880818B1 (ko) 프로브 일체형 전류 전압측정 및 무선 전송장치
KR20200032850A (ko) 원격 검전 표시 장치 및 방법
JP4869988B2 (ja) 配電線の断線区間検出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断線検出装置
CN109610542A (zh) 一种双轮铣槽机can线路故障定位系统及定位方法
CN217087167U (zh) 一种带智能监控的配电柜
JP2002233082A (ja) 電力線搬送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機器
JP2013005638A (ja) 停電検出システムおよび停電範囲判定方法
KR101084058B1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CN104009547A (zh) 断路器远方操作功能监视装置及变电站远方操作系统
CN105977858A (zh) 一种智能安全配电箱
KR20130036560A (ko) 고장구간자동개폐기 원격 제어 및 상태감시 장치
KR101163165B1 (ko) 간이형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KR20100124041A (ko) 자가진단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제어 분전함 장치
CN202026514U (zh) 电力载波智能点灯装置
CN206684947U (zh) 交通安全指示系统
CN214253409U (zh) 充电提醒系统
CN105119150A (zh) 熔断器式隔离开关柜
KR100611916B1 (ko) 전기 자동차의 역률 표시 및 보정 시스템
KR20200003441A (ko) 임시동력 분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비전력 절감 방법
CN102256413B (zh) 电力载波点灯控制系统
CN105207063A (zh) 带有照明功能的熔断器式隔离开关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