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341A -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341A
KR20200032341A KR1020180111233A KR20180111233A KR20200032341A KR 20200032341 A KR20200032341 A KR 20200032341A KR 1020180111233 A KR1020180111233 A KR 1020180111233A KR 20180111233 A KR20180111233 A KR 20180111233A KR 20200032341 A KR20200032341 A KR 20200032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tube
straight line
sea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462B1 (ko
Inventor
신용호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 아스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스픽 filed Critical (주) 아스픽
Priority to KR102018011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4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는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사출성형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써 내부 밀도를 최소화하여 자전거를 초경량화 하면서도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 BICYCLE FRAME BY INJECTION MOLDING }
본 발명은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는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자전거 프레임은 알루미늄을 이용한 용접 가공으로 제작되는데, 최근 사출성형에 의한 플라스틱 자전거 프레임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346783호 역시 사출방식으로 제작되는 일체형 프레임을 제시하며, 구체적으로는 안장과, 상기 안장을 지지하는 시트포스트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앞바퀴와 뒷바퀴를 구비하고, 앞바퀴축의 양 끝단은 서스펜션포크에 설치되며, 상기 서스펜션포크 상단에는 핸들의 축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튜브가 설치되고, 뒷바퀴축의 양 끝단은 체인스테이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스테이와 헤드튜브가 프레임으로 연결되되, 상기 체인스테이와 프레임의 연결부분에는 자전거 페달이 설치된 크랭크축이 끼워지도록 크랭크축홀이 형성된 통상의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 시트포스트, 헤드튜브, 체인스테이, 프레임은 사출방식을 통해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뒷바퀴축과 상기 시트포스트를 연결하는 시트스테이가 생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프레임 자전거를 제시한다.
등록특허 제10-1346783호 (2013.12.24.)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사출성형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써 내부 밀도를 최소화하여 자전거를 초경량화 하면서도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자전거 프레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이 각각 사출성형되어 조립되며,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핸들포스트(11)를 고정하는 핸들포스트삽입부(110)가 형성된 헤드튜브(100); 페달축이 결합되는 비비셀(700); 후륜축(81)이 결합되는 후륜결합부(800); 헤드튜브(100)와 비비셀(700)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다운튜브(400); 상부에 시트포스트(31)를 고정하는 시트포스트삽입부(310)가 형성되고 하단은 다운튜브(400) 후단으로 연결되는 시트튜브(300); 헤드튜브(100)와 시트튜브(300)의 상단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탑튜브(200); 비비셀(700)과 후륜결합부(800)를 연결하는 체인스테이(600); 시트튜브(300)의 중부 일측과 후륜결합부(800)를 연결하는 시트스테이(500);를 포함하고, 상기 탑튜브(200)는 헤드튜브(100)에서 시트튜브(300)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인장력보강리브(210), 인장력보강리브(2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하중분산리브(220), 인장력보강리브(210) 또는 하중분산리브(2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230)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튜브(400)는 헤드튜브(100)에서 비비셀(7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인장력보강리브(410), 인장력보강리브(4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하중분산리브(420), 인장력보강리브(410) 또는 하중분산리브(4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트튜브(3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포스트삽입부(310)의 상부에서 다운튜브(400)의 후단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직하중보강리브(320), 수직하중보강리브(320)와 교차하며 페달축에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비비셀(7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페달하중보강리브(330), 시트튜브(300) 또는 페달하중보강리브(33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시트스테이(5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튜브(300)에서 후륜결합부(8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인장력보강리브(510), 인장력보강리브(5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하중분산리브(520), 인장력보강리브(510) 또는 하중분산리브(5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530)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스테이(6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비비셀(700)에서 후륜결합부(8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인장력보강리브(610), 인장력보강리브(6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하중분산리브(620), 인장력보강리브(610) 또는 하중분산리브(6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사출성형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써 내부 밀도를 최소화하여 자전거를 초경량화 하면서도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에 대한 단면도.
도 2 내지 5는 자전거 프레임 내부 공간에 형성된 각 리브를 설명하기 위해 강조하여 표시한 도면.
도 6은 자전거 프레임이 최종 조립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리브가 생략된 자전거 프레임의 분해도.
도 9는 페달력을 인가한 프레임 피로시험 규격에 대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시험을 수행한 결과 해석 도면.
도 11은 수직하중 피로시험 규격에 대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시험을 수행한 결과 해석 도면.
도 13은 수평하중 피로시험 규격에 대한 도면.
도 14 및 15는 도 13의 시험을 수행한 결과 해석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 중 "전", "후"는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이고, "좌", "우"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은 도 1 및 도 6과 같이 헤드튜브(100), 탑튜브(200), 시트튜브(300), 다운튜브(400), 시트스테이(500), 체인스테이(600), 비비쉘(700), 후륜결합부(800)로 구성되며, 도 7 및 도 8과 같이 프레임의 좌우측을 나누어 각각 제작(플라스틱 수지로 각각 통사출)한 후 맞닿아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무게는 가벼우면서도 프레임으로 가해지는 다양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도 1 내지 6은 자전거 프레임을 좌우로 나눌 때 우측 프레임을 좌측에서 본 도면 것이다.
비비쉘(700)은 페달축이 결합되는 부분이고, 후륜결합부(800)는 후륜축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헤드튜브(100)는 핸들포스트를 고정하는 핸들포스트삽입부(110)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핸들포스트는 전륜이 결합된 포크와 연결된다.
핸들포스트삽입부(110)는 도 3과 같이 핸들포스트가 관통되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핸들포스트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다수의 세로리브(111)와 가로리브(112)가 형성된다.
세로리브(111)는 핸들포스트에 맞닿도록 원기둥 길이 방향의 직선으로 핸들포스트삽입부(11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고, 가로리브(112)는 핸들포스트에 맞닿도록 외주면을 감싸는 링으로 핸들포스트삽입부(11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다. 즉, 다수의 세로리브(111)와 가로리브(112)가 직각으로 교차되는 구조인데, 이는 핸들포스트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가로리브(112)는 개방부인 핸들포스트삽입부(110)의 상부와 하부에서의 간격이 중앙부보다 좁게 형성되는데, 이는 개방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더 크기 때문에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도 7 및 도 8과 같이 핸들포스트삽입부(110)를 핸들포스트에 대응되는 원기등 형상의 별도 부재 외면에 세로리브(111)가 가로리브(112)가 형성되도록 하여 헤드튜브(100)에 조립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다운튜브(400)는 헤드튜브(100)와 비비쉘(700)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부분이며, 인장력보강리브(410), 하중분산리브(420) 및 밀도보강리브(430)가 형성된다.
인장력보강리브(410)는 도 2와 같이 헤드튜브(100)에서 비비쉘(7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고, 하중분산리브(420)는 인장력보강리브(4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로서, 헤드튜브(100) 또는 비비쉘(70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다운튜브(400)에 인력 또는 장력이 가해질 때 그 힘이 인장력보강리브(410)로 전달되어 하중분산리브(420)에 의해 분산된다.
밀도보강리브(430)는 도 4와 같이 인장력보강리브(410) 또는 하중분산리브(4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로서, 마찬가지로 인장력보강리브(410) 및 하중분산리브(420)로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게 된다. 다운튜브(400)에 하중이 가해져 휘어질 때 다운튜브(400)의 가장자리(윗변(L400a)과 밑변(L400b))가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곡률이 크므로, 다운튜브(4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밀도보강리브(430)의 밀도가 높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리브의 밀도라 함은 리브 자체의 내부 밀도가 아니라 다수의 리브가 얼마나 촘촘하게 형성되었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시트튜브(300)는 상부에 시트포스트를 고정하는 시트포스트삽입부(310)가 형성되고 하단은 다운튜브(400) 후단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며, 시트포스트에 안장이 결합된다. 상기 시트튜브(3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포스트삽입부(310), 수직하중보강리브(320), 페달하중보강리브(330) 및 밀도보강리브(340)가 형성된다.
수직하중보강리브(320)는 시트포스트삽입부(310)의 상부에서 다운튜브(400)의 후단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고, 페달하중보강리브(330)는 수직하중보강리브(320)와 교차하며 페달축에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비비쉘(7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며, 밀도보강리브(340)는 시트튜브(300) 또는 페달하중보강리브(33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로서, 시트튜브(300)와 비비쉘(700)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시트튜브(300)에 인력 또는 장력이 가해질 때 그 힘이 수직하중보강리브(320)로 전달되고, 밀도보강리브(340)로 분산된다.
시트포스트삽입부(310)는 도 3과 같이 시트포스트가 관통되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시트포스트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면에 시트포스트에 맞닿도록 원기둥 길이 방향의 직선으로 시트포스트삽입부(31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세로리브(311)와, 시트포스트에 맞닿도록 외주면을 감싸는 링으로 시트포스트삽입부(31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가로리브(312)가 형성된다. 즉, 다수의 세로리브(311)와 가로리브(312)가 직각으로 교차되는 구조인데, 이는 시트포스트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페달링으로 인한 비틀림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가로리브(312)는 개방부인 시트포스트삽입부(310)의 상부에서의 간격이 중부 및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데, 이는 개방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더 크기 때문에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탑튜브(200)는 헤드튜브(100)와 시트튜브(300)의 상단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부분이며, 인장력보강리브(210), 하중분산리브(220) 및 밀도보강리브(230)가 형성된다.
인장력보강리브(210)는 도 2와 같이 헤드튜브(100)에서 시트튜브(300)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고, 하중분산리브(220)는 인장력보강리브(2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로서, 헤드튜브(100) 또는 시트튜브(30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탑튜브(200)에 인력 또는 장력이 가해질 때 그 힘이 인장력보강리브(210)로 전달되어 하중분산리브(220)에 의해 분산된다.
밀도보강리브(230)는 도 4와 같이 인장력보강리브(210) 또는 하중분산리브(2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로서, 마찬가지로 인장력보강리브(210) 및 하중분산리브(220)로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게 된다. 탑튜브(200)에 하중이 가해져 휘어질 때 탑튜브(200)의 가장자리(윗변(L200a)과 밑변(L200b))가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곡률이 크므로, 탑튜브(2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밀도보강리브(230)의 밀도가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보강리브(210)와 인장력보강리브(410)는 핸들포스트삽입부(110)까지 이어져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포스트삽입부(110)의 하단에서 시트튜브(300)의 중심을 향하는 직선상에 굵은 추가보강리브(411)가 인장력보강리브(410)와 교차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구조가 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체인스테이(600)는 비비쉘(700)과 후륜결합부(80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인장력보강리브(610), 하중분산리브(620) 및 밀도보강리브(630)가 형성된다.
인장력보강리브(610)는 비비쉘(700)에서 후륜결합부(8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고, 하중분산리브(620)는 인장력보강리브(6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 밀도보강리브(630)는 인장력보강리브(610) 또는 하중분산리브(6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다. 체인스테이(600)에 가해지는 하중 및 페달링으로 인한 비틀림 하중으로 인해 체인스테이(600)에 인력 또는 장력이 가해질 때 인장력보강리브(610)로 전달되어 하중분산리브(620)로 힘이 분산된다.
시트스테이(500)는 시트튜브(300)의 중부 일측과 후륜결합부(80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인장력보강리브(510), 하중분산리브(520) 및 밀도보강리브(530)가 형성된다.
인장력보강리브(510)는 시트튜브(300)에서 후륜결합부(8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고, 하중분산리브(520)는 인장력보강리브(5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며, 인장력보강리브(510) 또는 하중분산리브(5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브이다. 시트스테이(50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시트스테이(500)에 인력 또는 장력이 가해질 때 그 힘이 인장력보강리브(510)로 전달되어 하중분산리브(520)와 밀도보강리브(530)에 의해 분산된다.
자전거 프레임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모든 리브는 끊김 없이 이어지도록 설계한다. 즉, 모든 리브는 교차하거나 한 리브에 다른 리브가 접하는 형태이다. 또한 밀도보강리브(230,430,530,630,340)의 상대적인 밀도는 시트스테이(500)의 밀도보강리브(530)가 가장 크고, 체인스테이(600), 탑튜브(200), 시트튜브(300), 다운튜브(400) 순서로 밀도가 낮도록 설계한다. 이는 자전거 프레임 내부 밀도를 최대한 낮게 하면서도 하중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도 9 내지 15는 본 발명의 도 1에 제시된 구조의 자전거 프레임에 수행한 각종 피로시험과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페달력을 인가한 프레임 피로시험
(시험 규격) 도 9 참고
차체의 앞쪽 뒤쪽 평면에 7.5°의 경사를 갖고 수직 반대 평면에서의 차체의 중심선으로 부터 150 mm 위치에 1,000 N (102kg)의 반복된 힘을 페달 스핀들 양쪽에 인가한다. 이러한 힘을 적용하여 시험하는 동안에 페달의 답력을 5 % 또는 페달 스핀들의 시험력의 인가 시작 이전에 최대 힘을 그 이내로 해야 한다.
100,000번의 사이클에 대해 시험력을 인가하고 한 사이클의 테스트에 대해서 적용한 후 두 시험력에 대한 제거를 실시한다. 서스펜션 프레임을 시험하는 경우 프레임에서 받는 저항력이 최대가 되도록 서스펜션의 스프링, 공기압 및 댐핑을 조절한다. 서스펜션에 잠금장치가 없다면 고정링크로 교체하여 시험한다.
(도면 부호 설명)
F : 1,000 N의 인가된 힘
Rw : 단단한 마운트의 높이
Rc : 수직 암의 길이
L : 크랭크의 길이
1 : 조인트
2 : 매듭봉의 중심선
결과는 도 10에 제시되어 있으며 변위, 변형율 및 응력 측정결과 기준조건을 충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수직하중 피로시험
(시험 규격) 도 11 참고
기본적인 위치에서 차체를 고정시키고 도 11에서처럼 뒤쪽의 이탈을 방지하여 회전에 구속되지 않게 해야한다. 시험력을 인가하는 도중에 앞쪽 뒤쪽의 구부림에 대한 차체를 허용하여 앞쪽 액슬에 적절한 롤러를 맞춘다.
둥근 강철바를 안장 튜브의 위로 안장 스템에 동일하게 삽입하고 일반적인 고정 방법에 의해 이것을 고정한다.
강철바의 축에 교차하여 70 mm(±1mm 정확도) 지점에서 수직 아랫방향에 0에서 1,200 N ( 122kg)으로 동적 주기로 힘을
인가하고 확장된 부분 E에서 25 Hz를 넘지 않는 시험 진동수로 50,000 사이클의 시험을 실시한다.
(도면 부호 설명)
1. 자유로운 롤러
2. 강철바
3. 고정된 완충 장치 또는 축이 되는 체인 안정 장치에 대한 연결부
결과는 도 12에 제시되어 있으며 변위, 변형율 및 응력 측정결과 기준조건을 충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3. 수평하중 피로시험
(시험 규격) 도 13 참고
기본적인 위치에서 차체를 고정시키고 도 13에서처럼 뒤쪽의 이탈을 방지하여 회전에 구속되지 않게 해야 한다.
그림 3과 같이 전/후 축을 통하여 +1,200 N의 강한 수평 힘을 앞 방향으로 가하고 - 600 N의 힘을 반대 방향인 축의 앞포크 하단 쪽으로 50,000번씩 가한다. 앞포크가 수직 방향으로 내려 눌러도 앞/뒤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최대 진동수는 25 Hz라야 한다.
(도면 부호 설명)
1. 가이드가 달려있고 자유롭게 구르는 롤러
2. 뒤축이 부착되는 지점의 견고한 피봇 장치
결과는 도 14 및 15에 제시되어 있으며 변위, 변형율 및 응력 측정결과 기준조건을 충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헤드튜브
110 : 핸들포스트삽입부
111 : 세로리브
112 : 가로리브
200 : 탑튜브
210 : 인장력보강리브
220 : 하중분산리브
230 : 밀도보강리브
300 : 시트튜브
310 : 시트포스트삽입부
311 : 세로리브
312 : 가로리브
320 : 수직하중보강리브
330 : 페달하중보강리브
340 : 밀도보강리브
400 : 다운튜브
410 : 인장력보강리브
411 : 추가보강리브
420 : 하중분산리브
430 : 밀도보강리브
500 : 시트스테이
510 : 인장력보강리브
520 : 하중분산리브
530 : 밀도보강리브
600 : 체인스테이
610 : 인장력보강리브
620 : 하중분산리브
630 : 밀도보강리브
700 : 비비셀
800 : 후륜결합부

Claims (4)

  1.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이 각각 사출성형되어 조립되며,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2. 핸들포스트(11)를 고정하는 핸들포스트삽입부(110)가 형성된 헤드튜브(100);
    페달축이 결합되는 비비셀(700);
    후륜축(81)이 결합되는 후륜결합부(800);
    헤드튜브(100)와 비비셀(700)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다운튜브(400);
    상부에 시트포스트(31)를 고정하는 시트포스트삽입부(310)가 형성되고 하단은 다운튜브(400) 후단으로 연결되는 시트튜브(300);
    헤드튜브(100)와 시트튜브(300)의 상단을 연결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탑튜브(200);
    비비셀(700)과 후륜결합부(800)를 연결하는 체인스테이(600);
    시트튜브(300)의 중부 일측과 후륜결합부(800)를 연결하는 시트스테이(500);를 포함하고,

    상기 탑튜브(200)는
    헤드튜브(100)에서 시트튜브(300)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인장력보강리브(210),
    인장력보강리브(2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하중분산리브(220),
    인장력보강리브(210) 또는 하중분산리브(2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탑튜브(2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230)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튜브(400)는
    헤드튜브(100)에서 비비셀(7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인장력보강리브(410),
    인장력보강리브(4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하중분산리브(420),
    인장력보강리브(410) 또는 하중분산리브(4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다운튜브(4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튜브(3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포스트삽입부(310)의 상부에서 다운튜브(400)의 후단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직하중보강리브(320),
    수직하중보강리브(320)와 교차하며 페달축에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비비셀(7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페달하중보강리브(330),
    시트튜브(300) 또는 페달하중보강리브(33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튜브(3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스테이(5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시트튜브(300)에서 후륜결합부(8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인장력보강리브(510),
    인장력보강리브(5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하중분산리브(520),
    인장력보강리브(510) 또는 하중분산리브(5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시트스테이(5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530)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스테이(6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비비셀(700)에서 후륜결합부(800)까지 이어지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인장력보강리브(610),
    인장력보강리브(610)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하중분산리브(620),
    인장력보강리브(610) 또는 하중분산리브(620)와 사선으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로 체인스테이(60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밀도보강리브(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KR1020180111233A 2018-09-18 2018-09-18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KR10210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233A KR102103462B1 (ko) 2018-09-18 2018-09-18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233A KR102103462B1 (ko) 2018-09-18 2018-09-18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341A true KR20200032341A (ko) 2020-03-26
KR102103462B1 KR102103462B1 (ko) 2020-04-22

Family

ID=6995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233A KR102103462B1 (ko) 2018-09-18 2018-09-18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4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071A (ko) * 2006-03-20 2007-09-28 강재규 자전거 프레임
US20090212530A1 (en) * 2005-04-11 2009-08-27 Magna Marque International Inc. Bicycle Frame Construction
US20110115192A1 (en) * 2009-11-19 2011-05-19 Helms James M Bicycle Frame Having Webbed Tubing
KR101346783B1 (ko) 2011-04-01 2014-01-03 주식회사 위트콤 일체형 프레임 자전거
KR101556383B1 (ko) * 2014-05-12 2015-10-13 주식회사 명지 강도 보강용 자전거 프레임
KR20160143447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한국 에이씨엠 자전거 프레임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2530A1 (en) * 2005-04-11 2009-08-27 Magna Marque International Inc. Bicycle Frame Construction
KR20070095071A (ko) * 2006-03-20 2007-09-28 강재규 자전거 프레임
US20110115192A1 (en) * 2009-11-19 2011-05-19 Helms James M Bicycle Frame Having Webbed Tubing
KR101346783B1 (ko) 2011-04-01 2014-01-03 주식회사 위트콤 일체형 프레임 자전거
KR101556383B1 (ko) * 2014-05-12 2015-10-13 주식회사 명지 강도 보강용 자전거 프레임
KR20160143447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한국 에이씨엠 자전거 프레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462B1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5953C (en) Bicycle with crank assembly suspension system
EP3868640A1 (en) Bicycle frame and front fork assembly
JP5825596B2 (ja) 走行練習用自転車
EP2420435A1 (en) Bicycle frame with rear suspension system
US5382038A (en)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US20140137698A1 (en) Bicycle handlebar assembly
US20060226622A1 (en) Grommet device
US6073950A (en) Bicycle with crank assembly suspension system
US8353227B2 (en) Fastening device
US8128113B2 (en) Frame for cycles, in particular for mountain bikes
KR102103462B1 (ko) 사출성형용 자전거 프레임
KR102242885B1 (ko) 사출성형에 의한 자전거 프레임
US9663180B2 (en) Steering structure for saddle type vehicle
EP4012206A1 (en) Tilting vehicle
CN108657351B (zh) 可调式自行车
WO2023083796A1 (en) Non-circular bicycle fork steerer tube
GB2117718A (en) Stabilizer assembly for vehicles
US9649902B2 (en) Link assembly for longitudinal arm vehicle suspension
US5842712A (en) Strengthened bicycle frame and tube
CN203753290U (zh) 自行车座杆避震结构
EP4180308A1 (en) Bicycle fork steerer tube
CN220032119U (zh) 一种稳定性强的折叠结构
CN210942101U (zh) 一种自行车前后轮轴钢板弹簧承载式悬挂装置
RU2396179C1 (ru) Велосипед с амортизированной задней подвеской
JP2018083623A (ja) 走行練習用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